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585Y1 - 핸즈프리 - Google Patents

핸즈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585Y1
KR200350585Y1 KR20-2004-0004850U KR20040004850U KR200350585Y1 KR 200350585 Y1 KR200350585 Y1 KR 200350585Y1 KR 20040004850 U KR20040004850 U KR 20040004850U KR 200350585 Y1 KR200350585 Y1 KR 200350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astening member
necklace
microphon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음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음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음향
Priority to KR20-2004-0004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5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5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형 핸즈프리의 줄 길이를 가변시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핸즈프리는 휴대 전화의 음성 또는 음악 파일의 음을 수신하기 위한 이어폰 유닛을 포함한다. 마이크는 상기 상기 이어폰 유닛과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음성을 송신한다. 목걸이 줄은 상기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와 연결되어 휴대전화를 목에 걸수 있게 한다. 연결부는 휴대전화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의 연결선을 수용하며, 상기 목걸이 줄의 일단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목걸이 줄의 길이를 가변시킨다. 접속단자는 상기 연결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휴대 전화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의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핸즈프리는, 목걸이 줄의 길이를 가변시키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즈프리 {Handsfree}
본 고안은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걸이용과 차량용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핸즈프리는 휴대폰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는 목걸이형과, 차량에 장착하여 운전중에 안전하게 통화를 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목걸이형 핸즈프리(10)를 설명한다.
상기 목걸이형 핸즈프리(10)는 음성 및 음악을 수신할 수 있는 이어폰 유닛(1), 상기 이어폰 유닛(1)과 연결되어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2), 상기 이어폰 유닛(1) 및 마이크(2)와 연결되며, 휴대전화를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3), 휴대전화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어폰(1) 및 마이크(2)의 연결선(4)을 수용하는 연결부(5) 및 상기 연결부(5)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휴대전화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단자(6)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걸이형 핸즈프리(10)는 연결부(5) 하부에 휴대폰을 매달아 목에 건 뒤, 이어폰(1)과 마이크(2)를 이용해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목걸이형 핸즈프리(10)는 목에 걸고 있을 경우의 통화 또는 음악청취를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목걸이 줄(3)의 길이가 상체에 걸칠 수 있는 정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휴대폰을 목을 걸고 있을 경우에만 사용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을 하기 위해 차량용 거치대에 휴대전화를 부착시킨 상태이거나, 휴대전화를 손에 들거나 주머니에 넣고자 하는 경우에는 목걸이 줄의길이가 짧아서 사용을 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차량용 핸즈프리 또는 휴대폰용 이어폰을 구비하여야 했으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목걸이형 핸즈프리의 줄 길이를 가변시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용도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핸즈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핸즈프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2로 나타낸 핸즈프리 연결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로 나타낸 핸즈프리 연결부의 제 1 변형예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제 2 변형예 사시도.
도 6은 도 5로 나타낸 체결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제 3 변형예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어폰 유닛 20: 마이크
30: 목걸이 줄 40: 연결선
50: 연결부 51: 연결부 본체
52: 체결부재 60: 접속단자
70: 환형 홀더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 전화의 음성 또는 음악 파일의 음을 수신하기 위한 이어폰 유닛; 상기 이어폰 유닛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와 연결되며, 휴대 전화를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 휴대 전화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의 연결선을 수용하며, 상기 목걸이 줄의 일단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목걸이 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휴대 전화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핸즈프리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이어지는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의 연결선을 내장하고, 목걸이 줄을 장착할 수 있는 연결부 본체;와, 상기 목걸이 줄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목걸이 줄은 탈착된 상기 일단을 줄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환형 홀더를 또한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100)를 설명한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100)는 휴대 전화의 음성 또는 음악 파일의 음을 수신하기 위한 이어폰 유닛(10); 상기 이어폰 유닛(10)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20); 상기 이어폰 유닛(10) 및 마이크(20)와 연결되며, 휴대전화를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30); 휴대전화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어폰 유닛(10) 및 마이크(20)의 연결선(40)을 수용하며, 상기 목걸이 줄(30)의 일단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목걸이 줄(3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연결부(50); 및 상기 연결부(50)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휴대 전화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단자(60)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 유닛(10)은 보통의 일반 이어폰과 같은 구조로 내부에 소형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11)과 캡(12)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일단은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연결선(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20)는 상기 연결선(40)에 의해 상기 이어폰 유닛(10)과 이어지며, 내부에 음파의 기계적 진동을 전기신호로 전환시켜주는 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음성의 음파는 상기 마이크(20) 일면에 형성된 기공(21)을 통해 마이크(20)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마이크(20)의 일면에는 또한 온/오프 스위치(22)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스위치(22)를 누름으로서 통화를 개시 또는 중지할 수 있다.
