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591Y1 - 조절식 탄성 귀걸이 - Google Patents

조절식 탄성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591Y1
KR200301591Y1 KR20-2002-0031475U KR20020031475U KR200301591Y1 KR 200301591 Y1 KR200301591 Y1 KR 200301591Y1 KR 20020031475 U KR20020031475 U KR 20020031475U KR 200301591 Y1 KR200301591 Y1 KR 200301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arrings
pin
earlobe
ea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모
Original Assignee
김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모 filed Critical 김광모
Priority to KR20-2002-0031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절식 탄성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걸이를 착용시 귓불의 두께에 맞추어 조절하여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음은 물론 지지대의 탄성에 의해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도 모르는 사이에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전반부(11)와 후반부(12)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힌지(13)와, 상기 전반부(11)에 걸림홈(14)을 형성하고 있는 핀(15)과, 상기 핀(15)의 걸림홈(14)에 걸리도록 후반부(12)에 형성된 걸림턱(16)으로 구성된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전반부(11)에 타원형으로 형성된 지지구(17)와, 상기 지지구(17)의 선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후반부(12)에는 만곡부를 형성한 지지대(18)와, 상기 전반부(11)의 일측부에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구(1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탄성 귀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귓불의 두께에 맞추어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고, 또 귀걸이의 전, 후반부에 형성된 지지구에 지지대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상태가 견고하여 비싸고 아름다운 귀걸이의 분실을 방지할 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절식 탄성 귀걸이{An elastic adjustable earring }
본 고안은 조절식 탄성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걸이를 착용시 귓불의 두께에 맞추어 조절하여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음은 물론 지지대의 탄성에 의해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도 모르는 사이에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여성들이 애용하지만 요즈음에는 남성들도 개성을 살리기 위하여 많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귀금속 등의 재질을 가지고 각종 형태로 제작되어 아름다움을 외부로 표출하기 위해 귓불에 착용하는 장신구인 것이다.
이러한 장신구의 귀걸이는 착용하는 방식의 구성이 크게 두가지 형태로 나누어져 있는 것으로서, 하나의 착용방식은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진 귀걸이를 탄성집게의 탄성에 의해 귓불에 결착하거나 또는 조임구에 의해 결착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귓불에 압력을 가하여서 결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통과 통증을 받음으로서 그 사용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귀에 고통과 통증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해 귓불에 구멍을 내어 귀걸이를 형성하는 핀을 구멍에 삽입하여 결착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핀결착방식에 대한 귀걸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걸이를 귓불(1)에 착용하기 위한 몸체(4)와, 상기 몸체(4)는 전반부(6)와 후반부(7)로 분리되어 회동 가능하게 힌지(3)에 의해 결합 구성되어 상기 전반부(6)에 형성된 핀(5)이 귓불(1)에 천공된 구멍(2)을 통해 후반부(7)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삽입이 되면 핀(5)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홈(8)에 후반부에 형성된 걸림턱(9)이 끼워져서 결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귀걸이의 구성은 착용할 때 전반부(6)와 후반부(7)를 회동시켜서 전반부(6)에 형성된 핀(5)을 귓불(1)의 구멍(2)에 삽입시킨 후에는 핀(5)이 가압되면서 오므려지다가 삽입홈으로 삽입이 되면서 걸림홈(8)에 걸림턱(9)이 고정되기 때문에 귀걸이를 다수회 반복하여 착탈하게 되면, 걸림턱(9)이 핀(5)의 외주면에 의해 마모되어 핀(5)의 선단부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헐거워지게 되므로 착용자도 모르는 사이에 귀걸이가 분실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착탈시에는 상기 전반부(6)와 후반부(7)를 지탱하는 지지대가 없으므로 과도하게 하부로 착탈되어 잘못 사용하게 되면 전반부(6)와 후반부(7)가 핀(5)에서 분리되거나 부러져서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 안출한 것으로, 귀걸이의 결착상태를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착용후에도 안정감 있음은 물론 사용자도 모르는 사이에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결착상태가 미비한 점을 보완하여 귀걸이의 몸체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지는 힌지부의 주변으로 타원형의 지지구와 단부가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탄성체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상부 개방시 지지구와 지지대의 회전각이 과도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적당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착용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부주의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귀걸이의 전반부에 형성된 핀의 표면에는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귓불 두께에 맞추어 걸림홈에 걸림턱이 걸리도록 핀을 조절하면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귀걸이의 내외측으로 돌출되게 걸이구를 형성함으로서 착용자는 보다 다양한 장식물을 걸이구에 장착하여 아름다움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절식 탄성 귀걸이를 종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절식 탄성 귀걸이를 결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절식 탄성 귀걸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귀걸이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몸체 11. 전반부
