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863B1 -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 Google Patents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863B1
KR100303863B1 KR1019980047808A KR19980047808A KR100303863B1 KR 100303863 B1 KR100303863 B1 KR 100303863B1 KR 1019980047808 A KR1019980047808 A KR 1019980047808A KR 19980047808 A KR19980047808 A KR 19980047808A KR 100303863 B1 KR100303863 B1 KR 100303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attery
earphone
large capacity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663A (ko
Inventor
홍종희
Original Assignee
홍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희 filed Critical 홍종희
Priority to KR101998004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86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의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이 경량화, 소형화 됨으로 인하여 휴대폰 사용시간의 한계가 있으므로 허리에 차고 다닐 수 있는 대용량의 밧데리에 결합되는 소형화, 경량화 된 핸드폰에 내장된 소형의 충전식 밧데리에 연속적으로 전원을 충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현재 허리에 핸드폰을 장착할시 허리의 곡선부를 이용하지 않고 수직으로 매달아 착용하므로 상당히 불편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허리의 곡선부 형태를 밧데리 및 핸드폰 홀더를 제작 착용하여 착용감이 전혀 불편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 구성은 소형의 밧데리를 장착한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2)에 장착된 소형의 밧데리(20)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접점단자(13, 21)에 접점되어 장착되는 상기 핸드폰(2)보다 큰 대용량의 밧데리(1)와, 상기 대용량의 밧데리(1)에는 릴(11)에 의해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마이크(31)를 내장하는 이어폰(3)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Portable telephone loaded in the battery}
본 발명은 대용량의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이 경량화, 소형화 됨으로 인하여 휴대폰 사용시간의 한계가 있으므로 허리에 차고 다닐 수 있는 대용량의 밧데리에 결합되는 소형화, 경량화 된 핸드폰에 내장된 소형의 충전식 밧데리에 연속적으로 전원을 충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핸드폰은 소형화, 경량화가 되면서 들고다니기에 무겁지 않을지는 모르지만 핸드폰을 들고 다닐때 지나다니는 사람과 부주의로 인해 서로 부딛치게 되면 핸드폰이 손에서 이탈되어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핸드폰 소지자들이 핸드폰을 손에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미팅후나 사무실에서 업무를 본후에 자리에서 이석할때에 핸드폰을 그래도 두고 나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핸드폰 분실의 우려가 많았던 것이다.
그리고 핸드폰을 들고 다니지 않는 사람들은 핸드폰을 핸드백이나 가방 또는 포켓에 소지하고 다니지만, 이 또한 진동으로 작동시켜 놓게 되면 수신이 감지되지 않게 되므로 항상 소리로 수신을 감지할 수 있도록 작동시켜 놓게 된다. 따라서 공공장소나 교실 및 회의시등에서 수신이 될때 발신음에 대한 공해가 발생하게 되어 여러사람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 뿐만아니라 핸드폰에 수신되는 발신음이 울리게 되면 핸드폰을 수장한 위치를 몰라 핸드폰을 찾는데 당황하다가 찾는 도중에 발신음이 멈추게 되어 통화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핸드폰의 소형화로 인하여 핸드폰에 장착되는 소형의 밧데리 또한 소형화가 되어 전원충전의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그 많큼 단축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시간에 제한이 생기게 되어 핸드폰 사용이 많은 사람은 별도의 예비충전기를 포켓에 넣고 다니지 않으면 아니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핸드폰 사용자가 운전도중이나 업무를 보면서 핸드폰으로 통화하고자 할때 핸드폰을 파지하지 않고 통화를 하고자 할때에는, 핸즈프리에 필요한 설비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즉, 기존의 핸즈프리의 기능을 갖는 핸드폰은 이어폰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휴대를 필요로 함을 물론 이어폰 사용시에는 이어폰을 잭에 의해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현재 허리에 핸드폰을 장착할시 허리의 곡선부를 이용하지 않고 수직으로 매달아 착용하므로 상당히 불편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핸드폰의 소형화로 인한 핸드폰에 장착되는 소형의 충전기의 사용수명에 한계가 있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핸드폰에서 핸드폰에 핸드폰보다 작은 충전식 소형의 밧데리를 부수적으로 장착하는 기술구성으로 핸드폰의 사용수명이 길지 않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핸드폰에 장착된 충전식 소형의 밧데리에 연속적으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대용량의 밧데리에 결합하여 허리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드폰의 사용 수명을 기존의 사용수명보다 오래도록 