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641B1 - 스마트 주얼리 - Google Patents

스마트 주얼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641B1
KR101965641B1 KR1020170122740A KR20170122740A KR101965641B1 KR 101965641 B1 KR101965641 B1 KR 101965641B1 KR 1020170122740 A KR1020170122740 A KR 1020170122740A KR 20170122740 A KR20170122740 A KR 20170122740A KR 101965641 B1 KR101965641 B1 KR 10196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upled
pressed
upper plate
h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954A (ko
Inventor
김미나
Original Assignee
김미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나 filed Critical 김미나
Priority to KR102017012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6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44C15/0055Necklaces combined with other jewels, e.g. ea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84Accessori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하측에 장식품이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일측에 구비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얼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주얼리{SMART JEWELRY}
본 발명은 스마트 주얼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기분이나 날씨에 따라 다양한 색상, 무늬 및 탄생석 등으로 교체하며 이용 가능한 스마트 주얼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얼리는 브로치,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와 같은 조그마한 액세서리들을 가리킨다. 보석으로 이루어진 것들이 많아 보석류로 부르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주얼리로 불려지고 있다.
주얼리는 보석의 종류에 따라 색상이 다르며, 무늬가 다르게 형성되기도 한다. 주얼리는 보통 남성보다는 여성들이 많이 이용을 하고 있다. 여성들은 주얼리를 통해서 자신의 기분을 표출하기도 하고, 날씨에 따라서 주얼리를 교체하면서 이용을 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은 옷의 색상과 옷감에 따라 다른 주얼리를 착용을 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사용자는 각종 장식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주얼리들을 각각 구비해야 하는데, 주얼리는 대부분 귀금속으로 형성되어 경제적 부담이 있으며, 복수의 주얼리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주얼리가 구매된지 오래된 경우에는, 유행이 지남에 따라 방치되거나, 버려지는 일이 부지기수다.
따라서, 보석이나 문양이 교체 가능한 주얼리가 필요한 실정이며, 구매한지 오래되더라도 재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한 주얼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695530호(2017.01.0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색상, 무늬 등을 교체할 수 있는 스마트 주얼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하측에 장식품이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일측에 구비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얼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경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가 서로 탈착이 일어나며, 상기 몸체의 중심부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장식품이 결합되는 제1상판부, 상기 제1상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가압시 외측으로 유동되는 제1유동부, 상기 제1유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와 접촉되어 마찰력과 흡착력이 발생되는 제1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장식품이 결합되는 제2상판부, 상기 제2상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가압 시 외측으로 유동되는 제2유동부, 상기 제2유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접촉되어 마찰력과 흡착력이 발생되는 제2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2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중심이 가압될 경우 상기 제1걸이부 및 상기 제2걸이부는 서로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1걸이부 및 상기 제2걸이부가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제1 커버 및 제2커버로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일측은 서로가 회전되도록 경첩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타측은 나사를 통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일측에 버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결합핀이 형성되는 원통부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버튼부가 가압될 시, 원통부에서 결합핀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는 하나의 주얼리로 여러가지의 색상이나 무늬를 나타낼 수 있어, 사용자의 주얼리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또한, 사용자가 하나의 주얼리만 구매하고 결합되는 장식만 변경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감이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장식을 변경하고 고정하는데 용이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장식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얼리의 분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A-A'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상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분해 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얼리의 분해도 이다.
스마트 주얼리(1000)는 몸체(100), 커버부(200) 및 고리부(300)를 포함한다.
몸체(100)의 양면에는 장식품(130)이 결합된다. 장식품(130)은 일반적으로 주얼리에 사용되는 보석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몸체(100)의 형상은 원형, 삼각,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탄력성과 흡착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무,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커버부(2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200)의 형상은 몸체(10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커버부(200)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가 사각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커버부(200) 또한 사각이나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몸체(100) 및 커버부(200)를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00)는 제1커버(210), 제2커버(220)를 포함한다.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는 각각의 일측이 서로 결합된다.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는 서로가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경첩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210) 또는 제2커버(220)를 회전시킨 후, 몸체(100)가 커버부(2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제1커버(210)의 타측과 제2커버(220)의 타측은 서로가 나사(230)를 통해 구속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의 타측에는 체결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40)은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체결홀(240)에는 나사(230)가 삽입될 수 있다. 나사(230)가 삽입됨에 따라, 제1커버(210)의 타측과 제2커버(220)의 타측은 서로에게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는 몸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커버부(200)의 내경이 몸체(100)의 외경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재질이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됨에 따라, 커버부(200)에 대한 몸체(100)의 고정력이 보다 더 증가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부(200)에는 몸체(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2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50)는 커버부(200)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250)은 몸체(100)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100)는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리부(300)는 커버부(200)의 일측에 형성된다. 고리부(300)는 목걸이, 귀걸이 등의 일반적인 액세서리들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되는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상면도이다.