12. 후반부 13. 힌지
14. 걸림홈 15. 핀
16. 걸림턱 17. 지지구
18. 지지대 19. 걸이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고안의 조절식 탄성 귀걸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전반부(11)와 후반부(12)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힌지(13)와, 상기 전반부(11)에 걸림홈(14)을 형성하고 있는 핀(15)과, 상기 핀(15)의 걸림홈(14)에 걸리도록 후반부(12)에 형성된 걸림턱(16)으로 구성된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전반부(11)에 타원형으로 형성된 지지구(17)와, 상기 지지구(17)의 선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후반부(12)에는 만곡부를 형성한 지지대(18)와, 상기 전반부(11)의 일측부에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구(1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몸체(10)의 전반부(11)와 후반부(12)의 선단이 개방되어도 지지대(18)의 만곡부가 지지구(17)의 선단에 접촉하여 걸려지게 되므로 과도하게 상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탄성 귀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핀(15)의 표면에는 걸림홈(14)을 다수 형성하여 귓불의 두께에 맞추어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탄성 귀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선단이 만곡부를 형성한 지지대(18)에 힘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 또는 ∧형의 주변으로 날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탄성 귀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의 단면도 및 도 2의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귀걸이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링형의 구조를 이루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링형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조절식 탄성 귀걸이는 몸체(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전반부(11)와 후반부(12)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13)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는 개방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반부(11)의 선단에는 결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핀(15)의 표면에 걸림홈(14)을 형성하지만, 상기 걸림홈(14)은 착용자의 귓불의 두께에 맞추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나이상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핀(15)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14)에는 후반부(12)의 선단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6)이 삽입되어 핀(15)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귀걸이를 반복 사용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걸림턱(16)이 마모되더라도 걸림턱(16)이 걸림홈(14)에서 이탈이 되면서 하부로 벌어지지 못하도록 후반부(12)에는 만곡부를 형성한 탄성체의 지지대(18)를 형성하였고, 또 전반부(11)에는 상기 지지대(18)의 만곡부가 외부로 벗어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이를 지지해 주기 위한 타원형의 지지구(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8)를 보다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힘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18)의 선단에는 만곡부를 형성하여 지지구의 타원형 선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절곡하여 이루어진 ∧형 또는 ∧형의 양단부에 날개를 형성함으로써, 평판형의 지지대(18)일 때보다 2배이상의 힘을 갖고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몸체(10) 전반부(11)의 일측에는 장신구를 걸 수 있도록 걸림홈(19)이 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장신구를 걸림홈(19)에 걸어서 착용하고 다닐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귀에 귀걸이를 착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조절식 탄성 귀걸이의 몸체(10)를 구성하는 전반부(11)와 후반부(12)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핀(15)을 가압하여 전반부(11)와 후반부(12)를 하부로 젖히면 힌지(13)를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이 되는 것이다.
이때 타원형의 지지구(17)에 의해 선단이 만곡된 지지대(18)는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반부(11)와 후반부(12)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이 되게 되면, 서로 지지구(17)의 선단부와 지지대(18)의 만곡부가 밀착상태로 지지되어 더이상 하부로 회동이 되지 않고 정지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반부(11)와 후반부(12)의 상부가 과도하게 하부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로 일정각도 이상 젖혀져 있는 전반부(11)의 상단에 형성된 핀(15)을 귓불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삽입한 후, 핀(15)을 가압하여 후반부(12)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면, 후반부(12)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6)이 핀(15)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홈(14)에 삽입, 고정되므로 착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착용자는 착용자의 귓불에 맞추어 핀(15)에 다수 형성된 걸림홈(14)으로 걸림턱(16)을 삽입하여 고정이 되면, 핀(1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기에 좋고, 또 귓불을 너무 조이지 않아도 되므로 안정감 있게 착용이 가능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귀걸이 몸체(10)의 전반부(11)와 후반부(12)의 상부가 결합이 되게 되면, 지지구(17)는 지지대(18)를 가압하면서 하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지지구(17)를 형성하는 타원형의 선단부와 지지대(18)의 선단 만곡부가 서로 밀착하여 접촉 지지되어 있다가, 타원형의 선단부는 