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372Y1 -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 Google Patents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372Y1
KR200466372Y1 KR2020120000739U KR20120000739U KR200466372Y1 KR 200466372 Y1 KR200466372 Y1 KR 200466372Y1 KR 2020120000739 U KR2020120000739 U KR 2020120000739U KR 20120000739 U KR20120000739 U KR 20120000739U KR 200466372 Y1 KR200466372 Y1 KR 200466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roove
identification
gol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균
Original Assignee
박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균 filed Critical 박현균
Priority to KR2020120000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3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금 반지 또는 백금 반지를 제작하거나 판매 공급함에 있어서, 상기 반지에 함유된 금의 함량을 14K, 18K, 24K에 따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반지의 링 본체 일측에 각각 색상이 다른 별도의 식별구를 결합하여 작업자 또는 소비자가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반지의 판매 또는 제작시 발생되는 오해나 불찰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제작과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A ring with power of discernment for gold content}
본 고안은 금 반지 또는 백금 반지를 제작하거나 판매 공급함에 있어서, 상기 반지에 함유된 금의 함량을 14K, 18K, 24K에 따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반지의 링 본체 일측에 각각 색상이 다른 별도의 식별구를 결합하여 작업자 또는 소비자가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반지의 판매 또는 제작시 발생되는 오해나 불찰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제작과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5483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 착용하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연출과 장신미를 돋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반지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중공이 구비된 링형 몸체가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 보석과 같은 아이템을 이용한 장식부가 형성되어 반지의 외적인 화려함과 심미감을 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반지들은 통상 링형 몸체 내주면에 해당 반지의 금 함(유)량을 표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표시는 관례상 낙관과 같은 형태로 찍혀 14K, 18K, 24K 를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그러한, 이와 같은 음각 형태로 각인된 금 함량 표시는 작업자 및 소비자가 해당 금 함량이 맞는지 반지의 내주면을 빛에 비추어 가면서 표시된 부분을 일일이 찾아내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번거로움이 계속되어 왔으며, 특히 작업자는 다수개의 반지를 재활용 등을 위해 녹이는 과정(용융 과정)에서 각 반지마다 금 함량을 따로 메모해 두지 않을 경우 작업에 혼란이 가중되는 등 불필요한 작업과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금 반지 또는 백금 반지를 제작하거나 판매 공급함에 있어서, 상기 반지에 함유된 금의 함량을 14K, 18K, 24K에 따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반지의 링 본체 일측에 각각 색상이 다른 별도의 식별구를 결합하여 작업자 또는 소비자가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반지의 판매 또는 제작시 발생되는 오해나 불찰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제작과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링 본체(100)의 일측단에 내측으로 식각된 요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10)에는 14K, 18K, 24K를 구별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색상의 선택된 식별구(200)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반지의 식별구(200)와 요홈(110)은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식별구(200)는 외주면에 체결나사(210)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110)은 내주면에 조립나사(111)가 형성되어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반지의 식별구(200)와 요홈(110)은 사각형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되, 상기 식별구(200)와 요홈(110)은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요철부(220,112)이 형성되어 암수가 밀착 결합되거나, 용접(W) 결합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반지에 함유된 금의 함량을 14K, 18K, 24K에 따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반지의 링 본체 일측에 각각 색상이 다른 별도의 식별구를 결합하여 작업자 또는 소비자가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반지의 판매 또는 제작시 발생되는 오해나 불찰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제작과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지의 개략적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식별구가 요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식별구가 요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본체(100)의 일측단에 내측으로 식각된 요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10)에는 14K, 18K, 24K를 구별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색상의 선택된 식별구(200)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요홈은 링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과 깊이는 2~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홈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식별구는 14K, 18K, 24K 마다 다른 색상(예컨데, 빨강/주황/노랑)으로 도색되되, 외주면상에는 부가적으로 각각 14K, 18K, 24K 문자가 형광색으로 도장 또는 도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된 식별구는 14K, 18K, 24K 마다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식별구의 외주면은 요홈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손가락에 끼웠을 때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반지의 식별구(200)와 요홈(110)은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식별구(200)는 외주면에 체결나사(210)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110)은 내주면에 조립나사(111)가 형성되어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일 실시예의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치공구 또는 손공구(니퍼 혹은 드라이버)를 통해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반지의 식별구(200)와 요홈(110)은 사각형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되, 상기 식별구(200)와 요홈(110)은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요철부(220,112)이 형성되어 암수가 밀착 결합되거나, 용접(W) 결합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른 실시예의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지로 밀착되는 방식이거나 용접에 의해 완전 고정하도록 함으로서, 접합 신뢰성을 개선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링 본체 110 ... 요홈
111 ... 조립나사 112 ... 철부
200 ... 식별구 210 ... 체결나사
220 ... 요부

