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337Y1 -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 Google Patents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337Y1
KR200183337Y1 KR2019980003488U KR19980003488U KR200183337Y1 KR 200183337 Y1 KR200183337 Y1 KR 200183337Y1 KR 2019980003488 U KR2019980003488 U KR 2019980003488U KR 19980003488 U KR19980003488 U KR 19980003488U KR 200183337 Y1 KR200183337 Y1 KR 200183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ornament
shape
pin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673U (ko
Inventor
임건환
Original Assignee
임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건환 filed Critical 임건환
Priority to KR2019980003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337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3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에 관한 것으로, 장식물이 목걸이줄에 매달리도록 상기 장식물에 결합되는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는 상측에 만곡되게 걸림홈이 요입되고 측면에 제 1핀홀이 관통되며 그 일측면에는 탄성부재삽입홈이 요입된 대략 " ∪ " 자 형상을 갖는 몸체의 하단에 장식물이 끼워지도록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상단부에 이탈방지돌기가 상방 돌출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와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 일정한 폭과 형상을 갖고 일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식손잡이부가 형성된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회동가능되게 결합되도록 중앙부에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접촉되도록 제 2핀홀을 갖는 반타원 형상의 측판이 형성되며, 상기 양쪽 측판의 상단에 " ∩ " 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단부에 접촉되는 걸림링이 형성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2핀홀과 제 1핀홀에 삽설되는 핀과; 상기 핀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동된 상부부재에 복귀되는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하부부재의 탄성부재삽입홈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목걸이줄의 형태나 종류에 제한없이 장식물을 매달 수 있고, 신체의 목부분에 목걸이줄이 착용된 상태에서도 장식물의 교체가 짧은 시간내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본 고안은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걸이의 장식물이 목걸이줄에 매달리도록 장식물에 결합되는 고정고리가 직접 목걸이줄에 착탈가능되도록 된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신체부위중 목부분에는 의상을 돋보이게 하거나 심미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목걸이를 걸어서 장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목걸이(10)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에 걸려지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줄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연결부재(미도시)가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진주와 같은 보석이 꿰어져 장식되는 목걸이줄(12)과, 상기 목걸이줄(12)에 매달려지는 다이아몬드나 진주 등으로 된 장식물(14)과, 상기 장식물(14)이 상기 목걸이줄(12)에 용이하게 꿰어지도록 장식물(14)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고리(1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물(14)이 목걸이줄(12)에 걸리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고리(16)는 장식물(14)에 일체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물(14)의 상단에 고리(14a)가 형성되어 이 고리(14a)에 고정고리(16)가 끼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이와 같이 장식물(14)에 고정고리(16)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장식물(14)을 목걸이줄(12)에 매달고자 할 때는 목걸이줄(12)의 일측 단부를 상기 고정고리(16)의 내부에 삽입하고 장식물(14)이 대략 목걸이줄(12)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이동시킨 다음, 목에 걸어서 연결부재(미도시)를 서로 연결하게 되면 목걸이(10)의 착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고리(16)에 의해 목걸이줄(12)에 장식물(14)이 꿰어지는 목걸이(10)는 목걸이줄(12)에 진주와 같은 보석이 꿰어져 있을 경우 고정고리(16)가 삽입되지 않아 장식물(14)을 매달수 없고, 또한 장식물(14)을 매달고자 할 때에도 목걸이줄(12)의 일측 단부에 상기 고정고리(16)를 삽입하여 위치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목걸이줄(12)이 신체의 목부분에 착용된 상태에서는 목걸이줄(12)의 연결부재(미도시)를 분리 해제하여 장식물(14)을 꿴 다음 목걸이줄(12)을 다시 목부위에 위치시켜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고리를 직접 목걸이줄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써, 목걸이줄의 형태나 종류에 제한없이 장식물을 매달 수 있고, 신체의 목부분에 목걸이줄이 착용된 상태에서도 장식물의 교체가 짧은 시간내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식물이 목걸이줄에 매달리도록 상기 장식물에 결합되는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는 상측에 만곡되게 걸림홈이 요입되고 측면에 제 1핀홀이 관통되며 그 일측면에는 탄성부재삽입홈이 요입된 대략 " ∪ " 자 형상을 갖는 몸체의 하단에 장식물이 끼워지도록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상단부에 