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713B1 - 클립식 단추커버 - Google Patents

클립식 단추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713B1
KR101508713B1 KR20130118706A KR20130118706A KR101508713B1 KR 101508713 B1 KR101508713 B1 KR 101508713B1 KR 20130118706 A KR20130118706 A KR 20130118706A KR 20130118706 A KR20130118706 A KR 20130118706A KR 101508713 B1 KR101508713 B1 KR 101508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lip
design
wearer
butt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즈다이나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즈다이나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즈다이나믹스
Priority to KR2013011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4Ornamental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44B1/14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with replaceable or 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식 단추커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자인부에 기업이나 단체의 로고를 비롯하여 착용자가 원하는 맞춤식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어, 기존에 자켓 등의 라펠부위에 꽂아서 기업이나 단체 등의 로고를 표시하는 뱃지 형태 이외에 단추커버라는 새로운 수단에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 구축의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고, 하우징부 형성시 디자인부의 지름을 기준으로 요철형 고정부 방향은 개방함으로써, 수용되는 단추의 지름을 기준으로 탈부착시 걸리는 부분을 제거하여 탈부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하우징부의 양측 단부를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의 경사부로 구현함으로써 임계값 이상의 결속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수용공간 내부의 단추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동시에 부착과 탈착시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며, 요철형 고정부를 통해 단추의 결속성을 확보하여 단추가 착용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유선형의 곡면은 단추로부터 클립식 단추커버를 분리할 때 착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하면 단추가 미끄러져 나오도록 하여 분리를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부와 클립형 고정부와 하우징부 및 요철형 고정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양산에 보다 적합한 클립식 단추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추에 착용시 일측면은 착용자의 전방을 향하고, 타측면은 착용자 방향을 향하여 단추와 접촉하는 디자인부; 디자인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단추에 착용시 일측면은 단추에 탄성력을 가하면서 일부가 단추와 접촉하고 타측면은 착용자 방향을 향하는 클립형 고정부; 디자인부와 클립형 고정부를 연결하며 단추를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디자인부의 타측면 중 하우징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단추에 착용시 단추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외측 단부가 착용자 방향으로 돌출되는 요철형 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립식 단추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립식 단추커버{Button cover of clip type}
본 발명은 클립식 단추커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자인부에 기업이나 단체의 로고를 비롯하여 착용자가 원하는 맞춤식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어, 기존에 자켓 등의 라펠부위에 꽂아서 기업이나 단체 등의 로고를 표시하는 뱃지 형태 이외에 단추커버라는 새로운 수단에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 구축의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고, 하우징부 형성시 디자인부의 지름을 기준으로 요철형 고정부 방향은 개방함으로써, 수용되는 단추의 지름을 기준으로 탈부착시 걸리는 부분을 제거하여 탈부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하우징부의 양측 단부를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의 경사부로 구현함으로써 임계값 이상의 결속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수용공간 내부의 단추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동시에 부착과 탈착시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며, 요철형 고정부를 통해 단추의 결속성을 확보하여 단추가 착용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유선형의 곡면은 단추로부터 클립식 단추커버를 분리할 때 착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하면 단추가 미끄러져 나오도록 하여 분리를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부와 클립형 고정부와 하우징부 및 요철형 고정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양산에 보다 적합한 클립식 단추커버에 관한 것이다.
단추는 의복 전체에 있어 크기는 작지만 의복의 필수품인 동시에 유일한 장식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의복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과거에는 단추는 의복의 부자재로서만 인식되어 있어 다양한 단추를 탈부착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식미를 더하고자 하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 젊은층을 중심으로 가격은 저렴하나 남과 다른 본인만의 개성표현을 추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 의복의 부자재로만 인식되고 있던 단추를 하나의 장식품으로서 인식하고, 하나의 의복에 다양한 디자인의 단추를 취향에 따라 탈부착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환으로 의복에 기 부착되어 있는 단추에 다양한 디자인의 단추커버를 씌워 본인만의 개성을 표출하고자 하는 것이 있다.
