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543B1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43B1
KR102604543B1 KR1020210173449A KR20210173449A KR102604543B1 KR 102604543 B1 KR102604543 B1 KR 102604543B1 KR 1020210173449 A KR1020210173449 A KR 1020210173449A KR 20210173449 A KR20210173449 A KR 20210173449A KR 102604543 B1 KR102604543 B1 KR 102604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temple
distal end
temples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5362A (ko
Inventor
이화춘
Original Assignee
이화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춘 filed Critical 이화춘
Priority to KR102021017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5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결합되는 안경다리가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게 후방으로 젖혀질때, 탄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젖혀지도록 하고, 또한 안경테에 안경다리가 쉽게 분해 조립되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 끝 힌지부에 탄성변형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탄성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이러한 탄성부재가 안경테 선단부에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연결하여,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할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해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방으로 굴절되는 안경테(1) 양측의 엔드피스(2)에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선단부가 연결되도록 되는 것으로, 완만하게 굽은 만곡부(a)가 선단부에 형성되고, 중간 내측면에 걸림편(11)이 내측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며, 후단부 내부에 고정홈(b)이 형성되는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10)와; 탄성부재(10)가 관통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내부에 통로(c)가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의 선단부에 소정 폭과 길이로 개방된 작동부(d)가 형성되고, 내측면 중간에 걸림편(11)이 돌출 가능하도록 된 걸림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선단부(20)와; 탄성부재(10)의 말단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선단부 내부에 삽입홈(f)이 형성되고, 삽입홈(f)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소정 길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철심(31)이 내장되어, 철심(31)의 돌출부위가 탄성부재(10) 후단부의 고정홈(b)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다리 후단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Elastic structure of spectacle frame and temple}
본 발명은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결합되는 안경다리가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게 후방으로 젖혀질때, 탄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젖혀지도록 하고, 또한 안경테에 안경다리가 쉽게 분해 조립되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다리는 안경테의 엔드피스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경다리를 접을 수 있도록 되며, 힌지 부분에는 안경다리가 소정 폭 벌어질 수 있도록 탄성부가 설치되어, 안경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안경다리는 비교적 작은 직경 또는 두께를 가진 안경다리에 스프링 및 힌지부분이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조립 작업이 매우 어렵고, 스프링 및 힌지부분이 쉽게 파손되어 안경테를 오래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019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경테 끝 힌지부에 탄성변형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탄성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이러한 탄성부재가 안경테 선단부에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연결하여,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할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해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방으로 굴절되는 안경테 양측의 엔드피스에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선단부가 연결되도록 되는 것으로, 완만하게 굽은 만곡부가 선단부에 형성되고, 중간 내측면에 걸림편이 내측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며, 후단부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와; 탄성부재가 관통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의 선단부에 소정 폭과 길이로 개방된 작동부가 형성되고, 내측면 중간에 걸림편이 돌출 가능하도록 된 걸림구멍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선단부와; 탄성부재의 말단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선단부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소정 길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철심이 내장되어, 철심의 돌출부위가 탄성부재 후단부의 고정홈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다리 후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 중간의 만곡부와 만곡부 내측 끝부분에 반대쪽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는 걸림편이 용이하면서도 안정되게 탄성변형을 유도하여,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할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해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므로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가 외측으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굴절되는 안경테(1) 양측의 엔드피스(2)에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선단부가 연결되도록 되는 것으로, 완만하게 굽은 만곡부(a)가 선단부에 형성되고, 중간 내측면에 걸림편(11)이 내측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며, 후단부 내부에 고정홈(b)이 형성되는 일정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10)와; 탄성부재(10)가 관통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내부에 통로(c)가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의 선단부에 소정 폭과 길이로 개방된 작동부(d)가 형성되고, 내측면 중간에 걸림편(11)이 돌출 가능하도록 된 걸림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선단부(20)와; 탄성부재(10)의 말단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선단부 내부에 삽입홈(f)이 형성되고, 삽입홈(f)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소정 길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철심(31)이 내장되어, 철심(31)의 돌출부위가 탄성부재(10) 후단부의 고정홈(b)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다리 후단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안경테(1)의 힌지부는 후방으로 굴절된 엔드피스(2)의 내측면과 후면 일부가 개방되어 회전작동공간(g)이 형성되고, 회전작동공간(g)의 내면에 스토퍼(h)가 형성되며, 힌지핀 역할을 하는 너트(12)와 볼트(13)가 엔드피스(2)의 회전작동공간(g)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되어, 힌지핀 역할을 하는 너트(12) 외주면에 탄성부재(10)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된다.