지속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핸드폰이 장착된 대용량을 갖는 충전기를 소지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곡선으로 형성하여 허리띠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드폰의 소지를 보다 간편하게 하였으므로 부주의로 인한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드폰의 발신음을 진동으로 작동시켜 놓아도 핸드폰을 항상 허리에 차고 다니기 때문에 쉽게 수신되는 발신음을 허리에서 감지할 수 있으므로 공공장소나 학교 및 회의시 발신음에 의한 소음공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을 갖는 밧데리의 일측에 형성된 릴에 감김과 풀림이 자유로운 소형의 이어폰을 장착하여 핸드폰과 연결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운전중이나 업무를 보면서 통화를 계속 하여야만 할때 즉,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고 소형의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이어폰을 대용량의 밧데리에서 인출한 후, 이어폰에 장착된 마이크를 다시 인출하기만 하면 업무를 보면서 통화상대자와 통화를 계속 할 수 있는 핸즈프리의 기능을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대용량의 밧데리의 형태를 허리의 곡선부 형태와 같이 형성하였기 때문에 대용량의 밧데리를 허리에 착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대용량의 밧데리에 장착되는 이어폰을 인출하기 위한 릴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대용량의 밧데리에 장착되는 이어폰에 결합된 마이크를 인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용량의 밧데리 2 : 핸드폰
3 : 이어폰 11 : 릴
12 : 결착구 14 : 곡선
20 : 소형의 밧데리 31 : 마이크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의 분해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소형의 밧데리를 장착한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2)에 장착된 소형의 밧데리(20)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접점단자(13, 21)에 접점되어 장착되는 상기 핸드폰(2)보다 큰 대용량의 밧데리(1)와, 상기 대용량의 밧데리(1)에는 릴(11)에 의해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마이크(31)를 내장하는 이어폰(3)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용량의 밧데리(1)를 허리에 장착할 수 있도록 밧데리(1)의 내측이 허리의 곡선(14)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부위에 결착구(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이어폰(3)은 대용량의 밧데리(1)에 형성된 접점단다(15, 16)를 통해 소형의 밧데리(20)를 장착한 핸드폰(2)의 접점단자(22, 23)와 접점되도록 형성하여 핸드폰(2)을 분리하지 않을때에는 마이크(31)를 내장한 이어폰(3)에 의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핸드폰(2)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용량의 밧데리(1)를 별도의 충전기(도시생략)에 충분히 충전한 후 핸드폰(2)을 대용량의 밧데리(1)에 결합한다. 그러면 대용량의 밧데리(1)에 충전되어 있는 전류는 밧데리(1)에 형성된 접점단자(13)와 핸드폰(2)에 형성된 접점단자(21)를 통해 핸드폰(1)에 내장된 충전식 소형의 밧데리(20)로 흘러 핸드폰(2)의 기능을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핸드폰(2)을 대용량의 밧데리(1)에 결합하여 대용량의 밧데리에 형성된 결착구(12)를 핸드폰(2)의 사용자의 허리에 찬 벨트에 결착하여 핸드폰(2)을 휴대하고 다니면 된다. 이때 대용량을 갖는 밧데리(1)의 내측에는 결착구(클립등)(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에 결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용량의 밧데리(1)는 허리에 결착하기 편리하도록 내측이 허리의 곡선(14)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허리에 차더라도 큰 불편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휴대폰(2)이 결합된 대용량의 밧데리(1)를 벨트에 차고 다니는 사용자는 핸드폰(2)의 발신음을 진동으로 선택하여 놓았기 때문에 발신음이 항상 진동으로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공공장소나 학교 및 회의도중에 발신음이 울리더라도 발신음으로 인한 공해의 피해를 여러사람에게 주지 않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그 뿐만아니라 핸드폰(2)을 허리에 차고 다니게 되므로 주행중에 부주의로 다른사람과 부딪치더라고 충격으로 인하여 핸드폰(2)이 바닥으로 낙하하여 떨어지게 되는 피해를 막을 수 있어 파손으로부터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드폰(2)을 항상 허리에 차고 있는 대용량의 밧데리(1)에 장착하고 다니기 때문에 발신음이 울리더라도 쉽게 인식이 가능함을 물론 핸드폰(2)이 보관된 위치를 찾아 허둥대는 불편도 감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핸드폰(2)에 발신음이 울려 사용자가 핸드폰으로 통화상대자와 통화를 하고자 할때에는 허리에 차고 있는 대용량의 밧데리(1)에 결합되어 있는 핸드폰(2)을 분리하여 통화를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핸드폰(2)은 대용량의 밧데리(1)에 이미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결합방법과 같이 체결구(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체결되어 있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것이다. 즉, 기존의 핸드폰에 핸드폰(2)보다 작은 충전식 밧데리(20)가 체결구(걸림턱과 걸고리등의 체결방식)에 결합되어 있는 방법과 같이 결합이 되어 있다.
