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840Y1 -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840Y1
KR200431840Y1 KR2020060024937U KR20060024937U KR200431840Y1 KR 200431840 Y1 KR200431840 Y1 KR 200431840Y1 KR 2020060024937 U KR2020060024937 U KR 2020060024937U KR 20060024937 U KR20060024937 U KR 20060024937U KR 200431840 Y1 KR200431840 Y1 KR 200431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present
length member
accesso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준
Original Assignee
박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준 filed Critical 박병준
Priority to KR2020060024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8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84Accessori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력을 가지며 양단이 액세서리의 외주연 양측으로부터 돌기되는 지지대에 결합되는 막대를 통하여 다양한 장식을 표현하는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액세서리의 몸체를 이루는 제1 몸체(110); 제1 몸체(110)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면 측부에 홈이나 구멍 형상의 제1 장착부(124)를 구비하는 제1 지지대(120); 제1 몸체(110)의 외주연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면 측부에 홈 또는 구멍 형상의 제2 장착부(126)를 구비하는 제2 지지대(122); 및 제1 장착부(124) 및 제2 장착부(126)에 결합되도록 그 양단에 돌기를 구비하며, 장식(140)이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길이부재(130)를 포함하는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길이부재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로 형성하여 다수의 장식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식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싫증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반지를 디자인할 수 있게 하며, 장식이 훼손되거나 손상되더라도 이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여 장기간 액세서리를 애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액세서리, 반지, 장식, 보석, 큐빅, 목걸이

Description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The Accessory That Decoration Changing is Possible}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의 결합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에 있어서, 길이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에 있어서, 장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에 있어서, 목걸이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의 결합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의 분해 사시도,
도 5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에 있어서, 길 이부재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장식 반지 110 : 제1 몸체
120, 122 :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124, 126, 520, 522 : 제1 장착부 내지 제4 장착부
130 : 길이부재 140 : 장식
200 : 길이부재 몸체부
210, 240, 250, 252, 530 : 제1 돌기 내지 제5 돌기
220 : 제1 공부 230 : 탄성소자
400 : 목걸이부 500 : 제2 몸체
510 : 구덩이부
본 고안은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력을 가지며 그 양단이 액세서리의 외주연 양측으로부터 돌기되는 지지대에 결합되는 막대를 통하여 다양한 장식을 표현할 수 있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는 본체(本體)의 기능이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변화를 주는 부속품 또는 보조물을 총칭한다. 이러한 액세서리는 크게 부속품, 장신구, 트 리밍(Trimming)으로 분류된다. 예컨대, 부속품에는 머리에 쓰는 모자류, 목에 두르는 목도리류, 휴대품, 신발류 등이 있고, 장신구에는 머리장식품, 귀고리, 팔찌, 반지, 목걸이 등이 있으며, 트리밍에는 브레이드, 리본, 단추, 깃털 장식, 모피류 등이 있다.
그 중에서, 반지(斑指)는 금, 은과 같은 귀금속이나 장식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손가락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장신구를 말한다. 이러한 반지는 초기에는 특정 세력의 권위나 충성의 상징 또는 사회적인 지위를 나타내는 수단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특정 장식이나 문양이 가미되지 않은 심플(Simple)한 형태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반지에 에메랄드, 루비, 다이아몬드 등 각종 보석들이 부착되거나 선각(線刻), 투각(透刻), 오목새김법 등의 새김장식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양이 새겨지는 등 가지각색의 반지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반지는 기도 등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묵주반지, 지압을 통한 통증치료나 피로해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지압반지, 예물반지, 커플링(Coupling) 등 그 기능(機能)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 누구나 소유할 수 있도록 보편화된 반지는 종래에는 그 외주면 일단에 보석이나 큐빅(Cubic)과 같은 장식(裝飾)이 결합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런데, 이러한 반지는 장식과 일체화되어 있어 장기간 이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내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게다가,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고가의 반지를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낭비라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식을 교체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통상 장식이 반지에 고정 설치되는 관계로 일반인이 이를 교체한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반지가 훼손되거나 손상을 입는 경우도 많았다. 