상기 목걸이 줄(30)은, 상기 이어폰 유닛(10)과 마이크(20)를 연결하는 연결선(40)을 내부에 삽입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선(40)은 상기 목걸이 줄(30)의 일방향으로만 연장된다. 상기 연결선(40)과 상기 목걸이 줄(30)이 접촉하는 부위에는 상기 목걸이 줄(30)을 감싸며, 일측이 상기 연결선(40)과 이어지는 이음구(31)가 장착된다. 상기 이음구(31)를 중심으로 목걸이 줄(30)이 양측으로 연장된다.
연결부(50)는 상기 목걸이 줄(3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선(40)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에 상기 목걸이 줄(30)을 장착할 수 있는 연결부 본체(51)와, 상기 목걸이 줄(30)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 본체(51)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체결부재(5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 본체(51)는 양면 조립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상기 목걸이 줄(30)의 양 단이 부착될 수 있는 체결부재(52)가 배치되고, 하단에는 휴대전화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휴대전화에 걸 수 있는 고리(53)가 구비된다. 상기 고리(53)는 상기 연결부 본체(51)와 분리 조립 가능한도록 스냅로킹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 본체(51)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51)의 양 측면에는 상기 스냅로킹의 해제를 위한 누름 버튼(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2)는 상기 연결부 본체(51)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구조, 스냅로킹 구조 또는 나사결합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접속단자(60)는 상기 연결부 본체(51)에 내장된 연결선(40)에 이어져, 상기 연결부 본체(51)하부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0)의 변형예들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2로 나타낸 연결부(50)의 연결부 본체(51)와 체결부재(52)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연결부 본체(51)는 체결부재(52)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타원 형상으로 깎인 안착부(55)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55)의 중앙에는 상기 타원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소폭의 장방형 관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방형 관통공(56)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 본체(51) 내부는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52)의 일단은 목걸이 줄(30)의 단부와 이어져 있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안착부(55)와 대응하는 타원 형상 단면을 갖는다.
상기 단면에는 중앙에 상기 타원형 단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56)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걸림구(57)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구(57)는 상기 관통공(56)에 완전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타원형 단면과 이어지는 부분이, 상기 관통공(56)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를 갖고, 크기는 상기 관통공(56)보다 작은 요철부형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체결부재(52)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체결부재(52)의 걸림구(57)를 상기 관통공(56)에 삽입한다. 상기 걸림구(57)가 관통공(5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삽입되면, 상기 연결부 본체(51)에 형성된 타원형 안착부(55)와 상기 체결부재(52)의 타원형 단면이 서로 엊갈리는 형상이 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상기체결부재(52)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타원형 안착부(55)와 상기 타원형 단면이 형합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구(57)를 관통공(56)에 삽입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부재(52)를 회전시키면 체결부재(52)가 연결부 본체(51)에 결합되며, 이러한 과정을 거꾸로 반복하면 체결부재(52)가 연결부 본체(51)에서 해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0)의 제 1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 본체(51)는 체결부재(52)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타원 형상으로 깎인 안착부(55)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55)의 중앙에는 상기 타원의 길이 방향으로 슬롯(56)이 구비된다. 상기 슬롯(56)의 일단은 상기 안착부(55) 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안착부(55)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측면까지 이어진다. 상기 측면(51)에 형성된 슬롯(56)은 양 단이 상기 안착부(55)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56)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슬롯(56)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 본체(51) 내부는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52)의 일단은 목걸이 줄(30)의 단부와 이어져 있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안착부(55)와 대응하는 타원 형상 단면을 갖는다.