Claims (3)

  1. 링 본체(100)의 일측단에 내측으로 식각된 요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10)에는 14K, 18K, 24K를 구별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색상의 선택된 식별구(200)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의 식별구(200)와 요홈(110)은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식별구(200)는 외주면에 체결나사(210)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110)은 내주면에 조립나사(111)가 형성되어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의 식별구(200)와 요홈(110)은 사각형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되, 상기 식별구(200)와 요홈(110)은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요철부(220,112)이 형성되어 암수가 밀착 결합되거나, 용접(W) 결합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KR2020120000739U 2012-01-31 2012-01-31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KR200466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739U KR200466372Y1 (ko) 2012-01-31 2012-01-31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739U KR200466372Y1 (ko) 2012-01-31 2012-01-31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372Y1 true KR200466372Y1 (ko) 2013-04-11

Family

ID=5138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739U KR200466372Y1 (ko) 2012-01-31 2012-01-31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37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01Y1 (ko) 2002-01-10 2002-04-22 임건환 퍼즐 반지
KR200276911Y1 (ko) 2002-02-18 2002-05-27 (주)쥬얼파크 장식용 반지
KR200294174Y1 (ko) 2002-04-25 2002-11-04 유태우 반지
KR200343193Y1 (ko) 2003-11-27 2004-02-27 김시인 표시부를 구비한 묵주반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01Y1 (ko) 2002-01-10 2002-04-22 임건환 퍼즐 반지
KR200276911Y1 (ko) 2002-02-18 2002-05-27 (주)쥬얼파크 장식용 반지
KR200294174Y1 (ko) 2002-04-25 2002-11-04 유태우 반지
KR200343193Y1 (ko) 2003-11-27 2004-02-27 김시인 표시부를 구비한 묵주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83221S1 (en) Shave preparation container
AU201712024S (en) Temperature Controller
USD873846S1 (en) Display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AU338040S (en) Razor
CN202067085U (zh) 一种表盘与表带可简易拆卸更换的手表
CA171961S (en) Liquor bottle
KR200466372Y1 (ko) 금 함량 식별이 용이한 반지
CN103447674A (zh) 多规格螺柱的螺柱焊防错装置及方法
CN202780100U (zh) 一种组合丝锥
CN210253648U (zh) 一种车轮配件用压字模具
CN103839484B (zh) 放线喷字牌
CN204248328U (zh) 一种汽车轮毂的滚花刀
WO2015081819A1 (zh) 一种新式双色套筒
CN105709383A (zh) 高尔夫球杆保护涂层
CN203409692U (zh) 一种数控刀具用圆形轴承扳手
CN201357334Y (zh) 飞轮壳定位锥销
CN203776272U (zh) 一种吊坠
CN205763309U (zh) 一种汽车电器用卡簧成型模
CN205456586U (zh) 一种通过不脱螺丝连接件连接的组合戒指
USD692934S1 (en) Pallet changer for machine tool
CN202190832U (zh) 装饰扣
CN211517309U (zh) 一种套筒
CN208417342U (zh) 摩托车刹车盘
CN204469095U (zh) 一种跳绳
CN201405297Y (zh) 具辨识功效的起子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