이와 같이 장식을 교체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워서 전문가에 의해서 교체작업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는 비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유발시켰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이한 반지(또는 액세서리)를 다수 구입하게 되면 고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낳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액세서리의 외주연 양측으로부터 돌기되는 지지대에 결합되어 장식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길이부재의 양단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여 액세서리의 지지대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길이부재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로 형성하여 다수의 장식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식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싫증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액세서리를 디자인할 수 있게 하며, 장식이 훼손되거나 손상 되더라도 이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여 장기간 액세서리를 애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의 몸체를 이루는 제1 몸체(110); 상기 제1 몸체(110)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면 측부에 홈이나 구멍 형상의 제1 장착부(124)를 구비하는 제1 지지대(120); 상기 제1 몸체(110)의 외주연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면 측부에 홈 또는 구멍 형상의 제2 장착부(126)를 구비하는 제2 지지대(122); 및 상기 제1 장착부(124) 및 상기 제2 장착부(126)에 결합되도록 그 양단에 돌기를 구비하며, 장식(140)이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길이부재(130)를 포함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식(140)은, 중공되거나 일측에 고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부재(130)는, 상기 돌기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탄력적인 탄성소자(230)를 구비하거나, 그 양단에 반구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서리는, 일단이 상기 제1 몸체(110)를 관통하여 타단과 연결되는 줄 또는 고리 형상의 목걸이부(4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의 몸체를 이루며, 내주 면 측부에 홈 또는 구멍 형상의 제3 장착부(520)를 구비하고, 상기 내주면과 마주하는 면 측부에 홈 또는 구멍 형상의 제4 장착부(522)를 구비하는 제2 몸체(500); 및 상기 제3 장착부(520) 및 상기 제4 장착부(522)에 결합되도록 그 양단에 돌기를 구비하며, 장식(140)이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길이부재(130)를 포함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식(140)은, 상기 길이부재(130)에 매몰되거나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는 아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반지를 예로 들어 구성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이러한 구성은 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치장 도구로 사용되는 모든 액세서리에 이러한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100)는 제1 몸체(110), 제1 지지대(120), 제2 지지대(122), 길이부재(130) 및 장식(140)을 포함한다.
장식 반지(1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장식(140)을 설치할 수 있는 길이부재(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길이부재(130)는 막대 형상의 부재(部材)로서 다수의 장식(14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길이부재(130)는 그 양단이 제1 몸체(110)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22)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길이부재(130)는 그 양단에 돌기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22)에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길이부재(130)는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22)에 보다 강력하게 결속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길이부재(130)의 돌기와 접촉하는 지지대(120, 122)의 일측부는 요입 형성됨은 물론이다.
장식 반지(1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길이부재(130)를 고정시키는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22)는 각각 제1 몸체(110)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돌기되며, 상호 맞은편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22)의 서로 마주하는 면 일측부에는 길이부재(130)의 양끝단이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양측에서(즉,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120, 122)에 의해서) 길이부재(130)를 고정하게 되면 장식(140)을 설치한 길이부재(130)가 제1 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장식 반지(100)는 장식(140)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길이부재(130) 양단에 형성되는 돌기가 스프링(Spring)과 같은 탄성소자를 구비하도록 하여 지지대(120, 122)에 장착/탈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a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몸체(110)는 장식 반지(100)의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그 외주면에 동일 방향으로 돌기되는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22)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몸체(110)는 통상 원형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몸체(110)는 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지지대(120)는 제1 몸체(110)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제1 지지대(12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일면 측부에 길이부재(13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되는 요입홈이나 구멍 형상의 제1 장착부(124)를 구비한다. 그러면, 이를 통해 제1 지지대(120)와 길이부재(130)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1 지지대(120)의 끝단들은 예리하지 않고 뭉툭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 반지(100)는 사람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장신구이다. 그런데, 제1 지지대(120)의 끝단들이 날카롭게 형성되면 장식 반지(100)를 손가락에 착용할 때나 타인과 접촉할 때에 자신 또는 타인의 피부에 상해를 입히게 된다. 반면, 제1 지지대(120)의 끝단들이 모나지 않게 형성되면 이러한 상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제1 지지대(120)는 끝단들이 모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몸체(110)나 제2 지지대(122)의 경우도 마찬가지임은 물론이다.
