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482Y1 - 반지 - Google Patents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482Y1
KR200279482Y1 KR2020020008829U KR20020008829U KR200279482Y1 KR 200279482 Y1 KR200279482 Y1 KR 200279482Y1 KR 2020020008829 U KR2020020008829 U KR 2020020008829U KR 20020008829 U KR20020008829 U KR 20020008829U KR 200279482 Y1 KR200279482 Y1 KR 200279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opening
dovetail
clos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광
Original Assignee
이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광 filed Critical 이재광
Priority to KR2020020008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482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지(rin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지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양 및 보석이 세팅된 슬라이더를 기호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교체 슬라이더를 구비한 조립식 반지(a sectional ring consisting of replacement rings)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부 둘레에 도브테일 홈을 형성하고 어느 일측에 양측 벽을 따낸 삽입 개방부를 형성하여, 개폐구로 착탈되게 한 반지의 공통적인 부분인 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링형 본체; 및
상기 도브테일 홈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복수의 도브테일 장식편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도브테일의 홈바닥 또는 도브테일 장식편의 바닥 저면의 어느 일 측을 단차면으로 형성하거나 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본체의 도브테일 홈 내에서 장식편이 용이하게 가이드되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구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선단에 훅크형 걸림턱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구성으로써 양측으로 훅크형 걸림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반지{A RING}
본 고안은 반지(rin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지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양 및 보석이 세팅된 슬라이더를 기호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교체 슬라이더를 구비한 조립식 반지(a sectional ring consisting of replacement rings)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손가락에 끼는 고리로서, 동일한 목적 또는 부류의 사람들끼리 동질감을 고취시키거나 개인들끼리 특별히 기념하거나 약속을 지키기 위한징표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반지의 특성상 그 재료는 금, 은 등의 귀금속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귀금속과 함께 다양한 보석을 부가하여 독특한 형상 또는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반지는 개인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한 장식구로써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형상 및 디자인이 매우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장식구로써 반지는 목걸이, 귀걸이, 팔지 등 다른 장식구들과 세트로 구비하여 개인의 개성을 연출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반지는 손가락에 끼워 착용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다른 장식구들에 비해 끼거나 빼기에 용이하며, 한 번 손가락에 끼우고 나면 쉽게 빠지지 않으므로 착용시 분실의 위험이 적으며, 손은 항상 드러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성 연출에도 효과적인 이점들이 있다. 또한, 반지는 착용자의 주변 환경이나 분위기, 심리적인 상태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화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아 착용자는 선택의 폭을 어느 정도 확보하기 위해서 자신의 개성 및 취향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 및 디자인의 반지를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반지는 개인의 개성 연출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만큼, 귀금속 및 보석류로 이루어진 많은 반지를 보유하고 있기 위해서는 매우 비싼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특히, 반지는 유행에 따라 형상 및 디자인의 변화가 심한 장식구로 새롭게 유행하는 반지를 구입하고 나면, 이전의 반지는 거의 착용하지 않고 폐기처분 되다시피 보관만 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며, 유행에 따른 형상 및 디자인의 변화가 단지외관상의 약간의 차이만 있는 경우에도 반지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등 구매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은 비용 부담으로 반지의 링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에 변화를 주어 취향에 따른 개성 연출 을 할 수 있는 조립식 반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외부 둘레에 도브테일 홈을 형성하고 어느 일측에 양측 벽을 따낸 삽입 개방부를 형성하여, 개폐구로 착탈되게 한 반지의 공통적인 부분인 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링형 본체; 및
상기 도브테일 홈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복수의 도브테일 장식편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도브테일의 홈바닥 또는 도브테일 장식편의 바닥 저면의 어느 일 측을 단차면으로 형성하거나 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본체의 도브테일 홈 내에서 장식편이 용이하게 가이드되게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구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선단에 훅크형 걸림턱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구성으로써 양측으로 훅크형 걸림턱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장식편의 표면에 문양이나 보석을 세팅하고 숫자나 문자 등의 로고를 새겨 넣을 수 있도록 하여 나만의 반지를 소유 및 착용하는 효과를 주고 디자인의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반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반지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장식편을 제외한 상태 도면.
도 2는 본 고안 반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b는 다른 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c는 본 고안의 장식편의 다른 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개폐구를 보인 단면도.
