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340Y1 - 장식용 사슬구조 - Google Patents

장식용 사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340Y1
KR200241340Y1 KR2020010010352U KR20010010352U KR200241340Y1 KR 200241340 Y1 KR200241340 Y1 KR 200241340Y1 KR 2020010010352 U KR2020010010352 U KR 2020010010352U KR 20010010352 U KR20010010352 U KR 20010010352U KR 200241340 Y1 KR200241340 Y1 KR 200241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ds
points
supported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혁
Original Assignee
임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혁 filed Critical 임근혁
Priority to KR2020010010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340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사슬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지의 구슬(19)(29)과; 한 지점에서 대응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대응 내측면 중 두 지점이 구슬 외주면의 네 지지점 중 두 지지점에 각각 지지되는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와,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의 양단으로부터 단위고리(12)의 전후 방향측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는 제1절곡부(15)(25) 및 제2절곡부(16)(26)와, 제1절곡부(15)(25) 및 제2절곡부(16)(26)의 양단로부터 한 지점으로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에 대향되는 형상을 가지며 대응 내측면 중 두 지점이 구슬(19) 외주면의 네 지지점 중 나머지 두 지지점에 각각 지지되는 제3지지부(17) 및 제4지지부(18)로 이루어진 단위고리(12)(22)로 연속 구성되는 장식용 사슬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구슬(19)(29)의 외주면 중 네 지지점이 단위고리(12)(22)의 네 지지점, 즉 제1지지부(13), 제2지지부(14), 제3지지부(17), 제4지지부(18)의 대응 내 주면에 각각 지지되므로 구슬(19)(29)이 단위고리(12)(22)에 견고히 지지되어 빠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사슬(11)과 구슬(19)(29)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제작할 수 있어 단조로운 장식용 사슬에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장식용 사슬구조 {chain structure for decoration}
본 고안은 장식용 사슬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슬에 다수의 구슬이 결합구비된 장식용 사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사슬은 금, 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목걸이, 팔찌,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장식용 사슬(1)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고리(2)가 연속 연결된 형태를 가지도록 만들어 체인 형태를 구성하게 되는데, 그 외관이 비교적 단조로와서 심미감이 떨어지고 따라서 장식효과가 그다지 높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단위고리를 두 가닥 또는 세 가닥의 금속선을 꼬아서 만든 후 이러한 단위고리를 연속 연결하여서 장식용 사슬을 만들기도 하였고, 서로 다른 색상의 여러가닥의 금속선을 꼬아서 단위고리를 만들어서 전체 장식용 사슬의 장식미를 높이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장식용 사슬은, 여러 각도로 변화를 꾀하여도 다수의 단위고리가 연속 연결되어 구성되는 기본적인 틀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장식미가 그다지 향상되지 못하였으며, 결국, 장식용 사슬에 여러가지 디자인의 메달이나 세팅된 귀금속을 매다는 정도로 장식용 사슬의 한계를 보완하는 정도로 만족해야 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단위고리에 구슬을 결합시킬 수 있어 사슬과 구슬이 조화를 이루도록 한 장식용 사슬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장식용 사슬구조는, 마름모형 단위고리가 연속 연결형성된 장식용 사슬구조에 있어서, 공지의 구슬과; 한 지점에서 대응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대응 내측면 중 두 지점이 구슬 외주면의 네 지지점 중 두 지지점에 각각 지지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와,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단위고리의 전후 방향측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는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의 양단로부터 한 지점으로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대향되는 형상을 가지며 대응 내측면 중 두 지점이 구슬 외주면의 네 지지점 중 나머지 두 지지점에 각각 지지되는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로 이루어진 단위고리가 연속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구슬의 외주면 중 네 지지점이 단위고리의 네 지지점, 즉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제4지지부의 대응 내주면에 각각 지지되므로 구슬이 단위고리에 견고히 지지되어 빠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사슬과 구슬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제작할 수 있어 단조로운 장식용 사슬에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장식용 사슬을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
도2는 본 고안 장식용 사슬구조 중 사슬을 보이는 사시도
도3 및 도4는 도2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5는 본 고안 장식용 사슬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6 내지 도8은 도5의 정면도 및 측면도, 평면도
도9는 본 고안 장식용 사슬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사슬 12,22 ; 단위고리
13 ; 제1지지부 14 ; 제2지지부
15,25 ; 제1절곡부 16,26 ; 제2절곡부
17 ; 제3지지부 18 ; 제4지지부
19,29 ; 구슬
본 고안 장식용 사슬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 고안 장식용 사슬구조는 본 고안의 특징인 사슬(11)과 공지의 구슬(19)로이루어진다.
