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154B1 - 귀찌형 귀걸이 - Google Patents

귀찌형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154B1
KR102369154B1 KR1020210066336A KR20210066336A KR102369154B1 KR 102369154 B1 KR102369154 B1 KR 102369154B1 KR 1020210066336 A KR1020210066336 A KR 1020210066336A KR 20210066336 A KR20210066336 A KR 20210066336A KR 102369154 B1 KR102369154 B1 KR 102369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member
earring
opening
present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용
Original Assignee
김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용 filed Critical 김삼용
Priority to KR102021006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54B1/ko
Priority to US18/265,841 priority patent/US20240032657A1/en
Priority to CN202280007957.1A priority patent/CN116648161A/zh
Priority to PCT/KR2022/006686 priority patent/WO20222503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4Ear-cli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4Ear-clips
    • A44C7/007Ear-clips with an ear gripping member mounted, e.g. pivotably, at the upper end of a back arm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찌형 귀걸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 1원형부재 및 제 2원형부재로 구성되는 귀찌형 귀걸이에 있어서, 개구부 격벽 측면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홀핀이 양측으로 마련되어 결합부의 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원형부재 및 제 2원형부재의 내부 공간부에는 스프링이 안착되며, 제 1원형부재 상부 일측에는 돌기 손잡이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 1원형부재의 개구부 끝단에서 연장형성 되는 곳에는 방지턱이 더 마련되고 상기 홀핀을 힌지점으로 하여 제 2원형부재의 방지턱 대응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 분리되어 있는 귀걸이를 핀으로 결합하던 종래의 방식을 일체형으로 구조변경함으로써 생산원가 절감과 더불어 제조공정의 단축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귀찌형 귀걸이{Earring Earrings}
본 발명은 귓불을 뚫지 않고도 착탈이 간편하도록 개선된 귀찌형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찌형 귀걸이를 귀에 착용 시 손잡이부가 더 마련되어 한 손으로 개폐 가능하여 착용감을 증대시키며, 제 1원형부재와 2 원형부재로 각각 분리되어 있는 귀걸이를 핀으로 결합하던 종래의 방식을 일체형으로 구조변경함으로써 생산원가 절감과 더불어 제조공정의 단축을 향상시키는 귀찌형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귀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장식물을 귀를 뚫어 귓불에 고정하는 장신구로서, 크게 귓불을 뚫어서 착용하는 피어싱형 귀걸이(piercing type earring)와, 귓불을 뚫지 않고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 착용하는 귀찌형 귀걸이(non-piercing type earring)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귀찌형 귀걸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로, 종래의 귀찌형 귀걸이(100)는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원통형의 귀걸이 몸체(110)와, 상기 귀걸이몸체(110)의 내측에 형성된 통공(111)과, 상기 통공(111)내에 삽입된 스프링(112)과, 상기 스프링(112) 끝에 탄지되어 귀걸이몸체(110)의 타단에 접촉되는 반원형 핀(113)으로 구성되어, 통공(111) 내측에서 스프링(112)의 탄성으로 탄발되는 반원형 핀(113)의 탄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귓불에 고정 지지되면서 귀걸이(100)를 착용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귀찌형 귀걸이(100)는 귀걸이 몸체(110)의 내부에 스프링(112)이 삽입되고 스프링(112)의 탄성으로 탄발되는 반원형 핀(113)이 작동되는 공간인 통공(111)이 형성되어야만 하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장식 기능을 갖는 귀걸이몸체(110)를 금속제로 제작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원통형이고 직선인 귀걸이몸체(110)에 직선상의 반원형 핀(113)을 삽입한 후 링형상으로 프레싱하여 귀찌형 귀걸이(100)를 완성하였으나, 이런 종래 금속재질의 귀찌형 귀걸이(100)는 원통형으로 귀걸이몸체(110)가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 및 모양의 제품개발이 불가능하고, 수분에 의해 쉽게 녹이 슬어 인체에도 유해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거워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도 귀걸이몸체(110)를 합성수지 제품으로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하려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반원형 핀(113)이 삽입되어 작동되는 반원형의 통공(111)을 귀걸이몸체(110)에 형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해 번번히 실패하여 왔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귀찌형 귀걸이를 귀에 착용 시 손잡이부가 더 마련되어 한 손으로 개폐 가능하여 착용감을 증대시키며, 제 1원형부재와 2 원형부재로 각각 분리되어 있는 귀걸이를 핀으로 결합하던 종래의 방식을 일체형으로 구조변경함으로써 생산원가 절감과 더불어 제조공정의 단축을 향상시키는 귀찌형 귀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귀찌형 귀걸이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상으로서 원호 선단부 일측에는 격벽이 마련되는 개구부가, 상기 선단부 타측에는 경사각이 형성되며 내부공간부를 가지는 제 1원형부재, 상기 제 