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152B1 - 장식체인 - Google Patents

장식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152B1
KR101895152B1 KR1020170019899A KR20170019899A KR101895152B1 KR 101895152 B1 KR101895152 B1 KR 101895152B1 KR 1020170019899 A KR1020170019899 A KR 1020170019899A KR 20170019899 A KR20170019899 A KR 20170019899A KR 101895152 B1 KR101895152 B1 KR 10189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string
decorative member
conn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597A (ko
Inventor
김정신
Original Assignee
김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신 filed Critical 김정신
Priority to KR102017001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1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부재와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관을 구비함으로써 착용하거나 착용을 해제할 때 신축성 실리콘 줄이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며, 연결관에 실리콘 줄의 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실리콘 줄의 일부가 절단되어 끊어져도 텐션을 유지하는 장식체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장식부재; 상기 관통공에 양단이 수용되며, 중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관; 상기 수용공간 및 중공에 수용됨과 더불어 양단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장식부재와 연결관이 띠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신축성 실리콘 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단이 눌려져 걸림부가 형성되고, 중앙은 실리콘 줄을 파지도록 눌려져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식체인{a decorative chains}
본 발명은 장식체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착용하거나 착용을 해제할 때 신축성 줄이 노출되어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며, 줄의 일부가 끊어져도 텐션을 유지하는 장식체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식체인은 등록실용 제20-0383349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슬과 이 구슬을 연결하여 고무줄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장식체인은 장식의 기능을 표출해야 함으로써, 구슬에 금 또는 은 또는 신주 및 다양한 색상을 도색하여 판매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착용을 해제하기 위해 장식체인을 늘릴 경우 구슬과는 상이한 고무줄 본연의 색이 드러나게 되는 점이 있다.
즉, 착용하거나 착용 해제 시 미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줄의 일부가 절단되면 줄에 의해 연결 결합된 구슬이 해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349호(등록일자 : 2005년 04월 26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장식부재와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관을 구비함으로써 착용하거나 착용을 해제할 때 신축성 실리콘 줄이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며, 연결관에 실리콘 줄의 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실리콘 줄의 일부가 절단되어 끊어져도 텐션을 유지하는 장식체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장식부재; 상기 관통공에 양단이 수용되며, 중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관; 상기 수용공간 및 중공에 수용됨과 더불어 양단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장식부재와 연결관이 띠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신축성 실리콘 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단이 눌려져 걸림부가 형성되고, 중앙은 실리콘 줄을 파지도록 눌려져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 줄 또는 스프링은 양단에 걸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은 다수개의 장식부재 사이에 연결관이 구비되고, 이 연결관 내측에 신축성 실리콘 줄이 수용됨으로써, 사용자가 목 또는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하기 위해 늘릴 때 신축성 실리콘 줄이 보이지 않음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연결관은 실리콘 줄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구비되어 연결관 사이의 실리콘 줄 일부가 절단되어 끊어져도 텐션을 유지함으로써 장식체인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미관의 유지를 위해 종래의 경우 신축성 줄에 장식부재와 동일한 도색을 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장식부재와 연결관만 도색하면 됨으로써, 도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성 연결부재 양단에 걸고리가 더 구비됨으로써 신축성 연결부재의 연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이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 확대 도면이고,
도 6은 걸림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난 도면이고,
도 7은 신축성 실리콘 줄에 걸고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이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 확대 도면이고, 도 6은 걸림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난 도면이고, 도 7은 신축성 실리콘 줄에 걸고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장식부재(10); 연결관(20); 신축성 실리콘 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식부재(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관통공(12)이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식부재(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각형(미도시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연결관(20)은 양단이 상기 수용공간(11)에 위치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후술할 신축성 실리콘 줄(30)이 수용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관(20)은 양단이 장식부재(10)의 수용공간(11)에 위치함으로써 별도의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연결관(20)의 양단을 눌러 양단의 넓이가 상기 관통공(12)의 직경보다 크도록 걸림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2)에 의해 연결관(20)의 양단이 장식부재(10)의 수용공간(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0) 중앙 부분은 별도의 가압수단에 의해 눌려져 중공(21)에 관통 삽입되는 실리콘 줄(30)의 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23)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23)는 일정 간격을 두고 실리콘 줄(30)을 파지함으로써, 파지 부분 사이의 실리콘 줄(30)이 끊어져도 텐션을 유지하게 한다.
다시 말해, 파지부(23)에 의해 실리콘 줄(30)과 연결관(20)이 연결 고정되어 있고 연결관(20)은 걸림부(22)에 의해 장식부재(10)와 연결되어 있음으로 실리콘 줄(30)은 텐션을 유지하여 장식체인의 형태 및 기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걸림부(2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20) 양단이 장식부재(10)의 수용공간(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외에 실리콘 줄(30)을 파지 가능하도록 눌려져 제2의 파지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한 장식부재(10)와 연결관(20)은 도금이 용이하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색이 용이하도록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금 및 도색 작업이 용이하도록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신축성 실리콘 줄(30)은 상기 장식부재(10)의 수용공간(11) 및 연결관(20)의 중공(21)에 수용됨과 더불어 양단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장식부재(10)와 연결관(20)이 띠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신축성 실리콘 줄(30)은 신축성이 있는 스프링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신축성 실리콘 줄(30)은 양단을 서로 연결하여 띠 형태로 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에 걸고리(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인의 착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장식체인을 사용자의 팔 또는 목에 걸고자 할 때 장식체인을 늘린다.
그러면, 신축성 실리콘 줄(30)이 늘어나게 됨과 더불어 연결관(20) 양단에 위치한 장식부재(10)의 간격이 늘어나게 된다.
이때, 연결관(20) 양단에 형성된 걸림부(22)에 의해 장식부재(10)가 연결관(2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연결관(20)에 의해 신축성 실리콘 줄(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장식체인을 착용하거나 착용을 해제할 때 장식부재(10) 및 연결관(20)과 다른 실리콘 줄(30)의 고유 색상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장식체인의 착용이 완료되면 신축성 실리콘 줄(30)의 복원 작용에 의해 장식체인이 사용자의 팔 또는 목에 착용된다.
한편, 실리콘 줄(30)의 일부가 절단되어 끊어져도 절단 부분 양측을 파지부(23)가 파지함으로써, 절단된 실리콘 줄(30) 양측은 연결관(20)에 연결 고정되고 연결관(20)은 걸림부(22)에 의해 장식부재(10)와 연결됨으로 실리콘 줄(30)은 텐션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장식체인의 형태 및 기능이 유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장식부재
11 : 수용공간
12 : 관통공
20 : 연결관
21 : 중공
22 : 걸림부
23 : 파지부
30 : 실린콘 줄
31 : 걸고리

