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562Y1 - 귀걸이 - Google Patents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562Y1
KR200373562Y1 KR20-2004-0030504U KR20040030504U KR200373562Y1 KR 200373562 Y1 KR200373562 Y1 KR 200373562Y1 KR 20040030504 U KR20040030504 U KR 20040030504U KR 200373562 Y1 KR200373562 Y1 KR 200373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n
coupling
hinged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20-2004-0030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5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2Ear-rings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4Ear-clip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단부의 상단 외주면에 물림홈이 형성되는 결합핀과, 상기 결합핀의 타측 단부와 결합되는 몸체를 갖는 지지본체와; 길이방향으로 결합그루브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핀의 일측 단부가 상기 결합그루브에 삽입될 때에 상기 결합핀의 상기 물림홈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본체의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회동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되는 측의 상기 회동본체의 단부 내주면은, 상기 몸체에 관통 결합되는 장식구의 상기 회동본체에 대한 미끄럼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대하여 단차(step height)진 형상의 걸림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소비자의 취향이나 유행에 따라 소비자가 직접 장식구를 용이하게 교체 및 교환할 수 있고 또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제조가 용이하며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귀걸이에 걸어지는 장신구를 고정할 수 있는 귀걸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귀걸이{Earring}
본 고안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귀걸이에 걸어지는 장식구를 단순한 구조로써 고정할 수 있고 그 장식구를 착용자가 용이하게 교환 및교체할 수 있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귀금속 등의 재질을 가지고 각종 형태로 제작되어 아름다움을 외부로 표출하기 위해 귓불에 착용하는 장신구로서, 최근에는 소비자의 의식변화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귀걸이를 많이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귀걸이는 귓볼을 뚫어 형성된 구멍에 끼워 착용하는 핀 타입과 귓볼의 전, 후면을 집도록 하여 착용하는 집게 타입으로 구분된다. 이 중 집게 타입은 장시간 착용 시 착용자가 통증을 느끼게되므로 여성들은 주로 핀 타입의 귀걸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 타입의 귀걸이(101)는 지지본체(110)와, 일측 단부에서 지지본체(110)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게 지지본체(110)와 힌지결합되는 회동본체(1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본체(110)는, 귀볼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는 부위이며 상단 외주면에 물림홈(112)이 형성된 결합핀(111)과, 이러한 결합핀(111)과 결합되는 몸체(113)를 갖는다. 회동본체(120)에는 대략 ‘U’자 형태의 결합그루브(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본체(110)와 힌지결합되는 측의 반대측 단부에는 결합핀(111)의 물림홈(112)과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121)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귀걸이를 착용할 때에는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본체(120)와 지지본체(110)를 벌린 다음 결합핀(111)을 귓볼에 형성된 구멍에 끼우고 회동본체(120)를 회동시켜 결합핀(111)에 형성된 물림홈(112)이 물림돌기(121)에 물림결합되도록 하여 착용을 완료하며, 귀걸이를 벗을 때에는 전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하여 벗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에 있어서는, 귀걸이의 지지본체의 몸체에 걸어지는 장식구가 지지본체의 몸체 및 회동본체 사이를 자유로이 미끄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식구가 고정이 되지 못하여 때때로 외관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위치에 배치되기도 하며 장식구가 잦은 이동을 하게 되어 구조상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장식구를 고정할 수 있는 걸이구를 별도로 마련한 귀걸이가 개시된 바 있는데,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a'가 부가된 참조부호가 사용되고 새로운 구성요소에는 새로운 부호가 지시된다. 