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168A -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 Google Patents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168A
KR20160144168A KR1020150080612A KR20150080612A KR20160144168A KR 20160144168 A KR20160144168 A KR 20160144168A KR 1020150080612 A KR1020150080612 A KR 1020150080612A KR 20150080612 A KR20150080612 A KR 20150080612A KR 20160144168 A KR20160144168 A KR 20160144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hole
elastic fixing
contact surface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168A/ko
Publication of KR2016014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는, 사용자의 귓볼과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중심에 위치하여 귀걸이 핀이 상기 접촉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 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는 제 1 측 탄성고정편;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과의 사이에서 상기 귀걸이 핀이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는 제 2 측 탄성고정편; 및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과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귀걸이 핀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BACKSIDE DECORATING ELEMENT FOR EARRING AND EARRING S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귀걸이 핀이 통과되는 천공을 복수개로 형성하되, 귓볼의 뒷면에 접촉하는 영역에 복수개의 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귓볼에 귀걸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귀고리)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바, 하나는 귓볼에 구멍이 뚫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귓볼에 부착할 수 있는 귀걸이와, 다른 하나는 귓볼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만 귓볼에 부착할 수 있는 귀걸이로 대별되는 바, 본 발명은 후자의 경우와 같이 귓볼에 뚫린 구멍을 통해 부착할 수 있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핀형 귀걸이 뒷장식부재(일반적으로 해당업계에서는 ?클????라 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중앙부의 천공구멍(16)과 텐션을 이용하여 가이드 홈으로 유도하는 양날개를 가진 클러치(15)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양날개를 가진 클러치(2)는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천공구멍(16)이 마모되어 헐거워지고 양날개의 텐션이 약화되어 스프링효과가 감소하여 빈번하게 귀걸이 교체를 하여야 했으며, 귀걸이 핀(18)과 클러치(15) 사이가 정확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고가(高價)의 보석(17)을 사용하는 핀형 귀걸이의 특성상 뒷장식 부재가 없는 상태이거나 다른 대체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핀형 귀걸이가 빠져서 분실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귀걸이 핀이 통과되는 천공을 복수개로 형성하되, 귓볼의 뒷면에 접촉하는 영역에 복수개의 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귓볼에 귀걸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관련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810211호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핀 귀걸이에서의 귀걸이 핀이 통과하는 라인을 이중 프레임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귀걸이 핀의 흔들림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귓볼 뒤면에 닿는 접촉면에 음각의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귀걸이가 미끌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는, 사용자의 귓볼과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중심에 위치하여 귀걸이 핀이 상기 접촉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 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 부재와 연결되는 제 1 측 탄성고정편;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과의 사이에서 상기 귀걸이 핀이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접촉 부재와 연결되는 제 2 측 탄성고정편; 및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과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귀걸이 핀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은, 상기 접촉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접촉면의 타측의 양쪽 끝단 중 제 1측 끝단에서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은, 상기 접촉면의 타측의 양쪽 끝단 중 제 2 측 끝단에서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은,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되, 시계방향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은,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되, 반시계방향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탄성고정편 및 상기 제 2 탄성고정편과 결합되며, 상기 접촉부재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제 1 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을 모두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촉면은, 음각으로 형성되어 움푹패인 홈을 가짐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귓볼에서 상기 접촉면이 미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홈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홈은, 상기 제 1 관통홀에서 상기 접촉면의 외곽라인까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상기 사용자의 귓볼,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의 순서대로 관통되어 상기 사용자의 귓볼과, 상기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고정시키는 귀걸이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 귀걸이에서의 귀걸이 핀이 통과하는 라인을 이중 프레임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귀걸이 핀의 흔들림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귓볼 뒤면에 닿는 접촉면에 음각의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귀걸이가 미끌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러치(뒷장식부재)와 핀형 귀걸이를 조립한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의 접촉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의 접촉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10)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10)는 접촉부재(11), 제 1 측 탄성고정편(12), 제 2 측 탄성고정편(13) 및 연결부재(14)를 필수적 구성요소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접촉부재(11)는, 접촉면(a)과 제 1 관통홀(1)을 구비하게 되며, 상기 접촉면(a)은 사용자의 귓볼에 접촉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1)은 상기 접촉면(a)의 중심에 위치하여 귀걸이 핀이 상기 접촉면(a)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12) 및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13)은 상기 접촉부재(11)와 연결되며,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12)과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13)과의 사이에서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접촉부재(11)와 연결되는 구성을 취한다.
이 때,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12)은 상기 접촉면(a)의 타측의 양쪽 끝단 중 제 1측 끝단에서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13)은, 상기 접촉면(a)의 타측의 양쪽 끝단 중 제 2 측 끝단에서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면(a)의 타측이라 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면(a)이 윗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반하여, 상기 접촉면(a)의 타측은 상기 접촉면(a)의 아래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촉부재(11)의 윗부분에는 접촉면(a)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재(11)의 아랫부분, 즉, 상기 접촉면(a)의 타측에는 제 1 측 탄성고정편(12)과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13)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 1 측이라 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면(a)의 타측 중에 왼쪽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측이라 함은 상기 접촉면(a)의 타측 중에 오른쪽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 탄성고정편(12)과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13)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12)은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되, 시계방향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13)은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되, 반시계방향으로 굴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10)를 뒤집어서 볼 경우, 상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은 상호 간에 바뀔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12)과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13)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귀걸이 핀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 2 관통홀(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14)는 상기 제 1 탄성고정편(12) 및 상기 제 2 탄성고정편(13)과 결합되며, 상기 접촉부재(11)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관통홀(2)은 상기 제 1 관통홀(1)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1) 및 상기 제 2 관통홀(2)은,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 1 관통홀(1) 및 상기 제 2 관통홀(2)을 모두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연결부재(14)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12)과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13)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부재들은 모두 관통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됨에 따라서 귀걸이 핀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10)의 접촉부재(11)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재(11)는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제 1 관통홀(1)과 접촉면(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접촉면(a)은 음각으로 형성되어 움푹패인 홈(4,5,6,7)을 가짐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귓볼에서 상기 접촉면(a)이 미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4,5,6,7)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홈(4,5,6,7)은 상기 제 1 관통홀(1)에서 상기 접촉면(a)의 외곽라인까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에 대한 기술내용은 중복되는 내용에 해당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100)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1); 및 상기 사용자의 귓볼, 상기 제 1 관통홀(1) 및 상기 제 2 관통홀(2)의 순서대로 관통되어 상기 사용자의 귓볼과, 상기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고정시키는 귀걸이 핀(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귀걸이 핀(120)에는 장식부(1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식부(110)는 일반적으로 금, 은,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대여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 귀걸이 뒷장식 부재
15: 클러치
16: 천공구멍
17: 보석
18: 귀걸이 핀
1: 제 1 관통홀
a: 접촉면
11: 접촉부재
12: 제 1 측 탄성고정편
13: 제 2측 탄성고정편
14: 연결부재
2: 제 2 관통홀
4,5,6,7: 홈
100: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110: 장식부(보석)
120: 귀걸이 핀

