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434B1 - 매직 스트랩 - Google Patents

매직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434B1
KR101629434B1 KR1020150184914A KR20150184914A KR101629434B1 KR 101629434 B1 KR101629434 B1 KR 101629434B1 KR 1020150184914 A KR1020150184914 A KR 1020150184914A KR 20150184914 A KR20150184914 A KR 20150184914A KR 101629434 B1 KR101629434 B1 KR 10162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trap member
hole
strap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창기
Original Assignee
여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창기 filed Critical 여창기
Priority to KR102015018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434B1/ko
Priority to PCT/KR2016/014921 priority patent/WO20171114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매직 스트랩은 부착 패드와, 제1 걸림 돌기, 및 제1 스트랩 부재를 포함한다. 제1 걸림 돌기는 일단이 부착 패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1 돌기 몸체, 및 제1 돌기 몸체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제1 돌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1 돌기 헤드를 구비한다. 제1 스트랩 부재는 일단 부위가 제1 돌기 헤드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제1 돌기 몸체에 끼움 결합되어 부착 패드의 일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며, 타단 부위에 제1 돌기 헤드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삽입 홀 및 삽입 홀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삽입 홀에 연결되어 제1 돌기 몸체를 걸림 처리하는 제1 걸림 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매직 스트랩{Magic strap}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회전형 탈착식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일종인 셀룰러폰(cellular phone)은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음성통화 외에 인터넷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능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는 손에 휴대단말기를 쥐고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큰 화면으로 인해 폭이 넓은 편이기 때문에, 손이 작은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쥐고 조작하기가 불편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를 쥐고 사용할 때,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자칫하여 타인과 부딪혀 휴대단말기를 떨어뜨릴 경우, 휴대단말기의 파손 또는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매직 스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매직 스트랩은 부착 패드와, 제1 걸림 돌기, 및 제1 스트랩 부재를 포함한다. 제1 걸림 돌기는 일단이 부착 패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1 돌기 몸체, 및 제1 돌기 몸체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제1 돌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1 돌기 헤드를 구비한다. 제1 스트랩 부재는 일단 부위가 제1 돌기 헤드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제1 돌기 몸체에 끼움 결합되어 부착 패드의 일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며, 타단 부위에 제1 돌기 헤드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삽입 홀 및 삽입 홀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삽입 홀에 연결되어 제1 돌기 몸체를 걸림 처리하는 제1 걸림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를 안정되게 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를 경사진 상태로 바닥에 거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를 가방, 자전거, 오토바이, 차량 핸들 등에 착,탈해서 사용하거나, 차량 내부에 거치해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리 부재에 의해 휴대단말기를 목에 걸어둘 수 있으며, 매직 스트랩을 열쇠 홀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쇠를 가방, 자전거, 오토바이, 차량 핸들 등에 착,탈해서 사용하거나, 차량 내부에 거치해둘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제1 스트랩 부재의 타단 부위가 부착 패드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매직 스트랩의 여러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 제1 스트랩 부재의 타단 부위가 제2 스트랩 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매직 스트랩의 여러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제1 스트랩 부재의 타단 부위가 부착 패드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100)은 부착 패드(110)와, 제1 걸림 돌기(120), 및 제1 스트랩 부재(130)를 포함한다.
부착 패드(110)는 제1 걸림 돌기(120)가 고정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111)가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111)의 노출된 접착 면이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의 후면에 접착됨으로써, 부착 패드(110)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패드(110)는 휴대단말기(2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부착 패드(110)는 접착 부재(111) 대신, 젤 타입의 점착 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패드(110)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 또는 휴대단말기(20)에 손쉽게 착,탈될 수 있다.
부착 패드(110)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딱딱한 재질의 심 부재(110a)를 외피(110b)로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피(110b)는 제1 스트랩 부재(13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 패드(110)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방향과 관계 없이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 또는 휴대단말기(20)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패드(110)는 경질의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부착 패드(11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다른 예로, 부착 패드(110)는 영구 자석을 내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의 후면 또는 휴대단말기(10)의 후면에는 영구 자석과 자력으로 붙을 수 있는 금속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부착 패드(110)에 영구 자석이 내장되는 경우, 심 부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부착 패드(110)가 생략되고, 제1 걸림 돌기(120)가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걸림 돌기(120)는 제1 돌기 몸체(121), 및 제1 돌기 헤드(122)를 구비한다. 제1 돌기 몸체(121)는 일단이 부착 패드(110)의 일면, 즉 접착 면의 반대쪽 면에 고정된다. 제1 돌기 몸체(121)는 부착 패드(110)를 사이에 두고 볼트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부착 패드(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돌기 몸체(12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돌기 헤드(122)는 제1 돌기 몸체(121)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제1 돌기 몸체(121)의 타단에 형성된다. 제1 돌기 헤드(122)는 제1 돌기 몸체(121)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 헤드(122)는 제1 돌기 몸체(121)에 동축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 헤드(122)는 돌출 단의 모서리가 면취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되는 삽입 홀(131)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다.
