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762A -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762A
KR20140134762A KR1020130053878A KR20130053878A KR20140134762A KR 20140134762 A KR20140134762 A KR 20140134762A KR 1020130053878 A KR1020130053878 A KR 1020130053878A KR 20130053878 A KR20130053878 A KR 20130053878A KR 20140134762 A KR20140134762 A KR 2014013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body
coupling
fli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표
Original Assignee
(주)모비테크
정성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테크, 정성표 filed Critical (주)모비테크
Priority to KR102013005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762A/ko
Publication of KR2014013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의 앞면을 개폐하는 플립커버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을 감싸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앞면을 개폐하는 플립커버와; 상기 클립커버를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클립커버를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PROTECTING COVER FOR MOBILE TERMINAL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의 앞면을 개폐하는 플립커버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고, 미려한 외관의 창출과 사용자의 개성표현을 위한 악세사리로 휴대폰을 덮는 보호 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화면에 전면에 구비되는 터치형 휴대폰 즉 스마트폰이 대세를 이루면서 보호커버의 사용이 더욱 늘고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는 보통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의 앞면을 개폐하는 플립커버로 이루어진다.
요즘에는 보호커버가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미적으로 자신의 취향에 맞게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더 이용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색상,무늬,형태를 갖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5559호 (2013년04월11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307호 (2011년05월02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플립커버를 커버본체에 고정결합시키거나,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플립커버를 구입하여 커버본체에 용이하게 교체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휴대단말기의 측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앞면을 개폐하는 플립커버와; 상기 클립커버를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클립커버를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안쪽에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는,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안쪽에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축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축을 감싸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체결부가 감싸는 중공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축은 상기 중공부재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체결부 및 중공부재는 각각 1개 또는 다수개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부재의 길이는 상기 삽입공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지지축은 다수개의 상기 중공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커버본체의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면의 외면에는 상기 삽입공의 주변에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이 삽입 배치되는 단차홈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된 제1지퍼부와;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제2지퍼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퍼부와 제2지퍼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된 제1도트단추와;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제2도트단추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트단추와 제2도트단추의 압입 결합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본체 및 플립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립커버가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점착부재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본체 또는 플립커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자석과; 상기 커버본체 또는 플립커버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된 철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석과 철판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따르면, 결합부재를 통해 플립커버를 커버본체에 고정결합시키거나,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플립커버를 구입하여 커버본체에 용이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및 단면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커버본체(10)와, 플립커버(20)와, 결합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본체(10)는 휴대단말기(40)의 측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된다.
상기 커버본체(10)는 휴대단말기의 뒷면 배터리커버일 수도 있고, 휴대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일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본체(10)는 합성수지, 가죽, 고무, 섬유, 메탈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립커버(20)는 상기 커버본체(1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또는 고정 결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본체(10)에 장착된 휴대단말기(40)의 앞면을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플립커버(20)는 합성수지, 가죽,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플립커버(20)를 상기 커버본체(10)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본체(10)의 일측면에는 삽입공(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립커버(2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결합되는 체결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21)는 상기 커버본체(10)의 바깥쪽 또는 측면부에서 상기 커버본체(10)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커버본체(10)의 안쪽에서 상기 결합부재(30)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21)는 상기 커버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1)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본체(10)의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삽입공(11) 및 체결부(21)는 각각 1개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30)는, 중공부재(31)와 지지축(32)과 결합돌기(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부재(31)는 안쪽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튜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21)는 가죽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공부재(3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2)은 상기 중공부재(31)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결합돌기(33)게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중공부재(31)없이 상기 체결부(21)가 직접적으로 상기 지지축(32)을 감싸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33)는 상기 커버본체(10)의 내측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33)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축(32)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32)은 상기 결합돌기(33)에 탈착됨이 없이 고정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공(11), 체결부(21) 및 중공부재(31)가 각각 1개 또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중공부재(31)의 길이는 상기 삽입공(11)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공부재(31)의 길이는 상기 삽입공(11)의 길이와 같거나 짧도록 하여, 상기 중공부재(31)를 감싸고 있는 상기 체결부(21)가 상기 삽입공(11)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중공부재(31)의 길이가 상기 삽입공(11)의 길이보다 약간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중공부재(31)를 휘어서 상기 삽입공(11)을 관통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2)은 상기 삽입공(11)을 통해 상기 커버본체(10)의 안쪽으로 유입된 상기 체결부(21)를 상기 결합돌기(33)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축(32)이 다수개의 상기 중공부재(31)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돌기(33)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축(32)의 길이는 상기 중공부재(31) 및 체결부(21)의 길이보다 길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축(32)을 감싸는 상기 체결부(21)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홈(13)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중공부재(31) 및 지지축(32)을 감싸는 상기 체결부(21)의 직경이 커져도 일부가 상기 안착홈(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체결부(21)가 상방향으로 많이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2)의 단면은 원형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버본체(10)의 일측면의 외면에는 상기 삽입공(11)의 주변에 상기 플립커버(20)의 일측이 삽입 배치되는 단차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홈(12)은 상기 커버본체(10)의 일측면의 외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단차홈(12)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20)의 일측은 상기 단차홈(12)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플립커버(20)와 커버본체(10) 사이에 빈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립커버(20)가 외력에 의해 신장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플립커버(20)가 당겨져 늘어나더라도, 상기 플립커버(20)의 일측이 상기 단차홈(12)에 삽입되어 있는바, 상기 플립커버(20)와 커버본체(10) 사이에 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11)은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개방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작 및 사용방법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플립커버(20)의 일측으로 상기 중공부재(31)를 감싸도록 한다.
그 후 상기 플립커버(20)의 일측을 절개하여 다수개의 상기 체결부(21)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체결부(21)를 상기 커버본체(10)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1)에 삽입한다.
상기 삽입공(11)을 관통한 상기 체결부(21)는 상기 커버본체(10)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재(31)에 상기 지지축(32)을 삽입한다.
그 후 상기 지지축(32)을 상기 결합돌기(33)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플립커버(20)를 상기 커버본체(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축(32)에 상기 결합돌기(3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플립커버(2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축(32)을 상기 결합돌기(33)에서 분리한 후 상기 지지축(32)을 상기 중공부재(31)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면 상기 플립커버(20)를 상기 커버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커버본체(10)에 휴대단말기(40)를 장착하여 상기 결합부재(3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색상, 무늬, 형상 등의 플립커버(20)만을 구입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보호커버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지지축(32)은 회전축이 아니고 상기 플립커버(20)를 상기 커버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플립커버(20)는 상기 커버본체(10)의 일측 외주면의 접촉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휴대단말기(40)의 앞면을 개폐한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결합부재(30)에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커버본체(10)에 형성된 제1지퍼부(34a)와, 상기 플립커버(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지퍼부(34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지퍼부(34a)와 제2지퍼부(34b)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20)는 상기 커버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결합부재(30)에 차이가 있다.
제3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커버본체(10)에 형성된 제1도트단추(35a)와, 상기 플립커버(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도트단추(3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도트단추(35a)와 제2도트단추(35b)에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제1도트단추(35a)와 제2도트단추(35b)의 압입 결합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20)는 상기 커버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결합부재(30)에 차이가 있다.
제4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본체(10) 및 플립커버(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립커버(20)가 상기 커버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점착부재(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점착부재(36)는 양면테이프, 점착젤, 실리콘점착제, 점착패드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플립커버(20)를 상기 커버본체(10)에 반복하여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결합부재(30)에 차이가 있다.
제5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커버본체(10) 또는 플립커버(2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자석(37a)과, 상기 커버본체(10) 또는 플립커버(20)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된 철판(37b)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37a)은 상기 커버본체(1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철판(37b)은 상기 플립커버(20)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37a)과 철판(37b)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20)는 상기 커버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커버본체, 11 : 삽입공, 12 : 단차홈, 13 : 안착홈,
20 : 플립커버, 21 : 체결부,
30 : 결합부재, 31 : 중공부재, 32 : 지지축, 33 : 결합돌기, 34a : 제1지퍼부, 34b : 제2지퍼부, 35a : 제1도트단추, 35b : 제2도트단추, 36 : 점착부재, 37a : 자석, 37b : 철판,
40 : 휴대단말기,

