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903B1 -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903B1
KR101172903B1 KR1020110071274A KR20110071274A KR101172903B1 KR 101172903 B1 KR101172903 B1 KR 101172903B1 KR 1020110071274 A KR1020110071274 A KR 1020110071274A KR 20110071274 A KR20110071274 A KR 20110071274A KR 101172903 B1 KR101172903 B1 KR 10117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casing
main body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기
Original Assignee
(주)중앙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티앤씨 filed Critical (주)중앙티앤씨
Priority to KR102011007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903B1/ko
Priority to PCT/KR2012/005690 priority patent/WO2013012239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 가능하도록 봉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파지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지부; 통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끈이 관통가능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는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의 이용의 용이성은 확보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오염 등으로부터 이어폰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 용이하고, 휴대 단말기에 용이하게 명령을 입력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 보호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는 주로 휴대 단말기의 개성 표출을 위한 장식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778921호에 게시된 악세사리 겸용 화면 클리너에서와 같이 단순 장식적 용도에서 기능 부가적 용도를 갖는 악세서리로 점차 변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의 다양성만큼이나 그에 적합한 여러 기구적인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종 음향 및 음악 청취를 위해 마련된 이어폰 커넥터가 그 대표적인 일례가 될 수 있다.
이때 이어폰 커넥터는 이어폰 잭의 수납을 위해 외부에 개방된 상태로 제공되며, 이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보호수단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보호수단이 마련될 경우에도 이어폰 커넥터 이용의 용이성이 여전히 확보되어야만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의 충분한 활용을 위해 각종 명령의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펜 형태의 정보입력수단 등 별도의 주변기기를 필요로 하나, 이와 같은 주변기기는 그 크기가 작고 별도의 휴대 및 보관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해 분실의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778921호 2007. 11. 28., 도면 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방된 이어폰 커넥터의 오염 방지와 동시에 용이하면서도 간편한 사용은 물론 분실의 우려까지도 최소화 한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전술한 기술적 과제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사항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 결합하여, 이어폰 커넥터를 보호하는 봉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파지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지부; 통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끈이 관통가능한 고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 가능하도록 봉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파지가능한 형상으로, 측벽표면이 도전체로 이루어진 파지부;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파지부의 본체부 반대측면에 돌출된 도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 측벽표면과 도전체로 연결되는 스크린 터치부;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끈이 관통가능한 고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대한 이용의 용이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효과적인 오염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 편익을 고려한 사용상의 용이성 부여 그리고 분실의 우려 없는 휴대 보관이 가능하다는 제반 유용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분리상태의 도이다.
도 2는 볼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가 케이싱과 분리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결합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케이싱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케이싱 변형예의 스크린 터치부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사용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별도 언급이 없는 한,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분리상태의 도이고, 도 2는 볼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가 케이싱과 분리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결합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 가능하도록 봉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에 형성되고, 파지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지부(30), 통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본체부(1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55)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싱(50), 및 상기 케이싱(5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끈(90)이 관통가능한 고리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는 측벽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골(1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골(15)에 의해 본체부(50)가 수용부(55)로 삽입되거나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 커넥터(210)에 삽입시 보다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의 타단은 말단을 향해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연성의 천연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50)은 경성의 금속 또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을 경성의 소재로 함으로써, 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부(10)를 미사용시 안전하게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천연 또는 합성 수지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우레탄, 폴리우레탄 등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식 내지 강제 끼움식으로, 상기 수용부(55)의 내측면에 상기 본체부 측벽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돌기(17) 외측면이 밀착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본체부 환상돌기 외측면과 수용부 내측면의 마찰력에 의해 본체부가 수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0)는 동물, 식물, 동물 또는 식물의 분비물 또는 배설물, 또는 캐릭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일부 또는 전부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 등의 형상을 판상으로 형성하여 파지 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캐릭터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소설, 연극, 전설 등의 스토리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생김새, 이미지, 고유명칭 등을 가지고 등장하는 가공인물이나 스포츠 스타, 가수, 탤런트 등과 같은 실존 인물, 및 동물, 식물, 가상물 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70)에 끈(90)을 통과시킨 후, 상기 끈으로 휴대단말기에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를 고정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50)에서 빼낸 