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669B1 -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669B1
KR102343669B1 KR1020210123622A KR20210123622A KR102343669B1 KR 102343669 B1 KR102343669 B1 KR 102343669B1 KR 1020210123622 A KR1020210123622 A KR 1020210123622A KR 20210123622 A KR20210123622 A KR 20210123622A KR 102343669 B1 KR102343669 B1 KR 102343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uxiliary battery
bluetooth
heat dissipation
wired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전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수 filed Critical 전영수
Priority to KR102021012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3Portable devices, e.g. mobile telephones, camera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USB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USB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가능한 보조배터리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과 상기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에 연결된 유선이어폰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SPARE BATTERY UNIT WITH GPS FUNCTION}
본 발명은 유선이어폰을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GPS 기능을 탑재하여 보조 배터리 장치를 분실 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위치확을 위한 알림음을 발생시켜 보조 배터리 의 위치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통합기기로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며, 과거의 휴대 폰 단말기와 달리 통화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TV, 네비게이션, SNS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특히,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필수적으로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휴대하는 보조 배터리는 여러 타입의 배터리가 있으며, 예컨대 USB 충전 콘넥터 케이블이 배터리 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용되거나,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조 배터리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분실 시 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보조 배터리는 유선이어폰과 스마트폰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할 수 없어 스마트폰을 유선으로 충전하는 과정에서는 유선이어폰을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5536호
본 발명은, 유선이어폰을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GPS 기능을 탑재하여 보조 배터리 장치를 분실 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위치 확인을 위한 알림음을 발생시켜 보조 배터리의 위치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과 유선이어폰 간에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폰에 마련된 연결단자에 유선이어폰을 연결하지 아니하고도 전화통화, 음악감상, TV 시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부위 착용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켜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액서서리나 소지품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갑, 키홀더 등의 소지품을 안정적으로 홀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소지품의 홀딩 및 해제가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이어폰의 줄을 팽팽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는, USB 충전단자 및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USB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가능한 보조배터리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과 상기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에 연결된 유선이어폰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상기 케이스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알림음 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관통설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보조배터리부에 접촉되는 접촉영역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배터리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영역을 포함하는 방열핀; 상기 방열영역에 설치되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1 걸이부; 상기 방열영역을 연결하는 연결방열핀; 상기 연결방열핀에 설치되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걸이부; 상기 케이스와 착용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착용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홀더부;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유선이어폰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사용자 단말의 무선 충전 방식과 상기 USB 충전단자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유선 케이블 충전 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착탈부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상측에 연결되며, 수용홀이 형성된 연결블록; 및 일측에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며 상기 끼움편이 끼움되고 상기 끼움편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착용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중앙에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착탈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의 저면에 형성되고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블록은 상기 케이스보다 큰 중량으로 형성되면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결합되고, 저면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블록; 상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단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피고정물을 통과시키도록 그 하단이 서로 이격되는 제1,2 작동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작동편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작동편이 피고정물에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작동부; 상기 제1 작동편의 하단과 제2 작동편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물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가압하고,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가압볼;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그 끝단이 상기 피고정물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볼트부; 및 상기 제2 작동편의 내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상기 피고정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탄성슬릿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유선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내부 일측벽에 설치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1 부착판; 상기 수납함의 내부 타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부착판과 대향되며, 상기 제1 부착판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2 부착판; 및 상기 유선이어폰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1 부착판 또는 제2 부착판에 각각 부착되도록 상기 제1 부착판 및 제2 부착판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꼬임방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선이어폰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납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유선이어폰을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GPS 