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939B1 -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939B1
KR101621939B1 KR1020140167260A KR20140167260A KR101621939B1 KR 101621939 B1 KR101621939 B1 KR 101621939B1 KR 1020140167260 A KR1020140167260 A KR 1020140167260A KR 20140167260 A KR20140167260 A KR 20140167260A KR 101621939 B1 KR101621939 B1 KR 10162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plate
accessory
presen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드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드지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드지기
Priority to KR1020140167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04Padloc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09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of the ring typ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부와; 판 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단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부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를 원위치로 탄성 복귀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며, 회전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 걸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FASTENER FOR ACCESSORY AND ACCESSOR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의 일부분에 걸치는 경우 양단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accessory)는 본체(本體)의 기능이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변화를 주는 부속품 또는 보조물의 총칭으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착용하는 장신구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장신구로 사용하는 팔찌 및 목걸이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착용 또는 걸칠 수 있도록 양단을 연결하여야 한다.
통상, 팔찌 및 목걸이는 양단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 고리를 구비하고, 이 연결고리는 몸판을 반분되게 형성하고, 각각 몸판의 양쪽에 연결고리부와, 고리목부가 일체인 체인연결부를 상기 몸판의 내측면에 작동편작동공간이 형성되도록 단턱지게 반분 형성하여, 포개진 외경 상관선부에 용접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고리는 고리목부가 일체로 형성된 체인연결부가 몸판과 일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연결고리의 사용시 체인연결부에 걸림 고정된 연결줄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나, 연결줄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고리부와 체인연결부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연결줄에 비해 큰 몸체를 갖는 몸판은 연결줄에 비해서 회전 정도가 약하게 된다.
결국, 체인연결부와 연결고리부에 연결된 연결줄은 꼬여서 그 형상이 외형상 보기에 좋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사용시 자주 꼬인 연결줄을 풀어줘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제작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그 모양이 복잡해 원가가 많이 들거나 모양이 미려하지 못해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43025호(공개일 : 2005년 05월 11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분에 걸치는 경우 양단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세사리의 체결부분에서 휨 각도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신체 곡면 부분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자체를 금, 은 등과 같은 귀금속으로 형성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한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부와; 판 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단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부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를 원위치로 탄성 복귀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며, 회전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 걸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시소(seesaw)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시소 회전시, 상기 탈착부에 걸치거나 걸침이 해제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탈착부에 걸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부와 내부 바닥과 상기 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힌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도록 벤딩되는 스프링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몸체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에 벤딩되는 상태로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힌지에 와인딩되고, 양단이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하단이 끼워져 탄성지지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반경을 따르는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에 상기 고정 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선단을 따라 뾰족하게 형성되는 삽입 몸체와, 상기 삽입 몸체의 후단에 형성되며, 악세사리 밴드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타단에는, 연결부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는 악세사리 밴드의 타단과 연결되는 다른 연결 몸체와, 상기 다른 연결 몸체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타단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 테두리에는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치도록 단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를 포함하는 악세사리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분에 걸치는 경우 양단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악세사리의 체결부분에서 휨 각도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신체 곡면 부분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자체를 금, 은과 같은 귀금속으로 형성하여 인체에 무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탈착부가 베이스 몸체부에 체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의 다른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가 채택된 악세사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2)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예컨대, 손목에 걸치는 밴드류, 또는 목에 걸치는 목걸이 등의 양단을 체결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2)는 크게 베이스 몸체부(100)와, 고정 플레이트부(200)와, 탄성부(300, 도 4참조)와, 탈착부(4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몸체부(100)를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100)는 사각 박스형상의 베이스로 베이스 몸체(11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110a)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내부 공간(110a)과 연결되는 개구(110b)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몸체(110)의 상부는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110)는 인체에 무해한 금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금 이외에, 은 등과 같은 귀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110)의 개구(110b)측 양측벽에는 후술되는 고정 돌기(220)가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는 한 쌍의 위치 고정홈(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공간(110a)에는 후술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112)가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 몸체(110)의 타측 상단에는 타측 끝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1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113)은, 상기 베이스 몸체(110)의 상단면과 일정의 경사각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 플레이트부(2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 플레이트 부(200)는, 판 상의 플레이트(210)와, 고정 돌기(220)와,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10)는 금 또는 은 등의 귀금속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몸체(110)의 상단에 배치된다.
여기서,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단은 경사면(113)과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 고정 돌기(220)는 플레이트(210)의 일측 하단에서 하방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기(220)의 양측부는, 상술한 베이스 몸체(110)의 개구(110b)측 양측벽에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 고정홈(114)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10)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23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230)는 상기 플레이트(210)의 양측 중앙부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 부재(230)는,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공간(110a)에 설치되는 힌지(112)와 축 연결된다.