본체부(10)를 휴대 단말기(200)의 이어폰 커넥터(210)에 삽입함으로써, 이어폰 커넥터를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어폰 커넥터 삽입시 통전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본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이어폰 커넥터의 보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케이싱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케이싱 변형예의 스크린 터치부 일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케이싱의 변형예는 고리부(70)가 케이싱의 외측 측벽면에 형성되고, 케이싱의 폐쇄된 타단은 휴대 단말기 스크린 터치부(6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 스크린 터치부(60)는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 스크린 터치부(60)는 금, 은 구리, 니켈, 흑연 등의 금속과 같은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돌출된 지지부(65)와 상기 지지부(65)에 삽입되어 지지부 상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수지층(63)은 상기 지지부(65)에 끼워지는 캡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도전성 수지층(63)은 상기 지지부(65)와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수지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우레탄, 폴리우레탄 등의 천연 또는 합성수지에 금, 은, 구리, 니켈, 흑연 등의 도전성 물질이 분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수지층(63)은 캡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므로, 마모된 도전성 수지층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5)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도전성 수지층(63)을 지지할 수 있다. 파지부(도 1 내지 3의 30 참조) 역시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말미암아 감압식 터치스크린 뿐만 아니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센서가 부착된 전도성 높은 유리로 구성되어 유리 표면에 전류가 흐르는 스크린에 손가락을 댄 순간 유리에 흐르던 전자가 손가락을 통해 몸 안으로 흐르게 되어 이때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센서가 감지하여 동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작동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진 스크린 터치부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스크린 터치부, 도전체로 이루어진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손가락을 통해 전자가 몸 안으로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싱(50)의 측벽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돌출부(53)를 형성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는 천연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지가 용이하고, 표면의 접촉저항을 증가시켜 놓아둔 위치에서 구르거나 하여 위치를 이탈하는 등의 현상을 줄여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의 사용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 가능하도록 봉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에 형성되고, 파지가능한 형상으로, 측벽표면이 도전체로 이루어진 파지부(30),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55)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싱(50), 상기 파지부(30)의 본체부 반대측면에 돌출된 도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 측벽표면과 도전체로 연결되는 스크린 터치부(60), 및 상기 케이싱(5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끈이 관통가능한 고리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봉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골(15)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싱의 수용부(55)에 삽입이 용이하고, 이어폰 커넥터(도 3의 210 참조)에 삽입 역시 용이하다. 또한, 본체부(10)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돌기(17)에 의해 케이싱의 수용부(55)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파지부(30)의 일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진 연결부(31)에 의해 파지부 본체(3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 본체(33)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연결부(31)가 수용가능한 공간을 내포하며, 상기 공간의 내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돌기(35)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1)를 수용부에 삽입시 연결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환상의 요홈(32)과 체결되어 결합력을 증가시켜 준다.
상기 본체부(10)는 연성의 천연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절연체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되어도 전류를 흐르지 않도록 하여 이어폰 커넥터를 보호할 뿐, 통전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통전을 막아줌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본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파지부 본체(33)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져, 파지부 측벽표면과 본체부 반대측면이 도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0)의 본체부(10) 반대측면에 돌출된 도전체로 이루어진 스크린터치부(60)는 상기 파지부(30)의 본체부(10) 반대측면에 돌출된 형상의 도전성 지지부(65)와 상기 지지부(65) 상의 도전성 수지층(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지지부(65) 역시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도전성 수지층(63)과 상기 파지부(30)의 표면을 통해 도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터치부(60)와 파지부(30)의 측벽표면이 이와 같이 도전되도록 함으로써,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지지부(65)와 상기 캡형상의 도전성 수지층(63)은 끼움 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수지층(63)은 상기 도전성 지지부(65)가 삽입 가능한 내측 공간을 갖고, 상기 내측 공간의 내측면의 내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요홈(69)이 형성되어, 상기 도전성 지지부(65) 외측벽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돌기(67)와 체결되어 결합력을 증가시켜줄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지지부(65)의 말단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63)의 대응부 내측 말단은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체부(10)를 수용부(55)에서 빼내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터치부(60)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10)가 노출된 상태로 하여, 상기 본체부(10)를 도 3에 도시된 형식으로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함으로써, 이어폰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케이싱을 본체부 수용공간과 스크린터치부 수용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0)와 스크린터치부(60)의 크기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동일한 케이싱에 본체부와 스크린터치부를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분실의 염려를 줄이고,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말미암아, 휴대폰 악세서리 효과, 이어폰 커넥터 보호, 스크린터치 등의 다양한 목적을 본 발명의 휴대폰 악세서리에 의해 간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0)의 외부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 식물, 동물 또는 식물의 분비물 또는 배설물, 또는 캐릭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일부 또는 전부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언급된 내용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10: 본체부 15: 골
17: 돌기 30: 파지부
31: 연결부 32: 요홈
33: 파지부 본체 35: 돌기
50: 케이싱 55: 수용부
60: 휴대단말기 스크린 터치부
63: 도전성 수지층 65: 도전성 지지부
67: 돌기 69: 요홈
70: 고리부 90: 끈
200: 휴대단말기 210: 이어폰 커넥터