상기 단면에는, 중앙에 상기 단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슬롯(56)에 대응하는 높이와 폭의 걸림구(57)가 상기 단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구(57)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56)의 수직 연장부의 폭과 높이에 대응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림구(57)의 타단은 상기 타원형 단면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조립시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56)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걸림구(57)의 단면은,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56)의 단면과 일치하는 요철 형상을 갖게 된다.
이하, 상기 체결부재(52)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체결부재(52)의 걸림구(57)를 상기 연결부 본체(51) 측면에 형성된 슬롯(56)을 통해 삽입한다. 상기 걸림구(57)가 상기 슬롯(56)의 단면과 대응하기 때문에 삽입된 걸림구(57)는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걸림구(57)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52)를 연결부 본체(51)의 안착부(55)와 형합하도록 상기 슬롯(56) 방향으로 계속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안착부(55)와 상기 체결구(52)의 타원형 단면이 형합된다. 이 때, 상기 걸림구(57) 타단의 폭이 상기 슬롯(56)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재(52)가 상기 연결부 본체(5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52)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 본체(51)에 밀어 넣으면, 체결부재(52)가 연결부 본체(51)에 결합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꾸로 반복하면 체결부재(52)가 연결부 본체(51)에서 해제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0)의 제 2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 본체(51)는 체결부재(51)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타원 형상으로 깎인 안착부(55)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55)의 중앙에는 나사 삽입을 할수 있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홀(56)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홀(56)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 본체(51) 내부는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52)의 일단은 목걸이 줄(30)의 단부와 이어져 있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안착부(55)와 대응하는 타원 형상 단면을 갖는다.
상기 단면에는, 중앙에 상기 단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나사홀(56)에 대응하는 높이와 폭의 나사산을 갖는 걸림구(57)가 상기 단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걸림구(57)를 이용해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나사홀(56)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체결부재(5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체결부재(52)는 일단이 목걸이 줄(30)과 이어져 있으며, 나사결합시 상기 목걸이 줄(30)이 꼬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재(52)는 상기 목걸이 줄(30)과 회전 가능하도록 이어진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부재(52)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부재(52)와 분리되어 형성된 원통형 회전부재(58)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부재(58)의 일단은 목걸이 줄(30)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체결부재(52) 본체와 결합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회전부재(58)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플랜지(59)를 갖고 있다. 상기 회전부재(58)는 일반적으로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하거나, 상기 체결부재(52) 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체결부재(52)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걸림구(57)를 구비한 체결부재(52)를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안착부(55)에 형성된 나사홀(56)에 나사결합으로 결합시킨다. 나사결합이 끝나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52)는 상기 안착부(55)와 형합된다. 이 때, 체결부재(52)가 안착부(55)에 나사결합 되어도, 체결부재(52)는 목걸이 줄(30)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목걸이 줄(30)이 꼬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52)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 본체(51)와 삽입하면, 체결부재(52)가 연결부 본체(51)에 결합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꾸로 반복하면 체결부재(52)가 연결부 본체(51)에서 해제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0)의 제 3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5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 본체(51)와 체결부재(52)가 스냅로킹 방식으로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본체(51)는 체결부재(52b)를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52b)와 결합될 수 있는 스냅로커 수용부(52a)를 구비한다. 상기 스냅로커 수용부(52a)는 상기 연결부 본체(51)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체결부재(52b)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52b)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스냅로커 수용부(52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 본체(51)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연결부 본체(5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52b)를 연결부 본체(51)에 직접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재(52b)는, 일단이 목걸이 줄(30)과 이어져 있고, 타단이 결합 및 해제를 위하여 변형 가능한 다수의 가지를 구비하는 스냅로커(52b)이다. 