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948B1 -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948B1
KR101549948B1 KR1020150048368A KR20150048368A KR101549948B1 KR 101549948 B1 KR101549948 B1 KR 101549948B1 KR 1020150048368 A KR1020150048368 A KR 1020150048368A KR 20150048368 A KR20150048368 A KR 20150048368A KR 101549948 B1 KR101549948 B1 KR 101549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unit
fastening part
support
sna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구
Original Assignee
(주)렉스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렉스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렉스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102015004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44C5/2061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combined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팔찌나 발찌, 목걸이 등 장신구 체결장치를 이루는 걸림부와 체결부의 결합 및 분리동작이 한손만으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신구(100)의 착탈을 위해 걸림부(10)와 체결부(20)가 쌍을 이루어 착탈작용 가능하도구성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0)의 일측에는 걸림고리(1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지지홈(12)이 형성되며, 중단에는 지지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에는 일측에 걸림고리(11)의 걸림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절구(21)가 일정 거리범위 내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10) 양측에는 조절구(21)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5)이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21)에는 안내홈(25)으로의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턱(21a)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20) 일측에는 조절구(21)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지지스프링(24)이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20) 중단에는 지지돌부(13)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3)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홈(12)과 대응되는 부위에 걸림봉(2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A CONCLUSION DEVICE FOR JEWELRY}
본 발명은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신구의 착용을 위한 체결 또는 분리가 한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각종 장신구를 몸에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각종 장신구는 대략 금, 은, 백금, 스테인레스, 텅스텐, 티타늄 등의 귀금속이 줄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상기 줄을 신체의 소정 부위에 링형상으로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체결부재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목걸이나 귀걸이 등에는 그 장식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펜던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장신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팔찌의 양측 끝단 이음부에는 상호간에 착탈이 가능한 걸림부재(100)와 결합부재(110)가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걸림부재(100)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반발하는 탄성걸림부(101)와 누름편(102)이 구성됨과 함께 일측에는 보조체결구(10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결합부재(110)에는 걸림부재(100)의 삽입시 탄성걸림부(101)의 후단이 걸려지는 걸림턱(114)과 누름편(102)이 삽입되어지는 삽입홈(112), 그리고 보조체결구(103)가 착탈되어지는 체결돌기(113)가 구성되어, 걸림부재(100)를 결합부재(110) 내로 삽입하면 탄성걸림부(101)가 걸림턱(114)에 의해 걸려져 이탈이 방지됨과 함께 보조체결구(103)를 체결돌기(113)에 압입시켜줌으로서 2중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어 팔찌를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할 수가 있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팔찌의 체결 또는 분리시 걸림부재(100)와 결합부재(110)를 각각 잡아주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양손을 함께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탄성걸림부(101)가 탄성력이 떨어져 걸림턱(114)에 걸리지 않는 탄성력 저하로 인한 수리요청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보조체결구(103)와 체결돌기(113)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장신구의 체결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한손만을 이용하여 장신구의 체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장신구의 착탈이 보다 손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탄성저하로 인한 결합력 저하의 문제가 개선되며, 보조체결구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미적 아름다움의 향상 뿐만 아니라 상풍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장신구의 일단부에는 걸림부가 구성되고, 장신구의 타단부에는 체결부가 구성되어 상호간에 착탈이 이루어지는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는 걸림고리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중단에는 지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일측에 걸림고리의 걸림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절구가 일정 거리범위 내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 양측에는 조절구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에는 안내홈으로의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턱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 일측에는 조절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지지스프링이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 중단에는 지지돌부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홈과 대응되는 부위에 걸림봉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장신구 체결장치를 이루는 걸림부와 체결부의 결합 및 분리동작이 한손만으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소비자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전한 걸림장치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보일 뿐만 아니라 제품 품질의 완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된다.
도 1은 종래 팔찌 장신구의 체결장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필찌의 체결장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팔찌 체결장치 분리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팔찌 체결장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체결장치 체결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체결장치 체결부 닫힘상태 내부 평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체결부 열림상태 내부 평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 체결장치의 열림상태 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이탈방지판의 요부 단면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 열림상태 측면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 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장치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장신구용 체결장치는 팔찌 장신구(100)의 일단부에 걸림부(10)가 구성되고, 팔찌 장신구(100)의 타단부에는 체결부(20)가 구성된 것으로서, 걸림부(10)의 일측에는 걸림고리(1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지지홈(12)이 형성되며, 중단에는 지지돌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20)에는 일측에 걸림고리(11)의 걸림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절구(21)가 일정 거리범위 내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10) 양측에는 조절구(21)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5)이 대칭형태로 형성되었다.
