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035B1 -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035B1
KR102432035B1 KR1020200160724A KR20200160724A KR102432035B1 KR 102432035 B1 KR102432035 B1 KR 102432035B1 KR 1020200160724 A KR1020200160724 A KR 1020200160724A KR 20200160724 A KR20200160724 A KR 20200160724A KR 102432035 B1 KR102432035 B1 KR 10243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decorative plate
hinge member
bas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044A (ko
Inventor
김원구
김진관
Original Assignee
(주)렉스다이아몬드
김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렉스다이아몬드, 김진관 filed Critical (주)렉스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102020016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0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19Hooks
    • A44C5/2023Sliding hooks
    • A44C5/2028Sliding hooks with spring closur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에 원터치 구조로 탑재되는 장식 기구에 있어서: 공간부(21)의 개구에 전방핀(23)과 후방핀(25)을 갖춘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개구에 대향하는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단의 걸이대(31)에 걸이봉(33)을 구비하는 장식판(30); 상기 장식판(30)의 저면에 걸이대(31)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전방핀(23)에 맞물림 가능한 요홈부(48)를 구비하는 힌지부재(40); 및 상기 장식판(30)의 저면에 힌지부재(40)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핀(25)과 맞물림 가능한 요홈부(58)을 구비하는 로크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여 미적 요구를 충족함에 착탈의 용이성을 기반으로 하면서 장식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공간적 여유를 증대하여 실용성과 패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One-touch connection device for accessory}
본 발명은 장신구의 장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여 미적 요구를 충족하도록 치장하기 위한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시계는 물론 팔찌, 목걸이 등과 같은 장신구는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걸거나 분리하기 편하도록 연결용 장식을 갖추고 있다. 연결용 장식은 사용의 편의성을 기반으로 하여 때로는 기능성을 접목하기도 하지만 심미감을 배제할 수 없다. 장식의 편의성은 혼자서 한 손으로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조적 단순성을 요체로 한다. 장식의 심미감은 장신구 자체는 물론 의상과 어울리는 패션 기능이 요구되기도 한다.
장신구의 장식과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1243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577599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숫연결구의 상측으로 덮개편을 절곡 형성하고, 판스프링의 선단 양쪽에는 요홈을 형성하여 판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게 하며, 판스프링의 단턱부 사이에는 끼움공을 형성하고, 저면으로 덮개편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판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된다. 이에, 견고하 체졀로 조립성을 향상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2는 걸림공간을 형성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하판재에 연결되는 당김대로 이루어지는 회동부; 몸체부와 회동부를 힌지결합하는 결합핀; 회동부를 가압하여 걸림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는 스프링; 걸림공간에 걸쳐지는 걸림부재; 등을 포함한다. 이에, 잠금의 해제가 용이하고 예상치 못한 해제로 인한 도난 방지를 기대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숫연결부를 수용하는 암연결구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선행문헌 2는 몸체부의 중앙에 당김대를 구비하므로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문양과 패턴을 부가할 공간적 한계성을 드러낸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1243호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공개일자 : 2002.01.1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577599호 "장신구의 잠금구조" (공개일자 : 2015.12.1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여 미적 요구를 충족함에 착탈의 용이성을 기반으로 하면서 장식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공간적 여유를 증대할 수 있는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신구에 원터치 구조로 탑재되는 장식 기구에 있어서: 공간부의 개구에 전방핀과 후방핀을 갖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개구에 대향하는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단의 걸이대에 걸이봉을 구비하는 장식판; 상기 장식판의 저면에 걸이대과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전방핀에 맞물림 가능한 요홈부를 구비하는 힌지부재; 및 상기 장식판의 저면에 힌지부재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핀과 맞물림 가능한 요홈부을 구비하는 로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걸이대는 전방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에 구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힌지부재는 전방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외단부와 내단부 사이에 구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로크부재는 후방핀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 또는 타측을 감싸는 '(' 형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로크부재는 후방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외단부와 내단부 사이에 구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배부는 전방핀이 힌지부재의 요홈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후방핀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후방핀은 베이스에 장착되는 조절나사에 타이로드를 개재하여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여 미적 요구를 충족함에 착탈의 용이성을 기반으로 하면서 장식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공간적 여유를 증대하여 실용성과 패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결합하여 나타내는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장신구에 원터치 구조로 탑재되는 장식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장신구는 협의적으로 팔찌, 목걸이 등을 의미하지만 광의적으로 시계, 휴대기기 등을 포함한다. 