여기서 구슬은 일반적인 보석이나 모조 보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속, 합성수지, 진주 등 다양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다.
사슬(11)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고리(12)로 이루어지는바, 이 단위고리(12)는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 제1절곡부(15) 및 제2절곡부(16), 그리고 제3지지부(17) 및 제4지지부(18)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는 한 지점에서 대응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대응 내측면 중 두 지점이 구슬(19) 외주면의 네 지지점 중 두 지지점에 각각 지지된다.
제1절곡부(15) 및 제2절곡부(16)는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의 양단으로부터 단위고리(12)의 전후 방향측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며, 단위고리(12)를 측면에서 보면 도4와 같이 제1절곡부(15)와 제2절곡부(16)가 서로 X자 형태를 이룬다.
제3지지부(17)와 제4지지부(18)는 제1절곡부(15) 및 제2절곡부(16)의 양단로부터 한 지점으로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에 대향되는 형상을 가지며, 대응 내측면 중 두 지점이 구슬(19) 외주면의 네 지지점 중 나머지 두 지지점에 각각 지지된다.
도2는 본 고안 단위고리(12)로 이루어진 사슬(11)의 사시도이고, 도3은 그 정면도이며, 도4는 그 측면도로써, 상술한 형상의 단위고리(12)가 연속 연결되어서 본 고안의 사슬(11)을 이룬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사슬(11)에는 도5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슬(19)이 결합지지되는바, 도5는 사슬(11)에 구슬(19)이 결합지지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6은 그 정면도이며, 도7은 그 측면도, 도8은 그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구슬(19)이 단위고리(12)에 물리게 되면, 구슬(19) 외주면의 네 지지점이 단위고리(12)의 대응 내측면에 각각 지지되는바,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의 내측면 중 두 지지점에 구슬(19) 상측의 대응 두 지지점이 지지되고, 제3지지부(17) 및 제4지지부(18)의 내측면 중 두 지지점에 구슬(19) 하측의 대응 두 지지점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13), 제2지지부(14), 제3지지부(17) 및 제4지지부(18)에 의해 구슬(19)의 외주면 네 지지점이 지지되면, 단위고리(12)를 파손시키거나 심하게 변형시키지 않는 한 구슬(19)이 단위고리(1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사슬(11)과 구슬(19)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슬의 장식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슬(11)에 구슬(19)을 결합시키는 작업은 비교적 간단한데, 본 고안의 특징인 단위고리(12) 중앙에 구슬(19)을 위치시키고 제1절곡부(15) 및 제2절곡부(16) 대응 양측을 기계 또는 공구를 약간 눌러주면 간단히 물리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장식용 사슬구조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여러 각도로 변화를 꾀하여도 다수의 단위고리가 연속 연결되어 구성되는 기본적인 틀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장식미가 그다지 향상되지 못하였고, 결국, 장식용 사슬에 여러가지 디자인의 메달이나 세팅된 귀금속을 매다는 정도로 장식용 사슬의 한계를보완하는 정도로 만족해야 했던 종래와는 달리, 각각의 단위고리(12)에 구슬(19)을 물린 사슬구조를 구비하므로, 사슬(11)과 구슬(19)의 조화를 꾀할 수 있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9는 본 고안 장식용 사슬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로써, 이는 구슬(29)에 관통구멍(29a)을 형성시키고, 단위고리(22)의 제1절곡부(25)와 제2절곡부(26)의 대응 내측면에 각각 지지돌부(22a)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다면 구슬(29)을 단위고리(22)에 물릴시 구슬(29)의 관통구멍(29a)에 지지돌부(22a)가 끼워지게 되어 구슬(29)이 단위고리(22)에 더욱 견고히 지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사슬구조에 의하면, 구슬(19)(29)의 외주면 중 네 지지점이 단위고리(12)(22)의 네 지지점, 즉 제1지지부(13), 제2지지부(14), 제3지지부(17), 제4지지부(18)의 대응 내주면에 각각 지지되므로 구슬(19)(29)이 단위고리(12)(22)에 견고히 지지되어 빠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사슬(11)과 구슬(19)(29)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제작할 수 있어 단조로운 장식용 사슬에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마름모형 단위고리가 연속 연결형성된 장식용 사슬구조에 있어서,
