KR200327776Y1 -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776Y1
KR200327776Y1 KR20-2003-0021095U KR20030021095U KR200327776Y1 KR 200327776 Y1 KR200327776 Y1 KR 200327776Y1 KR 20030021095 U KR20030021095 U KR 20030021095U KR 200327776 Y1 KR200327776 Y1 KR 200327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fastener
mobile phone
fastening structur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20-2003-0021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7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11/00Accessories f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둘레에 안착홈(12)이 형성된 몸체(11)(31)와, 상기 몸체(11)(31) 일측 상부로 연장된 후 절곡형성되고 상부에 목걸이줄(5)이 체결되도록 결합구멍(14)이 형성되는 연장부(13)와, 상기 연장부(13)와 몸체(11)(31) 상단 사이에 걸이줄(1)이 안착홈(12)으로 진입되도록 착탈통로(15)(35)가 형성되는 장식체(10)(30)와; 두개의 가이드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23)에 상기 걸이줄(1)이 타이트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이줄(1)을 조여서 상기 장식체(10)(30) 둘레의 안착홈(12)에 체결시키는 조임구(20)가 더 구비되는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걸이줄(1)을 손가락이나 손목에 걸어서 휴대하다가 핸드폰을 목에 걸 필요가 있는 경우, 걸이줄(1)의 상단을 장식체(10)(30)의 착탈통로(15)(35)로 진입시켜서 몸체(11)(31) 둘레의 안착홈(12)에 위치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구(20)를 걸이줄(1) 상측으로 당기면 걸이줄(1)이 장식체(10)(30)에 간단히 결합지지되며, 그 반대로 하여 목에 걸어 지지시킨 상태의 핸드폰을 간단히 분리하여 손가락이나 손목에 다시 걸어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핸드폰을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휴대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string join structure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핸드폰용 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이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이래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갖춘 핸드폰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악세사리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핸드폰용 악세사리에는 핸드폰에 붙이는 스티커, 인형류, 핸드폰을 넣어 보관하는 케이스류 등의 팬시 제품 종류에서 전자파 차단 용품, 발광안테나, 차량용 핸즈프리, 이어마이크 및 급속 충전장치 등의 기능성 악세사리까지 그 종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종류의 것들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악세사리 중 핸드폰용 줄은, 핸드폰을 편리하게 휴대하기 위해 개발되어 사용되는데, 일단을 핸드폰에 묶고 타단을 목이나 손목에 걸어서 핸드폰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핸드폰용 줄은 핸드폰을 손목에 걸어서 휴대하는데 사용되는 줄과 목에 걸어서 휴대하는데 사용되는 줄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서 핸드폰에 각각 별도로 체결되어 사용되며, 이에 따라 핸드폰을 손목에 걸어 휴대하다가 쇼핑등의 이유로 손으로 휴대할 다른 물품이 생길 경우 핸드폰을 적절하고 신속하게 목에 걸어 휴대하기가 힘들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드폰을 손가락이나 손목에 걸어휴대하다가 필요에 따라 목에 간단히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줄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휴대폰용 줄 체결구조는,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에 있어서, 둘레에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 상부로 연장된 후 절곡형성되고 상부에 목걸이줄이 체결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몸체 상단 사이에 걸이줄이 안착홈으로 진입되도록 착탈통로가 형성되는 장식체와; 두개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에 상기 걸이줄이 타이트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이줄을 조여서 상기 장식체 둘레의 안착홈에 체결시키는 조임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기 조임구의 두 가이드구멍에, 걸이줄과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곡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구가 걸이줄에 타이트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조임구를 당길시 상기 조임구가 걸이줄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된다.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 하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상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 일측에 길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수납공간 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진 결합핀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핀의 연장부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송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 단부에서 그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 단부에서 그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차단부로 이루어진 체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핀의 연장부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편의 차단부를 착탈통로 측으로 탄성지지하도록 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걸이줄을 손가락이나 손목에 걸어서 휴대하다가 핸드폰을 목에 걸 필요가 있는 경우, 걸이줄의 상단을 장식체의 착탈통로로 진입시켜서 몸체 둘레의 안착홈에 위치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구를 걸이줄 상측으로 당기면 걸이줄이 장식체에 간단히 결합지지되며, 그 반대로 하여 목에 걸어 지지시킨 상태의 핸드폰을 간단히 분리하여 손가락이나 손목에 다시 걸어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핸드폰을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휴대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2는 장식체에 걸이줄이 삽입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3은 조임구에 의해 걸리줄이 장식체의 안착홈에 안착지지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4 및 도5는 도3의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
도6 및 도7은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걸이끈 5 : 목걸이줄
10,30 : 장식체 11,31 : 몸체
12 : 안착홈 15,35 : 착탈통로
20 : 조임구 22 : 곡면부
40 : 결합핀 50 : 체결편
60 : 스프링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사용상태 사시도들이며, 도4 및 도5는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의 결합 측단면도 및 그 정단면도로써, 이는 장식체(10)와 조임구(20)로 대분된다.