원터치 구조는 혼자서 한 손으로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20)가 공간부(21)의 개구에 전방핀(23)과 후방핀(25)을 갖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20)를 구성하는 공간부(21), 전방핀(23), 후방핀(25) 등이 나타난다. 베이스(20)는 상부와 일측의 개구를 통하여 공간부(21)와 연통하는 상자형 구조를 이룬다. 베이스(20)의 타측에는 착용줄(10)이 긴밀하게 결합된다. 전방핀(23)과 후방핀(25)은 베이스(20)의 상부 개구에 연하여 평행하게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의 걸이대(31)에 걸이봉(33)을 구비하는 장식판(30)이 상기 베이스(20)의 개구에 대향하는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식판(30)이 베이스(20)의 상부와 일측 개구에 대향하는 ㄱ자 단면 구조로 나타난다. 장식판(30)의 일측을 구성하는 걸이대(31)는 착용줄(10)과 연결하기 위한 걸이봉(33)을 구비한다. 장식판(30)에서 상부로 노출되는 장식면(35)에는 어떠한 기능부를 부가하지 않아 장식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공간적 여유를 증대한다. 도 1의 평면에서 볼 때 도 2처럼 장식판(30)과 걸이대(31)의 폭은 차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장식판(30)이 베이스(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손잡이(37)로 사용한다. 손잡이(37)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고 장식판(30)을 들어올려 해제하기 편리할 정도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걸이대(31)는 전방핀(23)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에 구배부(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걸이대(31)의 하단에 구배부(32)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방핀(23)의 이동 경로는 장식판(30)을 베이스(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전방핀(23)이 후술하는 힌지부재(40)의 요홈부(48)에 이르는 통로이다. 걸이대(31)으 구배부(32)는 전방핀(23)의 이동 경로의 초입에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식판(30)의 저면에 걸이대(31)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힌지부재(40)가 전방핀(23)에 맞물림 가능한 요홈부(48)를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힌지부재(40)가 장식판(3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힌지부재(40)는 대략 C자 내지 L자 형태로 형성되어 걸이대(3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힌지부재(40)와 걸이대(31)의 대향하는 영역이 전방핀(23)의 이동 경로가 된다. 이동 경로의 상단에는 대략 반원형의 요홈부(48)가 형성되어 전방핀(23)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다. 힌지부재(40)는 장식판(30)보다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소재로 차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힌지부재(40)는 전방핀(23)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외단부(44)와 내단부(46) 사이에 구배부(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걸이대(31)의 구배부(32)와 대향하는 위치에 힌지부재(40)의 구배부(42)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구배부(42)는 하단의 외단부(44)와 상단의 내단부(46)를 경사지게 연결한다. 구배부(42)의 각도는 장식면(35)을 기준으로 45˚ 보다 다소 크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어느 경우에나 양측의 구배부(32)(42)는 전방핀(23)의 이동 경로의 초입을 확장하므로 전방핀(23)의 진입이 용이하다. 즉, 사용자가 장식판(30)을 베이스(20)의 전방핀(23)에 대충 끼워도 요홈부(48) 측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도되어 맞물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식판(30)의 저면에 힌지부재(40)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로크부재(50)가 후방핀(25)과 맞물림 가능한 요홈부(58)을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로크부재(50)가 장식판(3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로크부재(50)는 대략 C자 형태로 형성되어 힌지부재(40)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로크부재(50)의 오목하게 형성되는 영역이 후방핀(25)의 이동 경로가 된다. 이동 경로의 상단에는 대략 반원형의 요홈부(58)가 형성되어 후방핀(25)과 긴밀하게 맞물린다. 로크부재(50)는 장식판(30)보다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소재로 차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로크부재(50)는 후방핀(25)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 또는 타측을 감싸는 '(' 형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로크부재(50)는 힌지부재(40)와 반대 방향으로 굽어지는 )'형태로 예시하지만 힌지부재(40)와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 형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힌지부재(40)와 로크부재(50)의 연계에 의하여 전방핀(23) 및 후방핀(25)에 착탈 가능하다. 로크부재(50)는 힌지부재(40)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로크부재(50)는 후방핀(2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외단부(54)와 내단부(46) 사이에 구배부(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걸이대(31)의 구배부(32) 및 힌지부재(40)의 구배부(42)에서 이격된 위치에 로크부재(50)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구배부(52)는 하단의 외단부(54)와 상단의 내단부(56)를 경사지게 연결한다. 구배부(42)의 각도는 장식면(35)을 기준으로 45˚보다 다소 크게, 바람직하게는 55˚~ 60˚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장식판(30)을 베이스(20)의 후방핀(25)에 끼워는 과정에서 로크부재(50)의 탄성변형이 유발되어 후방핀(25)이 요홈부(58) 측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도되어 맞물린다.