기능을 탑재하여 보조 배터리 장치를 분실 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위치 확인을 위한 알림음을 발생시켜 보조 배터리의 위치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유선이어폰 간에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폰에 마련된 연결단자에 유선이어폰을 연결하지 아니하고도 전화통화, 음악감상, TV 시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부위 착용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켜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액서서리나 소지품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갑, 키홀더 등의 소지품을 안정적으로 홀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소지품의 홀딩 및 해제가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선이어폰의 줄이 꼬이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에 적용된 수납부를 도시한 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는, 유선이어폰(2)을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GPS 기능을 탑재하여 보조 배터리 장치를 분실 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위치확을 위한 알림음을 발생시켜 보조 배터리 장치의 위치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는 케이스(10)와, 보조배터리부(20)와, 블루투스 모듈(30) 및 GPS 모듈(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보조배터리부(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0)는 전체적인 형태가 도면 중 도시된 직사각형 이외에도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10)에는 보조배터리부(20)에 상용전원을 공급하여 이를 충전하기 위한 USB 충전단자(11)와, C타입 입출력단자(미도시)와, 마그네틱 입출력부(미도시) 및 USB 충전단자(11)에 충전된 충전전원을 사용자 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이(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에는 보조배터리부(20)의 충전 잔량을 표시하거나 충전케이블에 의해 사용자 단말을 충전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 LED(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USB충전단자와 충전케이블의 위치 및 구성은 보조배터리부(20)의 용량 및 보조배터리부(20)가 지원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충전케이블은 다수개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때 각각의 충전케이블이 외부기기에 연결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어느 하나의 충전케이블이 다른 충전케이블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일면에는 충전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미도시)이 구비되어 미사용중인 충전케이블이 케이스(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에는 그 측면에 복수개의 USB연결단자(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외부 기기 중 USB케이블로 연결되어 충전할 수 있는 기기를 지원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아이코스, 쥴 등과 같은 전자담배, 차량용 네비게이션 등이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와 보조배터리 사이의 간격제한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배터리부(2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어 USB충전단자와 C타입 입출력단자 등이 결합된 외부 전원을 통해 공급된 상용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충전된 충전전원은 충전케이블이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별도의 케이블선을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된다.
이러한 보조배터리부(20)는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이며, 용량에 따라 다수개가 하나의 팩(pack)형태로 구 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블루투스 모듈(3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매립된다.
휴대전화(스마트폰)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추후 출시되는 휴대전화에는 충전단자나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12)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30)은 사용자 단말(휴대전화)과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12)에 연결된 유선이어폰(2)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블루투스 모듈(30)은 유선이어폰(2)에도 내장되어,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12)에 유선이어폰(2)을 연결하면 블루투스 모듈(30)이 사용자 단말인 휴대전화와 유선이어폰(2)을 셰어링한다.
따라서,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12)에 유선이어폰(2)을 꽂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전화통화, 음악감상, TV 시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는 블루투스 모듈(30)을 이용한 블루투스 모듈(30)을 이용한 블루투스 모듈(30)을 통한 사용자 단말의 무선 충전 방식과, C 타입 입출력 단자, USB 충전단자(11)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유선 케이블 충전 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30)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는 도중 USB충전 단자에 유선 케이블을 장착한 후 유선케이블을 이용한 충전이 이루어진다면 무선 충전과 유선 충전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충전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블루투스 모듈(30)을 이용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져도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30)이 사용자 단말과 유선이어폰(2)을 셰어링하는 방식과 블루투스 모듈(30)이 사용자 단말과 보조배터리부(20)을 셰어링하는 방식은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GPS 모듈(40)은 사용자가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를 분실했을 경우, 쉽고 간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GPS 모듈(40)은 케이스(10)의 내장된다. GPS 모듈(40)은 사용자 단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케이스(10)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에는 GPS 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이나 위치 추적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어플리케이션이나 위치 추적 모듈은 케이스(10)의 이동 경로 정보나 위치 정보를 GPS로부터 획득함으로써, 케이스(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GPS 모듈(4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즉 위성항법장치를 활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성 및 동작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알림음 발생부(50)는 케이스(10)에 내장된다. 알림음 발생부(50)는 부저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는 알림음 발생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이나 제어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어플리케이션이나 제어 모듈을 통해 알림음 발생부(50)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청각적으로도 케이스(10)의 위치를 쉽게 알도록 할 수 있다.
알림음 발생부(50)를 작동시키는 방식은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가지니와 같이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의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케이스(10)'라고 말하면 알림음 발생부(50)가 작동하여 알림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림음 발생부(50)가 음성인식을 통해 작동되는 방식은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에 적용된 착용부(60)와, 방열핀(70)과 제1 걸이부(80)와, 연결핀과, 제2 걸이부(100)와, 착탈부(110)와, 홀더부(120) 및 수납부(1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에 적용된 수납부를 도시한 도이다.