Claims (10)

  1. 사용자의 귓볼과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중심에 위치하여 귀걸이 핀이 상기 접촉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 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는 제 1 측 탄성고정편;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과의 사이에서 상기 귀걸이 핀이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는 제 2 측 탄성고정편; 및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과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귀걸이 핀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은,
    상기 접촉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접촉면의 타측의 양쪽 끝단 중 제 1측 끝단에서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은,
    상기 접촉면의 타측의 양쪽 끝단 중 제 2 측 끝단에서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 탄성고정편은,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되, 시계방향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 탄성고정편은,
    원통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되, 반시계방향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탄성고정편 및 상기 제 2 탄성고정편과 결합되며,
    상기 접촉부재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제 1 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을 모두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음각으로 형성되어 움푹패인 홈을 가짐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귓볼에서 상기 접촉면이 미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홈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 1 관통홀에서 상기 접촉면의 외곽라인까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상기 사용자의 귓볼,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의 순서대로 관통되어 상기 사용자의 귓볼과, 상기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고정시키는 귀걸이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뒷장식 부재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KR1020150080612A 2015-06-08 2015-06-08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KR20160144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612A KR20160144168A (ko) 2015-06-08 2015-06-08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612A KR20160144168A (ko) 2015-06-08 2015-06-08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168A true KR20160144168A (ko) 2016-12-16

Family

ID=5773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612A KR20160144168A (ko) 2015-06-08 2015-06-08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41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487B1 (ko) * 2018-02-05 2018-08-10 김종림 귀걸이 고정구
WO2019112212A1 (ko) * 2017-12-05 2019-06-13 김종림 귀걸이 고정구
KR102471910B1 (ko) * 2022-09-23 2022-11-28 김미정 귀걸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212A1 (ko) * 2017-12-05 2019-06-13 김종림 귀걸이 고정구
KR101887487B1 (ko) * 2018-02-05 2018-08-10 김종림 귀걸이 고정구
KR102471910B1 (ko) * 2022-09-23 2022-11-28 김미정 귀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4168A (ko)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WO2016030922A1 (ja) 略環状装身具
JP2007061336A (ja) 装飾具
WO2017061535A1 (ja) 装身具
JP6593946B1 (ja) 装身具の挟着構造
WO2017119452A1 (ja) 装身具の挟着構造
JP5419227B2 (ja) 止め具、止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USD966595S1 (en) Light fixture
KR200413018Y1 (ko) 손목 시계용 밴드
JP2011078460A (ja) クリップ式イヤリング
JP5862581B2 (ja) 装身具フープの接続金具
KR200373540Y1 (ko) 보석이 회전되는 장신구
KR101588832B1 (ko)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KR20180002219U (ko) 장신구의 연결구
JP3107563U (ja) ピアス用キャッチおよびピアス
JP3200528U (ja) イヤクリップ
KR200472032Y1 (ko)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JP3162450U (ja) 耳装飾具
KR102436949B1 (ko)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22653Y1 (ko) 귀걸이 고정구
JP2017070511A (ja) 球状宝飾品
JP6583976B1 (ja) ピアス
KR20110003010U (ko) 귀걸이 고정구
JP3209063U (ja) 耳装飾具
JP3102627U (ja) 腕時計ケース及びバンドにおける加飾部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