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911Y1 - 장식용 반지 - Google Patents

장식용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911Y1
KR200276911Y1 KR2020020004714U KR20020004714U KR200276911Y1 KR 200276911 Y1 KR200276911 Y1 KR 200276911Y1 KR 2020020004714 U KR2020020004714 U KR 2020020004714U KR 20020004714 U KR20020004714 U KR 20020004714U KR 200276911 Y1 KR200276911 Y1 KR 200276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pace
replacement
decorative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학
Original Assignee
(주)쥬얼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쥬얼파크 filed Critical (주)쥬얼파크
Priority to KR2020020004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911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둘레를 따라 양분되고 각 둘레의 양측에 양자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양자의 둘레 사이에 둘레길이의 1/2보다 큰 삽입공간 및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링체와, 상기 링체의 삽입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과 공간을 메움으로써 상기 링체와 하나의 반지를 이루고 상기 링체와 결합시 상기 삽입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장식부재가 부착된 교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장식부재가 상이한 다수개의 교체링만을 구비하면 착용자의 의상, 계절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반지 { Decorative ring }
본 고안은 장식용 반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의상, 계절 및 목적에 따라 반지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장식용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치장을 목적으로, 또는 결혼이나 약혼 등을 기념하는 표시로 금이나 은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 손가락에 끼도록 된 고리로서, 동일한 목적 또는 부류의 사람들끼리 동질감을 고취시키거나 개인들끼리 특별히 기념하거나 약속을 지키기 위한 징표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반지의 특성상 재료는 귀금속이 주로 이용되고 있고, 아울러 귀금속과 함께 다양한 보석을 부가하여 독특한 형상 또는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반지는 개인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한 장신구로써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형상 및 디자인이 매우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반지는 개인의 개성 연출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만큼 귀금속 및 보석으로 이루어진 많은 반지를 보유하고 있기 위해서는 매우 비싼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특히 반지는 유행에 따라 형상 및 디자인의 변화가 심한 장신구이기 때문에 새롭게 유행하는 반지를 구입하고 나면 이전의 반지는 거의 착용하지 않고 폐기처분되다시피 보관만 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며 유행에 따른 형상 및 디자인의 변화가 단지 외관상의 약간의 차이만 있는 경우에도 반지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등 구매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적은 비용 부담으로 반지의 형상 및 디자인에 변화를 주어 취향에 따른 개성 연출 및 유행에 따른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식용 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반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반지의 링체가 도시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반지에 다른 교체링을 결합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링체 11 : 연결부
12a : 삽입공간 12b : 공간
13 : 보강용 연결부 20 : 교체링
21 : 장식부재 31 : 돌출부
32 : 홈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둘레를 따라 양분되고 각 둘레의 양측에 양자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양자의 둘레 사이에 둘레길이의 1/2보다 큰 삽입공간 및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링체와, 상기 링체의 삽입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과 공간을 메움으로써 상기 링체와 하나의 반지를 이루고 상기 링체와 결합시 상기 삽입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장식부재가 부착된 교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반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반지의 링체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링체(10a)(10b)와, 상기 링체(10a)(10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링체(10a)(10b)와 하나의 반지를 이루는 교체링(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체(10a)(10b)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 양분되는 바, 상기 각 링체(10a)(10b)의 둘레 양측에는 상기 링체(10a)(10b)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시키는 연결부(11)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11)는 얇은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11)에 의해 상기 링체(10a)(10b)의 둘레 사이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둘레 방향을 따라 삽입공간(12a) 및 공간(12b)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삽입공간(12a)은 상기 링체(10a)(10b)의 둘레길이의 1/2에 해당하는 길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12b)은 상기 삽입공간(12a)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교체링(20)은 상기 링체(10a)(10b)의 삽입공간(12a)을 통해 상기 링체(10a)(10b)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12a) 및 공간(12b)을 메워줌으로써 본 고안의 전체적인 형상이 링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둘레의 일측, 즉 상기 링체(10a)(10b)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삽입공간(1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보석 등과 같은 장식부재(21)가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상이한 디자인의 장식부재(21)가 부착된 교체링(20)을 다수 구비하면 계절, 착용자의 의상 및 목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절한 교체링(20)을 링체(10a)(10b)에 결합시켜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데, 상기의 상이한 교체링을 결합시킨 장식용 반지의 예가 도 3a 및 도 3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링체(10a)(10b)는 연결부(11)에 의해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바, 상기 연결부(11)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공간(12b)의 둘레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11)와 동일한 형상의 보강용 연결부(13)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삽입공간(12a)에도 보강용 연결부를 형성하면 보다 구조적인 강도가 증가할 것이나, 이는 교체링(20)의 삽입을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아니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링체(10a)(10b)에 교체링(20)을 결합시킨 후 손가락에 끼워 착용하였을 경우 손가락에 의해 링체(10a)(10b)로부터 교체링(20)이 이탈되는 현상이 완벽하게 방지되나 손가락으로부터 본 고안을 빼내어 따로 보관할 경우 착용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링체(10a)(10b)로부터 교체링(20)이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교체링(20)의 장식부재(21)가 삽입공간(12a)의 정 중앙에 위치하도록 세팅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체결수단은 상기 링체(10a)(10b)의 연결부(11) 및 보강용 연결부(13)의 내측면에 반구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31)와, 상기 돌출부(31)가 끼워져 상호간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교체링(20)의 둘레에 반구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3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반지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링체(10a)(10b)의 삽입공간(12a)에 다수개의 교체링(20) 중에 계절, 의상 등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삽입시킨다.
그리하면 연결부(11)에 형성된 돌출부(31)에 의해 교체링(20)의 양측이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 힘으로 교체링(20)을 힘껏 누르면 각 교체링(20)의 홈부(32)에 돌출부(31)가 끼워진다.
이때 교체링(20)은 링체(10a)(10b)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교체링(20)의 장식부재(21)는 삽입공간(12a)의 정 중앙에 위치된다.
한편 링체(10a)(10b)에 다른 교체링(20)을 결합시켜 이미지의 변화를 주고자 할 경우에는 손끝으로 링체(10a)(10b)의 공간(12b)에 의해 노출된 교체링(20)의 하부를 힘껏 눌러 홈부(32)에 끼워진 돌출부(31)를 홈부(32)로부터 끼워진 상태를 해체시킨 후 교체링(20)의 상부를 손으로 잡아 링체(10a)(10b)로부터 교체링(20)을 빼낸 다음 다른 교체링(20)을 상술한 장착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끼우면 된다.
이때 착용자는 착용자의 의상, 계절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반지는 링체에 마련된 삽입공간에 장식이 상이한 다수개의 교체링 중에 어느 하나를 착용자의 의상, 계절 및 목적에 따라 택일하여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반지를 이루기 때문에 교체링만을 따로 구비하면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교체링의 둘레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링체의 연결부 및 보강용 연결부에는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링체로부터 교체링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부재의 위치가 반지의 상측 정 중앙에 정확히 세팅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둘레를 따라 양분되고 각 둘레의 양측에 양자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양자의 둘레 사이에 둘레길이의 1/2보다 큰 삽입공간(12a) 및 공간(12b)을 형성하는 연결부(11)가 형성된 링체(10a)(10b)와; 상기 링체(10a)(10b)의 삽입공간(12a)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12a)과 공간(12b)을 메움으로써 상기 링체(10a)(10b)와 하나의 반지를 이루고 상기 링체(10a)(10b)와 결합시 상기 삽입공간(1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장식부재(21)가 부착된 교체링(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10a)(10b)의 공간(12b)에는 상기 공간(12b)을 양분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키는 보강용 연결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반지는 상기 링체(10a)(10b)로부터 교체링(20)이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반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11) 및 보강용 연결부(13)의 내측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31)와; 상기 각 돌출부(31)가 끼워져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교체링(20)의 둘레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반지.
KR2020020004714U 2002-02-18 2002-02-18 장식용 반지 KR200276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14U KR200276911Y1 (ko) 2002-02-18 2002-02-18 장식용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14U KR200276911Y1 (ko) 2002-02-18 2002-02-18 장식용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911Y1 true KR200276911Y1 (ko) 2002-05-27

