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295B1 - 고리형 장신구 - Google Patents

고리형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295B1
KR102420295B1 KR1020200071992A KR20200071992A KR102420295B1 KR 102420295 B1 KR102420295 B1 KR 102420295B1 KR 1020200071992 A KR1020200071992 A KR 1020200071992A KR 20200071992 A KR20200071992 A KR 20200071992A KR 102420295 B1 KR102420295 B1 KR 10242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ixing
ring portion
decora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404A (ko
Inventor
김빛나
Original Assignee
김빛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빛나 filed Critical 김빛나
Priority to KR102020007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29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07Finger-rings made of several rings
    • A44C9/0015Finger-rings made of several rings connected or interlinked to each other
    • A44C9/0023Finger-rings made of several rings connected or interlinked to each other in a separable wa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44C11/002Ornamental chains composed of pear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44C5/2061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combined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9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necklaces or bracelets made of pear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고리와 상기 고리에 부착된 장식물을 구비한 고리형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순서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고리형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리형 장신구(100)는 고리부(110)와, 상기 고리부의 측면에 결합된 제1고정부(120)와, 상기 제1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1장식물(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리형 장신구{Ring type accessory}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고리와 상기 고리에 부착된 장식물을 구비한 고리형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순서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고리형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리형태의 장신구로는 대표적으로 반지가 있으며 이외에 팔찌, 발찌, 목걸이, 귀걸이가 있다.
최근에는 바디장신구라 하여 고리 형태로 네일, 치아 머리 등의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장신구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리형 장신구는 신체에 끼워지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장식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서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리에 별도의 체결장치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리형 장신구는 형태가 단순하고 정형화 되어 있어서 다양한 연출이 어렵다.
따라서, 착용자는 금새 실증을 느끼게 되고 다른 디자인의 새로운 장신구를 재구입하게 되므로 경제적 부담이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예컨대 쌍가락지와 같이 서로 다른 고리형 장신구들을 겹쳐서 착용하거나 순서를 바꾸어 가면서 동시에 착용하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각 고리형 장신구들의 디자인이 대동소이할 뿐만 아니라 착용순서에 따른 대단히 한정적인 형태의 연출만 가능할 뿐이어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없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9-0002012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착용순서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출이 가능한 고리형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리형 장신구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측면에 결합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1장식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장식물이 결합되는 난집과, 상기 난집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에 결합되는 연결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 형태로 상기 고리부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요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의 연결단은 상기 요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고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2장식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제2고정부들은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리부는 양단에 삽입홈이 형성된 제1고리부와, 양단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제2고리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양측에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삽입돌기의 내부로 함몰되는 제1탄성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1탄성돌기가 삽입되는 피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양단에 삽입홈이 형성된 제1고리부들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2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돌기의 양측에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2삽입돌기의 내부로 함몰되는 제2탄성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2탄성돌기가 삽입되는 피난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리부의 측면에 제1고정부와 제1장식물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독특한 디자인으로 착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것은 물론, 고리부의 상부에 국한되던 종래와는 달리 디자인 자유도가 크게 확장되며, 동종 또는 이종의 고리형 장신구와 동시에 착용할 경우에 착용순서와 착용방향에 따라 종래에는 기대하기 힘든 전혀 다른 형태로 변화하게 되므로 다양하고 색다른 연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리부의 상면에 제2고정부와 제2장식물이 더 구비되는 경우 더욱 다양한 연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들의 거리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배치한 경우, 일측의 고리형 장신구의 제2고정부 사이에 타측의 고리형 장신구의 제2고정부를 맞물리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여러 고리형 장신구와 동시에 착용하더라도 상호간에 간섭 없이 원활한 착용이 보장되며, 서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호간에 결합력이 작용하면서 착용 중 유동 및 신체로부터의 이탈됨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리형 장신구(100)는 고리부(110)와 제1고정부(120)와 제1장식물(130)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110)는 손가락이나 발가락 또는 손목이나 발목 또는 머리 목 등의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끼워서 착용이 가능하도록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착용의 용이성을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부(110)가 반지와 같은 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제1고정부(120)는 고리부(11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120)의 상부에는 제1장식물(130)이 결합된다. 상기 제1장식물(130)은 보석을 비롯하여 돌, 메탈, 유리, 수정 등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감안할 때, 상기 제1고정부(120)는 강도와 성형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장식물(130)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120)는 제1장식물(130)의 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난집(121)과, 상기 난집(12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리부(110)에 결합되는 연결단(122)을 구비한다.