너트(12)는 원통형 축으로 형성되고, 원통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볼트(13)가 나사체결된다.
탄성부재(10)는 쉽게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후단부 둘레에 걸림턱(1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안경다리 선단부(20)의 말단과 안경다리 후단부(30)의 선단이 걸림턱(14)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탄성부재(10)의 만곡부(a)는 선단부에 소정 구간 형성되며, 만곡부(a) 끝부분 쯤의 내측면에 탄성부재(10)의 일부가 분할되어 만곡부(a)와 같은 곡선을 따라 외측으로 완만하게 벌어져 형성되는 걸림편(11)이 구비되고, 벌어진 걸림편(11) 부위가 탄성을 갖고 외측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먼저 탄성부재(10)의 선단부가 안경다리 선단부(20)의 통로(c)를 통해 삽입되고, 삽입된 탄성부재(10)가 중간쯤 삽입되면 탄력적으로 돌출된 탄성부재(10)의 걸림편(11)이 눌러진 상태에서 계속 삽입되며, 안경다리 선단부(20)의 말단이 탄성부재(10) 후단부의 걸림턱(14)에 밀착될때 쯤 탄성부재(10)의 걸림편(11)이 안경다리 선단부(20)의 걸림구멍(e)으로 돌출되게 되고, 탄성부재(10) 선단이 안경다리 선단부(20)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10)가 안경다리 선단부(20)에 삽입되면 안경다리 선단부(20)의 전방으로 돌출된 탄성부재(10)의 선단부를 엔드피스(2) 힌지부의 회전작동공간(g)에 넣은 후, 힌지핀 역할을 하는 너트(12)를 탄성부재(10) 선단에 형성되는 구멍에 끼우고 볼트(13)를 너트(12)에 체결한다.
탄성부재(10)의 선단부를 엔드피스(2)에 결합시킨 후 안경다리 후단부(30)의 선단 전방으로 돌출된 철심(31)을 탄성부재(10)의 말단 고정홈(b)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동시에 탄성부재(10)의 말단부를 안경다리 후단부(30) 선단의 삽입홈(f)에 삽입시켜 안경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10) 중간의 만곡부(a)로 인해 안경다리 후단부가 내측으로 굽은 상태로 있게 된다.
안경을 착용하면 얼굴에 맞게 안경다리가 외측으로 약간 젖혀지게 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먼저 탄성부재(10) 선단이 회전작동공간(g)의 스토퍼(f)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어 만곡부(a)가 펼쳐지게 된다.
이때, 비교적 얇게 형성된 만곡부(a)의 하단부 즉, 걸림편(11) 부위가 먼저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걸림편(11)이 만곡부(a)로부터 더 벌어져 걸림구멍(e)으로 돌출되게 되며, 만곡부(a) 상단부는 점차 안경다리 선단부(20)의 내면에 맞닿게 되어 탄성부재(10)가 부러지지 않고 안정되게 휘어진다.
한편, 안경을 벗으면 먼저 탄성변형되었던 만곡부(a)와 걸림편(11)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고, 안경다리를 접으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10) 중간의 만곡부(a)와 만곡부(a) 내측 끝부분에 반대쪽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는 걸림편(11)이 용이하면서도 안정되게 탄성변형을 유도하여,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 착용감이 향상되도록할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해도 파손되지 않도록 해 준다.