따라서, 플레이트(210)는 베이스 몸체(110)의 상단에 위치되고, 힌지(11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 5 및 도 6 상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더하여, 플레이트(210)의 하단 테두리에는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베이스 몸체(110)의 상단 테두리에는 걸림턱(211)이 걸치도록 단차(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210)는 베이스 몸체(110) 상단에서 회전 동작되는 경우 위치가 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3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300)는 탄성 스프링(300)으로 구성된다. 탄성부와 탄성 스프링의 구성 번호를 '300'으로 기술한다.
상기 탄성 스프링(300)은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공간(110a)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300)은 한 쌍의 연결 고리(310)와, 스프링 몸체(320)와, 받침 몸체(33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 고리(310)는 힌지(112)에 끼워져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 몸체(320)의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연결 고리(310)에 연결되고,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공간(110a)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타단은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단을 따라 벤딩 형성된다.
여기서, 스프링 몸체(310)는 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휘어지는 부분이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공간(110a)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받침 몸체(330)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프링 몸체(320)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받침 몸체(330)는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단면을 탄성 지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단면에는 받침 몸체(330)가 삽입되는 삽임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탄성 스프링(300)은 플레이트와 베이스 몸체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 스프링(310)은 플레이트가 힌지(112)를 기준으로 시소 회전되는 경우에, 플레이트(210)를 원위치로 강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의 다른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350)는 상술한 베이스 몸체(110)에 형성되는 힌지(112)에 와인딩되는 상태로 양단이 연장되는 스프링 몸체(351)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 몸체(351)의 양단은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면과 베이스 몸체(110) 내부 바닥면을 탄성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 몸체(351)의 양단에는 받침 몸체(352)가 각각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360)는 스프링(361)과, 가이드(362)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361)은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스프링(361)의 일단은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362)는 스프링(361)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362)에는 상기 스프링(361)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362a)이 형성되고, 스프링(361)의 타단은 가이드 홈(362a)에 끼워져 탄성 지지된다.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370)는 스프링(371)과, 가이드(372)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371)은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면에 설치되되, 도 9에 도시된 스프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드(372)는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되, 힌지(112)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플레이트(210)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르도록 곡률을 이루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372)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72a) 역시, 상기와 같은 곡률을 이루어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371)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372a)에 끼워져 탄성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은 탄성부(350,360,370) 역시, 플레이트(210)가 시소 회전하는 경우 원위치로 강제 위치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탈착부(4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탈착부(400)는 삽입 몸체(410)와, 연결 몸체(420)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 몸체(410)는 선단을 따라 뾰족하게 형성되고, 개구(110b)측을 통해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몸체이다.
바람직하게, 삽입 몸체(410)의 상단은 선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삽입 몸체(410)의 상단부에는 플레이트(210)의 고정 돌기(220)가 끼워지는 고정홈(41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몸체(420)는 삽입 몸체(4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몸체(420)에는 악세사리 밴드(1)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 1연결홈(421)이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 몸체(110)의 타단에는 연결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00)는 다른 연결 몸체(510)와, 힌지단(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른 연결 몸체(510)는 악세사리 밴드(1)의 타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 2연결홈(511)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단(520)은 상기 다른 연결 몸체(510)와, 베이스 몸체(110)의 타단을 힌지 연결한다.
따라서, 다른 연결 몸체(510)는 베이스 몸체(110)의 타단에서 상하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 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탈착부가 베이스 몸체부에 체결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도 8은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가 채택된 악세사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악세사리 밴드(1)의 일단에는 탈착부(400)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베이스 몸체(110)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500)가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몸체(110)와 탈착부(400)와의 체결 과정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 하면, 탈착부(500)의 삽입 몸체(410)는 베이스 몸체(110)의 개구(110b)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210)의 고정 돌기(220)는 삽입되는 삽입 몸체(410)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아울러, 플레이트(210)는 힌지(11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플레이트(210)의 타단은 베이스 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되는 경사면(113)에 밀착되도록 회전된다.
또한,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300)은 압축 상태를 이룬다.
이어, 플레이트(210)의 고정 돌기(220)는 개구(110b)로 삽입 몸체(410)가 삽입되면서 삽입 몸체(4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홈(411)에 끼워지고, 플레이트(210)는 탄성 스프링(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강제 회전 위치된다.