상기 제1고정부(120)는 고리부(110)의 측면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연결단(122)을 고리부(110)에 용접하여 일체로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상기 제1고정부(120)가 고리부(110)에 대하여 결합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고리부(11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단(122)의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고리부(110)의 측면에는 상기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공을 형성시켜 상기 연결단(122)과 고리부(110)가 상호간에 나선결합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고리부(110)의 두께가 얇을 경우 나사공을 형성시키기 어렵고 상기 나사공으로 인하여 고리부(110)의 강도가 취약해지는 점이 우려되므로 상기 고리부(110)에는 고리부(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 형태로 상기 고리부(110)의 표면을 따라 요부(111)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고정부(120)의 연결단(122)이 상기 요부(111)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집게공구(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단(122)의 단부를 구부려 감아서 요부(111)에 결합시키고 이를 다시 펴서 요부(1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단(122)이 고리부(110)의 요부(111)를 감싸는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 연결단(122)의 양측이 고리부(110)에 밀착 지지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쉽게 고리부(110)로부터 이탈되거나 고리부(110)를 따라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요부(111)는 제1고정부(12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리부(110)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리형 장신구(100)에 의하면, 제1고정부(120)와 제1장식물(130)이 고리부(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독특한 디자인으로 착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것은 물론, 고리부(110)의 상부에 국한되던 종래와는 달리 고리부(110)의 측부를 따라 제1장식물(130)을 배치시킴으로써 디자인 자유도가 크게 확장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종이나 변종 또는 이종의 고리형 장신구(100,100a, R)와 동시에 착용할 경우에 착용순서와 착용방향에 따라 기존에는 기대하기 힘든 전혀 다른 형태로 변화하게 되므로 다양하고 색다른 연출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분해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110)는 양단에 삽입홈(112)이 형성된 제1고리부(110a)와, 양단에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114)가 형성된 제2고리부(110b)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돌기(114)의 양측에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제1삽입돌기(114)의 내부로 함몰되는 제1탄성돌기(115)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112)의 내부에는 상기 제1탄성돌기(115)가 삽입되는 피난홈(11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1탄성돌기(115)를 누른 상태에서 삽입홈(112)에 제1삽입돌기(114)를 삽입하게 되면 삽입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돌기(115)가 피난홈(113)으로 돌출되게 되면서 제1고리부(110a)와 제2고리부(110b)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120)의 개수와 위치, 제1장식물(130)의 종류, 고리부(110)의 사이즈에 따른 수많은 조합의 고리형 장신구(100,100a)들을 일일이 제작하여 매장에 미리 비치해 놓지 않아도,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매장에서 즉석으로 상기 제1고리부(110a)와 제2고리부(110b)와 제1고정부(120)와 제1장식물(130)을 조립하는 맞춤 제작이 가능해지므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막대한 제조비용과 제조시간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리부(110)는 일측에 제1탄성돌기(115) 및 제1삽입돌기(114)가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홈(112)이 형성된 형태의 제3고리부로도 분할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100b)는 고리부(1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140)의 상부에는 제2장식물(150)이 결합된다.
상기 제2장식물(150)은 보석을 비롯하여 돌, 메탈, 유리, 수정 등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감안할 때, 상기 제2고정부(140)는 강도와 성형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장식물(150)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40)는 제2장식물(150)의 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2고정부(140)와 제2장식물(150)이 더 구비되면 제1고정부(120)와 제1장식물(130)이 함께 어우러지면서 더욱 다양한 디자인으로 착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종이나 변종 또는 이종의 고리형 장신구(100b,100c,100d,R)와 동시에 착용할 경우에 착용순서와 착용방향에 따라 더욱 다양한 연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14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 각 제2고정부(140)들은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거리는 제2장식물(150)의 폭 이상의 거리(D)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동종의 고리형 장신구(100b)를 동시에 착용할 경우에 일측의 고리형 장신구(100b)의 제2장식물(150) 사이에 타측의 고리형 장신구(100b)의 제2장식물(150)를 맞물리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고리형 장신구(100b,100c,100d)와 동시에 착용하더라도 상호간에 간섭 없이 원활한 착용이 보장되며, 서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호간에 결합력이 작용하면서 착용 중 유동 및 신체로부터의 이탈됨이 방지된다.
아울러, 착용순서와 착용방향에 따라 더욱 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해지는 이점도 가진다.
한편, 상기 제2장식물(150)의 폭보다 제2고정부(140)의 폭이 더 클 경우, 상기 일정거리는 제2고정부(140)의 폭 이상의 거리(D)를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장신구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110)는 양단에 삽입홈(112)이 형성된 제1고리부(110a)들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140)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삽입홈(112)에 끼워지는 제2삽입돌기(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돌기(160)의 양측에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2삽입돌기(160)의 내부로 함몰되는 제2탄성돌기(170)가 설치되며, 상기 삽입홈(112)의 내부에는 상기 제2탄성돌기(170)가 삽입되는 피난홈(11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2탄성돌기(170)를 누른 상태에서 삽입홈(112)에 제2삽입돌기(160)를 삽입하게 되면 삽입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돌기(170)가 피난홈(113)으로 돌출되게 되면서 제1고리부(110a)와 제2고정부(140)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고리부(110a)에 제2고리부(110b)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고리부(110b)의 구성 및 제1고리부(110a)와 제2고리부(110b)와의 결합구성 및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제1고리부(110a)에 제2고정부(140)를 다양한 형태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120)의 개수와 위치, 제2고정부(140)의 개수와 위치, 제1장식물(130)의 종류, 제2장식물(150)의 종류, 고리부(110)의 사이즈에 따른 수많은 조합의 고리형 장신구(100,100a,100b,100c)들을 일일이 제작하여 매장에 미리 비치해 놓지 않아도,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매장에서 즉석으로 상기 제1고리부(110a)와 제2고리부(110b)와 제1고정부(120)와 제2고정부(140) 및 제1장식물(130)과 제2장식물(150)을 조립하는 맞춤 제작이 가능해지므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막대한 제조비용과 제조시간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100a,100b,1000c...고리형 장신구
110...고리부 110a...제1고리부
110b..제2고리부 111...요부
112...삽입홈 113...피난홈
114...제1삽입돌기 115...제1탄성돌기
120...제1고정부 121...난집
122...연결단 130...제1장식물
140...제2고정부 150...제2장식물
160..제2삽입돌기 170...제2탄성돌기