도 4b는 개폐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지는 그 특성상 금, 은 등의 귀금속 재료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귀금속과 함께 다양한 보석을 부가하여 독특한 형상 또는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작은 부피에도 불구하고 고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 1은 본 고안 반지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장식편을 제외한 상태의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 반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3b는 다른 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고안의 장식편의 다른 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본 고안의 개폐구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개폐구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외부 둘레에 도브테일 홈(11)을 형성하고 어느 일측에 양측 벽을 따낸 삽입 개방부(12)를 형성하여, 개폐구(13)로 착탈되게 한 반지의 공통적인 부분인 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링형 본체(10); 및
상기 도브테일 홈(11)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복수의 도브테일 장식 편(20)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도 3a, 도 3b에서와 같이 도브테일 홈(11)의 바닥면 또는 도브테일장식 편(20)의 바닥 저면의 어느 일측을 단차면으로 형성하거나 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본체(10)의 도브테일 홈(11) 내에서 장식 편(20)이 용이하게 가이드되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그 이유는 접촉 면적을 적게 함에 따른 슬라이드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이다.
한편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구(13)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선단에 훅크형 걸림턱(13h)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개방 부(12)를 커버하는 구성으로써 양측으로 훅크형 걸림턱(13h)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장식편의 표면에 문양이나 보석을 세팅하고 숫자나 문자 등의 로고를 새겨 넣을 수 있도록 하여 나만의 반지를 소유 및 착용하는 효과를 주고 디자인의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반지를 제공한다.
이때 장식편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문양 등의 표현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도 3c에서와 같이 그 단면이 I형인 장식 편(20)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적은 비용 부담으로 장식편(20)만을 구입하여 취향에 따른 개성 연출 및 유행에 따른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의 홈(11)을 제외한 외부 둘레면의 양쪽 테두리면에 보석을 세팅하는 등의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할 것이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에 있어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지의 공통적인 부분인 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고리의 틀 부분은 그대로 둔 채 형상 및 디자인의 변화를 줄 수 있는 부분인 장식편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교체함으로써 적은 비용 부담으로 취향에 따른 개성 연출 및 유행에 따른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외부 둘레에 도브테일 홈을 형성하고 어느 일측에 양측 벽을 따낸 삽입 개방부를 형성하여, 개폐구로 착탈되게 한 반지의 공통적인 부분인 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링형 본체; 및
    상기 도브테일 홈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복수의 도브테일 장식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반지.
  2. 제 1 항에 있어서, 도브테일의 홈바닥 또는 도브테일 장식편의 바닥 저면의 어느 일측을 단차면으로 형성하거나 호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반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선단에 훅크형 걸림턱을 갖는 개폐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 반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구성으로써 양측으로 훅크형 걸림턱을 갖는 개폐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 반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편의 표면에 문양이나 보석을 세팅하고 숫자나 문자 등의 로고를 새겨 넣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반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편의 표면을 넓게 하여 문양 등의 표현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그 단면이 I형인 장식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반지.
KR2020020008829U 2002-03-25 2002-03-25 반지 KR200279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829U KR200279482Y1 (ko) 2002-03-25 2002-03-25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829U KR200279482Y1 (ko) 2002-03-25 2002-03-25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482Y1 true KR200279482Y1 (ko) 2002-06-24

Family

ID=7312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829U KR200279482Y1 (ko) 2002-03-25 2002-03-25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4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490A (en) Hinged insert ring
US5682768A (en) Jewelry ring with hinged ring segments
US7322213B2 (en) Modifiable jewelry
US10506852B2 (en) Multi-functional bracelet
US8091383B1 (en) Two finger ring and two toe ring
KR200279482Y1 (ko) 반지
US20210227940A1 (en) Accessories for which small gemstones can be utiliz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127510B1 (en) Accessory coatable with nail polish
WO2001070067A1 (en) Ornamental item in the shape of a ring with variable configuration
KR20000027198A (ko) 교체링을 구비한 조립식 반지
KR20110043915A (ko) 반지
KR200336056Y1 (ko) 장식용 체인
KR200456842Y1 (ko) 귀걸이
JP2002315613A (ja) 装身具
EP3824756A1 (en) Item of jewelry
KR200276911Y1 (ko) 장식용 반지
KR101967202B1 (ko) 디자인 확장성을 갖는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KR101959518B1 (ko)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KR200397718Y1 (ko) 조립식 반지
KR200324782Y1 (ko) 반지
JPH05344905A (ja) ピアス
KR200307310Y1 (ko) 보석 반지
KR20180068607A (ko) 모듈형 쥬얼리
KR200359074Y1 (ko) 회전문양을 갖는 반지
KR200353721Y1 (ko) 장식보석시계줄에 착탈되는 시계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