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832B1 -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832B1
KR101588832B1 KR1020140085907A KR20140085907A KR101588832B1 KR 101588832 B1 KR101588832 B1 KR 101588832B1 KR 1020140085907 A KR1020140085907 A KR 1020140085907A KR 20140085907 A KR20140085907 A KR 20140085907A KR 101588832 B1 KR101588832 B1 KR 10158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retainer member
connection structure
diameter
connec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411A (ko
Inventor
이조원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이조원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조원, 김대현 filed Critical 이조원
Priority to KR102014008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8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용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는, 액세서리 본체에 형성된 결합공과, 그 결합공에 압입되는 중공형 커넥터부재와, 그 커넥터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연결소자 및 액세서리 본체의 결합공에서 연결소자를 간섭하여 스텝 이동을 제어하도록 커넥터부재에 내외경 신축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리테이너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피어싱((Piercing) 등 착용상태에 따라 장신구용 액세서리 본체와 연결되는 연결소자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의 내구성과 안정감이 향상된 장신구용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서리 연결구조체{CONNECTION STRUCTURE OF ACCESSORIES}
본 발명은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어싱(Piercing) 등을 위한 장신구용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나 목걸이 등과 같은 장신구는 주로 금과 은 등의 귀금속이나 진주와 루비 등의 보석으로 이루진 액세서리 본체에 줄이나 핀 등의 연결소자를 결합하여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신구용 액세서리(accessory)는 최근에 들어 사용자의 귓 볼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를 통과시키도록 착용하는 피어싱(Piercing) 형태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피어싱 액세서리는 착용부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것들이 시판되고 있으며, 그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5684호 및 제10-1098989호 공보에 각각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는 도 1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이, 액세서리 본체(10)에 구비된 결합공(11)의 내주면과 착지구(또는 체결구)(20)에 구비된 결합공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12)(21)과, 연결핀(3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산(31)(32)의 체결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나사체결 방식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의 경우, 연결핀의 길이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예를 들면 사용자의 귓 볼의 두께 등 신체조건에 따라 피어싱 착용상태에 대한 자유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부적절한 연결핀의 길이로 인하여 착용부위의 상처 등과 같은 부작용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액세서리 사용과정에서 반복적인 착탈 누적으로 인해 나사산이 쉽게 마모되어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사산의 마모나 손상으로 인해 액세서리 본체와 연결핀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덜렁거리게 되는 경우 장신구로서의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고가의 액세서리 본체가 연결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분실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5684호(2011. 01. 05)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8989호(2011. 12. 2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액세서리 연결구조체가 지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어싱(Piercing) 등 착용상태에 따라 액세서리 본체와 연결되는 연결소자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량하여 실용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세서리 본체와 연결소자의 연결부 체결구조가 내구성과 안정감이 향상되도록 개량된 장신구용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는, 장신구를 이루는 액세서리 본체에 연결소자가 결합되도록 연결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본체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중공형 커넥터부재와, 상기 커넥터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핀형 연결소자 및 상기 핀형 연결소자의 이동시 신축운동에 의해 그 이동을 간섭하도록 상기 커넥터부재에 신축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테이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부재는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형 몸체의 외주면이 나사산 형태의 돌기가 반경 방향 외향하여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후단부에서 선단부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돌기의 끝단부가 상기 액세서리 본체의 결합공 내주면을 압압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되며, 그 안착단의 주위에는 리테이너부재를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되는 절곡편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단과 상기 절곡편의 사이에 상기 리테이너부재의 신장운동을 허용하는 도피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원호각이 180도 보다 큰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이 상기 연결소자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내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소자는 핀형 본체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그루브를 가지며, 어느 하나의 그루브에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안착되도록 스텝 이동하여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결합공은 내측부에 내경이 축소된 홀이 형성되고, 홀의 외측으로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에 핀형 연결소자의 선단부가 위치하여 지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리테이너부재는 복수 회 코일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리테이너부재는 외경이 도피홈에 접하는 지지부를 형성하는 코일 부분과; 외경이 도피홈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내경이 핀형 본체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 코일 부분인 축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축경부의 양측으로 기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에 따르면, 피어싱((Piercing) 등 착용상태에 따라 액세서리 본체와 연결되는 연결소자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과 안전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세서리 본체와 연결소자의 연결부에 대한 내구성과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의 일예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의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엑세서리 연결구조체에 구비되는 리테이너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의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엑세서리 연결구조체에 구비되는 리테이너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연결구조체는, 귀금속이나 보석 등의 장신구를 이루는 액세서리 본체(100)의 결합공(101)에 삽입되는 중공형 커넥터부재(300)와, 그 커넥터부재(300)의 중공부(301)에 삽입되는 핀형 연결소자(200)와, 상기 핀형 연결소자(200)의 이동시 신축운동에 의해 그 이동을 간섭하도록 상기 커넥터부재(300)에 신축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테이너부재(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세서리 본체(100)는 예컨대, 금이나 은 등의 귀금속 또는 진주나 루비 등의 보석이 다양한 형상구조의 입체물로 가공된 액세서리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나타내 보인 구체의 형상구조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다.