1원형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상으로서 상기 개구부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워맞춤되고, 일측에 측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곳에는 손잡이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타측에 경사각이 형성되며 내부공간부를 가지는 제 2원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원형부재 및 제 2원형부재 선단부 타측에는 돌기가 마련되는 귀찌형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격벽 측면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홀핀이 양측으로 마련되어 결합부의 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원형부재 및 제 2원형부재의 내부 공간부에는 스프링이 안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제 1원형부재 상부 일측에는 돌기 손잡이부가 더 마련되어 사용자가 귀걸이를 한 손으로 개폐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빨래집게처럼 한 손으로 개폐가 가능함으로써 귓불을 뚫지 않고서도 착용감이 간편하며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손잡이부가 더 마련되어 한 손으로 개폐 가능하여 착용감을 증대시킨다.
또한, 제 1원형부재와 2 원형부재로 각각 분리되어 있는 귀걸이를 핀으로 결합하던 종래의 방식을 일체형으로 구조변경함으로써 생산원가 절감과 더불어 제조공정의 단축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찌형 귀걸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원형부재와 제 2원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찌형 귀걸이의 사용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지턱이 포함된 제 1원형부재와 제 2원형부재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용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지턱이 포함된 제 1원형부재와 제 2원형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형상을 나타내는 사용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지턱이 포함된 제 1원형부재와 제 2원형부재가 결합된 형상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용실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실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찌형 귀걸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원형부재와 제 2원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찌형 귀걸이의 사용실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지턱이 포함된 제 1원형부재와 제 2원형부재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용실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지턱이 포함된 제 1원형부재와 제 2원형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형상을 나타내는 사용실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지턱이 포함된 제 1원형부재와 제 2원형부재가 결합된 형상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용실시도이다.
도 2 내지 7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찌형 귀걸이는 제 1원형부재(10), 제 2원형부재(20) 및 스프링(30)으로 대별된다.
상기 제 1원형부재(10)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을 지니는 것으로 원호 선단부 일측에는 격벽(14)을 포함하는 개구부(11)가 마련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개구부(11)는, 후술하는 결합부(21)가 끼워맞춤되는 부재이다.
제 1원형부재(10) 선단부 타측에는 소정의 경사각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원호 선단부 타측에는 내부공간부(13)가 마련되는데, 상기 내부공간부(13)는 비틀림 또는 일반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내부공간이 되며, 이는 귀걸이의 무게를 줄이는 역할과 더불어 귀걸이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원재료를 덜 쓰게 되어 재료절감의 효과도 같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원형부재(10) 상부 일측에는 돌출된 손잡이부(15)가 더 마련되어 사용자가 귀걸이를 한 손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손잡이부(15)는 한 손으로 개폐할 정도의 크기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손잡이부(15)에 한정하지 않고 변형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개구부(11) 격벽 측면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홀핀(12)을 양측으로 마련한다.
한편, 상기 제 1원형부재(10)의 개구부(11) 끝단에서 연장형성 되는 곳에는 방지턱(17)을 형성하였는데, 이는 귀찌를 착용하면 귓불을 심하게 압박하여 상처가 생기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한정 귓볼을 압박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 2원형부재(20)의 방지턱 대응부(27)에 걸림되는 것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 상기 제 1원형부재 선단부 타측에 경사각이 형성되며 내부공간부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선단부 타측에 경사각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도 가능하며 내부공간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 2원형부재(20)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상으로 제 1원형부재(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원호 선단부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11)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부(21)가 마련되는데, 상기 결합부(21)에는 개구부(11)와 서로 대응되게 격벽(24)을 형성한다.
