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94Y1 - 시계형 이동전화 - Google Patents

시계형 이동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94Y1
KR200285694Y1 KR2020020015738U KR20020015738U KR200285694Y1 KR 200285694 Y1 KR200285694 Y1 KR 200285694Y1 KR 2020020015738 U KR2020020015738 U KR 2020020015738U KR 20020015738 U KR20020015738 U KR 20020015738U KR 200285694 Y1 KR200285694 Y1 KR 200285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arphone
watch
wris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열
Original Assignee
유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열 filed Critical 유동열
Priority to KR2020020015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9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 및 화상 이동전화의 디자인에 관한 것으로 손목에 차는 시계 형태의 이동전화를 구상한 것이다.
본 구상에 따르면 폴더형 이동 전화를 시계처럼 손 목에 착용하여 이동전화를 지니고 다니는데 있어서 그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화상 이동전화의 경우 화상을 보면서 송신과 수신이 용이 하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시계형 이동전화{omitted}
이동전화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이동전화기의 보관의 불편함이 많고, 분실의 우려를 안고있어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목에 걸고 다니거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실정이나 그 또한 몸을 구부리거나 업드리는 경우 이동전화가 늘어져 불편하고 갑자기 달리거나 걸을시 좌우나 상하로 요동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시정하고자 본 고안을 하게 되었다
이동전화기는 사용상 편리함을 가지고 있으나 가지고 다니는데 많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서 목에 걸수 있도록 하는 기구와 같은 이어폰 형태가 나왔으나 일상생활 도중 엎드리거나 달리기를 할 때는 그 불편함이 더 크게 느껴진다. 즉 엎드리는 경우나 상체를 구부리는 경우 이동전화기가 축 늘어져서 시계추처럼 움직이다 보니 활동에 불편하고 그로인해 내려놓고 일을 보다보면 분실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상이동전화기의 경우 사용하는 방법상 카메라의 위치를 잡는 어려움이 상존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손목시계의 형태와 이동전화기의 기능을 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그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더형 이동전화를 측면으로 제작하여 손목에 착용하고 폴더를 펼침으로서 화면을 바로 보면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흔히들 시계를 볼때의 자세는 화상이동전화기에 본인의 화상도 쉽게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송된 화상을 계속해서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음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이동 전화기의 착용장치가 있는 속에 이어폰 줄이 들어갈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이어폰 전선은 장난감에 많이 사용하는 회전형 스파이널 스프링을 안쪽에 장치하여 이어폰 전선이 감기게 함으로서 이어폰의 보관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도1에서와 같이 이어폰의 이동전화기의 본체옆에 부착되도록 하고 이어폰 전선은 전선보관함에 연결되도록 하여 도2의 경우처럼 이어폰 줄이 감기고 고정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이동 전화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이동전화기에 도시된 ON OFF 스위치는 이어폰으로 혹은 본체로 연결하는 스위치로 상황에 따라 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방법에 따른 불편함과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코드로 연결시 접촉불량으로 인한 통화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줄였다.
도4와 5는 이동전화의 착용시 모습을 그린 도면으로 통화시와 통화를 하지 않고 착용만 했을 때를 나누어서 도시하였다
도1 시계형 이동 전화기의 사시도
도2 이동 전화기의 착용과 이어폰 전선의 보관 형태
도3 시계형 전화기의 충전지가 끼워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4.5 손목에 착용한 이동전화의 모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이어폰 연결선 2. 화상전화에 부착된 카메라
3. 자체 입력 마이크 4. 자체 출력 스피커
5. 입력 출력 변환스위치 6. 충전기 결합홈
7. 원형 스파이널 스프링 8. 이어폰 연결선 고정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동전화기를 도시한 것으로 화상 카메라(가)는 90°회전을 할 수 있도록하며 화면(라)는 수신용 액정 화면이다
(나)는 수신 스피커 이며 (다)는 송신 마이크로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안을시 사용하며 이어폰 사용시는 (바)에서 이어폰 줄(사)을 당겨서 줄(사)이 풀리면 이어폰(마)를 귀에 꽂아 사용한다
도 2는 이동전화기를 착용하는 고정기로서 시계의 착용기를 도용한 것으로2-Ⅲ의 투시도와 같이 중앙에 원형의 스파이널 스프링(a)를 설치하여 이어폰 전선(b)가 자동으로 감기게 구성되며 통화 후 감김 스위치 (c)를 누름으로서 스프링(a)에 의해서 이어폰 전선(b)이 감기게 된다
도 3은 이동전화의 단면으로 이동전화에 사용되는 충전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목시계형 이동전화기는 휴대하기에 편리하다 현재 사용되는 전화기는 목걸이형 줄을 이동전화기에 줄로 연결하여 목에 걸고 다니거나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 가지고 다니는 설정이다.
다시말해 이동전화기를 휴대하기에는 불편함이 상존한다는 것이다
그 예로 달리거나 격동적인 활동을 할 때 이동전화가 흔들림이 반복되어 시계 추처럼 움직여서 그 불편함이 극에 달한다.
또한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 가지고 다니는 경우는 소음이 조금만 있어도 전화가 온줄 모르는 경우가 있고 전화벨이 울리고 전화기를 꺼내서 통화를 할 때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 품의 경우 손목에 시계처럼 부착되는 형태로 휴대하므로 전화를 받기위해 소모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일수 있고, 사람이 많은 경우 벨소리로 쏠리는 시선을 불편함을 줄일수 있다.
이동전화가 진동모드로 전환 됐을시는 신체의 일부와 떨어지는 시례가 발생되는데 이 역시 전화가 온 것을 파악하지 못하는 수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 형태로 이동전화를 손목에 착용한다면 신체와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이 일어나므로 전화가 걸려옴을 즉시 알 수 있다.
또한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하기 때문에 보관장소에 따른 불편함을 줄일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상 이동전화의 경우 화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위치를 잡기 까다롭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시계를 보면서 통화를 하면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가 화면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상태에서 수신되어 오는 화면을 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자세가 잡히게 된다.
화상 이동전화를 사용시 화면의 송,수신에 있어 가장 간략한 동작으로서 송,수신을 할 수 있으면서 휴대가 간편 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화 품질의 향상을 위해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어폰줄은 이동 전화기를 손목에 고정하는 잠금장치의 내부에 이어폰줄을 감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그 공간에 이어폰 줄이 감긴 상태에서 휴대하게 된다 통화 시작시 이어폰줄을 잡아 당기면 줄이 풀리며 이어폰줄이 나오는 부분에 줄을 고정하는 핀이 있어 줄이 바로 감기는 것을 막는다 통화시는 줄의 끝에 있는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여 통화를 하고 통화가 끝나면 감김통의 줄이 빠져나오는 곳에 있는 줄 고정핀을 눌러 줄이 바로 감기게 함으로서 이어폰의 보관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같은 장점들로 인하여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줄일수 있으며 효과적으로통화를 할 수 있다.