이때, 상기 구배부(52)는 전방핀(23)이 힌지부재(40)의 요홈부(48)에 맞물린 상태에서 후방핀(25)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식판(30)이 베이스(20)에 맞물려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와 결합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처럼 힌지부재(40)의 요홈부(48)에 후방핀(25)을 먼저 끼운 상태에서 후방핀(25)은 로크부재(50)의 구배부(52)에 접촉한다. 도 4(b)처럼 장식판(30)을 누르면 후방핀(25)이 로크부재(50)의 탄성변형을 유발하면서 요홈부(58)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장식판(30)는 베이스(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후 원하는 시기에 장식판(30)의 손잡이(37)를 위로 들어올리면 도 4(b)에서 도 4(a)의 상태로 되지만 힌지부재(40)의 이동 경로 구조상 임의로 완전하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20)에 맞물리는 장식판(30)은 걸이대(31), 힌지부재(40), 로크부재(50)를 저면에 구비하고 상면에 아무런 장애물이 없으므로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공간적 여유를 증대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후방핀(25)은 베이스(20)에 장착되는 조절나사(60)에 타이로드(65)를 개재하여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20)의 후방핀(25)에 조절나사(60)와 타이로드(65)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후방핀(25)은 베이스(20)에 형성되는 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한다. 조절나사(60)는 베이스(20)의 측면에 나선으로 맞물린다. 타이로드(65)는 후방핀(25)의 중앙에 직교하도록 결합된다. 조절나사(60)와 타이로드(65)는 나선으로 맞물린다. 본 발명의 장식을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에 후방핀(25)이나 구배부(52) 등에서 마모가 진행되면 결합력이 저하된다. 이때 조절나사(60)를 회전시켜 후방핀(25)의 위치변동을 유발하여 로크부재(50)의 탄성변형 물성을 초기 상태로 유지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착용줄 20: 베이스
21: 공간부 23: 전방핀
25: 후방핀 30: 장식판
31: 걸이대 32: 구배부
33: 걸이봉 35: 장식면
37: 손잡이 40: 힌지부재
42: 구배부 44: 외단부
46: 내단부 48: 요홈부
50: 로크부재 52: 구배부
54: 외단부 56: 내단부
58: 요홈부 60: 조절나사
65: 타이로드

Claims (7)

  1. 장신구에 원터치 구조로 탑재되는 장식 기구에 있어서:
    공간부(21)의 개구에 전방핀(23)과 후방핀(25)을 갖춘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개구에 대향하는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단의 걸이대(31)에 걸이봉(33)을 구비하는 장식판(30);
    상기 장식판(30)의 저면에 걸이대(31)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전방핀(23)에 맞물림 가능한 요홈부(48)를 구비하는 힌지부재(40); 및
    상기 장식판(30)의 저면에 힌지부재(40)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핀(25)과 맞물림 가능한 요홈부(58)을 구비하는 로크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대(31)는 전방핀(23)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에 구배부(32)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재(40)는 전방핀(23)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외단부(44)와 내단부(46) 사이에 구배부(42)를 구비하며,
    상기 로크부재(50)는 후방핀(25)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 또는 타측을 감싸는 '(' 형태 형성되고,
    상기 로크부재(50)는 후방핀(2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외단부(54)와 내단부(46) 사이에 구배부(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배부(52)는 전방핀(23)이 힌지부재(40)의 요홈부(48)에 맞물린 상태에서 후방핀(25)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핀(25)은 베이스(20)에 장착되는 조절나사(60)에 타이로드(65)를 개재하여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KR1020200160724A 2020-11-26 2020-11-26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KR10243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724A KR102432035B1 (ko) 2020-11-26 2020-11-26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724A KR102432035B1 (ko) 2020-11-26 2020-11-26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044A KR20220073044A (ko) 2022-06-03
KR102432035B1 true KR102432035B1 (ko) 2022-08-16

Family

ID=8198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724A KR102432035B1 (ko) 2020-11-26 2020-11-26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0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40191A (ja) * 2007-10-04 2010-12-24 ヘッドリー,テレサ 磁石を使用した改良型連結デバイス
KR101549948B1 (ko) * 2015-04-06 2015-09-03 (주)렉스다이아몬드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243B1 (ko) 1993-10-07 2000-07-01 윤종용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7599B1 (ko) 2014-09-02 2015-12-15 장형환 장신구의 잠금구조
KR102077916B1 (ko) * 2018-05-25 2020-02-14 (주)렉스다이아몬드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40191A (ja) * 2007-10-04 2010-12-24 ヘッドリー,テレサ 磁石を使用した改良型連結デバイス
KR101549948B1 (ko) * 2015-04-06 2015-09-03 (주)렉스다이아몬드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044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024B2 (en) Earring
KR101274672B1 (ko) 버클
KR101426023B1 (ko)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
US5133195A (en) Ornamental jewelry system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20100112867A (ko) 원터치 로킹장치
JP2690581B2 (ja) キーリング
JP4331600B2 (ja) 留金を備えたブレスレット
KR102432035B1 (ko)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CN106174925A (zh) 易于连结的饰品用结合装置
KR102369154B1 (ko) 귀찌형 귀걸이
KR101556116B1 (ko) 장신구의 체결구조
KR100943245B1 (ko) 귀걸이 고정구
CH629376A5 (it) Fermaglio per un articolo di gioielleria comprendente un elemento ad anello ed uno a gancio.
JP2008167789A (ja) 装身具
US8833103B2 (en) Hoop earring locker
US4198732A (en) Adjustable clasp construction for bracelets and the like
KR102462978B1 (ko) 장신구의 탄성잠금 장식 기구
KR200492761Y1 (ko) 장신구 체결장치
KR200431089Y1 (ko) 귀걸이용 펜던트 연결고리 결합구조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US2567398A (en) End connection for wrist watch straps and bracelets
JP2541549Y2 (ja) ネックレス、腕輪、その他の装身具及び服飾品用留め金
KR101511329B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KR102617781B1 (ko)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