클립 형태로 단추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현된 단추커버가 몇몇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클립부분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액세서리 내부에 손가락을 끼워 벌리거나, 클립과 연결된 지렛대의 반대편을 눌러 벌려서 착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실제 사용시 매우 불편한 관계로, 클립식 단추커버는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단추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추커버를 클립식으로 구현하였으나, 단추는 전 방향으로 드러나 있는 개방형인 관계로 단추의 형상적인 특징과 사이즈에 대한 고려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머리핀과 같은 클립방식으로 형성하여 결속성과 탈부착의 용이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추에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나, 단추에 살짝 걸치는 정도에 불과하여 결속성이 매우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추에 클립식으로 착탈 가능하고 전면에 원하는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결속성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클립식 단추커버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작동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견고한 결속성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뱃지 형태 이외에 단추커버라는 새로운 수단에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 구축의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는 클립형 단추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는 단추에 착용시 일측면은 착용자의 전방을 향하고, 타측면은 착용자 방향을 향하여 단추와 접촉하는 디자인부; 디자인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단추에 착용시 일측면은 단추에 탄성력을 가하면서 일부가 단추와 접촉하고 타측면은 착용자 방향을 향하는 클립형 고정부; 디자인부와 클립형 고정부를 연결하며 단추를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디자인부의 타측면 중 하우징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단추에 착용시 단추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외측 단부가 착용자 방향으로 돌출되는 요철형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요철형 고정부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 사이에는 유선형의 곡면이 형성되어 단추로부터 분리시 힘을 가하면 미끄러져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는 디자인부 타측면의 일부에 구비되되, 하우징부의 양측 단부는 각각 디자인부의 외주연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부를 이루고, 경사부는 디자인부를 하부, 클립형 고정부를 상부로 정의하였을 때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인부에 기업이나 단체의 로고를 비롯하여 착용자가 원하는 맞춤식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어, 기존에 자켓 등의 라펠부위에 꽂아서 기업이나 단체 등의 로고를 표시하는 뱃지 형태 이외에 단추커버라는 새로운 수단에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 구축의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부 형성시 디자인부의 지름을 기준으로 요철형 고정부 방향은 개방하여, 수용되는 단추의 지름을 기준으로 탈부착시 걸리는 부분을 제거하여 탈부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하우징부의 양측 단부를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의 경사부로 구현함으로써 임계값 이상의 결속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수용공간 내부의 단추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동시에 부착과 탈착시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요철형 고정부를 통해 단추의 결속성을 확보하여 단추가 착용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유선형의 곡면은 단추로부터 클립식 단추커버를 분리할 때 착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하면 단추가 미끄러져 나오도록 하여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인부와 클립형 고정부와 하우징부 및 요철형 고정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양산에 보다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단추커버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의 사시도,
도 6은 도 5 중 요철형 고정부의 상세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중 요철형 고정부의 상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디자인부(10), 클립형 고정부(20), 하우징부(30), 및 요철형 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착용자의 전방은 착용자가 정면을 바라볼 때 착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하고, 착용자 방향은 착용자가 정면을 바라볼 때 착용자에게 가까워지는 방향(착용자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부와 하부는 도 5의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디자인부(10)는 단추에 착용시 일측면은 착용자의 전방을 향하고, 타측면은 착용자 방향을 향하여 단추와 접촉한다. 디자인부(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추의 형상에 따라 삼각판, 사각판, 오각판 등의 각판 형상이나 타원판 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디자인부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디자인부(10)의 일측면에는 디자인이 삽입된다. 디자인으로는 기업, 단체 등의 로고를 비롯하여 착용자가 원하는 맞춤식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는 기존에 자켓 등의 라펠부위에 꽂아서 기업이나 단체 등의 로고를 표시하는 뱃지 형태 이외에 단추커버라는 새로운 수단에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 구축의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다.
클립형 고정부(20)는 디자인부(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클립형 고정부(20)는 단추에 착용시 일측면은 단추에 탄성력을 가하면서 일부가 단추와 접촉하고, 타측면은 착용자 방향을 향하게 된다.
도 5 같이 클립형 고정부(20)는 중앙에 홀(hole)이 형성되고, 홀을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의 누름부가 형성된다. 홀에는 단추의 실 감침부(미도시)가 삽입된다. 한 쌍의 누름부는 도 5를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 부분이 단추에 밀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자체 탄성에 의해 클립식 단추커버를 단추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 쌍의 누름부는 삽입되는 단추의 후면부(실 감침부가 위치하는 면)에 접촉되는 클립면으로, 단추에 삽입시에는 탄성에 의해 단추의 후면을 누르고 있다가 탈착시 살짝만 힘을 가하면 미끄러지듯이 단추로부터 분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반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도 1 내지 도 3의 예를 포함한 일반적인 클립식 단추커버에서 클립 부분은 단추를 누르고 있는 역할은 수행하나, 탈착시에 약간의 힘만 주면 "찰칵" 하고 빠질 수 있는 설계가 아니다.