그리고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101a)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101)와 달리 링 형상의 별도의 걸이구(130)가 지지본체의 몸체에 마련되며, 이 걸이구(130)에 장식구(3)가 고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귀걸이에 있어서는, 장식구를 거는 걸이구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보다 복잡하고 제조하기가 어려우며 이러한 걸이구를 별도 형성함으로써 때로는 귀걸이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애초에 장식구가 걸이구에 고정되어 판매되므로 무엇보다도 소비자의 취향이나 유행에 따라 걸이구에 걸어진 장식구를 소비자가 직접 교체 또는 교환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비자의 취향이나 유행에 따라 소비자가 직접 장식구를 용이하게 교체 및 교환할 수 있고 또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제조가 용이하며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귀걸이에 걸어지는 장신구를 고정할 수 있는 귀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의 열린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귀걸이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귀걸이 3 : 장식구
10 : 지지본체 11 : 결합핀
12 : 물림홈 13 : 몸체
14 : 힌지핀삽입공 20 : 회동본체
21 : 물림돌기 22 : 결합그루브
23 : 걸림턱 25 : 힌지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측 단부의 상단 외주면에 물림홈이 형성되는 결합핀과, 상기 결합핀의 타측 단부와 결합되는 몸체를 갖는 지지본체와; 길이방향으로 결합그루브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핀의 일측 단부가 상기 결합그루브에 삽입될 때에 상기 결합핀의 상기 물림홈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본체의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회동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되는 측의 상기 회동본체의 단부 내주면은, 상기 몸체에 관통 결합되는 장식구의 상기 회동본체에 대한 미끄럼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대하여 단차(step height)진 형상의 걸림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되는 측의 상기 회동본체의 단부의 내주면의 반경은, 선단에서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구간까지 상기 몸체의 내주면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가 상기 소정 구간의 내측 끝단에서부터 상기 회동본체의 내주면의 직경이 작아져서 단차진 형상의 걸림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그루브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핀이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의 상기 몸체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의 가로로 함몰 형성된 힌지핀삽입공이 마련되고, 상기 회동본체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핀삽입공에 결합되는 힌지핀이 마련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회동본체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의 열린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귀걸이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1)는, 일측 단부의 상단 외주면에 물림홈(12)이 형성되는 결합핀(11)과 이 결합핀(11)에 결합되는 몸체(13)를 갖는 지지본체(10)와, 길이방향으로 결합그루브(22)가 형성되고 단부에서 지지본체(10)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회동본체(20)를 구비한다. 여기서, 회동본체(20)는, 결합핀(11)의 일측 단부가 결합그루브(22)에 삽입될 때에 결합핀(11)의 물림홈(12)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21)를 일측 단부에서 구비하며, 타측 단부에서 지지본체(10)의 몸체(13)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본체(10)의 몸체(13)와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몸체(13)와 힌지결합되는 측의 회동본체(20)의 단부의 내주면은, 몸체(13)에 관통 결합되는 장식구(3)의 회동본체(20)에 대한 미끄럼 이동을 저지하도록 몸체(13)의 내주면에 대하여 단차(step height)진 형상의 걸림턱(23)을 갖는다.
결합핀(11)과 몸체(13)를 구비한 지지본체(10)는 반원 형상을 갖는데, 몸체(13)의 외측면에는 천연보석 및 인조보석 등을 장착할 수 있다. 결합핀(11)은 착용자의 귓불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소정 길이를 가지며 몸체(13)보다 얇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결합핀(11) 단부의 상단 외주면에는 물림홈(12)이 형성되는데, 착용자가 귓불에 형성된 구멍으로 결합핀(11)을 삽입한 다음 이 물림홈(12)을 회동본체(20)의 후술할 물림돌기(21)에 물림결합시킴으로써 회동본체(20)와 지지본체(10)를 결합하여 원형의 링 형상으로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몸체(13)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데, 결합핀(11)과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 몸체(13) 단부는 회동본체(20)와 힌지결합되어 지지본체(10)가 회동본체(20)에 대하여 상대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회동본체(20)는 ‘U’자 형상의 결합그루브(22)가 형성된 단면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핀(11)의 일측 단부가 결합그루브(22)에 삽입될 때에 결합핀(11)의 물림홈(12)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21)가 회동본체(20)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회동본체(20)의 타측 단부는 지지본체(10)의 몸체(13)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몸체(13)와 힌지결합된다.