상기 제 2원형부재(20) 선단부 타측에는 소정의 경사각이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을 제외한 곳에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내부공간부(23)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2원형부재(20)의 결합부(21)에서 연장형성되는 곳에 손잡이부(25)가 형성되는데, 상기 손잡이부(25)를 사용자의 엄지로 조절가능한 크기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결합부(21)에서 연장형성되는 곳에 일정크기를 가지는 것이 무방할 것이다.
상기 제 1원형부재(10) 및 제 2원형부재(20)에서 설명하는 개구부(11), 결합부(21), 경사각 등은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하는 그대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귀에 착용할 때 좀 더 편안하고 끼움맞춤이 잘되는 형상이라면 약간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개구부(11) 내부로 결합부(21)가 결합 시 내부공간부(13,23)에 스프링(30)이 안착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며, 상기 스프링(30)은 판스프링, 비틀림 스프링 등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11)와 결합부(21)가 연동될 수 있으면 어떠한 스프링도 무방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한편 제 2원형부재(20)의 결합부(21) 일측에는 방지턱 대응부(27)가 마련되는데, 이는 힌지점을 홀핀(12)으로 하고 제 1원형부재(10)의 방지턱(17)이 회전되어 방지턱 대응부(27)에 걸리게 되면 무리하게 귓불을 압박하지 않아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귀찌형 귀걸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찌형 귀걸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원형부재(10), 제 2원형부재(20) 및 스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원호형상을 지니며 격벽(14)이 마련되는 개구부(11)를 포함하는 제 1원형부재(10)와, 상기 제 1원형부재(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개구부(11)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부(21)를 포함하는 제 2원형부재(20) 및 내부공간부(13,23)에 마련되는 스프링(30)으로 구성된다.
개구부(11)에 결합부(21)가 끼움맞춤되어 결합될 때 제 1원형부재(10)에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홀핀(12)이 제 2원형부재의 홀(22)에 체결결합되어 상기 제 1원형부재(10)와 제 2원형부재(20)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원형부재 및 제 2원형부재의 내부 공간부에는 스프링이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을 먼저 제 2원형부재에 끼워넣고 제 1원형부재를 오므려서 조립된다.
그리고 제 1원형부재(10) 상부 일측에 손잡이부(15)를 더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 귀걸이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4 (a), (b)에서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부(25)를 스프링(30)의 탄성을 이용하여 위아래로 움직여 빨래집게처럼 개폐가 가능함으로써 귓불을 뚫지 않고서도 원하는 위치에 착용성이 간편하며 착탈이 쉬운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 1원형부재(10) 및 제 2원형부재(20) 선단부 타측에는 돌기(16,26)가 마련될 수 있는데, 제 1원형부재(10) 및 제 2원형부재(20) 선단부 타측 즉, 귀에 맞닿는 부분에 1 내지 2mm크기의 돌기(16,26)를 형성하여 본 발명 귀걸이 탈부착 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자연스럽게 귓불을 지압하여 혈액순환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돌기(16,26)는 금속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보석 또는 게르마늄으로 형성한다면 몸의 면역개선, 산소공급, 알레르기 등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한편, 제 1원형부재(10)의 개구부(11) 끝단에서 연장형성 되는 곳에는 방지턱(17)이 형성되고 제 2원형부재(20)의 결합부(21) 일측에는 방지턱 대응부(27)가 마련되는데, 이는 힌지점을 홀핀(12)으로 하고 제 1원형부재(10)의 방지턱(17)이 회전하여 상기 방지턱 대응부(27)에 걸리게 되어 귓불을 무리하게 압박하지 않아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 1원형부재 11 개구부
12 홀핀(HolePin) 13 내부공간부
14 격벽 15 손잡이부
16 돌기 17 방지턱
20 제 2원형부재 21 결합부
22 홀(Hole) 23 내부공간부
24 격벽 25 손잡이부
26 돌기 27 방지턱 대응부
30 스프링

Claims (3)

  1.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상으로서 원호 선단부 일측에는 격벽이 마련되는 개구부가, 상기 선단부 타측에는 경사각이 형성되며 내부공간부를 가지는 제 1원형부재,
    상기 제 1원형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상으로서 상기 개구부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워맞춤되고, 일측에 측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곳에는 손잡이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타측에 경사각이 형성되며 내부공간부를 가지는 제 2원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원형부재 및 제 2원형부재 선단부 타측에는 돌기가 마련되고,