상기 조절구(21)에는 안내홈(25)으로 부터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턱(21a)이 일체로 구비되며, 이러한 조절구(21)는 지지스프링(24)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중단에는 상기 지지돌부(13)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3)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홈(12)과 대응되는 부위에 걸림봉(22)이 구성됨으로 걸림고리(11)의 걸림력이 해제되더라도 장신구(10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걸림고리(11)의 하단부에는 하강시 조절구(21)가 열림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일정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11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부(20) 일측에는 지지돌부(13)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6)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부 부품의 외부 노출을 방지함과 함께 조절구(21)가 안내홈(25)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과정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판(27)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탈방지판(27)에는 걸림고리(1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고리 안내홈(27a)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강되어지는 지지돌부(13)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부 안내홈(27b)이 각각 형성되었다.
또한, 체결부(20)에는 걸림봉(22)에 결합되는 지지홈(12)의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날개(28)가 양측에 반원형태로 돌출 구비됨으로, 조립과정에서 지지홈(12)이 걸림봉(22)에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체결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팔찌를 손목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팔찌 장신구(100)의 양단부에 구성된 본 발명의 체결장치를 연결시키게 되는데, 먼저 팔찌 일측의 체결부(20)를 손목부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림부(10)를 한손으로 잡고 체결부(20)에 체결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걸림부(10)의 후단에 구비된 지지홈(12)을 체결부(20)의 걸림봉(22)에 끼워준 후 걸림봉(22)을 축으로 하여 걸림부(10)를 눌러주게 되면 걸림고리(11)의 걸림홈(11a)이 체결부(20)에 구비된 조절구(21)에 걸려짐으로서 상호간에 체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걸림고리(11)의 하강과정에서 하단부에 형성된 곡면부(11b)가 조절구(21)를 일측으로 밀어주게 되며 하강이 완료되면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지지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구(21)가 걸림홈(11a)에 걸려짐으로서 걸림고리(11)의 상승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걸림부(10)가 체결부(2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지지돌부(13)는 가이드홈(26)에 안내되어지면서 체결부(20) 내로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탄성스프링(23)을 압착시킨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손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필찌(100)의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착용한 팔찌 장신구(100)를 손목에서 제거코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부(10)와 체결부(20)를 분리시키게 된다.
즉, 이때에는 사용자가 도 7에서와 같이 조절구(21)를 양측에서 잡고서 일측으로 당겨주게 되면, 조절구(21)가 안내홈(25)을 직선 이동되어짐으로서 걸림고리(11)에 대한 걸림상태가 해제되어지게 되고, 이때 탄성스프링(23)의 탄성 작용이 지지돌부(13)에 작용되어짐으로서 걸림부(10)는 도 8에서와 같이 걸림봉(22)을 축으로 상승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이러한 조절구(21)의 직선 이동과정에서는 가이드턱(21a)의 안내작용으로 인해 조절구(21)의 직선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구(21)의 이동으로 인해 1차적으로 걸림부(10)와 체결부(2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 걸림봉(22)으로 부터 지지홈(12)을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서 팔찌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손만으로도 팔찌 체결장치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탈방지판(27)의 저면에는 조절구(21)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함과 함께 이탈방지판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윤활성 재질의 테프론층(27c)이 코팅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조절구(21)의 직선이동 동작시 조절구(21) 저면과의 직접 접촉이 방지됨과 함께 윤활성 테프론층(27c)에 의한 미끄럼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서 조절구(21)의 직선이동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열림상태 측면구조 및 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걸림부(10)와 체결부(20)가 상기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분리되지 않고 일측에서 힌지핀(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는 장신구(10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지는 연결고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장신구(100)의 일단부가 연결고리(20') 부위에서 걸림부(10)와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부는 걸림부(10)와 체결부(20) 상호간의 개폐동작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되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체결부(20)가 항상 걸림부(10)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이룸으로서 사용 과정에서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장신구 체결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걸림고리는 봉형태 또는 판형태 또는 팽이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팔찌에 관련된 내용이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팔찌 외에도 발찌나 목걸이 등 다양한 장신구에 적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걸림부 11 : 걸림고리
11a: 걸림홈 11b: 곡면부
12 : 지지홈 13 : 지지돌부
20 : 체결부 21 : 조절구
21a: 가이드턱 22 : 걸림봉
23 : 탄성스프링 24 : 지지스프링
25 : 안내홈 26 : 가이드홈
27 : 이탈방지판 27a: 걸림고리 안내홈
27b: 지지돌부 안내홈 28 : 가이드날개
100 : 장신구

Claims (8)