Family

ID=7311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14U KR200276911Y1 (ko) 2002-02-18 2002-02-18 장식용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9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72Y1 (ko) 2012-01-31 2013-04-11 박현균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72Y1 (ko) 2012-01-31 2013-04-11 박현균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882564U (zh) 能够更换饰物的首饰系统及与其一起使用的能够更换的钥匙、能够更换饰物的首饰套件
US20120186121A1 (en) Wristband with removable indicia
KR100745296B1 (ko) 보석 장신구용 장식품 및 그 장식품을 포함하는 보석 장신구
US4153346A (en) Combined sunglasses and ear pendants
US20040154143A1 (en) Magnetic clasp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KR200276911Y1 (ko) 장식용 반지
US20020092323A1 (en) Decorative bead for bracelets, necklaces and the like
KR100426717B1 (ko) 반지
US10342305B2 (en) Interchangeable ring
JP3147796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385575Y1 (ko) 장신구의 보석결합구조
KR200271413Y1 (ko) 회전형 장신구
EP3824756A1 (en) Item of jewelry
US9010146B1 (en) Wearable decorative articles
KR20110043915A (ko) 반지
KR200388106Y1 (ko) 문자 조합 목걸이
KR200363083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KR20090011868U (ko) 장신구
KR102420295B1 (ko) 고리형 장신구
CN209498826U (zh) 首饰
KR200397718Y1 (ko) 조립식 반지
KR200279482Y1 (ko) 반지
JP3622734B2 (ja) 装飾品及びこれを用いた首周りの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