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539Y1 -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 Google Patents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539Y1
KR200373539Y1 KR20-2004-0029867U KR20040029867U KR200373539Y1 KR 200373539 Y1 KR200373539 Y1 KR 200373539Y1 KR 20040029867 U KR20040029867 U KR 20040029867U KR 200373539 Y1 KR200373539 Y1 KR 200373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ornaments
length
projections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인
Original Assignee
김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인 filed Critical 김용인
Priority to KR20-2004-0029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5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3/00Rosar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44C5/0069Flexible straps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04Link constructions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1/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of special shape
    • B21L11/005Making ornamental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장신구의 길이가 자유롭게 신장/수축될 수 있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공형상이고, 양단에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29)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장신구(22); 양단에 개구(29)보다 큰 돌기(27)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의 돌기(27)가 장신구(22)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의 돌기(27)가 인접한 장신구(22)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서 상기 각 장신구(22)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24); 및 장신구(22)내에 위치하고, 상기 장신구(22)내에 위치하는 2개의 마주보는 돌기(27)에 대해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Flexiblly deformable ornament with its length}
본 고안은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장신구의 길이가 자유롭게 신장/수축될 수 있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목걸이(10)와 같은 장신구의 평면도와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목걸이(10)와 같은 장신구는 둥근형태의 장신구(12)와 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14)의 연속 조립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목 둘레에 끼기 위하여 암나사(17)와 숫나사(15)로 이루어진 한쌍의 체결부재를 갖추고 있었다. 예를 들어, 장신구(12)와 연결봉(14)은 동일 또는 유사한 금속이나 귀금속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탄성변형을 할 수 없었다. 단지 장신구내에 돌기(11)로 연결된 연결봉(14)의 움직임에 의해 목걸이(10)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는 정도였다.
특히, 종래의 팔찌 등의 경우에는 팔목을 통과하면서도 쉽게 팔목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별도의 나사 체결부재(15, 17)를 갖추어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부재(15, 17)는 한쪽 팔목에 차면서 나머지 한손으로 체결해야만 하기 때문에 끼거나 빼기가 무척 불편하였다. 또한, 체결부재(15, 17)가 미관상 좋지 않아 팔찌 전체의 디자인을 해치기도 하였다.
아울러, 팔찌나 목거리와 같은 구성으로 묵주 등을 제조하고 있으나, 이 역시 체결부재(15, 17)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품성이 저하되는 원인중 하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장신구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연결봉(14) 대신 기다란 고무줄을 사용하기도 하나 내구성이 저하되고 디자인에 한계가 있어 사용이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하여 체결부재 없이도 신체에 부착이나 사용이 편리한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신축성을 일으키는 탄성부재가 내재되어 육안으로 보이지 않고, 탄성부재가 금속재로 이루어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를 이용하여 팔찌, 목걸이, 묵주, 반지, 와이셔츠 밴드 등과 같은 다양한 패션악세서리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중공형상이고, 양단에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29)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장신구(22);
양단에 개구(29)보다 큰 돌기(27)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의 돌기(27)가 장신구(22)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의 돌기(27)가 인접한 장신구(22)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서 각 장신구(22)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24); 및
장신구(22)내에 위치하고, 장신구(22)내에 위치하는 2개의 마주보는 돌기(27)에 대해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신구(22)와 연결봉(24)은 금, 은, 티타늄, 황동, 철, 알루미늄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장신구(22)는 금속편을 둥글게 소성 가공함으로서 양측을 접합한 것이다.
또한, 탄성수단은 일단이 마주보는 2개의 돌기(27)중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나머지 돌기(27)에 연결된 원추형 인장 스프링(26)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원의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는 팔찌, 목걸이, 반지, 묵주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의 평면도와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가 수축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신구가 신장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중 한개의 장신구(22)와 연결봉(24)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찌형 장신구가 수축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팔찌형 장신구가 신장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목거리, 11 : 돌기,
12 : 장신구, 14 : 연결봉,
15 : 숫나사, 17 : 암나사,
20 :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22 : 장신구, 24 : 연결봉,
26 : 스프링, 27 : 돌기,
29 : 개구, 30 : 접합부,
40 : 수축상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의 동작원리와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가 수축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신구가 신장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대략적으로 장신구(22), 연결봉(24) 및 스프링(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22)는 금, 은, 티타늄, 알루미늄, 철 등으로 제작되며, 외관상 원형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신구(2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상이며, 양단에 개구(29)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9)는 연결봉(24)이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신구(22)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개구(24)의 내경은 연결봉(24)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크면 족하다.
연결봉(24)은 직경이 일정한 금속재 봉이며, 양단에는 각각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봉(24)은 장신구(22)와 같은 재질로 가공될 수 있다. 돌기(27)의 크기는 적어도 개구(29)를 빠져 나오지 못할 정도의 크기이어야 한다.
스프링(26)은 장신구(22)의 내부에 위치한다. 장신구(22)의 내부에 2개의 돌기(27)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스프링(26)의 일단은 2개의 돌기(27)중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은 나머지 돌기(27)와 연결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2개의 돌기(27)가 서로 접근(또는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26)은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또한, 장신구(22)의 내부와 같이 협소한 공간내에서 큰 탄성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스프링(26) 양단의 직경이 작고, 중간 영역의 직경이 넓은 원추형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중 한개의 장신구(22)와 연결봉(24)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22)는 별도의 장치(미도시)에 의해 작은 금속박편을 둥글게 말아서 완성한다. 접합부(30)는 둥글게 말아진 양측이 서로 접하는 영역이다. 접합부(30)를 감추기 위해 기계가공후 표면을 광택, 금속, 도료 등의 코팅처리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찌형 장신구가 수축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에서는 주먹 보다 조금 더 작은 정도의 팔찌 내경을 형성하도록 조립한다. 이러한 크기 조절은 장신구(20)와 연결봉(24)의 갯수를 조절하거나 각 치수를 조절함으로서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팔찌형 장신구가 신장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수축상태(40)로부터 조금 더 큰 내경으로 신장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장상태를 위해 손으로 팔찌를 잡아 당기면 된다. 이와 같이 신장된 팔찌의 내경은 주먹의 크기 보다 조금 더 큰 정도면 된다. 이는 팔찌를 팔목에 차기 위하여 주먹을 겨우 통과한 후, 도 5와 같이 수축하면 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를 이용하여 목걸이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팔찌로부터 장신구(20)와 연결봉(24)의 크기 또는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서 동일 기술사상내에서 간단히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를 이용하여 종교용 묵주 또는 목걸이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팔찌로부터 장신구(20)와 연결봉(24)의 크기 또는 갯수를 증가시키고, 장신구(22)의 표면에 종교 문양을 가공해 넣거나 묵주 일부에 종교적 상징물(예를 들어, 십자가)를 끼워 넣음으로서 동일 기술사상내에서 간단히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를 이용하여 반지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팔찌로부터 장신구(20)와 연결봉(24)의 크기 또는 갯수를 손가락 크기로 감소시킴으로서 동일 기술사상내에서 간단히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를 이용하여 와이셔츠 밴드 또는 남성의 음경에 끼워넣은 성보조기구 등을 동일 기술사상내에서 간단히 만들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에서는 목걸이, 팔찌, 반지 등의 악세서리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될 필요없이 신체에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의료제품, 패션제품, 생활용품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신체외에 길이변화가 필요한 곳이라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원의 탄성수단으로 코일 스프링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장신구내에서 탄성력과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 판스프링, 접시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 토션 스프링 등)라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에 의하면,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하여 체결부재 없이도 신체에 부착이나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신축성을 일으키는 탄성부재가 내재되어 육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수려한 외관이 가능하고, 탄성부재가 금속재로 이루어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를 이용하여 팔찌, 목걸이, 묵주, 반지, 와이셔츠 밴드 등과 같은 다양한 패션악세서리로 응용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6)