Claims (7)

  1.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측면에 구비된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1장식물;
    상기 고리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2장식물;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양단에 삽입홈이 형성된 제1고리부와, 양단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제2고리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양측에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삽입돌기의 내부로 함몰되는 제1탄성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1탄성돌기가 삽입되는 피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제1장식물이 결합되는 난집과, 상기 난집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에 결합되는 연결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 형태로 상기 고리부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요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의 연결단은 상기 요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고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각 제2고정부들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되는 고리형 장신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71992A 2020-06-15 2020-06-15 고리형 장신구 KR10242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92A KR102420295B1 (ko) 2020-06-15 2020-06-15 고리형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92A KR102420295B1 (ko) 2020-06-15 2020-06-15 고리형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04A KR20210155404A (ko) 2021-12-23
KR102420295B1 true KR102420295B1 (ko) 2022-07-14

Family

ID=7917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992A KR102420295B1 (ko) 2020-06-15 2020-06-15 고리형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2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736B2 (ja) * 1990-03-30 2000-05-22 ヤマハ株式会社 空調ダクト騒音減衰装置
JP3179043B2 (ja) * 1997-03-18 2001-06-25 水谷建設工業株式会社 ボックスカルバート設置方法
KR200431840Y1 (ko) * 2006-09-15 2006-11-28 박병준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012Y1 (ko) 1986-02-08 1989-04-10 강정산 완충용 브레이크 장치
JP3044736U (ja) * 1997-06-24 1998-01-16 株式会社ツツミ 環状装身具
JP3179043U (ja) * 2012-08-01 2012-10-11 株式会社モリプランニング ネックレス用装飾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736B2 (ja) * 1990-03-30 2000-05-22 ヤマハ株式会社 空調ダクト騒音減衰装置
JP3179043B2 (ja) * 1997-03-18 2001-06-25 水谷建設工業株式会社 ボックスカルバート設置方法
KR200431840Y1 (ko) * 2006-09-15 2006-11-28 박병준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04A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564B2 (en) Necklace or bracelet with regularly spaced links on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KR100745296B1 (ko) 보석 장신구용 장식품 및 그 장식품을 포함하는 보석 장신구
KR102420295B1 (ko) 고리형 장신구
US3071940A (en) Finger ring having means for mounting a plurality of similar ornaments
KR20010013456A (ko) 교체식 장식 부재가 부착된 보석품
USD1006651S1 (en) Watch
USD1006650S1 (en) Watch
WO2001070067A1 (en) Ornamental item in the shape of a ring with variable configuration
KR101657456B1 (ko)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KR200462604Y1 (ko) 장신구 모듈
KR200275992Y1 (ko) 장신구용 팔찌
KR102537047B1 (ko) 반지 및 목걸이로 가변되는 장신구
USD1021672S1 (en) Ring
USD1022764S1 (en) Ring
KR200241340Y1 (ko) 장식용 사슬구조
KR101959518B1 (ko)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KR200276911Y1 (ko) 장식용 반지
KR200275980Y1 (ko) 액세서리용 장식구
KR20110043915A (ko) 반지
KR101967202B1 (ko) 디자인 확장성을 갖는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KR200328407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조
KR200233862Y1 (ko) 장신구
KR200289772Y1 (ko) 장신구
US20050016212A1 (en) Double-faced jew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