상기 액세서리 본체(100)에는 후술하는 상기 핀형 연결소자(200)와 커넥터부재(300) 및 리테이너부재(310)가 삽입되는 결합공(10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01)은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세서리 본체(100)의 대략 중심부에 이르는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01)은 내측부에 상대적으로 내경이 축소된 홀(hole)(101a)이 형성되며, 홀(101a)의 외측으로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결합공(101)은 지름이 큰 부분, 홀(101a)의 외측에 홀(101a)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경사 부분, 지름이 작은 홀(101a)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공(101)의 외측부에는 커넥터부재(300)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내경이 작은 내측부 홀(101a)에는 핀형 연결소자(200)의 선단부가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홀(101a)과 연결소자(200)는 중간 끼워 맞춤이나 헐거운 끼워 맞춤 관계를 가지며, 홀(101a)에 연결소자(200)의 선단부가 위치하여 지지된다. 홀(101a)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경사부는 연결소자(200)가 홀(101a)로 삽입되도록 하는 가이드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커넥터부재(300)는 중공부(301)를 가지는 중공형 몸체로서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의 돌기(303)가 반경 방향 외향하여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303)는 후단부에서 선단부측(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진 경사면(303a)을 가진다. 나사산 형태의 돌기(303)의 선단부를 향하는 면의 축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후단부를 향하는 면의 축 방향에 대한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부재(300)는 스테인레스나 텅스텐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외주면 돌기(303)는 액세서리 본체(100)의 결합공(101) 내주면을 압압하여 양측 부재에 대한 체결력을 높여줌으로써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선단부에는 외력을 가하여 반경 방향 내향 절곡된 절곡편(305)이 구비된다. 상기 절곡편(305)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절곡편(305)의 후방으로 상기 리테이너부재(310)가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단(304)이 구비된다. 반경 방향 내향 절곡된 상기 절곡편(305)과 안착단(304)은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며, 상기 절곡편(305)과 안착단(304) 사이에는 상기 리테이너부재(310)가 위치하는 틈새 공간으로 형성된 도피홈(304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후단부에는 상기 액세서리 본체(100)의 결합공(101)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302)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302)의 외경은 결합공(10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후술하는 연결소자(200)의 이동시 신축운동에 의해 그 이동을 간섭하도록 원호각이 180도 보다 큰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예시해 보인 도 2의 리테이너부재(310)는 도넛형 또는 링형부재의 일부 구간이 절개되어 소폭 제거되고, 제거된 양끝단 사이에 미소한 틈새(310a)가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틈새(310a)의 간격으로 인하여 구경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도록 신축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도피홈(304a)의 외경은 리테이너부재(3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도피홈(304a)과 리테이너부재(310)의 외경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안착단(304)과 절곡편(305)의 사이에서 외측에 도피홈(304a)이 위치하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절곡편(305)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상기 커넥터부재(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주면이 상기 연결소자(200)의 외주면과 마찰 접촉할 수 있는 크기로 내경 치수가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부재(310)의 내경은 커넥터부재(300)의 중공부(30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내경부가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중공부(30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미소하게 돌출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중공부(301)에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핀형 연결소자(200)의 외주면과 상기 리테이너부재(310)의 내주면이 마찰 접촉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부재(310)가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안착단(304)과 절곡편(30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재(300)가 액세서리 본체(100)의 결합공(101)에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부재(300)가 상기 액세서리 본체(100)의 결합공(101)에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몸체는 결합공(101)에 매설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동시에 플랜지(302)는 상기 