    공지의 구슬(19)(29)과;
    한 지점에서 대응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대응 내측면 중 두 지점이 구슬 외주면의 네 지지점 중 두 지지점에 각각 지지되는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와, 상기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의 양단으로부터 단위고리(12)의 전후 방향측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는 제1절곡부(15)(25) 및 제2절곡부(16)(26)와, 상기 제1절곡부(15)(25) 및 제2절곡부(16)(26)의 양단로부터 한 지점으로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13) 및 제2지지부(14)에 대향되는 형상을 가지며 대응 내측면 중 두 지점이 구슬(19) 외주면의 네 지지점 중 나머지 두 지지점에 각각 지지되는 제3지지부(17) 및 제4지지부(18)로 이루어진 단위고리(12)(22)가 연속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사슬구조.
KR2020010010352U 2001-04-12 2001-04-12 장식용 사슬구조 KR200241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52U KR200241340Y1 (ko) 2001-04-12 2001-04-12 장식용 사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52U KR200241340Y1 (ko) 2001-04-12 2001-04-12 장식용 사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340Y1 true KR200241340Y1 (ko) 2001-10-11

Family

ID=7309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352U KR200241340Y1 (ko) 2001-04-12 2001-04-12 장식용 사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3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1366A1 (en) Product for ornamental use, in particular a precious or costume jewellery product having a variable form
KR200241340Y1 (ko) 장식용 사슬구조
KR102359670B1 (ko) 저중량 대비 입체 볼륨감 상승 구조와 다표현 연출 구조의 세팅이 가능한 멀티 할로우 장식 제조방법
US20020092323A1 (en) Decorative bead for bracelets, necklaces and the like
CN220832168U (zh) 一种金属首饰、吊坠及项链
KR20110105517A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KR200463445Y1 (ko) 분할된 몸체를 갖는 장신구용 연결구
KR102420295B1 (ko) 고리형 장신구
KR200420416Y1 (ko) 손 장식용 장신구
JP3243680U (ja) ネックレス及びネックレス用の装飾フレーム
KR200275980Y1 (ko) 액세서리용 장식구
KR200360003Y1 (ko) 장식용 체인
KR102272027B1 (ko) 다층 구조 장신구의 결합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 장신구
KR200275992Y1 (ko) 장신구용 팔찌
KR200375097Y1 (ko) 진자운동을 하는 장신구
KR102352675B1 (ko) 코어 연속 이음 연결식 구조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용 장식구
CN217065574U (zh) 一种晃动首饰的平衡支架
CN210841801U (zh) 可旋转吊坠
KR101959518B1 (ko)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KR200284021Y1 (ko) 장신구용 팔지
CN210094867U (zh) 一种具有炫彩视觉效果的戒指
KR200404238Y1 (ko) 볼 체인
JP3111643U (ja) 装身用チェーン等に於ける装飾鎖素子
KR200462604Y1 (ko) 장신구 모듈
US5581884A (en) Method of attaching an ornamental setting to an orn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