Claims (2)

  1.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이동전화기로 본체와 본체를 손목에 고정하는 고정줄 혹은 고정체로 구성되어 손목시계처럼 착용하게 구성되는 이동전화기 또는 화상 이동전화기로 이동전화기의 기능에 손목시계의 착용방법을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기기
  2. 이동전화기의 통화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이어폰의 줄이 스파이널 스프링의 원리로 감기게되는 장치로서 통화 시작시 줄을 당겨빼며 줄이 풀어져 나와서 고정되며 통화종료후 고정핀을 눌러 이어폰줄이 감긴게되는 이어폰의 보관장치
KR2020020015738U 2002-05-14 2002-05-14 시계형 이동전화 KR200285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738U KR200285694Y1 (ko) 2002-05-14 2002-05-14 시계형 이동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738U KR200285694Y1 (ko) 2002-05-14 2002-05-14 시계형 이동전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94Y1 true KR200285694Y1 (ko) 2002-08-13

Family

ID=7312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738U KR200285694Y1 (ko) 2002-05-14 2002-05-14 시계형 이동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140B1 (ko) 손목 장착용 전화 장치
US8265692B2 (en) Bracele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device
WO2015147450A1 (ko)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KR20060097686A (ko) 휴대용 무선 헤드셋
WO2005096599A1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KR200285694Y1 (ko) 시계형 이동전화
KR100735436B1 (ko) 이어셋 장치
KR101124459B1 (ko) 마이크 착탈형 근거리 무선통신 헤드셋
KR20160094053A (ko) 액세서리형 와치 디바이스
KR100303863B1 (ko)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JP2004120056A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携帯電話装置
JPH03258061A (ja) 携帯電話機
KR19990040480A (ko) 손목 시계형 개인 휴대 무선 통신장치
JP3915581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482913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JP2006086564A (ja) 携帯通信装置
KR20000010498A (ko) 벨트와 일체로 결합된 핸드폰
KR200282058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KR20050112617A (ko) 탈착 가능한 손목시계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US20220206442A1 (en) Customizable Digital Watch
JPH04185038A (ja) ヘッドホンカセット型携帯用電話機
JP2000286939A (ja) 腕時計型携帯用無線電話機
JPH10257145A (ja) 携帯電話機の耳掛け具および携帯電話機
FR2845550A1 (fr) Radiotelephone comportant un combine separe de la base qui comporte des moyens d'affichage d'au moins une information
JPH0593152U (ja) コードレス送受話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