이때, 도 6과 같이 클립형 고정부 중 단추를 누르고 있는 부분을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운 두께로 보강함으로써 변형 또는 파손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부(30)는 디자인부(10)와 클립형 고정부(20)를 연결하며 단추를 수용한다.
하우징부(30)는 디자인부(10)와 클립형 고정부(20) 사이의 공간 중 일부에 형성된다. 하우징부(30)가 디자인부(10)와 클립형 고정부(20) 사이의 공간 전체에 형성될 경우, 즉 하우징부(30)가 단추 전체를 수용할 경우 단추와의 견고한 결속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다양한 두께로 형성되는 단추 전체를 커버할 수 없고 단추와의 결합 및 분리시 탈부착의 편의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하우징부(30)는 디자인부(10) 타측면의 일부에 구비되되, 하우징부(30)의 양측 단부는 각각 디자인부(10)의 외주연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부를 이룬다.
하우징부(30)의 양측 단부가 경사부를 이루는 대신 수직으로 형성되면 단추의 착탈시 수직의 모서리 부분에 단추가 걸려 착탈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단추에 흠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30)의 경사부는 도 5와 같이 디자인부(10)를 하부, 클립형 고정부(20)를 상부로 정의하였을 때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인은 경사부가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위로 볼록한 형상을 취할 경우 단추 탈부착시 걸리는 부분이 발생하게 됨을 확인하고 이와 같은 구조로 설계하기에 이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부(30)는 디자인부(10)의 지름(1/2 지점)을 기준으로 요철형 고정부(40) 방향은 개방한다. 이는 수용되는 단추의 지름을 기준으로 탈부착시 걸리는 부분을 제거하여 탈부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우징부(30)의 양측 단부를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의 경사부로 구현한 것은 임계값 이상의 결속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수용공간 내부의 단추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동시에 부착과 탈착시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반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도 1 내지 도 3의 예를 비롯한 일반적인 클립식 단추커버는 하우징부의 양측 단부가 곡선 형태의 경사부로 설계되어 있지 않아 단추의 탈부착시 걸리는 부분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단추에 흠이 생길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의 단추 전체를 커버할 수 없게 된다.
요철형 고정부(40)는 디자인부(10)의 타측면 중 하우징부(30)와 반대 방향, 즉 단추에 착용시 단추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요철형 고정부(40)는 외측 단부가 착용자 방향으로 돌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과 같이 요철형 고정부(40)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 사이에 유선형의 곡면이 형성된다. 유선형의 곡면은 도 5를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취하며, 단추로부터 클립식 단추커버를 분리시 힘을 가하면 단추가 유선형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져 빠져 나오도록 한다.
즉, 요철형 고정부(40)의 외측 단부에 구비된 돌출부는 단추의 결속성을 확보하여 단추가 착용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유선형의 곡면은 단추로부터 클립식 단추커버를 분리할 때 착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하면 단추가 미끄러져 나오도록 하여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반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도 1 내지 도 3의 예를 비롯한 일반적인 클립식 단추커버는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아 단추가 쉽게 단추커버로부터 이탈되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선형의 곡면을 적용하지 않은 채 돌기만 형성한 경우에는 단추의 탈착시 돌기에 걸려 단추에 흠이 생길 수 있음은 물론 탈착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를 구성하는 디자인부(10)와 클립형 고정부(20)와 하우징부(30) 및 요철형 고정부(40)는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양산에 보다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하우징부를 클립형 고정부의 위치까지 절단한 실시예이고, 도 8은 하우징부가 디자인부의 대략 1/2 지점까지 형성되도록 하되, 경사부 대신 수직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는 기존의 단추커버 형태에 비해 단추 자체로 인지될 수 있어, 단순히 악세서리 착용을 통해 개성을 드러낸다는 차원을 넘어, 동일한 의류에 다양한 심미적 디자인의 클립식 단추커버를 적용하여 마치 여러벌의 의류처럼 인지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는 새로움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 등의 개성표현의 새로운 도구로 활용될 수 있고, 여벌효과(having extra garment)를 누릴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기업, 단체, 기관 등에서는 재킷의 라펠 부분에 로고가 새겨진 뱃지를 꽂아 소속감과 기업 브랜지 인지도 구축을 도모하였는데, 이는 권위와 소속감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진 측면이 있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와 자유로운 비즈니스 활동 등을 이유로 쿨 비즈룩, 세미 캐주얼룩 등을 통해 비즈니스 의류에 자유로움이 더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은 기업이미지를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이미지로 쇄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립식 단추커버는 상대방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머무는 셔츠 상단에 보여지게 되므로 특정 목적의 홍보효과 및 기업, 단체의 친숙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디자인부 20 - 클립형 고정부