먼저, 착용부(60)는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를 신체부위에 착용할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착용부(60)는 연결블록(61) 및 착용줄(62)을 포함한다.
연결블록(61)은 후술되는 착탈블록(111)을 매개로 케이스(10)에 연결된다.
연결블록(61)에는 착용줄(62)이 걸리는 수용홀(61a)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착용줄(62)은 목걸이와 같이 목에 착용되는 타입이나 팔찌와 같이 손목에 착용되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줄(62)의 일측에는 수용홀(61a)에 수용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끼움편(621)이 돌출형성된다.
착용줄(62)의 타측에는 수용홀(61a)에 수용되는 고정부(622)가 형성된다.
고정부(622)에는 끼움편(62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홈(622a)이 형성된다.
고정부(622)는 끼움편(621)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어, 끼움편(621)과 고정부(622)는 자력을 통해 서로 부착된다.
이로 인해 고정부(622)와 끼움편(621)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고정부(622)와 끼움편(621)을 수용홀(61a)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착용줄(62)을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부(622)에서 끼움편(621)을 인출하여 케이스(10)만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용부(60)로 인해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를 가방에 넣지 않고 신체에 착용하기 때문에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를 통해 사용자 단말을 충전하고자 할 경우나 보조배터리부(20)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착용부(60)에 고정된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1)를 바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방열핀(70)은 케이스(10)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관통설치된다.
방열핀(70) 각각은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서 보조배터리부(20)에 접촉되는 접촉영역(70a) 및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보조배터리부(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영역(70b)을 포함한다.
방열핀(70)은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배터리부(20)에서 발생되는 열은 접촉영역(70a)에서 방열영역(70b)으로 전도된 후 외부로 배출되어, 보조배터리부(20)를 냉각시킨다.
즉, 보조배터리부(20)에 의해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발생되는 고온의 열은 방열핀(70)들을 통해 외부로 방열되고, 외부열은 방열핀(70)을 통해 케이스(10)의 내부공간으로 전도되어 보조배터리부(20)가 과열되지 아니하고 항상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보조배터리부(20)가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걸이부(80)는 방열영역(70b)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제1 걸이부(80)는 링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이부(80)는 일반적으로 인형, 액서서리, 키홀더 등에 구비된 후크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타입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걸이부(80)에 인형, 액서서리를 걸어 장식하거나, 키홀더를 걸어 보관하면 된다.
연결방열핀(90)은 전술한 방열영역(70b)들을 연결한다. 연결방열핀(9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방열영역(70b)으로 전도된 보조배터리의 열이 연결방열핀(90)으로 전도된 후 방열 방열된다.
이로 인해 보조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등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걸이부(100)는 연결방열핀(90)에 설치된다. 제2 걸이부(100)는 제1 걸이부(80)와 동일한게 인형, 액서서리, 키홀더 등에 구비된 후크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타입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걸이부(80)로 부족할 경우 제2 걸이부(100)에도 인형, 액서서리를 걸어 장식하거나, 키홀더를 걸어 보관하면 된다.
이때, 제1 걸이부(80) 및 제2 걸이부(100)도 방열효과를 증대시키도록 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착탈부(110)는 케이스(10)와 착용부(6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착탈부(110)는 착탈블록(111) 및 슬라이드부(112)를 포함한다.
착탈블록(111)은 케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착탈블록(111)은 상면 중앙에 대략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홈(11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슬라이드부(112)는 연결블록(61)의 저면에 형성되고 대략'ㅜ'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부(112)는 레일홈(111a)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블록(61)과 케이스(10)는 착탈블록(111)의 레일홈(111a)과 슬라이드부(112)에 의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블록(61)에서 착탈블록(111)을 분리하여 보조배터리부(20)를 충전하거나 보조배터리부(20)로 사용자 단말을 충전하면 된다.
이때, 착탈블록(111)은 케이스(10)보다 큰 중량으로 형성되면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탈블록(111)을 형성하면, 연결블록(61)에서 착탈블록(111)을 분리한 상태에서 케이스(10)를 손으로 들고 다니다가 놓쳤을 경우 확률적으로 착탈블록(111)이 먼지 지면에 닿도록 할 수 있어, 케이스(10) 및 보조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홀더부(120)는 지갑, 키홀더 등과 같은 피고정물을 케이스(10) 상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홀더부(120)는 결합블록(121)과, 작동부(122)와, 가압볼(123)과, 가압볼트부(124) 및 지지부(125)를 포함한다.