장식체(10)에는 그 둘레에 안착홈(12)이 형성된 몸체(11)가 구비되는바, 몸체(11) 전면에는 장식효과를 높이도록 비교적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이에 다양한 장식무늬가 인쇄되거나, 스티커가 부착되거나, 기타 다른 장식물품이 부착되어서 장식체(10)의 장식효과를 높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11) 일측 상부에는 연장부(13)가 구비되는바, 이는 몸체(11) 일측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절곡형성되고, 연장부(13) 상부에는 목걸이줄(5)이 체결되도록 결합구멍(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장부(13)와 몸체(11) 상단 사이에는 걸이줄(1)이 안착홈(12)으로 진입되도록 착탈통로(15)가 형성된다.
조임구(20)는 내측에 두개의 가이드구멍(23)이 형성되어 이에 걸이줄(1)의 두 가닥이 타이트하게 끼워지며, 걸이줄(1)의 상단이 장식체(10)의 안착홈(12) 둘레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 조임구(20)를 상측으로 조여서 장식체(10)에 걸이줄(1)을 체결시키게 된다.
여기서 조임구(20)의 두 가이드구멍(23)에는, 걸이줄(1)과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곡면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조임구(20)가 걸이줄(1)에 타이트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조임구(20)를 당길시 조임구(20)가 걸이줄(1)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걸이줄(1)의 양단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체결구(2)가 결합되어서 걸이줄(1) 양단을 확실하게 체결시키게 되고, 체결구(2) 둘레에는 보호캡(3)이 결합되며, 이 보호캡(3)에는 다수의 부품들이 결합된 후 그 하부에 핸드폰에 체결되는 체결끈(4)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는, 걸이줄(1)을 손가락이나 손목등에 걸어 지지시킨 후 조임구(20)를 조여서 손에 핸드폰을 간단히 걸어지지시킬 수 있게 되며, 이때 걸이줄(1)은 조임구(20) 중앙의 분리핀(21)과 그 양측의 곡면부(22)에 의해 눌려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걸이줄(1)이 조임구(20)가 걸이줄(1)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핸드폰을 손에 걸어 휴대하다가 사용자가 쇼핑등을 하여 손에 다른 물품을 휴대할 필요가 있는 경우, 휴대폰을 손목 등에서 간단히 분리한 후 목에 걸어 지지시킬 수 있는바, 조임구(20)를 하측으로 내리면 걸이줄(1)의 내경이 넓어지게 되어 이를 손목 등에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걸이줄(1) 상단을 장식체(10)의 착탈통로(15)로 진입시켜서 걸이줄(1) 상단 둘레를 몸체(11)의 안착홈(12) 둘레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조임구(20)를 다시 상측으로 조이면 걸이줄(1) 상부 둘레가 몸체(11)의 안착홈(12)에 밀착지지되므로 장식체(10)와 걸이줄(1)의 체결을 완료하며, 따라서 손목 등에 휴대한 핸드폰을 간단히 목에 걸어지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는, 걸이줄(1)을 손가락이나 손목에 걸어서 휴대하다가 핸드폰을 목에 걸 필요가 있는 경우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즉, 걸이줄(1)의 상단을 장식체(10)의 착탈통로(15)로 진입시켜서 몸체(11) 둘레의 안착홈(12)에 위치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구(20)를 걸이줄(1) 상측으로 당기면 걸이줄(1)이 장식체(10)에 간단히 결합지지되며, 그 반대로 하여 목에 걸어 지지시킨 상태의 핸드폰을 간단히 분리하여 손가락이나 손목에 다시 걸어지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핸드폰을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드폰을 손목에 걸어 지지시키다가 목에 걸거나, 그 반대로 목에 걸어지지시키다가 손목에 걸 경우, 종래에는 그 작업이 번잡하기 때문에 그 순간의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사용자가 아예 핸드폰을 가방에 넣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핸드폰의 수신음을 제대로 듣지 못하게 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핸드폰을 신체의 필요한 부위에 간단히 교체하여 매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은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및 그 단면도로써, 몸체(31)와 결합핀(40), 체결편(50), 스프링(60)으로 대분된다.
몸체(31)는 그 하부에 암나사부(32)가 형성되고, 그 상측에 수납공간(33)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핀(40)은, 몸체의 암나사부(32)에 체결되는 수나사부(41)와, 수나사부(41) 일측에 길게 연장형성되어 몸체(31)의 수납공간(33) 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연장부(42)로 이루어진다.
체결편(50)은, 결합핀(40)의 연장부(42)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송되는 가이드부(51)와, 가이드부(51)의 외측 단부에서 그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누름부(52)와, 가이드부(51)의 외측 단부에서 그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차단부(53)로 이루어진다.