Claims (13)

  1. 휴대단말기의 측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앞면을 개폐하는 플립커버와;
    상기 클립커버를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클립커버를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안쪽에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안쪽에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4.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축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축을 감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체결부가 감싸는 중공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축은 상기 중공부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체결부 및 중공부재는 각각 1개 또는 다수개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부재의 길이는 상기 삽입공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지지축은 다수개의 상기 중공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8.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커버본체의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면의 외면에는 상기 삽입공의 주변에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이 삽입 배치되는 단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10.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된 제1지퍼부와;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제2지퍼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퍼부와 제2지퍼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11.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된 제1도트단추와;
    상기 플립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제2도트단추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트단추와 제2도트단추의 압입 결합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12.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본체 및 플립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립커버가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점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1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본체 또는 플립커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자석과;
    상기 커버본체 또는 플립커버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된 철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석과 철판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20130053878A 2013-05-13 2013-05-13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20140134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878A KR20140134762A (ko) 2013-05-13 2013-05-13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878A KR20140134762A (ko) 2013-05-13 2013-05-13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762A true KR20140134762A (ko) 2014-11-25

Family

ID=5245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878A KR20140134762A (ko) 2013-05-13 2013-05-13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7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876B1 (ko) * 2019-05-22 2020-06-18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휴대폰 케이스
WO2021006395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876B1 (ko) * 2019-05-22 2020-06-18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휴대폰 케이스
WO2021006395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62816A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TW200522841A (en) Interlocking cover for mobile terminals
CN106073069B (zh) 设计成安装在可移除的支承件上的手表
JPH10322426A (ja) 携帯電話機
KR101275281B1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084548B1 (ko) 실드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52011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55692Y1 (ko) 배터리커버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65624Y1 (ko) 장식물이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
KR101197173B1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케이스
KR20120003703U (ko)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140134762A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CN105867541B (zh) 一种穿戴式智能设备
KR200462730Y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130079088A (ko) 손목시계 케이스
KR20150004606U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 및 수납 케이스
KR20150091610A (ko) 착탈형 스마트폰 플립케이스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0473933Y1 (ko) 케이스커버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용기기 보호케이스
CN105661726A (zh) 一种帽子
KR200440561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7184Y1 (ko) 다양한 장식부재 장착이 가능한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508713B1 (ko) 클립식 단추커버
KR101821486B1 (ko) 이어폰과 버튼이 구비된 넥타이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