제2 지지대(122)는 제1 지지대(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기술한 제1 지지대(120)의 구성을 참조하면 된다. 다만, 길이부재(130)의 양단은 지지대(120, 122)의 요입홈 또는 구멍에 동시 결합되므로 제2 지지대(122)는 요입홈이 개설된 제1 지지대(120)의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 요입되는 홈을 구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2 지지대(122)에 구비되는 요입홈이나 구멍을 제2 장착부(126)로 칭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120, 122)는 제1 몸체(110)와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지지대(120, 122)는 제1 몸체(110)와 별개로 제조된 후 상기 제1 몸체(110)의 외주면에 용접되어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길이부재(130)는 길이 방향으로 성장된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길이부재(130)는 그 양단에 돌기를 구비하여 지지대(120, 122)의 장착부(124, 126)에 삽입된다. 또한, 길이부재(130)는 상기 돌기를 탄력적이거나 유연(柔軟)하게 형성하여 지지대(120, 122)에 장착/탈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길이부재(13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길이부재(130)는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몸체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길이부재(130)의 몸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며, 직육면체와 같은 각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길이부재(130)는 다수의 장식(1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그러나, 길이부재(130)는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하나의 장식(140)만을 설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140)은 장식 반지(100)를 아름답게 치장하는 부재로서, 보석이나 큐빅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140)이 길이부재(130)를 통하여 장식 반지(100)에 치장되면 하나의 반지가 여러 타입(Type)의 반지로 형성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즉, 다양한 장식(140)을 구비하여 이를 수시로 교체하게 되면 사용자가 반지에 쉽게 식상하지 않고, 장기간 호의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장식(140)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디자인을 창출하여 반지를 꾸미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영문이름 이니셜(Initial)을 조각한 장식(140)을 이용하여 반지를 치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장식(140)에 조각되는 것이 이니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장식 반지(100)는 도장 대용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장식(140)이 훼손되거나 손상되면 종래의 반지는 이를 폐기처분하거나 방치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장식 반지(100)는 이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상당한 기간동안 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장식 반지(100)는 비용 절감의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장식(14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길이부재(130)에 삽입되어 장식 반지(100)에 치장된다. 이를 위해 장식(140)은 중공(中孔)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 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장식(140)은 중공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장식(140)은 외주면 일측에 고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길이부재(130)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식(140)이 고리에 의해 길이부재(130)에 고정되어 유동적이지 못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식(140)은 길이부재(130)에 하나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때의 길이부재(130)가 둘 이상의 장식(1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식(140)이 길이부재(130)의 길이 범위 내에서 움직임을 가지게 된다. 그러면, 장식 반지(100)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길이부재(13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쌍(Pair)으로 이루어진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고정핀을 통하여 양측에서 장식(140)을 고정시켜 장식(140)이 길이부재(130)에서 유동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장식 반지(100)는 목걸이형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몸체(110)를 관통하는 줄 또는 고리 형상의 목걸이부(400)를 장식 반지(100)에 형성시키면, 이를 통해 장식 반지(100)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장식 반지(100)를 사용자의 손가락 뿐만 아니라 목에도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장식 반지(100)의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길이부재(13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에 있어서, 길이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130)의 좌측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길이부재 몸체부(200)의 일단에는 제1 돌기(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공부(空部)(220)가 중공(中空) 개설된다. 이러한 제1 공부(220)는 일정 깊이 이후에는 입구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1 공부(220)로 삽입된 제1 돌기(210)가 길이부재 몸체부(200)로부터 외부로 탈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공부(220) 내부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제1 돌기(210)는 그 일둘레에 철부(凸部; 212)를 형성한다. 철부(212)는 제1 돌기(210)가 외부로 탈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쇠의 기능을 하며, 제1 돌기(210) 외주면에 도드라져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공부(220)의 일단과 맞닿는 제1 돌기(210)의 일단 외주면에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소자(230)가 위치한다. 그러면, 제1 돌기(210)는 제1 공부(220)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 돌기(210)가 외부 압력에 의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외부 압력이 없어지면 탄성소자(230)에 의해 왼쪽 방향으로 복귀되어 원래 위치를 되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길이부재 몸체부(200)의 타단에는 제2 돌기(240) 및 제2 공부가 개설된다. 이러한 제2 돌기(240) 및 제2 공부는 상기에 기술한 제1 돌기(210) 및 제1 공부(2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부재(130)의 양단이 형성되므로 길이부재(130)를 지지대(120, 122)에 장착/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길이부재(13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부재(130)의 양단에 제3 돌기(250) 및 제4 돌기(252)를 반구 형상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돌기(250, 252)에 맞물릴 수 있도록 지지대(120, 122)에 장착부(124, 126)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러나,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부재(130)에 형성되는 돌기(250, 252)는 도 2a의 길이부재(130)에 형성되는 돌기(210, 240)보다 마모률이 높아 그 수명이 짧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길이부재(130)는 도 2a에서 제안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겠다.