상기 스냅로커(52b)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냅로커(52b)는 연결부 본체(51)의 스냅로커 수용부(52a)에 수용되고, 상기 다수의 가지에 의해 상기 수용부(52a)의 일단에 걸리게 되어 일반적인 경우에는 결합이 해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목걸이 줄(30)을 연결부 본체(51)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52a)의 양 측면에 힘을 가하여 내부의 스냅로커(52b) 가지를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변형시키면, 상기 수용부(52a)와 스냅로커(52b)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스냅로커(52b)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목걸이 줄(30)을 연결부 본체(51)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변형예에 의해 연결부 본체(51)에서 분리된 목걸이 줄(3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착된 상기 일단을 줄(30)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환형 홀더(7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형 홀더(70)는, 상기 목걸이 줄(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된 목걸이 줄(30)의 단부에 배치된 체결부재(52)를 줄(30)의 나머지 부분과 이탈되지 않도록 도와주어, 상기 목걸이 줄(30)을 연결부 본체(51)에 다시 체결하고자 할 때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부재(52)를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환형 홀더(70)는 상기 목걸이 줄(30)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재료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환형 홀더(70)는 또한, 상기 핸즈프리(100)를 목에 걸었을 때, 목걸이의 양쪽 줄(30)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본체(5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52)의 위치는 도시된 것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결합구조도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는 목걸이형 핸즈프리의 줄 길이를 가변시켜 차량용 핸즈프리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보관할 경우에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휴대 전화의 음성 또는 음악 파일의 음을 수신하기 위한 이어폰 유닛;
    상기 이어폰 유닛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와 연결되며, 휴대전화를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
    휴대전화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의 연결선을 수용하며, 상기 목걸이 줄의 일단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목걸이 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휴대 전화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이어지는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의 연결선을 내장하고, 목걸이 줄을 장착할 수 있는 연결부 본체;와
    상기 목걸이 줄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본체는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장착홈에 대응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장착홈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연결부 본체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연결부 본체와 결합해제 가능한 스냅로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 줄은 탈착된 상기 일단을 줄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환형 홀더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KR20-2004-0004850U 2004-02-24 2004-02-24 핸즈프리 KR200350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50U KR200350585Y1 (ko) 2004-02-24 2004-02-24 핸즈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50U KR200350585Y1 (ko) 2004-02-24 2004-02-24 핸즈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585Y1 true KR200350585Y1 (ko) 2004-05-13

Family

ID=4934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850U KR200350585Y1 (ko) 2004-02-24 2004-02-24 핸즈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5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83468A1 (en) Charging apparatus for wireless earphone
US20020043545A1 (en)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077438A1 (en) Bluetooth headset for helmet having inter-communication function
KR100824188B1 (ko) 헤드셋
KR20060097686A (ko) 휴대용 무선 헤드셋
US20030134603A1 (en) Miniature vocal transmitter device
KR200350585Y1 (ko) 핸즈프리
KR101678613B1 (ko) 오픈형 및 커널형 겸용 이어폰
KR200399222Y1 (ko)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KR200397054Y1 (ko) 이어폰 목걸이의 이어폰 와이어 고정 장치
US20020080985A1 (en) Earphone and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KR200272060Y1 (ko) 이어마이크폰
CN209767790U (zh) 无线耳机组件及其耳机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KR200277453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거치구조
KR102343669B1 (ko)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KR200471259Y1 (ko) 무선 이어폰
KR200216288Y1 (ko) 목걸이형 이어폰의 안전장치
KR200425760Y1 (ko)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KR200225631Y1 (ko) 핸즈프리용 걸이
KR200230330Y1 (ko) 목걸이형 핸즈프리의 이어폰 고정홀더
KR10258349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0185643Y1 (ko) 휴대전화용 이어폰
KR200363213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200210159Y1 (ko)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