스프링(60)은, 결합핀(40)의 연장부(42) 둘레에 결합되어, 체결편(50)의 차단부(53)를 착탈통로(35) 측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는, 체결편(50), 결합핀(40), 스프링(60)에 의해 몸체(31)의 착탈통로(35)가 선택적으로 차단되므로 걸이줄(1)과 장식체(30)와의 체결상태가 더욱 견고해진다.
즉, 걸이줄(1)을 장식체(30)에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체결편(50)을 하측으로 당겨야 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걸이줄(1)을 착탈통로(35)로 진입시킨 후 체결편(50)을 놓으면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편(50)이 상승되며, 이에 따라 차단부(53)가 착탈통로(35)를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고안은 걸이줄(1)이 장식체(30)에 결합되면 체결편(50)이 몸체(31)의 착탈통로(35)를 차단시키게 되므로 부주의한 경우로 인해 걸이줄(1)이 장식체(3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에 의하면, 걸이줄(1)을 손가락이나 손목에 걸어서 휴대하다가 핸드폰을 목에 걸 필요가 있는 경우, 걸이줄(1)의 상단을 장식체(10)(30)의 착탈통로(15)(35)로 진입시켜서 몸체(11)(31) 둘레의 안착홈(12)에 위치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구(20)를 걸이줄(1) 상측으로 당기면 걸이줄(1)이 장식체(10)(30)에 간단히 결합지지되며, 그 반대로 하여 목에 걸어 지지시킨 상태의 핸드폰을 간단히 분리하여 손가락이나 손목에 다시 걸어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핸드폰을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휴대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에 있어서,
    둘레에 안착홈(12)이 형성된 몸체(11)(31)와, 상기 몸체(11)(31) 일측 상부로 연장된 후 절곡형성되고 상부에 목걸이줄(5)이 체결되도록 결합구멍(14)이 형성되는 연장부(13)와, 상기 연장부(13)와 몸체(11)(31) 상단 사이에 걸이줄(1)이 안착홈(12)으로 진입되도록 착탈통로(15)(35)가 형성되는 장식체(10)(30)와;
    두개의 가이드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23)에 상기 걸이줄(1)이 타이트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이줄(1)을 조여서 상기 장식체(10)(30) 둘레의 안착홈(12)에 체결시키는 조임구(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20)의 두 가이드구멍(23)에,
    걸이줄(1)과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곡면부(22)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구(20)가 걸이줄(1)에 타이트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조임구(20)를 당길시 상기 조임구(20)가 걸이줄(1)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 하부에 암나사부(32)가 형성되고, 그 상측에 수납공간(33)이형성되며;
    상기 몸체(31)의 암나사부(32)에 체결되는 수나사부(41)와, 상기 수나사부(41) 일측에 길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31)의 수납공간(33) 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연장부(42)로 이루어진 결합핀(40)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핀(40)의 연장부(42)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송되는 가이드부(51)와, 상기 가이드부(51)의 외측 단부에서 그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누름부(52)와, 상기 가이드부(51)의 외측 단부에서 그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차단부(53)로 이루어진 체결편(5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핀(40)의 연장부(42)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편(50)의 차단부(53)를 착탈통로(35) 측으로 탄성지지하도록 스프링(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KR20-2003-0021095U 2003-07-02 2003-07-02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KR200327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095U KR200327776Y1 (ko) 2003-07-02 2003-07-02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095U KR200327776Y1 (ko) 2003-07-02 2003-07-02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776Y1 true KR200327776Y1 (ko) 2003-09-22

Family

ID=4941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095U KR200327776Y1 (ko) 2003-07-02 2003-07-02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7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092A (en) Wave clip and ornament arrangement
KR200347485Y1 (ko) 벨크로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CN102823271A (zh) 耳机线缆保持器
US20130126686A1 (en) Luggage cup holder
KR200388420Y1 (ko) 접착식 악세사리
KR200327776Y1 (ko)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KR101549001B1 (ko) 일종의 장식 기능을 구비한 블루투스 수신장치
US20050108855A1 (en) Ornamental eyeglass retainer and necklace
KR20060092399A (ko)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KR200183193Y1 (ko) 목걸이 체결구조
KR200412395Y1 (ko) 물품휴대용 줄 세트
JP3064995U (ja) 携帯機器用ストラップの簡易着脱式アクセサリ―
KR200232806Y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걸림구
KR200246452Y1 (ko) 벨트 고정 장치
CN214230165U (zh) 一种自由组合式吊坠
JP4883497B2 (ja) 携行品の着身連結具
JP3157106U (ja) うちわ
US20060147033A1 (en) Tying device for fastening personal item to a user
JP6644384B1 (ja) 髪留め具
KR200346499Y1 (ko) 클립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KR200461710Y1 (ko) 다용도 걸이용 캡
KR200383600Y1 (ko) 휴대기기 스트랩
JP3106983U (ja) 装飾チェーンを用いた装身具
KR101895152B1 (ko) 장식체인
KR100686588B1 (ko) 물품휴대용 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