결합블록(121)은 케이스(10)의 저면에 결합되고, 저면에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121a)가 형성된다.
작동부(122)는 상면에 결합돌기(121a)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122a)이 형성된다.
작동부(122)는 상단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작동편(1221)과 제2 작동편(122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작동편(1221)과 제 2작동편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작동편(1221)과 제2 작동편(1222)은 피고정물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서로 이격된다.
또한, 제1 작동편(1221)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홀(12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작동편(1221)과 제2 작동편(1222)은 피고정물에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작동편(1221)과 제2 작동편(1222)은 피고정물이 통과할 때에는 서로 멀어진 상태에서 피고정물에 고정력을 발생시킨다.
가압볼(123)은 제1 작동편(1221)의 하단과 제2 작동편(1222)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가압볼(123)은 제1 작동편(1221)과 제2 작동편(1222)의 사이에 위치한 피고정물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작동부(122)의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가압볼(123)은 피고정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계수가 우수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볼트부(124)는 체결홀(1221a)에 체결되며 그 끝단이 제1 작동편(1221)과 제2 작동편(1222)의 사이에 위치한 피고정물의 일측면을 가압한다.
지지부(125)는 제2 작동편(1222)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지지부(125)는 제2 작동편(1222)의 내부공간 형상에 대응되게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5)의 일면은 제2 작동편(1222)의 내면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25)의 타면에는 가압볼트부(124)의 반대편에서 피고정물의 타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슬릿(1251)이 형성된다.
탄성슬릿(1251)은 지지부(125)와 접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지지부(125)와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작동편(1221)과 제2 작동편(1222)의 사이 공간으로 피고정물을 위치시키면 가압볼(123)이 피고정물의 중앙부분 일면과 타면을 가압하고, 탄성슬릿(1251)은 피고정물의 상측 부분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가압볼트부(124)가 탄성슬릿(1251)의 반대편에서 피고정물을 가압함으로써, 피고정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수납부(130)는 케이스(10)의 유선이어폰(2)을 수납하는 구성이다.
수납부(130)는 수납함(131)과, 제1 부착판(132)과, 제2 부착판(133) 및 꼬임방지부(134)를 포함한다.
수납함(131)은 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수납함(131)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유선이어폰(2)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제1 부착판(132)은 수납함(131)의 내부 일측벽에 설치된다. 제1 부착판(132)은 꼬임방지부(134)가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제2 부착판(133)은 수납함(131)의 내부 타측벽에 설치되어 제1 부착판(132)과 대향된다.
제2 부착판(133)은 꼬임방지부(134)가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제1 부착판(132)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꼬임방지부(134)는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을 갖도록 형성된다.
꼬임방지부(134)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유선이어폰(2)의 줄(2a) 외주연에 일정간격 장착될 수 있다.