몸체(13)와 힌지결합되는 측의 회동본체(20)의 단부의 내주면의 반경은, 선단에서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구간까지, 일반적으로 1mm 내지 2mm까지, 몸체(13)의 내주면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가 소정 구간의 내측 끝단에서부터 회동본체(20)의 내주면의 직경이 작아져서 단차진 형상의 걸림턱(23)을 갖는다. 이 걸림턱(23)에 의하여 몸체(13)에 관통 결합되는 장식구(3)가 회동본체(20)에 대한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즉 회동본체(20)의 중앙영역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방지되어 장식구(3)가 걸림턱(23)에 의해 고정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장식구(3)를 고정하기 위하여 단지 회동본체(20)의 단부에 단차진 걸림턱(23)만을 형성하면되므로 종래의 귀걸이(101a)와 같이 별도의 걸이구(130)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게 되며, 착용자는 몸체(13)에 관통 결합되는 장식구(3)를 손쉽게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언제든지 장식구(3)를 자신이 직접 손쉽게 교환 및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13)와 회동본체(20)가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결합핀(11)이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의 몸체(13)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의 가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 힌지핀삽입공(14)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동본체(20)의 타측 단부 즉 물림돌기(21)가 있는 측의 반대측 회동본체(20)의 단부에는 힌지핀삽입공(14)에 결합되는 힌지핀(24)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힌지핀(24)이 힌지핀삽입공(14)에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서 몸체(13)와 회동본체(20)가 힌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귀걸이(1)를 착용할 때에는 힌지핀(24)을 중심으로 회동본체(20)와 지지본체(10)를 벌린 다음 결합핀(11)을 귓볼에 형성된 구멍에 끼우고 회동본체(20)를 회동시켜 결합핀(11)에 형성된 물림홈(12)이 회동본체(20)의 물림돌기(21)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귀걸이(1)에 거는 장식구(3)는 미리 지지본체(10)의 몸체(13)를 관통하여 걸어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걸이구(130)가 별도로 마련된 종래의 귀걸이(101a)의 경우는 장식구(3)를 미리 걸이구(130)에 고정한 상태로 판매하여 착용자가 이를 교체 및 교환하기 곤란하였으나 이와 달리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1)는 장식구(3)를 귀걸이(1)에 걸어 반드시 판매할 필요가 없으며 장식구(3)는 착용자가 얼마든지 자기 취향에 맞도록 고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핀(11)의 물림홈(12)이 회동본체(20)의 물림돌기(21)와 물림결합됨으로써 착용이 완료된다. 착용이 완료되면 착용자가 움직이더라도 장식구(3)는 단차진 형상의 걸림턱(23)에 걸리어 회동본체(20)의 중앙영역으로, 즉 통상적으로 착용자의 후방으로 이동이 저지되어 고정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만약 착용을 하다가 장식구(3)를 바꾸고 싶을 때에는 회동본체(20)의 물림돌기(21)와 결합핀(11)의 물림홈(12)의 물림결합을 해제시키고 회동본체(20)를 회동시킨 후 결합핀(11)을 귓볼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빼내고 새로운 장식구(3)를 장착함으로써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유행 및 취향에 따라 다양한 장식구(3)를 귀에 걸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결합핀(11)이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의 몸체(13) 단부에 길이방향의 가로로 함몰 형성된 힌지핀삽입공(14)이 마련되고 회동본체(20)의 타측 단부에 힌지핀삽입공(14)에 결합되는 힌지핀(24)이 마련되어 몸체(13)와 회동본체(20)가 힌지 결합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결합핀(11)이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의 몸체(13) 단부에 힌지핀이 마련되고 회동본체(20)의 타측 단부에 힌지핀삽입공이 마련되어 몸체(13)와 회동본체(20)가 힌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결합핀(11)이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의 몸체(13) 단부와 회동본체(20)의 타측 단부에 힌지핀삽입공이 각각 마련되고 별도의 힌지핀이 삽입되어 몸체(13)와 회동본체(20)가 힌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몸체(13)와 힌지결합되는 측의 회동본체(20)의 단부의 내주면의 반경이, 선단에서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구간까지 몸체(13)의 내주면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가 소정 구간의 내측 끝단에서부터 회동본체(20)의 내주면의 직경이 작아져서 단차진 형상의 걸림턱(23)을 갖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회동본체(20)의 단부의 선단에서부터 회동본체(20)의 내주면의 직경이 작아져서 몸체(13)에 대하여 단차진 형상을 걸림턱(23)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비자의 취향이나 유행에 따라 소비자가 직접 장식구를 용이하게 교체 및 교환할 수 있고 또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제조가 용이하며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귀걸이에 걸어지는 장신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귀걸이가 제공된다.