몸체(10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110)는 제1상판부(111), 제1유동부(112), 제1지지부(113) 및 제1걸이부(114)를 포함한다.
제1상판부(11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상판부(111)의 형상은 몸체(100) 및 커버부(20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상판부(111)의 상면에는 장식품(130)이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얼리에서 이용되는 여러 종류의 장식이 장식품(1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상판부(111)의 하부면 가장자리 중 일측에는 제1유동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동부(112)의 재질은 고무나 실리콘의 재질로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유동부(112)는 몸체(100)의 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면이 미려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유동부(112)의 하측에는 제1지지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3)는 제1유동부(112)와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3)는 제2몸체(12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측면으로 이탈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1지지부(113)는 흡착력과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유동부(112)와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3)가 제2몸체(120)와 접촉하여, 마찰력과 흡착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측면으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1걸이부(114)는 일측이 제1지지부(11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20)는 제2상판부(121), 제2유동부(122), 제2지지부(123) 및 제2걸이부(124)를 포함한다.
제2상판부(12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상판부(121)의 형상은 몸체(100) 및 커버부(20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상판부(121)의 상면에는 장식품(130)이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얼리에서 이용되는 여러 종류의 장식이 장식품(1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상판부(121)의 하부면 가장자리 중 일측에는 제2유동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동부(122)의 재질은 고무나 실리콘의 재질로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유동부(122)는 몸체(100)의 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면이 미려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유동부(122)의 하측에는 제2지지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123)는 제2유동부(122)와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123)는 제1몸체(1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측면으로 이탈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2지지부(123)는 흡착력과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유동부(122)와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123)가 제1몸체(110)와 접촉하여, 마찰력과 흡착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측면으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2걸이부(124)는 일측이 제2지지부(12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에 형성되는 제1걸이부(114) 및 제2걸이부(124)는 몸체(100)의 중심축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종단면 형상이 사각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더라도, 제1걸이부(114) 및 제2걸이부(124)가 몸체(100)의 중심축에 형성되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걸이부(114) 및 제2걸이부(124)의 확대 사시도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제1 걸이부(114)와 제2걸이부(124)가 결합됨에 따라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는 서로가 구속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분해 상태도이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각각의 제1걸이부(114) 및 제2걸이부(124)를 통해 결속된다. 결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100)의 상하측 가장자리를 가압 하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서로 탈착된다.
제1몸체(110)의 제1유동부(112)가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유동되고, 이를 통해 제1걸이부(114)와 제2걸이부(124)가 분리된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결합시에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겹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100) 중심부를 가압 하면, 제1걸이부(114)와 제2걸이부(124)가 결합된다. 제1걸이부(114)와 제2걸이부(124)가 겹쳐진 상태에서 중심부 가압을 통해 제1걸이부(114)와 제2걸이부(124)가 서로 결속된다.
즉, 사용자가 몸체(100)의 중심부를 가압하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몸체(10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각각 다른 장식품(130)이 결합된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를 구비하고, 이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 여러 색상의 주얼리를 구현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정면도이다.
고리부(300)는 버튼부(310)와 원통부(320)를 포함한다.
버튼부(310)와 원통부(320)는 한쌍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310)는 사용자의 손가락를 통해 가압될 수 있다.
버튼부(310)는 원통부(3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31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원통부(32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핀(321)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버튼부(310)가 가압되면, 한 쌍의 결합핀(321)이 돌출되고, 결합핀(321) 서로가 접촉함에 따라 폐쇄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폐쇄부(330)가 형성됨에 따라, 고리부(300)는 여러가지의 액세서리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도6의 (a) 상태에서 목걸이 줄(미도시)을 원통부(320) 사이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버튼부(310)를 가압하여, 도6의 (b)와 같이 결합핀(321)을 돌출 시킬 수 있다. 결합핀(321)이 돌출되어 폐쇄부(330)가 형성되면, 상기 목걸이 줄은 고리부(300)와 결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
200: 커버부
300: 고리부