1:안경테 2:엔드피스
10:탄성부재 11:걸림편
12:너트 13:볼트
14:걸림턱 20:안경다리 선단부
30:안경다리 후단부 31:철심
a:만곡부 b:고정홈
c:통로 d:작동부
e:걸림구멍 f:스토퍼
g:회전작동공간

Claims (2)

  1. 후방으로 굴절되는 안경테(1) 양측의 엔드피스(2)에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선단부가 연결되도록 되는 것으로, 완만하게 굽은 만곡부(a)가 선단부에 형성되고, 중간 내측면에 걸림편(11)이 내측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며, 후단부 내부에 고정홈(b)이 형성되는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10)와; 탄성부재(10)가 관통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내부에 통로(c)가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의 선단부에 소정 폭과 길이로 개방된 작동부(d)가 형성되고, 내측면 중간에 걸림편(11)이 돌출 가능하도록 된 걸림구멍(e)이 형성되는 안경다리 선단부(20)와; 탄성부재(10)의 말단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선단부 내부에 삽입홈(f)이 형성되고, 삽입홈(f)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소정 길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철심(31)이 내장되어, 철심(31)의 돌출부위가 탄성부재(10) 후단부의 고정홈(b)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되는 안경다리 후단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10)의 만곡부(a)는 선단부에 소정 구간 형성되며, 만곡부(a) 끝부분 쯤의 내측면에 탄성부재(10)의 일부가 분할되어 만곡부(a)와 같은 곡선을 따라 외측으로 완만하게 벌어져 형성되는 걸림편(11)이 구비되고, 벌어진 걸림편(11) 부위가 탄성을 갖고 외측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KR1020210173449A 2021-12-07 2021-12-07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KR10260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449A KR102604543B1 (ko) 2021-12-07 2021-12-07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449A KR102604543B1 (ko) 2021-12-07 2021-12-07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362A KR20230085362A (ko) 2023-06-14
KR102604543B1 true KR102604543B1 (ko) 2023-11-20

Family

ID=8674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449A KR102604543B1 (ko) 2021-12-07 2021-12-07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5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3978A (ja) 2007-09-07 2009-03-26 Hasegawa Gankyo Kk 取替可能なテンプルの連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91Y1 (ko) 2001-12-26 2002-03-28 김영호 티탄 소재 안경 힌지의 탄력 절첩구조
KR100740216B1 (ko) * 2005-12-05 2007-07-18 강진욱 조립식 안경
KR20080006205U (ko) * 2007-06-11 2008-12-16 이성준 안경다리 착탈식 안경다리 연결장치
KR20110009662U (ko) * 2010-04-06 2011-10-12 권미순 안경다리 교환기능을 가진 안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3978A (ja) 2007-09-07 2009-03-26 Hasegawa Gankyo Kk 取替可能なテンプルの連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362A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83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EP2120087B1 (en) Elastic miniaturized hinge for flex temple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US20110032473A1 (en) Stable-position spectacle hinge
US8282208B2 (en) Coupling structure for eyeglasses
CN111902766A (zh) 眼镜腿组件及眼镜
KR10260454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KR1015181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4798936B2 (ja) 眼鏡フレーム、丁番、眼鏡及び丁番の製造方法
JP4022564B1 (ja) 眼鏡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1232804B1 (ko) 착탈식 안경다리 구조
KR101163885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833891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20170130916A (ko) 안경의 결합구조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0455234Y1 (ko)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
CN209962027U (zh) 一种无弹簧的弹性镜脚
CN209215761U (zh) 眼镜弹片转轴结构
US7556372B2 (en) Eyeglasses structure and an eyeglasses frame
CN210323623U (zh) 一种眼镜的无螺丝连接结构
KR200222157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다리연결구
US3829200A (en) Temple hinge spring
CN206818989U (zh) 一种眼镜腿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