    제 2원형부재의 결합부 일측에는 방지턱 대응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1원형부재 및 제 2원형부재의 내부 공간부에는 스프링이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을 제 2원형부재에 먼저 끼워 넣은 후 제 1원형부재를 오므려서 조립하는 귀찌형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격벽 측면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홀핀이 양측으로 마련되어 결합부의 홀에 결합되며,
    제 1원형부재 상부 일측에는 돌기 손잡이부가 더 마련되어 사용자가 귀걸이를 한 손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 1원형부재의 개구부 끝단에서 연장형성 되는 곳에는 방지턱이 더 마련되는데, 상기 홀핀을 힌지점으로 회전하여 제 2원형부재의 방지턱 대응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찌형 귀걸이.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6336A 2021-05-24 2021-05-24 귀찌형 귀걸이 KR102369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336A KR102369154B1 (ko) 2021-05-24 2021-05-24 귀찌형 귀걸이
US18/265,841 US20240032657A1 (en) 2021-05-24 2022-05-10 Non-piercing-type earring
CN202280007957.1A CN116648161A (zh) 2021-05-24 2022-05-10 非穿孔式耳环
PCT/KR2022/006686 WO2022250336A1 (ko) 2021-05-24 2022-05-10 귀찌형 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336A KR102369154B1 (ko) 2021-05-24 2021-05-24 귀찌형 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154B1 true KR102369154B1 (ko) 2022-02-28

Family

ID=8049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336A KR102369154B1 (ko) 2021-05-24 2021-05-24 귀찌형 귀걸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32657A1 (ko)
KR (1) KR102369154B1 (ko)
CN (1) CN116648161A (ko)
WO (1) WO20222503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336A1 (ko) * 2021-05-24 2022-12-01 김삼용 귀찌형 귀걸이
KR102619424B1 (ko) 2023-04-19 2023-12-29 (주)준쥬얼리 이어커프 및 이어커프 조립 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10U (ja) * 1993-08-27 1995-03-20 株式会社ジェム・マニュファクチャラー 耳飾り
KR200373562Y1 (ko) * 2004-10-28 2005-01-15 김상진 귀걸이
KR102249344B1 (ko) * 2020-07-17 2021-05-06 김삼용 귀찌형 귀걸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519A (ja) * 1999-08-24 2001-03-13 Yamakatsu:Kk 耳飾り
KR102369154B1 (ko) * 2021-05-24 2022-02-28 김삼용 귀찌형 귀걸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10U (ja) * 1993-08-27 1995-03-20 株式会社ジェム・マニュファクチャラー 耳飾り
KR200373562Y1 (ko) * 2004-10-28 2005-01-15 김상진 귀걸이
KR102249344B1 (ko) * 2020-07-17 2021-05-06 김삼용 귀찌형 귀걸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336A1 (ko) * 2021-05-24 2022-12-01 김삼용 귀찌형 귀걸이
KR102619424B1 (ko) 2023-04-19 2023-12-29 (주)준쥬얼리 이어커프 및 이어커프 조립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48161A (zh) 2023-08-25
WO2022250336A1 (ko) 2022-12-01
US20240032657A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154B1 (ko) 귀찌형 귀걸이
US7878024B2 (en) Earring
KR102249344B1 (ko) 귀찌형 귀걸이
KR200431088Y1 (ko) 귀걸이
KR102014687B1 (ko) 내경 가변형 반지
KR200431089Y1 (ko) 귀걸이용 펜던트 연결고리 결합구조
US3116616A (en) Quick-detachable mounting for jewelry drop ornament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CN210445921U (zh) 一种交错扣合手镯
KR200373539Y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CN215303509U (zh) 一种铂金项链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320524Y1 (ko) 귀고리
KR10260454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CN214179417U (zh) 手环
KR102611437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체결 장신구
CN212814821U (zh) 一种卡扣结构
KR102432035B1 (ko)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CN215776002U (zh) 一种戒指配件和一种组合戒指
KR200205271Y1 (ko) 악세사리 체결구
KR102040699B1 (ko) 정위치 고정이 가능한 장신구용 힌지구조
ITRM980035A1 (it) Accessorio per orecchie in particolare orecchino
CN208339069U (zh) 一种晃动的珠宝配件
KR200459763Y1 (ko) 귀걸이 체결구조
KR200301326Y1 (ko) 피어싱 악세사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