한편,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부재(130)가 형성되면 지지대(120, 122)에는 구멍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부재(130)가 형성되면 지지대(120, 122)에는 요입홈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길이부재(130) 양단의 구조는 서로 동일한 것을 원칙으로 하나, 서로 상이한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반지 몸체에 홈이나 구멍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길이부재(130)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반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2 몸체(500)는 그 상부가 통(桶)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제2 몸체(500)는 상단 일부가 개방되어 움푹 패인 공간인 구덩이부(51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몸체(500)는 내주면 일측에 제3 장착부(520)와 제4 장착부(522)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3 장착부(520) 및 제4 장착부(522)는 상기에 기술한 제1 장착부(124) 및 제2 장착부(126)의 구성을 따른다. 그러면, 구덩이부(510)를 통하여 길이부재(130) 및 장식(140)을 제2 몸체(500)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길이부재(130)는 도 5a 및 도 5b에 따른 실시예에서 둘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장식(140)을 제2 몸체(5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부재(13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길이부재(130)의 일측에 제5 돌기(53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6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5 돌기(530) 및 제6 돌기는 도 2b의 돌기(250, 252)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제5 돌기(530) 및 제6 돌기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의 경우 장식(140)은 길이부재(130)의 일면에 매몰되거나 부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 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액세서리의 외주연 양측으로부터 돌기되는 지지대에 결합되어 장식을 설치할 수 있도록 길이부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길이부재의 양단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여 액세서리의 지지대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길이부재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로 형성하여 다수의 장식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장식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싫증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반지를 디자인할 수 있게 하며, 장식이 훼손되거나 손상되더라도 이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여 장기간 액세서리를 애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의 몸체를 이루는 제1 몸체(110);
    상기 제1 몸체(110)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면 측부에 홈이나 구멍 형상의 제1 장착부(124)를 구비하는 제1 지지대(120);
    상기 제1 몸체(110)의 외주연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면 측부에 홈 또는 구멍 형상의 제2 장착부(126)를 구비하는 제2 지지대(122); 및
    상기 제1 장착부(124) 및 상기 제2 장착부(126)에 결합되도록 그 양단에 돌기를 구비하며, 장식(140)이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길이부재(130)
    를 포함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140)은, 중공되거나 일측에 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부재(130)는, 상기 돌기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탄력적인 탄성소자(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부재(130)는, 상기 돌기가 반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몸체(110)를 관통하여 타단과 연결되는 줄 또는 고리 형상의 목걸이부(400)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7.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의 몸체를 이루며, 내주면 측부에 홈 또는 구멍 형상의 제3 장착부(520)를 구비하고, 상기 내주면과 마주하는 면 측부에 홈 또는 구멍 형상의 제4 장착부(522)를 구비하는 제2 몸체(500); 및
    상기 제3 장착부(520) 및 상기 제4 장착부(522)에 결합되도록 그 양단에 돌기를 구비하며, 장식(140)이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길이부재(130)
    를 포함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140)은, 상기 길이부재(130)에 매몰되거나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KR2020060024937U 2006-09-15 2006-09-15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KR200431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37U KR200431840Y1 (ko) 2006-09-15 2006-09-15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37U KR200431840Y1 (ko) 2006-09-15 2006-09-15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840Y1 true KR200431840Y1 (ko) 2006-11-28

Family

ID=4178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937U KR200431840Y1 (ko) 2006-09-15 2006-09-15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8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404A (ko) * 2020-06-15 2021-12-23 김빛나 고리형 장신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404A (ko) * 2020-06-15 2021-12-23 김빛나 고리형 장신구
KR102420295B1 (ko) * 2020-06-15 2022-07-14 김빛나 고리형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9483A1 (en) Customisable jewellery
KR200431840Y1 (ko)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KR101581016B1 (ko)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US9854881B1 (en) Apparatus to facilitate interchangeable jewelry head having two feet and a coil spring retention mechanism with pushbutton release member
KR20010013456A (ko) 교체식 장식 부재가 부착된 보석품
EP2135519B1 (en) Ornament setting for detachable ornament and jewelry comprising such setting
KR200269199Y1 (ko) 장신구의 연결구조
KR200280016Y1 (ko) 장식체 교체형 반지
KR200271413Y1 (ko) 회전형 장신구
KR101949161B1 (ko) 점자 교체형 쥬얼리
JP3223925U (ja) 装飾品及び該装飾品を含む装身具
KR200437172Y1 (ko) 반지 겸용 펜던트
KR101531580B1 (ko)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KR20140104869A (ko) 장신구 잠금장치
KR200472032Y1 (ko)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100362990B1 (ko) 몸 치장용 장신구
KR200256444Y1 (ko) 목걸이용 펜던트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KR200179934Y1 (ko) 장신구
CN209436422U (zh) 饰品组合结构
KR200476010Y1 (ko)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KR200186243Y1 (ko) 구슬형 보석 착탈용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