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219U - 장신구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219U
KR20180002219U KR2020170000216U KR20170000216U KR20180002219U KR 20180002219 U KR20180002219 U KR 20180002219U KR 2020170000216 U KR2020170000216 U KR 2020170000216U KR 20170000216 U KR20170000216 U KR 20170000216U KR 20180002219 U KR20180002219 U KR 201800022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elastic member
connector
spring
orna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철
Original Assignee
강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철 filed Critical 강은철
Priority to KR2020170000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219U/ko
Publication of KR20180002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2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09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of the ring type
    • A44C5/2014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of the ring type of the spring ring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줄 형태의 장신구용 연결구로서, 윗면이 개방된 중공부(180)를 가지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일면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윗쪽에 설치된 걸이부재(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중공부(180)에 설치 된 스프링(8)과; 스프링(8)을 고정하는 고정축(117)과; 스프링(8)을 받쳐주는 받침축(119)과; 상기 몸체부(100)의 중공부(180)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8)에 의하여 상기 옆면의 개방부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힘을 받는 것으로서 그 일면에 상기 몸체부의 절개부로 돌출되는 미는부재(83)가 형성된 돌출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구(10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신구의 연결구{Connector for ornamental device}
본 고안은 장신구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목걸이, 팔찌 등과 같은 줄 형태의 장신구에 대하여 그 줄을 쉽고 편하게 연결하도록 하는 장신구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목걸이, 팔찌 등과 같은 줄 형태의 장신구에 대하여 이를 풀고 다시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 제20-0325072호는 목걸이의 연결고리를 보인다. 이러한 줄 형태의 장신구에 대하여 이를 풀고 다시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구는 쉽게 풀고 다시 결합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고안은 줄 형태의 장신구에 대하여 이를 쉽고 편하게 풀고 다시 연결
하도록 하는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줄 형태의 장신구용 연결구로서, 윗면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방향에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옆쪽에 설치된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에 설치 된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축과 탄성부재를 받쳐주는 받침축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옆면의 개방부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힘을 받는 것으로서 그 일면에 상기 몸체부의 절개부로 돌출되는 미는부재가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결합부는 걸이(hook)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줄 형태의 장신구에 대하여, 이를 풀고 다시 연결하는 것이 쉽고 편한 장신구의 연결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구의 작동 예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구(1000)를 개개의 부품으로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 예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1000)는 우선 몸체부(100)를 가지는 데, 이것은 윗면이 개방된 중공부(180)를 가지고, 그 일면에는 절개부(110)가 형성이 되고, 내부에는 탄성부재를 고정시켜주는 고정축(117)과 탄성부재를 받쳐 주는 받침축(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00)의 앞쪽에는 목걸이의 줄(400)의 결합부재(410)와 결합되는 결합부(200)가 형성이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걸이부재(hook)가 형성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중공부(180)에는 탄성부재(8)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중공부(180)에는 돌출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재(80)는 상기 탄성부재(8)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옆면의 개방부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힘을 받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중공부(180)에서 상기 돌출부재(80)의 위쪽에 상기 스프링인 탄성부재(8)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돌출부재(80)는 그 일면에 상기 몸체부(100)의 절개부(110)로 돌출되는 미는부재(83)가 형성되어, 상기 미는부재(83)를 밀어 상기 돌출부재(80)를 스프링(8)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낼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뒤쪽에 목걸이 줄(400)과 연결되는 연결부(105)가 형성되어 목걸이 줄(400)의 결합부(420)가 결합되고 있으며, 상기 목걸이 줄(400)의 다른 단에는 결합부(41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목걸이 줄(400)의 결합부(410)를 상기 걸이부재(200)에 걸면 스프링(8)의 힘으로 돌출부재(80)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목걸이 줄(400)의 결합부(400)가 상기 걸이부재(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막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줄 형태의 장신구에 대하여, 이를 풀고 다시 연결하는 것이 쉽고 편한 장신구의 연결구(1000)를 제공한다.
1000: 장신구의 연결구
100: 몸체부
180: 중공부
110: 절개부
117: 고정축
119: 받침축
200: 걸이부재
80: 돌출부재
83: 미는부재

Claims (1)

  1. 줄 형태의 장신구용 연결구로서,
    (a) 윗면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절개부와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축과 탄성부재를 받혀주는 받침축과;
    (b) 상기 몸체부의 위쪽에 설치된 결합부의 걸이(hook)부재와;
    (c)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에 설치 된 탄성부재 스프링과;
    (d)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옆면의 개방부를 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힘을 받는 것으로서 그 일면에 상기 몸체부의 절개부로 돌출되는 미는부재가 형성된 미는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구.

KR2020170000216U 2017-01-11 2017-01-11 장신구의 연결구 KR201800022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216U KR20180002219U (ko) 2017-01-11 2017-01-11 장신구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216U KR20180002219U (ko) 2017-01-11 2017-01-11 장신구의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19U true KR20180002219U (ko) 2018-07-19

Family

ID=6304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216U KR20180002219U (ko) 2017-01-11 2017-01-11 장신구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2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41B1 (ko) * 2022-07-27 2022-10-27 위진희 악세사리용 잠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567Y2 (ja) * 1988-07-20 1995-08-09 平和堂株式会社 クラスプ
JP2000116421A (ja) * 1998-10-12 2000-04-25 Seberu Piko:Kk ネックレス糸止め金具
KR200369091Y1 (ko) * 2004-09-06 2004-12-03 김종남 일체형 악세사리용 연결고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567Y2 (ja) * 1988-07-20 1995-08-09 平和堂株式会社 クラスプ
JP2000116421A (ja) * 1998-10-12 2000-04-25 Seberu Piko:Kk ネックレス糸止め金具
KR200369091Y1 (ko) * 2004-09-06 2004-12-03 김종남 일체형 악세사리용 연결고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41B1 (ko) * 2022-07-27 2022-10-27 위진희 악세사리용 잠금장치
WO2024025214A1 (ko) * 2022-07-27 2024-02-01 위진희 악세사리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6563B2 (en) Link assembly and a bracelet with such an assembly
US9101185B1 (en) Jewelry clasp
JP5990339B2 (ja) 略環状装身具
US2986792A (en) Clasp
JP5433296B2 (ja) アクセサリ用のクラスプ
KR20180002219U (ko) 장신구의 연결구
US9516929B1 (en) Fastening structure of jewellery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CN204015350U (zh) 链扣和可调节长短的链状首饰结构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100008650A (ko) 장신구의 고정장치
KR101330153B1 (ko) 끈 형상의 액세서리 체결구
KR20160144168A (ko)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US10076164B2 (en) Jewelry catch
KR102221140B1 (ko) 해제 방지 기능을 갖는 팔찌용 체결구
KR20180000214U (ko) 장신구의 연결구
JP2018042994A (ja) 装身具用留め具
KR10185477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US20050199001A1 (en) Earring
US856606A (en) Chain-snap.
US20160088923A1 (en) Detachable lanyard connector
JP2007301236A (ja) 装身具用留め具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