또한 핸드폰(2) 사용자가 업무를 보고 있는 도중이어서 핸드폰(2)으로 사용하지 않고 핸즈프리(손으로 핸드폰을 파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대용량의 밧데리(1)에 일측에 장착된 이어폰(3)을 밧데리(1)에서 인출한 다음에 다시 이어폰(3)에 삽입된 마이크(31)를 인출한 후 이어폰(3)을 귀에 삽입하여 수신음을 듣고 마이크(31)를 통해서 발신음을 전달하여 통화를 하면 업무를 보면서도 통화상대자와 계속해서 통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어폰(3)은 대용량의 밧데리(1)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즉, 이어폰(3)의 인출선(32)은 대용량의 밧데리(1) 일측에 형성된 릴(1)에 감기어 있어 이어폰(3)을 인출하고자 하여 이어폰(3)을 인출하게 되면 릴(11)에 감긴 이어폰(3)의 인출선(32)은 풀리면서 인출되고, 사용이 끝난후에늘 릴(11)에 장착된 탄성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릴(11)이 역회전되므로 이어폰의 인출선(32)은 릴(11)에 다시 감기면서 대용량을 갖는 밧데리(1)의 내부로 내장이 된다.
그리고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릴(11)에는 접점단자(브러쉬)(41)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 릴(11)이 회전되더라도 핸드폰(2)과의 접점은 계속 유지되어 있게 되므로 핸드폰(2)을 분리하지 않게 되면 전원은 이어폰(3)으로 전달이 되도록 되어 있어 핸드폰(2)을 대용량의 밧데리(1)에서 분리하여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이어폰(3)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핸드폰(2)을 인출한 후에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어폰(3)에 형성된 마이크(31)를 인출하게 되면 접점단자(15, 33)가 접점이 되어 마이크(31)를 통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마이크(31)는 이어폰(3)의 단부에 노출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통화할 수 있는 입과의 거리를 맞추기 위해서 마이크(31)와 연결된 봉(34)을 슬라이드식으로 형성되어 이어폰(3)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다시말하자면 마이크(31)를 형성하고 있는 이어폰(3)과 핸드폰(2)은 서로 접점단자(15, 16)(22, 23)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핸드폰(2)으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이어폰(3)과 접점단자(15, 16)(22, 23)가 분리되므로 이어폰(3)을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이어폰(3)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면 핸드폰(2)과 이어폰(3) 및 마이크(31)는 접점단자(15, 16)(22, 23)에 의해 접점이 계속 유지되므로 이어폰(3)과 마이크(31)를 통해 통화상대자와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핸드폰(2)의 상단에 접점단자(22, 23)가 4개가 있고 대용량의 밧데리(1)에도 4개의 접점단자(15, 16)가 형성되어 있어, 2개의 접점단자(15, 23)는 마이크(31)와 서로 접점하고 또다른 2개의 접점단자(16, 22)는 이어폰(3)과 서로 접점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마이크(31)를 형성하고 있는 이어폰(3)의 하부에는 이어폰인출선(32)을 보호하기 위해 복원스프링(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원스프링(35)은 전원을 감싸서 이어폰 인출선(32)을 보호하는 작용도 하지만, 대용량의 밧데리(1)의 일단에 상기에서 설명한 공지의 체결구(도시생략)에 의해 장착된 이어폰(3)을 사용하기 위해서 밧데리(1)에서 분리하면 복원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휘어져서 밧데리(1)의 일단에 장착된 이어폰(3)을 일직선으로 복원시켜주므로 이어폰(3)을 인출하는데에 보다 쉽고 간편하도록 하는 작용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대용량의 충전을 갖는 밧데리(1)에 밧데리(1)보다 작은 소형의 핸드폰(2)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핸드폰(2)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대용량의 밧데리(1)에서 연속적으로 핸드폰(2)에 내장된 충전식 소형의 밧데리(20)에 전류를 공급하여 주므로 핸드폰(2)의 사용시간이 기존의 핸드폰보다 최대한 길게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용하는 본 발명은 대용량을 갖는 밧데리에 그보다 작은 핸드폰이 결합되도록 하여 핸드폰에 내장된 소형의 충전기에 연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주기 때문에 사용시간을 기존의 시용시간보다 최대한 수명을 연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핸드폰에 전원을 충전하는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프리핸즈로 통화를 하고자 할때에도 밧데리에 이어폰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폰만 인출하여 사용하면 간단히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별도로 분리된 이어폰을 찾아 잭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불편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핸드폰을 밧데리의 일부분에 장착하여 진동을 작동시킨 후 허리에 차고 다니게 되므로, 분실할 우려가 없고 