제1 스트랩 부재(130)는 구부러지게 구성된다. 제1 스트랩 부재(120)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스트랩 부재(130)는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트랩 부재(130)는 타단에 중간 부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트랩 부재(130)는 일단 부위가 제1 돌기 헤드(122)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제1 돌기 몸체(121)에 끼움 결합되어 부착 패드(110)의 일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1 스트랩 부재(130)의 일단 부위에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은 제1 돌기 몸체(121)를 끼우며 제1 돌기 헤드(122)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스트랩 부재(130)의 일단 부위는 관통 홀의 주변 부위가 제1 돌기 헤드(122)에 걸려 이탈 방지될 수 있다.
제1 스트랩 부재(130)는 타단 부위에 삽입 홀(131)과 제1 걸림 홀(132)이 형성된다. 삽입 홀(131)은 제1 돌기 헤드(121)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제1 걸림 홀(132)은 삽입 홀(131)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삽입 홀(131)에 연결되어 제1 돌기 몸체(121)를 걸림 처리한다. 제1 걸림 홀(132)은 삽입 홀(131)보다 제1 스트랩 부재(130)의 타단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걸림 홀(132)은 제1 돌기 몸체(121)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안착 홀부(132a), 및 제1 돌기 몸체(121)의 지름보다 작은 폭을 갖고 안착 홀부(132a)로부터 연장되어 삽입 홀(131)과 연결되는 연결 홀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기 몸체(121)는 삽입 홀(131)에 삽입된 후 연결 홀부(132b)를 거쳐 안착 홀부(132a)에 끼워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돌기 몸체(121)는 연결 홀부(132b)에 걸려 안착 홀부(132a)에 락킹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트랩 부재(130)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 걸림 돌기(120)가 제1 걸림 홀(132)에 끼워짐으로써, 제1 스트랩 부재(130)의 타단 부위가 부착 패드(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스트랩 부재(130)의 타단 부위에 제2 걸림 홀(13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 홀(133)은 제1 걸림 홀(13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걸림 홀(133)은 삽입 홀(131)을 사이에 두고 제1 걸림 홀(132)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삽입 홀(131)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2 걸림 홀(133)은 삽입 홀(13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2 걸림 홀(133)은 제1 걸림 홀(132)과 마찬가지로 제1 걸림 돌기(120)를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트랩 부재(130)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 걸림 돌기(120)가 제2 걸림 홀(133)에 끼워짐으로써, 제1 스트랩 부재(130)의 타단 부위가 부착 패드(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 돌기(120)가 제1 걸림 홀(132)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제2 걸림 홀(133)은 매직 스트랩(100)을 후술되는 거치 홀더(50)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 등에 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100)은 회전형 탈착식으로 이루어져,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매직 스트랩(100)이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의 후면에 부착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휴대단말기(20)에 부착된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부착 패드(110)에 의해 매직 스트랩(100)을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의 후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1 스트랩 부재(130)를 구부려 제1 걸림 돌기(120)를 제1 걸림 홀(132) 또는 제2 걸림 홀(133)에 끼운다. 그러면, 제1 스트랩 부재(130)는 타단 부위가 부착 패드(110)에 고정되어 고리 모양 공간을 만들게 된다.
사용자는 제1 스트랩 부재(130)의 고리 모양 공간에 손가락(30)을 걸고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를 쥔다. 그러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에 장착된 휴대단말기(20)를 한 손으로 안정되게 쥔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스트랩 부재(130)의 타단 부위를 부착 패드(110)에 고정해서 매직 스트랩(100)을 바닥에 두면, 휴대단말기(20)를 경사진 상태로 거치하는 스탠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벨트(40)를 착용하고 있을 때, 제1 스트랩 부재(130)의 중간 부위로 벨트(40)를 감은 후 제1 스트랩 부재(130)의 타단 부위를 부착 패드(110)에 고정한다. 그러면, 매직 스트랩(100)은 벨트(40)에 이탈되지 않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스트랩 부재(130)의 타단 부위를 부착 패드(110)로부터 분리하면, 매직 스트랩(100)은 벨트(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매직 스트랩(100)을 벨트(40)에 착,탈함에 따라 휴대단말기(20)를 벨트에 착,탈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사용자는 매직 스트랩(100)을 전술한 방식으로 가방의 끈에도 착,탈할 수 있으며, 자전거의 핸들이나 오토바이의 핸들이나 차량 핸들 등에도 착탈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거치 홀더(50)를 부착해둘 수 있다. 거치 홀더(50)는 홀더 패드(51), 및 홀더 돌기(52)를 포함한다. 홀더 패드(41)는 부착 패드(1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홀더 패드(51)는 접착 부재에 의해 차량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홀더 돌기(52)는 제1 걸림 돌기(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홀더 패드(51)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스트랩 부재(130)를 구부려 제1 걸림 돌기(120)를 제1 걸림 홀(132)에 끼운 상태에서, 홀더 돌기(52)를 삽입 홀(131)을 거쳐 제2 걸림 홀(133)에 끼우면, 매직 스트랩(100)을 거치 홀더(50)에 걸어둘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20)는 차량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매직 스트랩(100)을 거치 홀더(50)로부터 분리하면, 휴대단말기(20)는 차량 내부에 거치된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 제1 스트랩 부재의 타단 부위가 제2 스트랩 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200)은 전술한 실시예의 부착 패드(110)와, 제1 걸림 돌기(120)와, 제1 스트랩 부재(130)와 함께, 제2 스트랩 부재(240), 및 제2 걸림 돌기(250)를 포함한다.
