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580B1 -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580B1
KR101531580B1 KR1020150034913A KR20150034913A KR101531580B1 KR 101531580 B1 KR101531580 B1 KR 101531580B1 KR 1020150034913 A KR1020150034913 A KR 1020150034913A KR 20150034913 A KR20150034913 A KR 20150034913A KR 101531580 B1 KR101531580 B1 KR 10153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jewelry
insertion member
fixed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하정
Original Assignee
구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하정 filed Critical 구하정
Priority to KR102015003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석알이 삽입 지지되는 난집(알집)과 그 난집이 설치되는 장신구 본체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장신구 본체에 결합된 보석류 부분만을 임의로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하나의 보석류를 여러 종류의 장신구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집(장신구, 1)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본체(링, 목걸이 줄 등, 3)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재(100)와;
장신구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져 삽입부재 및 고정부재를 통하여 난집(장신구)를 교체하여 ㅅ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Accessory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석알이 삽입 지지되는 난집(알집)과 그 난집이 설치되는 장신구 본체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장신구 본체에 결합된 보석류 부분만을 임의로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하나의 보석류를 여러 종류의 장신구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지나 목걸이, 귀걸이 등과 같은 종래의 장신구는 통상, 인체에 착용되는 반지의 링이나 목걸이의 목줄 또는 귀걸이의 지지체와 같은 장신구본체의 일측에 보석류를 삽입할 수 있는 난집을 형성하여 그 난집에 보석을 삽입한 다음, 난집의 주연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수개의 고정다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난집에 삽입된 보석의 상측부를 감싸 고정함으로써 보석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정구조를 갖는 종래의 장신구에 있어서는 상기 한 반지의 링 또는 귀걸이나 목걸이용 지지체와 같은 장신구본체에 보석류가 일체로 결합되어 그 보석이 붙박이식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각기 다른 종류나 형태의 보석을 갖는 반지나 목걸이 또는 귀걸이 등을 교대로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장신구본체와 보석이 일체로 된 여러 개의 반지나 목걸이 또는 귀걸이 등을 각각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실1994-001882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석알이 삽입 지지되는 난집(알집)과 그 난집이 설치되는 장신구 본체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장신구 본체에 결합된 보석류 부분만을 임의로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하나의 보석류를 여러 종류의 장신구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는 난집(장신구, 1)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본체(링, 목걸이 줄 등, 3)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재(100)와;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져 삽입부재 및 고정부재를 통하여 난집(장신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삽입부재(100)는 보석류를 고정하는 난집의 하부에 일체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삽입봉(110)과;
삽입봉(1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돌기(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삽입홈(130)과;
삽입봉(110)의 하부에 "V"자 형상으로 삽입봉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삽입고정될 때 돌기(3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150)과;
고정편(150)의 일단을 상부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단성력을 갖으며, 고정부재에 형성된 단턱(350)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어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의 수용부(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편(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300)는 장신구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난집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부재(100)가 고정되는 것으로, 삽입부재(100)의 고정편과 탄성편이 삽입되는 수용부(310)와;
수용부(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삽입부재(100)에 형성된 삽입홈(130)에 삽입되어 삽입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300)와;
수용부(310)에 구비된 돌기(330)와 대응되는 곳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재(100)가 삽입될 때 삽입봉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편(170)을 가압하여 탄성력에 의해 삽입부재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돌기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 고정되될 수 있도록 하는 단턱(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는 보석알이 삽입 지지되는 난집(알집)과 그 난집이 설치되는 장신구 본체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장신구 본체에 결합된 보석류 부분만을 임의로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하나의 보석류를 여러 종류의 장신구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및 분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는, 도 1 ~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집(장신구, 1)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본체(링, 목걸이 줄 등, 3)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재(100)와; 장신구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삽입부재(100)는 보석류를 고정하는 난집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외주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돌기(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30)이 형성된 삽입봉(110)이 구비되어 있다.
삽입봉(110)의 하부에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삽입봉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삽입고정될 때 돌기(3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1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편(150)의 일단을 상부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단성력을 갖으며, 고정부재에 형성된 단턱(350)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어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의 수용부(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편(170)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부재(300)는 장신구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난집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부재(100)가 고정되는 것으로, 삽입부재(100)의 고정편과 탄성편이 삽입되는 수용부(310)이 구비되어 있다.
수용부(310)의 일측에는 삽입부재(100)에 형성된 삽입홈(130)에 삽입되어 삽입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30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에는 돌기(330)와 대응되는 곳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재(100)가 삽입될 때 삽입봉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편(170)을 가압하여 탄성력에 의해 삽입부재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돌기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 고정되될 수 있도록 하는 단턱(3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에 따른 본 발명의 체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선 난집(장신구)의 하부에 구비된 체결부재를 삽입부재의 수용부 상부에 위치한 후 하부로 가압하면 삽입봉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편이 고정부재에 구비된 단턱을 따라 하향되면서 압축된다.
이후 삽입봉이 좀더 하향되면 삽입부재가 수용부에서 탄성편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삽입봉에 구비된 삽입홈에 고정부재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되어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 삽입고정된다.
이때 삽입봉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편이 돌기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 좀더 안정되게 고정된다.
1 : 난집(장신구) 300 : 본체
100 : 삽입봉 130 : 삽입홈
150 : 고정편 170 : 탄성편