꼬임방지부(134)는 제1 부착판(132) 및 제2 부착판(133)과 반대극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꼬임방지부(134)는 제1 부착판(132) 및 제2 부착판(133)에 각각 자력으로 부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이어폰(2)의 줄(2a)에 꼬임방지부(134)를 일정간격으로 장착한 후 제1 부착판(132)과 제2 부착판(133)에 지그재그 형태로 부착하면 유선이어폰(2)의 줄(2a)이 수납함(131)에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선이어폰(2)을 수납함(131)에 보관할 때 줄(2a)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10 : 케이스
11 : USB 충전단자 12 :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
20 : 보조배터리부 30 : 블루투스 모듈
40 : GPS 모듈 50 : 알림음 발생부
60 : 착용부 61 : 연결블록
61a : 수용홀 62 : 착용줄
621 : 끼움편 622 : 고정부
622a : 끼움홈 70 : 방열핀
70a : 접촉영역 70b : 방열영역
80 : 제1 걸이부 90 : 연결방열핀
100 : 제2 걸이부 110 : 착탈부
111 : 착탈블록 111a : 레일홈
112 : 슬라이드부 120 : 홀더부
121 : 결합블록 121a : 결합돌기
122 : 작동부 122a : 결합홈
1221 : 제1 작동편 1221a : 체결홀
1222 : 제2 작동편 123 : 가압볼
124 : 가압볼트부 125 : 지지부
1251 : 탄성슬릿 130 : 수납부
131 : 수납함 132 : 제1 부착판
133 : 제2 부착판 134 : 꼬임방지부

Claims (3)

  1. USB 충전단자 및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USB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가능한 보조배터리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과 상기 유선이어폰용 연결단자에 연결된 유선이어폰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상기 케이스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관통설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보조배터리부에 접촉되는 접촉영역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배터리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영역을 포함하는 방열핀;
    상기 방열영역에 설치되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1 걸이부;
    상기 방열영역을 연결하는 연결방열핀;
    상기 연결방열핀에 설치되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걸이부;
    상기 케이스와 착용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착용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홀더부;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유선이어폰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사용자 단말의 무선 충전 방식과 상기 USB 충전단자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유선 케이블 충전 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착용부는,
    상기 착탈부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상측에 연결되며, 수용홀이 형성된 연결블록; 및
    일측에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며 상기 끼움편이 끼움되고 상기 끼움편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착용줄;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중앙에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착탈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의 저면에 형성되고 '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블록은 상기 케이스보다 큰 중량으로 형성되면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결합되고, 저면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블록;
    상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단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피고정물을 통과시키도록 그 하단이 서로 이격되는 제1,2 작동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작동편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작동편이 피고정물에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작동부;
    상기 제1 작동편의 하단과 제2 작동편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물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가압하고,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가압볼;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그 끝단이 상기 피고정물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볼트부; 및
    상기 제2 작동편의 내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상기 피고정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탄성슬릿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유선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내부 일측벽에 설치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1 부착판;
    상기 수납함의 내부 타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부착판과 대향되며, 상기 제1 부착판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2 부착판; 및
    상기 유선이어폰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1 부착판 또는 제2 부착판에 각각 부착되도록 상기 제1 부착판 및 제2 부착판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꼬임방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선이어폰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납되도록 하는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알림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3. 삭제
KR1020210123622A 2021-09-16 2021-09-16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KR10234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622A KR102343669B1 (ko) 2021-09-16 2021-09-16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622A KR102343669B1 (ko) 2021-09-16 2021-09-16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669B1 true KR102343669B1 (ko) 2021-12-27

Family

ID=7917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622A KR102343669B1 (ko) 2021-09-16 2021-09-16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6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630A (ko) * 2006-03-28 2007-10-05 주식회사 블루콤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KR20090076110A (ko)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865536B1 (ko) 2016-03-02 2018-06-11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송수신 가능한 보조배터리
KR20190068691A (ko) * 2017-12-09 2019-06-19 이현재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보조배터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630A (ko) * 2006-03-28 2007-10-05 주식회사 블루콤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KR20090076110A (ko)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865536B1 (ko) 2016-03-02 2018-06-11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송수신 가능한 보조배터리
KR20190068691A (ko) * 2017-12-09 2019-06-19 이현재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보조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3889A1 (en) Devices for carrying personal apparatus on a limb
US9531421B2 (en) Lanyard
US8534514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US20110079619A1 (en) Device holder with magnetic retainer
US20120043937A1 (en)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a rechargeable battery
US10321218B2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KR101629434B1 (ko) 매직 스트랩
KR20050066696A (ko) 무선이어폰 충전어댑터
US9414146B2 (en)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US9271061B1 (en) Personal detachable multipurpose wireless armband loudspeaker system
US20200112205A1 (en) Charge Sharing Battery Pack for Telephone
KR20180057071A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KR102343669B1 (ko)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US20150097517A1 (en) Battery strap for electronic device
US11735949B2 (en) Sheath for convenient charging
KR101945842B1 (ko)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US20050070345A1 (en) Sound frequency transmission device
US20130049672A1 (en) Mobile Telephone Wireless Earpiece Storage and Charging Device
US20040097273A1 (en) Portable amplification set & ear set interchangeable hand-free kit
KR200342564Y1 (ko) 버클폰
US10187105B2 (en) Portable product lanyard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JP7464982B2 (ja) 保持具
KR102628268B1 (ko) 휴대폰 거치대
KR100303863B1 (ko)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