결합공(101)의 테두리에 걸려 노출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외주면 돌기(303)의 끝단부는 상기 결합공(101)의 내주면을 압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재(300)가 액세서리 본체(100)의 결합공(101)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소자(200)는 핀형 본체(201)의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도록 오목한 홈인 그루브(202)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그루부(20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소자(200)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소자(200)는 단부에 끝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부분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소자(200)가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중공부(301)에 삽입될 때, 핀형 본체(201)의 외주면과 상기 리테이너부재(310)의 내주면이 마찰접촉에 의해 결속되므로 자유로운 이동이 억제된다. 상기 핀형 본체(201)의 외경은 중공부(301)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소자(200)를 가압하여 밀어넣게 되면, 상기 리테이너부재(310)에 가압력이 전달되어 구경이 미소하게 확장되도록 신장하면서 커넥터부재(300)의 안착단(304)과 절곡편(305) 사이의 도피홈(304a)에 의해 구경이 확대되면서 상기 연결소자(200)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소자(200)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연결소자(200)의 그루브(201)가 리테이너부재(3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리테이너부재(310)의 내외경이 원상복귀되어 연결소자(200)를 결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소자(200)의 핀형 본체(201)는 선단부가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중공부(301)에 삽입된 상태에서 푸시(push) 또는 풀(pull) 작용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그루브(201)가 상기 리테이너부재(3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위치 이동시켜 줌킴으로써, 스텝 이동에 의해 액세서리 본체(100)에 대한 연결소자(200)의 결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본체(100)의 결합공(101)에 연결소자(200)를 용이하게 삽입하고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테이너부재(310)는 복수 회 코일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리테이너부재(310)의 복수 회 코일 중 1회 이상의 코일 부분은 지름이 감소한 축경부(311)로 형성되며, 나머지 코일 부분 중 1회 이상의 코일은 도피홈(304a)에 접하는 지지부(313)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13)의 외경은 도피홈(304a)에 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축경부(311)는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13)의 사이에 위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경부(311)의 양측에서 지지부(313)가 도피홈(304a)에 접하여 지지되므로 연결소자(200)가 축경부(311)로 삽입될 때 축경부(311)는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지름이 확장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 형태의 리테이너부재(310)는 안착단(304)과 절곡편(305) 사이에서 도피홈(304a)에 위치하여 구비된다. 상기 축경부(311)의 내경은 중공부(3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공부(310) 내측으로 돌출되며, 외경은 도피홈(304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축경부(311)와 도피홈(304a) 사이에는 반경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축경부(311)의 내경은 핀형 본체(20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그루브(20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소자(200)가 중공부(301)로 삽입되면서 축경부(311)의 지름이 확장되고 축경부(311)가 그루브(202)에 위치하면 다시 지름이 감소하면서 축경부(311)가 그루부(202)에 안착하여, 연결소자(200)가 액세서리 본체(100)에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액세서리 본체 101 : 결합공
200 : 연결소자 201 : 핀형 본체
202 : 그루브 300 : 커넥터부재
301 : 중공부 302 : 플랜지
303 : 돌기 303a : 경사면
304 : 안착단 304a : 도피홈
305 : 절곡편 310 : 리테이너부재

Claims (9)

  1. 장신구를 이루는 액세서리 본체(100)에 연결소자(200)가 결합되도록 연결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결합공(101)이 형성된 액세서리 본체(100)와, 상기 결합공(10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중공부(301)가 형성된 중공형 커넥터부재(300)와, 상기 커넥터부재(300)의 중공부(301)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핀형 연결소자(200)와, 상기 핀형 연결소자(200)의 이동시 신축운동에 의해 그 이동을 간섭하도록 상기 커넥터부재(300)에 신축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테이너부재(310)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재(300)는 중공부(301)를 가지는 중공형 몸체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형태의 돌기(303)가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되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돌기(303)는 후단부에서 