Claims (3)

  1. 난집(장신구, 1)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본체(링, 목걸이 줄 등, 3)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삽입고정되는 것으로, 보석류를 고정하는 난집의 하부에 일체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삽입봉(110)과, 삽입봉(1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돌기(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삽입홈(130)과, 삽입봉(110)의 하부에 "V"자 형상으로 삽입봉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삽입고정될 때 돌기(3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150)과, 고정편(150)의 일단을 상부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단성력을 갖으며, 고정부재에 형성된 단턱(350)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어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의 수용부(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편(170)으로 이루어진 삽입부재(100)와;
    장신구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져 삽입부재 및 고정부재를 통하여 난집(장신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300)는 장신구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난집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부재(100)가 고정되는 것으로, 삽입부재(100)의 고정편과 탄성편이 삽입되는 수용부(310)와;
    수용부(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삽입부재(100)에 형성된 삽입홈(130)에 삽입되어 삽입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300)와;
    수용부(310)에 구비된 돌기(330)와 대응되는 곳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재(100)가 삽입될 때 삽입봉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편(170)을 가압하여 탄성력에 의해 삽입부재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돌기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 고정되될 수 있도록 하는 단턱(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KR1020150034913A 2015-03-13 2015-03-13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KR10153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13A KR101531580B1 (ko) 2015-03-13 2015-03-13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13A KR101531580B1 (ko) 2015-03-13 2015-03-13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580B1 true KR101531580B1 (ko) 2015-06-25

Family

ID=5351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913A KR101531580B1 (ko) 2015-03-13 2015-03-13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954A (ko) * 2017-09-22 2019-04-01 김미나 스마트 주얼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090U (ko) * 1999-02-26 1999-06-25 전영병 탈착이가능한휴대폰목걸이
US6490886B1 (en) * 2000-05-31 2002-12-10 Goldman Kolber, Inc. Interchangeable ring
KR20100000143A (ko) * 2008-06-24 2010-01-06 박진호 장식물 교체식 반지
KR20110006884U (ko) * 2009-12-31 2011-07-07 박정아 탄성체를 갖는 장식 교환 반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090U (ko) * 1999-02-26 1999-06-25 전영병 탈착이가능한휴대폰목걸이
US6490886B1 (en) * 2000-05-31 2002-12-10 Goldman Kolber, Inc. Interchangeable ring
KR20100000143A (ko) * 2008-06-24 2010-01-06 박진호 장식물 교체식 반지
KR20110006884U (ko) * 2009-12-31 2011-07-07 박정아 탄성체를 갖는 장식 교환 반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954A (ko) * 2017-09-22 2019-04-01 김미나 스마트 주얼리
KR101965641B1 (ko) * 2017-09-22 2019-04-04 김미나 스마트 주얼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63625A1 (en) Magnetically interchangeable jewelry and accessories
CN107529862B (zh) 可定制的珠宝
EP3041381B1 (en) Article of jewelry having a replaceable ornamental element
KR101531580B1 (ko)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US9326571B2 (en) Jewelry with changeable and addable mobile decorative elements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KR20150098550A (ko) 장신구
KR101613447B1 (ko) 착용줄 상에서 고정 및 위치이동이 가능한 장식부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KR200489064Y1 (ko) 장신구 체결장치
KR101440097B1 (ko) 장신구 탈착구조
KR102641357B1 (ko) 착탈식 핀을 이용한 교체형 귀걸이
JPH09224724A (ja) 指 輪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756595B1 (ko) 보석알물림장치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KR101965641B1 (ko) 스마트 주얼리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KR20140104869A (ko) 장신구 잠금장치
KR101949161B1 (ko) 점자 교체형 쥬얼리
JP3201808U (ja) 装身具および装飾物保持用台座
CN209528093U (zh) 一种具有简易固定结构的卡扣手镯
KR200494237Y1 (ko) 탄성이 있는 장신구
CN209883238U (zh) 一种多功能穿戴饰品
KR20230151944A (ko) 다중 장신구 결합 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