이에 더하여, 플레이트(210)의 고정 돌기(220) 역시, 베이스 몸체(110)의 개구(110b)측 양측벽에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 고정홈(114)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플레이트(210)의 고정 돌기(220)가 삽입 몸체(410)의 고정홈(411)에 끼워짐으로써,베이스 몸체부(100)와 ??착부(400)는 서로 체결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몸체(110)와 탈착부(400)와의 체결 해제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플레이트(210)의 타측을 사용자가 직접 누르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210)의 타측은 힌지(112)을 기준으로 시소(seesaw) 회전되어 베이스 몸체(11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경사면(113)에 접촉된다.
또한, 플레이트(210)의 타측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300)은 압축 상태를 이룬다.
이때, 플레이트(210)의 일측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상태를 이루고, 플레이트(210)의 고정 돌기(220)는 삽입 몸체(410)의 고정홈(411)으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개구(110b)를 통해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 공간(110a)으로 삽입된 삽입 몸체(410)는 개구(110b)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
삽입 몸체(410)가 개구(110b)로부터 이탈되면, 플레이트(210)는 탄성 스프링(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회전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베이스 몸체부(100)와 탈착부(400)를 서로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함으로써, 길이를 갖는 밴드 또는 목걸이의 양단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이상,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분에 걸치는 경우 양단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악세사리의 체결부분에서 휨 각도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신체 곡면 부분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자체를 금 또는 은과 같은 귀금속으로 형성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악세사리 밴드
2 : 체결구
100 : 베이스 몸체부
110 : 베이스 몸체
111 : 단턱
112 : 힌지
113 : 경사면
114 : 위치 고정홈
200 : 고정 플레이트 부
210 : 플레이트
220 : 고정 돌기
230 : 회전 지지 부재
300 : 탄성부
310 : 연결 고리
320 : 스프링 몸체
330 : 받침 몸체
400 : 탈착부
410 : 삽입 몸체
411 : 고정홈
420 : 연결 몸체
421 : 제 1연결홈
500 : 연결부
510 : 다른 연결 몸체
520 : 힌지단

Claims (7)

  1. 일측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부;
    판 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상단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를 원위치로 탄성 복귀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며, 회전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 걸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시소(seesaw)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시소 회전시, 상기 탈착부에 걸치거나 걸침이 해제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 테두리에는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치도록 단차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상단에서 회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하단이 끼워져 탄성지지되는 가이드 홈이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반경을 따르는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에 상기 고정 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삽입 몸체와,
    상기 삽입 몸체의 후단에 형성되며, 악세사리 밴드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타단에는,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악세사리 밴드의 타단과 연결되는 다른 연결 몸체와,
    상기 다른 연결 몸체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타단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6. 삭제
  7.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KR1020140167260A 2014-11-27 2014-11-27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KR10162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260A KR101621939B1 (ko) 2014-11-27 2014-11-27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260A KR101621939B1 (ko) 2014-11-27 2014-11-27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939B1 true KR101621939B1 (ko) 2016-05-18

Family

ID=5611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260A KR101621939B1 (ko) 2014-11-27 2014-11-27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869B1 (ko) * 2018-03-30 2019-02-26 이영철 장신구용 체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027B1 (ko) * 2014-03-17 2014-08-01 주식회사 피엠씨엔에프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착탈식 버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027B1 (ko) * 2014-03-17 2014-08-01 주식회사 피엠씨엔에프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착탈식 버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869B1 (ko) * 2018-03-30 2019-02-26 이영철 장신구용 체결장치
WO2019190135A1 (ko) * 2018-03-30 2019-10-03 이영철 장신구용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8153B1 (en) Ornament
US6675611B2 (en) Necklace mount
JP2009011535A (ja) 装身具
KR101621939B1 (ko)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KR101752649B1 (ko) 휴대폰 케이스용 액세서리
EP2785073A1 (en) Bluetooth listening device with decorative function
JP6667924B1 (ja) 装身具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JP2014006404A (ja) 眼鏡
KR101173074B1 (ko) 장신구
KR101508713B1 (ko) 클립식 단추커버
JP3107275U (ja) クリップ組立体
KR200325072Y1 (ko) 목걸이의 연결고리
KR200326452Y1 (ko) 펜던트 및 반지 겸용 휴대폰 손잡이줄
JPH0216329Y2 (ko)
KR20170033537A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333237Y1 (ko) 휴대용 이동기기 착용구
JP3062500U (ja) 装身具
KR200375854Y1 (ko)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JP3047213U (ja) スカーフクリップ
KR100434911B1 (ko) 착탈이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목걸이 장치
KR200183337Y1 (ko)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KR200212062Y1 (ko) 장탈착형 넥타이
KR20210157250A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JP3038228U (ja) 携帯電話機等を保持可能なヘアー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