선단부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진 경사면(303a)을 가지며, 상기 돌기(303)의 끝단부가 상기 액세서리 본체(100)의 결합공(101) 내주면을 압압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300)에는 리테이너부재(310)가 안착되도록 선단부를 향하는 안착단(304)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단(304)으로부터 선단부 방향으로 이격되며 반경 방향 내향 절곡되는 절곡편(305)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단(304)과 상기 절곡편(305)의 사이에 도피홈(304a)이 마련되며;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안착단(304)과 절곡편(305) 사이에 위치하여 도피홈(304a)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원호각이 180도 보다 큰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이 상기 연결소자(200)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내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자(200)는 핀형 본체(201)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그루브(202)를 가지며, 어느 하나의 그루브(202)에 상기 리테이너부재(310)가 안착되도록 스텝 이동하여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01)은 내측부에 내경이 축소된 홀(101a)이 형성되고, 홀(101a)의 외측으로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101a)에 핀형 연결소자(200)의 선단부가 위치하여 지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복수 회 코일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외경이 도피홈(304a)에 접하는 지지부(313)를 형성하는 코일 부분과; 외경이 도피홈(304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내경이 핀형 본체(20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 코일 부분인 축경부(3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310)는 축경부(311)의 양측으로 지지부(31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KR1020140085907A 2014-07-09 2014-07-09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KR10158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07A KR101588832B1 (ko) 2014-07-09 2014-07-09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07A KR101588832B1 (ko) 2014-07-09 2014-07-09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411A KR20160006411A (ko) 2016-01-19
KR101588832B1 true KR101588832B1 (ko) 2016-01-26

Family

ID=5530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907A KR101588832B1 (ko) 2014-07-09 2014-07-09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032B1 (ko) * 2021-08-12 2022-04-08 임효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피어싱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216A (ja) 2007-06-20 2009-01-08 Nishimura Kinzoku:Kk 装飾品の連結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989B1 (ko) 2008-12-29 2011-12-28 이조원 피어싱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005684B1 (ko) 2010-07-08 2011-01-05 신동성 장신구 연결핀
KR200471777Y1 (ko) * 2012-05-17 2014-03-19 김점숙 피어싱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216A (ja) 2007-06-20 2009-01-08 Nishimura Kinzoku:Kk 装飾品の連結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411A (ko)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61413A (ja) 装飾品
US20160113360A1 (en) Clasps having a release button and jewelry articles employing same
JP5279845B2 (ja) ピン留め具
KR101588832B1 (ko)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JP4990880B2 (ja) セルフロック連結装置
JP2009000216A (ja) 装飾品の連結具
KR20160144168A (ko)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JP2017079836A (ja) 宝石用石座、宝石の石座取付方法及び装身具
JP2010012181A (ja) 装身具用留め具
JP5419227B2 (ja) 止め具、止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KR200472032Y1 (ko)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JP3228360U (ja) 装身具用引輪
US869965A (en) Ear-ring.
KR200487902Y1 (ko) 인체에 유용한 광물을 갖는 이어링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JP5862581B2 (ja) 装身具フープの接続金具
JP2019084252A (ja) 装身具
KR101615718B1 (ko)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JP2020141871A (ja) 装身具用連結具
KR20160126929A (ko) 보석부재를 가지는 액세서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92406Y1 (ko) 귀걸이 장신구
KR101974058B1 (ko) 장신구 결합체
KR200479275Y1 (ko) 파이프 퍼짐형 고정핀
JP2022170220A (ja) イヤーカフ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