Claims (10)

  1.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 결합하여, 이어폰 커넥터를 보호하는 봉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파지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지부;
    통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끈이 관통가능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측벽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골이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동물, 식물, 동물 또는 식물의 분비물 또는 배설물, 또는 캐릭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일부 또는 전부의 형상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케이싱의 외측 측벽면에 형성되고, 케이싱의 타단은 휴대 단말기 스크린 터치부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스크린 터치부는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진 돌출부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측벽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8.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에 삽입 가능하도록 봉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파지가능한 형상으로, 측벽표면이 도전체로 이루어진 파지부;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파지부의 본체부 반대측면에 돌출된 도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 측벽표면과 도전체로 연결되는 휴대단말기 스크린 터치부;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끈이 관통가능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스크린 터치부는 돌출된 형상의 도전성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의 도전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부 형상은 동물, 식물, 동물 또는 식물의 분비물 또는 배설물, 또는 캐릭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일부 또는 전부의 형상인 휴대단말기용 악세서리.

KR1020110071274A 2011-07-19 2011-07-19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KR10117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74A KR101172903B1 (ko) 2011-07-19 2011-07-19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PCT/KR2012/005690 WO2013012239A2 (ko) 2011-07-19 2012-07-17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74A KR101172903B1 (ko) 2011-07-19 2011-07-19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903B1 true KR101172903B1 (ko) 2012-08-10

Family

ID=4688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274A KR101172903B1 (ko) 2011-07-19 2011-07-19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2903B1 (ko)
WO (1) WO2013012239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8509A (zh) * 2013-06-07 2013-09-25 浙江瑞普展示用品有限公司 一种礼品扣使用方法
WO2014109764A1 (en) * 2013-01-09 2014-07-17 Park Moana Multifunction accessory
KR200474779Y1 (ko) 2012-12-12 2014-10-22 박모아나 장식 결합 구조체
WO2015060530A1 (ko) * 2013-10-22 2015-04-30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이어플러그 및 이러한 이어플러그가 구비된 액세서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02B1 (ko) 2007-09-10 2007-11-21 주식회사 디지웨이브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트랩형 dmb 안테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496U (ja) * 2002-03-11 2002-09-13 郁雄 金山 携帯電話機の装飾用グッズ
KR200455724Y1 (ko) * 2009-09-29 2011-09-21 (주)중앙티앤씨 휴대 단말기 터치용 손가락 캡
JP3160401U (ja) * 2010-04-08 2010-06-24 小西釦工業株式会社 スタイラス兼用アクセサリー
KR200460260Y1 (ko) * 2011-04-07 2012-05-15 마승홍 휴대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02B1 (ko) 2007-09-10 2007-11-21 주식회사 디지웨이브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트랩형 dmb 안테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79Y1 (ko) 2012-12-12 2014-10-22 박모아나 장식 결합 구조체
WO2014109764A1 (en) * 2013-01-09 2014-07-17 Park Moana Multifunction accessory
CN103318509A (zh) * 2013-06-07 2013-09-25 浙江瑞普展示用品有限公司 一种礼品扣使用方法
WO2015060530A1 (ko) * 2013-10-22 2015-04-30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이어플러그 및 이러한 이어플러그가 구비된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2239A2 (ko) 2013-01-24
WO2013012239A3 (ko)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903B1 (ko)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US10149037B1 (en) Earbuds with detachable ear-wings
WO2010044962A2 (en) Capacitive sensor gloves
US20130182387A1 (en) Accessor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s
KR20140031154A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US20170359641A1 (en) Portable Compact Bluetooth Speaker
KR101054861B1 (ko) 휴대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KR200487492Y1 (ko) 부착형 스마트폰 배면 커버와 측면 보호 밴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보호 액세서리
KR200491932Y1 (ko) 무선 이어폰 케이스용 비접착 커버 유닛
KR1010414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케이스의 결합구조
WO2017031497A1 (en) Cable strain relief device with grip member
KR20120027602A (ko) 터치 스크린 조작용 입력 펜
KR200467049Y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커넥터 보호구
KR200455103Y1 (ko) 휴대폰용 콤비 케이스
US20130147754A1 (en) Portable touch control accessory
CN207382394U (zh) 一种便于携带耳机的手机保护装置
CA2982277A1 (en) Digit mounted stylus system
TWI731439B (zh) 觸控筆結構
KR101155195B1 (ko) 착용식 터치펜
CN107819917B (zh) 易装卸的双层手机防护壳
KR102057759B1 (ko) 케이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납 장치
US20140177140A1 (en) Electronic device assembly
KR20046644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액세서리
CN210963880U (zh) 一种操控设备
KR101566442B1 (ko) 스마트폰용 게임 콘트롤러 겸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