Claims (2)

  1.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장식부재;
    상기 장식부재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장식부재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중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관;
    상기 수용공간 및 중공에 수용됨과 더불어 양단에 구비된 걸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장식부재와 연결관이 띠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신축성 실리콘 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은 중앙이 실리콘 줄을 파지하도록 눌려져 파지부가 형성되고, 양단은 수용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단의 넓이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도록 눌려짐과 더불어 실리콘 줄을 파지 가능하도록 눌려져 제2의 파지부 기능을 수행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체인.
  2. 삭제
KR1020170019899A 2017-02-14 2017-02-14 장식체인 KR10189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99A KR101895152B1 (ko) 2017-02-14 2017-02-14 장식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99A KR101895152B1 (ko) 2017-02-14 2017-02-14 장식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97A KR20180093597A (ko) 2018-08-22
KR101895152B1 true KR101895152B1 (ko) 2018-09-04

Family

ID=6345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899A KR101895152B1 (ko) 2017-02-14 2017-02-14 장식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1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8317A (ja) * 2012-03-13 2013-09-26 Susumu Nakatani 飾り体、身飾り品および飾り体内設用柔軟性チューブ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3563A (en) * 1947-03-20 1951-05-22 Bugbee And Niles Company Bracelet
JP2605256Y2 (ja) * 1993-02-12 2000-07-04 日章株式会社 装身具
KR200383349Y1 (ko) 2005-02-04 2005-05-03 황창수 기능성 도기구슬 고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8317A (ja) * 2012-03-13 2013-09-26 Susumu Nakatani 飾り体、身飾り品および飾り体内設用柔軟性チューブ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97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4052B2 (en) Eyeglass frames with detachable ornaments
US7891117B2 (en) Sandal charm chain
US7591554B2 (en) Eyewear frame adornment attaching device
US20130305782A1 (en) Jewelry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675611B2 (en) Necklace mount
US9549631B1 (en) Self-contained bracelet attaching device and bracelet containing same
JPS5935005B2 (ja) 装飾的めがねホルダ−
US9289035B2 (en)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US7513129B1 (en) Jewelry structure
US20050109361A1 (en) Braided ponytail loops with unbraided decorated ends
KR101895152B1 (ko) 장식체인
US20180084329A1 (en) Accessory for attaching wireless earbuds and modified earbuds for use therewith
KR20180003543U (ko)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 장치
US20170095045A1 (en) Adjustable Necklace Extension with Interchangeable Adornments System and Method
US4035873A (en) Clip for rendering a bola tie usable as a pendant
US20070006613A1 (en) Coil beaded fashion accessory with attached key ring
US20170007061A1 (en) Hanger
KR200456635Y1 (ko) 체인스톤으로 장식된 선형 장신구
JP3240615U (ja) 装飾具
JP3119007U (ja) ブレスレット装着の際の補助具
JP3174296U (ja) 飾り留具付靴下
JP3060004U (ja) 髪飾り及びそれを用いた髪装飾具
JP2019209082A (ja) 着脱補助具付きヘアーバンド及びこれを用いた飾り付きシュシュ
KR100805769B1 (ko) 착탈형 목걸이
JP3094591U (ja) 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