  1. 중공형상이고, 양단에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29)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장신구(22);
    양단에 상기 개구(29)보다 큰 돌기(27)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의 돌기(27)가 상기 장신구(22)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의 돌기(27)가 인접한 장신구(22)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서 상기 각 장신구(22)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24); 및
    상기 장신구(22)내에 위치하고, 상기 장신구(22)내에 위치하는 2개의 마주보는 돌기(27)에 대해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22)와 상기 연결봉(24)은 금, 은, 티타늄, 황동, 철, 알루미늄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22)는 금속편을 소성 가공함으로서 양측을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이 마주보는 2개의 돌기(27)중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나머지 돌기(27)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26)은 원추형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는 팔찌, 목걸이, 반지, 묵주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KR20-2004-0029867U 2004-10-22 2004-10-22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KR200373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67U KR200373539Y1 (ko) 2004-10-22 2004-10-22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67U KR200373539Y1 (ko) 2004-10-22 2004-10-22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745A Division KR100572726B1 (ko) 2004-10-22 2004-10-22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539Y1 true KR200373539Y1 (ko) 2005-01-21

Family

ID=4944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867U KR200373539Y1 (ko) 2004-10-22 2004-10-22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53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87Y1 (ko) 2009-05-15 2011-05-26 전상은 장식체가 내재된 염주
KR200488455Y1 (ko) * 2018-10-24 2019-02-01 김용인 가변 길이 구조를 갖는 링형 장신구
KR101944890B1 (ko) * 2018-03-08 2019-04-17 김선수 밴드 공회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알약케이스
KR20220035528A (ko) * 2020-09-14 2022-03-22 하재덕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87Y1 (ko) 2009-05-15 2011-05-26 전상은 장식체가 내재된 염주
KR101944890B1 (ko) * 2018-03-08 2019-04-17 김선수 밴드 공회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알약케이스
KR200488455Y1 (ko) * 2018-10-24 2019-02-01 김용인 가변 길이 구조를 갖는 링형 장신구
KR20220035528A (ko) * 2020-09-14 2022-03-22 하재덕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36949B1 (ko) * 2020-09-14 2022-08-25 하재덕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3674B2 (en) Magnetically attractable components for self-sizing jewelry articles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7506495B2 (en) Perfected chain for ornamental items
KR200373539Y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EP1911366A1 (en) Product for ornamental use, in particular a precious or costume jewellery product having a variable form
KR100572726B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US6662598B2 (en) Body ornament
KR20150098550A (ko) 장신구
EP2227976A1 (en) Accessory Coupling Having Chain
KR200239174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CN205358484U (zh) 一种可穿戴手环
AU4101100A (en) Openable finger-ring
KR20090011868U (ko) 장신구
KR200233862Y1 (ko) 장신구
JP3224771U (ja) 身飾品
JP2001252113A (ja) リング状装身具の伸縮部材及び同部材を備えたリング状装身具
KR19990011793U (ko) 패션용 악세사리
KR200450580Y1 (ko) 장신구
KR20230001478U (ko) 볼 체인 장신구
CN207721325U (zh) 手镯
KR200462604Y1 (ko) 장신구 모듈
KR200282239Y1 (ko)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KR200391064Y1 (ko) 흔들장신구
KR200358472Y1 (ko) 장식용 줄
KR200248060Y1 (ko) 다용도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