Claims (4)

  1. 일측 단부의 상단 외주면에 물림홈이 형성되는 결합핀과, 상기 결합핀의 타측 단부와 결합되는 몸체를 갖는 지지본체와;
    길이방향으로 결합그루브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핀의 일측 단부가 상기 결합그루브에 삽입될 때에 상기 결합핀의 상기 물림홈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본체의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회동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되는 측의 상기 회동본체의 단부 내주면은, 상기 몸체에 관통 결합되는 장식구의 상기 회동본체에 대한 미끄럼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대하여 단차(step height)진 형상의 걸림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되는 측의 상기 회동본체의 단부의 내주면의 반경은, 선단에서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구간까지 상기 몸체의 내주면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가 상기 소정 구간의 내측 끝단에서부터 상기 회동본체의 내주면의 직경이 작아져서 단차진 형상의 걸림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그루브는 ‘U’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이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의 상기 몸체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의 가로로 함몰 형성된 힌지핀삽입공이 마련되고, 상기 회동본체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핀삽입공에 결합되는 힌지핀이 마련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회동본체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KR20-2004-0030504U 2004-10-28 2004-10-28 귀걸이 KR200373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504U KR200373562Y1 (ko) 2004-10-28 2004-10-28 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504U KR200373562Y1 (ko) 2004-10-28 2004-10-28 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562Y1 true KR200373562Y1 (ko) 2005-01-15

Family

ID=4944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504U KR200373562Y1 (ko) 2004-10-28 2004-10-28 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5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657B1 (ko) 2007-08-22 2009-03-26 윤영종 귀걸이
KR102369154B1 (ko) * 2021-05-24 2022-02-28 김삼용 귀찌형 귀걸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657B1 (ko) 2007-08-22 2009-03-26 윤영종 귀걸이
KR102369154B1 (ko) * 2021-05-24 2022-02-28 김삼용 귀찌형 귀걸이
WO2022250336A1 (ko) * 2021-05-24 2022-12-01 김삼용 귀찌형 귀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1985B1 (en) Interchangeable ornament display jewelry apparatus
US20100251769A1 (en) Adjustable Jewelry Assembly
JP2012533766A (ja) アイウェア
WO2015054568A1 (en) Jewel shell clasp protector
US20160051015A1 (en) Jewelry system using interchangeable earrings
KR200373562Y1 (ko) 귀걸이
US5682769A (en) Setting for a decorative article
KR200415394Y1 (ko) 액세서리
KR200391052Y1 (ko) 귀걸이
CN113080581B (zh) 一种爱动挂坠
KR200322802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20050080168A (ko) 장신구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CN215347339U (zh) 环状首饰
CN212590711U (zh) 一种手镯
KR100670750B1 (ko) 착탈이 용이한 귀걸이
CN217565136U (zh) 可更换吊坠的耳环扣
KR200375097Y1 (ko) 진자운동을 하는 장신구
KR200320524Y1 (ko) 귀고리
KR200307393Y1 (ko) 귀걸이
US20040093898A1 (en) Jewelry apparatus
KR200301591Y1 (ko) 조절식 탄성 귀걸이
CN211747430U (zh) 爱动挂坠
JPH10201507A (ja) 耳装飾具
JP2005536301A (ja) 用途の柔軟性が高い装身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