30 - 하우징부 40 - 요철형 고정부

Claims (3)

  1. 단추에 착용시 일측면은 착용자의 전방을 향하고, 타측면은 착용자 방향을 향하여 단추와 접촉하는 디자인부;
    디자인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단추에 착용시 일측면은 단추에 탄성력을 가하면서 일부가 단추와 접촉하고 타측면은 착용자 방향을 향하는 클립형 고정부;
    디자인부와 클립형 고정부를 연결하며 단추를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디자인부의 타측면 중 하우징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단추에 착용시 단추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외측 단부가 착용자 방향으로 돌출되는 요철형 고정부를 포함하며,
    요철형 고정부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 사이에는 유선형의 곡면이 형성되어 단추로부터 분리시 힘을 가하면 미끄러져 빠져나오도록 하는 클립식 단추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부는 디자인부 타측면의 일부에 구비되되, 하우징부의 양측 단부는 각각 디자인부의 외주연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부를 이루고, 경사부는 디자인부를 하부, 클립형 고정부를 상부로 정의하였을 때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취하는 클립식 단추커버.



KR20130118706A 2013-10-04 2013-10-04 클립식 단추커버 KR10150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706A KR101508713B1 (ko) 2013-10-04 2013-10-04 클립식 단추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706A KR101508713B1 (ko) 2013-10-04 2013-10-04 클립식 단추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713B1 true KR101508713B1 (ko) 2015-04-07

Family

ID=5303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8706A KR101508713B1 (ko) 2013-10-04 2013-10-04 클립식 단추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3047B1 (en) 2016-12-14 2018-06-12 Jessica M. Patterson Button cover and method of 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3009U (ko) * 1989-12-29 1991-09-24
JPH059306U (ja) * 1991-07-23 1993-02-09 五輪男 中山 ボタンカバー
US20080313864A1 (en) 2007-01-29 2008-12-25 Suter Teresa M Button cover adapter for jeans
KR20120118620A (ko) * 2011-04-19 2012-10-29 윤정현 단추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3009U (ko) * 1989-12-29 1991-09-24
JPH059306U (ja) * 1991-07-23 1993-02-09 五輪男 中山 ボタンカバー
US20080313864A1 (en) 2007-01-29 2008-12-25 Suter Teresa M Button cover adapter for jeans
KR20120118620A (ko) * 2011-04-19 2012-10-29 윤정현 단추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3047B1 (en) 2016-12-14 2018-06-12 Jessica M. Patterson Button cover and method of use
US10555584B2 (en) 2016-12-14 2020-02-11 Jessica M. Patterson Button cover and metho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6627B2 (en) Leafing leather cover of cellular phone and smart phone using the same
USD629005S1 (en) Menu bearing button for a touch-based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US20120272483A1 (en) Sunglasses retainer for caps
US9285607B2 (en) Eyewear retainer
US20040204169A1 (en) Carrying device having an interchangeable face plate
KR101508713B1 (ko) 클립식 단추커버
US5884337A (en) Integral hat mirror
KR101298169B1 (ko) 착탈이 용이한 모자용 장식구
KR101425452B1 (ko) 교체가능한 탈부착식 단추케이스
US20200329799A1 (en) Snap caps
KR200476643Y1 (ko) 챙 교체형 모자
EP1811330A1 (en) Accessory
KR200468401Y1 (ko) 집게장식 귀걸이
JP3141848U (ja) 装飾カバー
KR200475055Y1 (ko) 챙 장식용 악세사리
US20080250678A1 (en) Kits, Methods, and Accessories for Decoratively Reconfiguring and Protecting a Retractable Device
KR200398397Y1 (ko) 브로치
KR101621939B1 (ko)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JP5137114B2 (ja) 補聴器
KR20140134762A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1223602B1 (ko) 휴대 단말기용 장신구
CN103689881B (zh) 磁性徽章
KR200493098Y1 (ko)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
JP3211908U (ja) 携帯端末用ケース
CN218127273U (zh) 可穿戴设备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