이탈방지돌기가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와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 장식이 부착 또는 성형되도록 일정한 폭과 형상을 갖고 손가락이 접촉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식손잡이부가 형성된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회동가능되게 결합되도록 중앙부에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접촉되도록 제 2핀홀을 갖는 반타원 형상의 측판이 형성되며, 상기 양쪽 측판의 상단에 " ∩ " 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단부에 접촉되는 걸림링이 형성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2핀홀과 제 1핀홀에 삽설되는 핀과; 상기 핀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동된 상부부재에 복귀되는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하부부재의 탄성부재삽입홈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목걸이의 고정고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목걸이줄, 14:장식물,
100:고정고리, 110:하부부재,
112:몸체, 112a:걸림홈,
112b:제 1핀홀, 112c:탄성부재삽입홈,
112d:요홈, 114:걸림부재,
116:이탈방지돌기, 116a,126a:경사면,
120:상부부재, 122:삽입홈부,
124:측판, 124a:제 2핀홀,
126:걸림링, 130:핀,
140:탄성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물(14)이 목걸이줄(12)에 매달리도록 상기 장식물(14)에 결합되는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100)는 장식물(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직접 목걸이줄(12)에 착탈가능되도록, 상측에 만곡되게 걸림홈(112a)이 요입되고 측면에 제 1핀홀(112b)이 관통되며 그 일측면에는 탄성부재삽입홈(112c)이 요입된 대략 " ∪ " 자 형상을 갖는 몸체(112)의 하단에 장식물(14)이 끼워지도록 걸림부재(1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2)의 일측 상단부에 이탈방지돌기(116)가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116)와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 장식이 부착 또는 성형되도록 일정한 폭과 형상을 갖고 손가락이 접촉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식손잡이부(118)가 형성된 하부부재(1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11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회동가능되게 결합되도록 중앙부에 삽입홈부(122)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상기 몸체(112)의 양측면에 접촉되도록 제 2핀홀(124a)을 갖는 반타원 형상의 측판(124)이 형성되며, 상기 양쪽 측판(124)의 상단에 " ∩ " 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이탈방지돌기(116)의 단부에 접촉되는 걸림링(126)이 형성된 상부부재(120)가 구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부재(120)가 상기 하부부재(110)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2핀홀(124a)과 제 1핀홀(112b)에 삽설되는 핀(130)과, 상기 핀(130)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동된 상부부재(120)에 복귀되는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하부부재(110)의 탄성부재삽입홈(112c)에 삽입되는 탄성부재(140)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부재(1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림부재(114)는 일단이 몸체(112)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식손잡이부(118)의 하단에 연결되어 소정 형상의 걸림공(114a)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탄성부재삽입홈(112c)의 이탈방지돌기(116)측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요홈(112d)이 요입 형성된 것이며,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116)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116a)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손잡이부(118)의 넓이, 높이 및 형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만 장식물(14)을 포함하는 고정고리(100)가 목걸이줄(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부재(110)의 상측으로부터 결합되어 뒤쪽에 위치되는 상부부재(120)가 전면에서 보아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심미감이 도모되고 상부부재(120)의 회동동작시 손가락의 삽입이 용이한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서 예컨대 별도의 보조장식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를 장식손잡이부(118)의 전면에 부착하는 등의 변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에서, 상기 상부부재(120)의 걸림링(126) 단부에는 상기 하부부재(110)의 이탈방지돌기(116)의 경사면(116a)과 면 접촉되도록 대응되는 경사면(126a)이 형성되어 상부부재(120)의 시계방향 회동시에 미끄럼 이탈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에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일단이 상기 하부부재(110)의 요홈(116a)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부재(120)의 삽입홈부(122) 상측에 해당되는 내면에 걸리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고리(100)가 결합된 장식물(14)을 목걸이줄(12)에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부부재(110)의 장식손잡이부(118)를 당기거나 상기 장식손잡이부(118)와 상부부재(120)의 걸림링(126) 사이에 상측으로부터 손가락을 밀어 넣게 되면 상기 하부부재(110)가 핀(130)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부부재(1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서로 접촉되어 있던 걸림링(126)의 경사면(126a)과 이탈방지돌기(116)의 