  1. 장신구(100)의 착탈을 위해 걸림부(10)와 체결부(20)가 쌍을 이루어 착탈작용 가능하도구성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0)의 일측에는 걸림고리(1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지지홈(12)이 형성되며, 중단에는 지지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에는 일측에 걸림고리(11)의 걸림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절구(21)가 일정 거리범위 내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10) 양측에는 조절구(21)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5)이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21)에는 안내홈(25)으로 부터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턱(21a)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20) 일측에는 조절구(21)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지지스프링(24)이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20) 중단에는 지지돌부(13)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3)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홈(12)과 대응되는 부위에 걸림봉(2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2. 장신구(100)의 착탈을 위해 걸림부(10)와 체결부(20)가 쌍을 이루어 착탈작용 가능하도구성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0)와 체결부(20)는 일측에서 힌지핀(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10)에는 걸림고리(11)가 구성됨과 함께 중단에는 지지돌부(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0)에는 일측에 걸림고리(11)의 걸림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절구(21)가 일정 거리범위 내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10) 양측에는 조절구(21)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5)이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구(21)에는 안내홈(25)으로 부터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턱(21a)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20) 일측에는 조절구(21)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지지스프링(24)이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20) 중단에는 지지돌부(13)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3)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0) 일측에는 지지돌부(13)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11)의 하단부에는 하강시 조절구(21)가 열림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일정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1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0)에는 걸림봉(22)에 결합되는 지지홈(12)의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날개(28)가 양측에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요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0) 상부에는 조절구(2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판(27)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27)에는 조절구(21)측으로 하강되어지는 걸림고리(1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고리 안내홈(27a)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돌부(13)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부 안내홈(27b)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27)의 저면에는 조절구(21)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함과 함께 이탈방지판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윤활성 재질의 테프론층(27c)이 코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20150048368A 2015-04-06 2015-04-06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549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68A KR101549948B1 (ko) 2015-04-06 2015-04-06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68A KR101549948B1 (ko) 2015-04-06 2015-04-06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948B1 true KR101549948B1 (ko) 2015-09-03

Family

ID=5424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368A KR101549948B1 (ko) 2015-04-06 2015-04-06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9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45A (ko) *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탄성잠금 장식 기구
KR20220073044A (ko) *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KR102666294B1 (ko) * 2023-09-13 2024-05-16 주식회사 아느로인터내셔널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664B1 (ko) 2003-04-14 2006-01-1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유체 마찰력 감소장치 및 방법
KR200417916Y1 (ko) 2006-03-18 2006-06-02 이재흥 목걸이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664B1 (ko) 2003-04-14 2006-01-1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유체 마찰력 감소장치 및 방법
KR200417916Y1 (ko) 2006-03-18 2006-06-02 이재흥 목걸이 체결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45A (ko) *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탄성잠금 장식 기구
KR20220073044A (ko) *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KR102432035B1 (ko) * 2020-11-26 2022-08-16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KR102462978B1 (ko) * 2020-11-26 2022-11-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탄성잠금 장식 기구
KR102666294B1 (ko) * 2023-09-13 2024-05-16 주식회사 아느로인터내셔널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111B1 (ko)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US2585183A (en) Jewelry
US3225565A (en) Pearl slide shortener and pin adaptor
US7343760B2 (en) Body jewelry
KR101549948B1 (ko)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555489B1 (ko) 시계 체결 및 해제장치
KR101269867B1 (ko) 분실방지용 체결구를 갖는 팔찌
KR20180003543U (ko)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 장치
US11304484B2 (en) Closure mechanism for jewelry
US9775456B2 (en) Fashion accessory and method of operating a zipper
US2624092A (en) End clasp for bracelets or the like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JP7075736B2 (ja) 装身具
US2586787A (en) Earring construction
US20180303208A1 (en) Palm bracelet
US20050247079A1 (en) Jewelry ornament
US6202267B1 (en) Ornamental jewelry catch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US20080163467A1 (en) Snap fastener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101569110B1 (ko) 개폐형 장신구 체결장치
US8201417B1 (en) Jewelry mount with safety catch
CN215381912U (zh) 一种硅胶内环锁链扣的手链
KR200417928Y1 (ko) 목걸이식 액세서리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