Claims (7)

  1. 상하측에 장식품이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일측에 구비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경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가 서로 탈착이 일어나며, 상기 몸체의 중심부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가 결합되는 스마트 주얼리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장식품이 결합되는 제1상판부;
    상기 제1상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가압시 외측으로 유동되는 제1유동부;
    상기 제1유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와 접촉되어 마찰력과 흡착력이 발생되는 제1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얼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장식품이 결합되는 제2상판부;
    상기 제2상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가압 시 외측으로 유동되는 제2유동부;
    상기 제2유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접촉되어 마찰력과 흡착력이 발생되는 제2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2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중심이 가압될 경우 상기 제1걸이부 및 상기 제2걸이부는 서로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1걸이부 및 상기 제2걸이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얼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제1 커버 및 제2커버로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일측은 서로가 회전되도록 경첩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타측은 나사를 통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얼리.
  7. 상하측에 장식품이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일측에 구비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얼리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일측에 버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결합핀이 형성되는 원통부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버튼부가 가압될 시, 원통부에서 결합핀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주얼리.
KR1020170122740A 2017-09-22 2017-09-22 스마트 주얼리 KR10196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40A KR101965641B1 (ko) 2017-09-22 2017-09-22 스마트 주얼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40A KR101965641B1 (ko) 2017-09-22 2017-09-22 스마트 주얼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54A KR20190033954A (ko) 2019-04-01
KR101965641B1 true KR101965641B1 (ko) 2019-04-04

Family

ID=6610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40A KR101965641B1 (ko) 2017-09-22 2017-09-22 스마트 주얼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6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80B1 (ko) * 2015-03-13 2015-06-25 구하정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074B1 (ko) * 2010-02-17 2012-08-13 이형연 장신구
KR101695530B1 (ko) 2015-02-02 2017-01-11 황아로미 펜던트 교체가 가능한 착용형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80B1 (ko) * 2015-03-13 2015-06-25 구하정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54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7966B2 (en) Jewelry with interchangeable settings and attachable charm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9439476B2 (en) Decorative ornament
US20080289363A1 (en) Selectable component jewelry system
US3094754A (en) Jewelry clasp
US20160213106A1 (en) Article of Jewelry Having a Replaceable Ornamental Element
US2797561A (en) Earring with hook for removably attaching a pendant ornament
US20210244141A1 (en)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JP5857033B2 (ja) 着脱可能なジュエリー台座
KR101965641B1 (ko) 스마트 주얼리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US10342305B2 (en) Interchangeable ring
KR101613447B1 (ko) 착용줄 상에서 고정 및 위치이동이 가능한 장식부
KR20120035660A (ko) 장신구의 보석류 고정 구조체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KR101784252B1 (ko) 회전 장신구
KR10185477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US8201417B1 (en) Jewelry mount with safety catch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531580B1 (ko)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US20180140059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Bail and Clasp System
US20160100657A1 (en) Sang Gems Fashion Accessory System and Method
US20170231334A1 (en) Jewelry Clasp
KR101828755B1 (ko) 귀걸이 고정구
KR101887487B1 (ko) 귀걸이 고정구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