경사면(116a)이 서로 이탈되면서 닫혀 있던 내부공간이 개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링(126)의 하단과 상기 이탈방지돌기(116)의 상단 사이의 공간으로 목걸이줄(12)이 걸어지도록 삽입하고 장식손잡이부(118)와 상부부재(120)의 걸림링(126) 사이에 밀어 넣어진 손가락을 제거하게 되면 내장된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부재(120)가 원위치 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링(126)의 경사면(126a)이 이탈방지돌기(116)의 경사면(116a)에 서로 밀착되면서 개방되어 있던 공간이 밀폐되므로 내부에 삽입된 목걸이줄(12)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장식물(14)을 포함하는 고정고리(100)가 목걸이줄(12)에 이탈됨이 없이 장착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목걸이 착용자가 입고 있던 의상이 변경하게 되어 의상과 목걸이를 서로 조화롭게 하거나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장식물(14)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다시 하부부재(110)의 장식손잡이부(118)와 상부부재(120)의 걸림링(126) 사이에 손가락을 밀어 넣어 상기 걸림링(126)과 이탈방지돌기(116) 사이가 벌어지도록 한 다음 고정고리(100)를 목걸이줄(12)로부터 빼내면 장식물(14)의 제거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새로운 장식물(14)이 매달린 고정고리(100)를 상술한 방법으로 다시 목걸이줄(12)에 매달아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하면 되는 것이므로, 목걸이의 장식물(14)을 교체하기 위해 목걸이줄(12)을 풀거나 고정고리(100)를 목걸이줄(12)에 꿸 필요가 없이 짧은 시간내에 간편하게 장식물의 교체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에 의하면, 장식물이 결합된 고정고리가 목걸이줄의 일측 단부로부터 꿰어지는 구조가 아니라 고정고리가 목걸이줄의 위치에 상관없이 끼워져 걸리는 구조이므로, 짧은 시간내에 간편하게 장식물의 장착이 이루어지고, 목걸이줄의 형태나 종류에 상관없이 장식물을 매달 수 있으며, 특히 목걸이줄이 신체의 목부분에 착용된 상태에서도 장식물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장식물이 목걸이줄에 매달리도록 상기 장식물에 결합되는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100)는 상측에 만곡되게 걸림홈(112a)이 요입되고 측면에 제 1핀홀(112b)이 관통되며 그 일측면에는 탄성부재삽입홈(112c)이 요입된 대략 " ∪ " 자 형상을 갖는 몸체(112)의 하단에 장식물(14)이 끼워지도록 걸림부재(1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2)의 일측 상단부에 이탈방지돌기(116)가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116)와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 장식이 부착 또는 성형되도록 일정한 폭과 형상을 갖고 손가락이 접촉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식손잡이부(118)가 형성된 하부부재(110)와;
    상기 하부부재(11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회동가능되게 결합되도록 중앙부에 삽입홈부(122)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상기 몸체(112)의 양측면에 접촉되도록 제 2핀홀(124a)을 갖는 반타원 형상의 측판(124)이 형성되며, 상기 양쪽 측판(124)의 상단에 " ∩ " 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이탈방지돌기(116)의 단부에 접촉되는 걸림링(126)이 형성된 상부부재(120)와;
    상기 상부부재(120)가 상기 하부부재(110)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2핀홀(124a)과 제 1핀홀(112b)에 삽설되는 핀(130)과;
    상기 핀(130)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동된 상부부재(120)에 복귀되는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하부부재(110)의 탄성부재삽입홈(112c)에 삽입되는 탄성부재(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KR2019980003488U 1998-03-11 1998-03-11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KR200183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88U KR200183337Y1 (ko) 1998-03-11 1998-03-11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88U KR200183337Y1 (ko) 1998-03-11 1998-03-11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73U KR19990037673U (ko) 1999-10-15
KR200183337Y1 true KR200183337Y1 (ko) 2000-06-01

Family

ID=1953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488U KR200183337Y1 (ko) 1998-03-11 1998-03-11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3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73U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494A (en) Button
JPS62501646A (ja) 装身具または腕時計の製作方法
JP3043338B1 (ja) 首飾りの装飾物固定環
KR200183337Y1 (ko) 목걸이의 장식물 고정고리
US4974429A (en) Combined bracelet and pendant
KR200415394Y1 (ko) 액세서리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200246452Y1 (ko) 벨트 고정 장치
WO2002035958A1 (fr) Bijou
KR200242625Y1 (ko) 장식이 탈부착되는 반지
KR200325072Y1 (ko) 목걸이의 연결고리
KR200413046Y1 (ko) 보조잠금장치를 가진 장식부재
KR101806030B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200236002Y1 (ko) 목걸이용 장식부재의 착탈구조
KR200210251Y1 (ko) 목걸이
JP3094034U (ja) 装身具用連結構造
KR200205279Y1 (ko) 팔지 걸이구
KR200179953Y1 (ko) 넥타이용 장식구
JP2556069Y2 (ja) 宝石取り替え装置付き装身用宝飾品
KR200284546Y1 (ko) 머리핀
JP3071869U (ja) 宝石などの装飾部材を取替え可能とした装身具
KR200205271Y1 (ko) 악세사리 체결구
KR200150604Y1 (ko) 벨트겸용 삐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