또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신음에 의한 핸드폰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발신공해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정정) 소형의 밧데리를 장착한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2)에 장착된 소형의 밧데리(20)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접점단자(13, 21)에 접점되어 장착되는 상기 핸드폰(2)보다 큰 대용량의 밧데리(1)와, 상기 대용량의 밧데리(1)에는 릴(11)에 의해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마이크(31)를 내장하는 이어폰(3)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의 밧데리(1)의 내측은 곡선(14)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결착구(1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은 대용량의 밧데리(1)에 형성된 접점단자(15, 16)를 통해 소형의 밧데리(20)를 장착한 핸드폰(2)의 접점단자(22, 23)와 접점되도록 형성하여 핸드폰(2)을 분리하지 않을 때에는 마이크(31)를 내장한 이어폰(3)에 의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에 장착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KR1019980047808A 1998-11-09 1998-11-09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KR100303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808A KR100303863B1 (ko) 1998-11-09 1998-11-09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808A KR100303863B1 (ko) 1998-11-09 1998-11-09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663A KR20000031663A (ko) 2000-06-05
KR100303863B1 true KR100303863B1 (ko) 2001-11-22

Family

ID=1955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808A KR100303863B1 (ko) 1998-11-09 1998-11-09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901001A (en) * 1999-12-07 2001-06-18 Eun-Seok Choi Earphone wind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and the stationary battery charger with the winding device built-in
KR100714500B1 (ko) * 2003-08-20 2007-05-07 정보영 이동전화기의 휴대용 충전기
KR100970214B1 (ko) * 2008-04-08 2010-07-16 송민기 착용기기가 일체화된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663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37554A1 (en) Retractable co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wireless device
US8167655B2 (en) Portable multi-functional data storage transmitting and connecting device
US20060202702A1 (en) Headset charging system with interchargeable charge devices
WO2006113042A1 (en) Speakerphone with detachable ear bud
GB2404796B (en) Holster for supporting and charging a wireless peripheral of a mobile device
US6308074B1 (en) Hands-fre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and pocket sized phone
KR100303863B1 (ko)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CN102833645B (zh) 一种可给手机充电的蓝牙耳机
US20130049672A1 (en) Mobile Telephone Wireless Earpiece Storage and Charging Device
US20070259701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Detachable Audio Earpiece
CN214177522U (zh) 一种分体式无线耳机
KR200252682Y1 (ko) 자석을 내장한 이어폰 홀더가 장착되어 이어폰 수납과착탈이 용이한 목걸이형 핸드프리 이어폰
CN205793145U (zh) 一种蓝牙耳机充电带
KR100317903B1 (ko) 벨트와일체로결합된핸드폰
KR20100001407A (ko)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성핸드폰
KR200282058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CN213694075U (zh) 一种新型无线耳机
KR200284073Y1 (ko) 건전지를 사용하는 조립식 핸드폰 충전기
EP1505801A3 (en) Holster for supporting and charging a wireless peripheral of a mobile device
KR20030042051A (ko) 무선 헤드셋
JPH04185038A (ja) ヘッドホンカセット型携帯用電話機
KR200285694Y1 (ko) 시계형 이동전화
CN114697795A (zh) 一种分体式无线耳机
JP2004523974A (ja) 携帯電話ホルダー
KR200191437Y1 (ko) 핸즈프리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