만곡부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지지대(18)를 하부로 가압하여 지지하게 되므로, 후반부(12)의 선단부는 귓불과 자연스럽게 접촉이 되어 결착상태를 보다 견고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착용자의 귓불에 맞추어 조절이 가능하고, 또 조절후에는 후반부(12)가 귓불을 탄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압함으로써 견고하게 착용이 가능함은 물론, 반복사용으로 인해 몸체(10) 후반부(12)의 걸림턱(16)이 마모되더라도 지지대(18)가 지지구(17)에 받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후반부(12)는 하부로 젖혀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7)나 지지구(18)는 약간의 탄성을 유지하고 있어 사용자가 손으로 전반부(11)와 후반부(12)의 상부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도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분리를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또 개방후에도 전반부(11)와 후반부(12)가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고 정지가 가능하여 다음 착용시보다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7)가 만약 힘을 지지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7)를 ∧형 또는 ∧형의 양단부에 날개를 형성하게 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몸체(10)의 전반부(11)에 형성된 걸이구(19)에 다양한 장신구를 걸 수 있으므로 귀걸이의 다양한 변화를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에 실증을 쉽게 느끼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핀의 표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귓불에 맞추어 조절해 가면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또 종래와 같이 귀걸이를 결착하기 위한 걸림턱이 마모되더라도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를 구성하는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지지구와 지지대를 형성하여 지지대가 지지구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결착하기 때문에 비싸고 아름다운 귀걸이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귀걸이에 또 다른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새로운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전반부(11)와 후반부(12)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힌지(13)와, 상기 전반부(11)에 걸림홈(14)을 형성하고 있는 핀(15)과, 상기 핀(15)의 걸림홈(14)에 걸리도록 후반부(12)에 형성된 걸림턱(16)으로 구성된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전반부(11)에 타원형으로 형성된 지지구(17)와,
    상기 지지구(17)의 선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후반부(12)에는 만곡부를 형성한 지지대(18)와,
    상기 전반부(11)의 일측부에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구(1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탄성 귀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전반부(11)와 후반부(12)의 상부가 개방되어도 지지대(18)의 만곡부가 지지구(17)의 선단에 접촉하여 걸려지게 되므로 과도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탄성 귀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15)의 표면에는 걸림홈(14)을 다수 형성하여 귓불의 두께에 맞추어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탄성 귀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이 만곡부를 형성한 지지대(18)에 힘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 또는 ∧형의 주변으로 날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탄성 귀걸이.
KR20-2002-0031475U 2002-10-22 2002-10-22 조절식 탄성 귀걸이 KR200301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75U KR200301591Y1 (ko) 2002-10-22 2002-10-22 조절식 탄성 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75U KR200301591Y1 (ko) 2002-10-22 2002-10-22 조절식 탄성 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591Y1 true KR200301591Y1 (ko) 2003-01-24

Family

ID=4939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75U KR200301591Y1 (ko) 2002-10-22 2002-10-22 조절식 탄성 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5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21U (ko) * 2018-12-28 2020-07-08 서희주 탄성이 있는 장신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21U (ko) * 2018-12-28 2020-07-08 서희주 탄성이 있는 장신구
KR200494237Y1 (ko) * 2018-12-28 2021-09-01 서희주 탄성이 있는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391A (en) Variable configuration earring
JPS60242805A (ja) 耳飾り
US8418501B2 (en) Apparatus for suspending objects from ears
KR20110070931A (ko) 내경 조절용 반지
KR200431088Y1 (ko) 귀걸이
KR101901897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팔찌
KR200301591Y1 (ko) 조절식 탄성 귀걸이
US20160119706A1 (en) Earring with enhanced functionality
US6662598B2 (en) Body ornament
KR102014687B1 (ko) 내경 가변형 반지
US5487280A (en) Convertible earring
US20230059895A1 (en) Adjuster for changing a length of a jewelry string loop
JP5738087B2 (ja) イヤリング
KR200431089Y1 (ko) 귀걸이용 펜던트 연결고리 결합구조
CN212754578U (zh) 一种方便佩戴的手镯
KR200322802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200320834Y1 (ko) 귀걸이의 체결구조
KR200373562Y1 (ko) 귀걸이
KR20090039288A (ko) 체결용 보조텐션을 갖는 귀걸이
US20040093898A1 (en) Jewelry apparatus
KR200327865Y1 (ko) 귀고리
KR200236008Y1 (ko) 귀걸이
CN215347339U (zh) 环状首饰
JPH10201507A (ja) 耳装飾具
CN218960205U (zh) 一种耳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