제2 스트랩 부재(240)는 제1 스트랩 부재(130)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2 스트랩 부재(240)는 제1 스트랩 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부착 패드(110)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제2 스트랩 부재(240)는 일단이 제1 스트랩 부재(130)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2 스트랩 부재(240)는 일단 부위가 제1 돌기 헤드(122)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제1 돌기 몸체(121)에 끼움 결합된다. 제2 스트랩 부재(240)는 제1 스트랩 부재(13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스트랩 부재(13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걸림 돌기(250)는 제2 돌기 몸체(251), 및 제2 돌기 헤드(252)를 구비한다. 제2 돌기 몸체(251)는 일단이 제2 스트랩 부재(240)의 타단 부위에 고정된다. 제2 돌기 몸체(251)는 제2 스트랩 부재(240)의 타단 부위를 사이에 두고 볼트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2 스트랩 부재(240)의 타단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돌기 몸체(251)는 제1 돌기 몸체(1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돌기 헤드(252)는 제2 돌기 몸체(251)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제2 돌기 몸체(251)의 타단에 형성된다. 제2 돌기 헤드(252)는 제1 돌기 헤드(12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 걸림 돌기(250)는 제1 걸림 돌기(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걸림 돌기(250)는 제1 걸림 홀(132) 또는 제2 걸림 홀(133)에 끼워짐으로써, 제1 스트랩 부재(130)의 중간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 스트랩 부재(130)의 타단 부위가 제2 스트랩 부재(240)에 고정될 수 있다.
고리 부재(260)가 제1 스트랩 부재(130)와 제2 스트랩 부재(240)의 연결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고리 부재(260)는 제1 스트랩 부재(130)와 제2 스트랩 부재(240)의 연결 부위를 안쪽으로 끼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리 부재(260)는 D??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20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100)의 사용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트랩(200)은 고리 부재(200)를 구비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고리 부재(260)에 목걸이 스트랩(60)을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목걸이 스트랩(60)에 의해 휴대단말기(20)를 목에 걸어둘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부재(260)에 열쇠(70)를 끼움으로써, 매직 스트랩(200)을 열쇠 홀더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패드(110)는 젤 타입의 점착 시트나 영구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매직 스트랩(200)을 냉장고 등에 착,탈해서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열쇠(70)를 끼운 매직 스트랩(200)을 벨트, 가방, 자전거, 오토바이, 차량 핸들 등에 착,탈해서 사용하거나, 차량 내부에 거치해둘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부착 패드 120..제1 걸림 돌기
121..제1 돌기 몸체 122..제1 돌기 헤드
130..제1 스트랩 부재 131..삽입 홀
132..제1 걸림 홀 133..제2 걸림 홀
240..제2 스트랩 부재 250..제2 걸림 돌기
251..제2 돌기 몸체 252..제2 돌기 헤드
260..고리 부재

Claims (4)

  1. 부착 패드;
    일단이 상기 부착 패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돌기 몸체, 및 상기 제1 돌기 몸체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상기 제1 돌기 몸체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되 돌출 단의 모서리가 면취된 제1 돌기 헤드를 구비하는 제1 걸림 돌기; 및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단 부위가 상기 제1 돌기 헤드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상기 제1 돌기 몸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부착 패드의 일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며, 타단 부위에 상기 제1 돌기 헤드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삽입 홀 및 상기 삽입 홀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삽입 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돌기 몸체를 걸림 처리하는 제1 걸림 홀이 형성된 제1 스트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 홀은 상기 제1 돌기 몸체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안착 홀부, 및 상기 제1 돌기 몸체의 지름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안착 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 홀과 연결되는 연결 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랩 부재의 타단 부위에 제2 걸림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 홀은 상기 제1 걸림 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 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걸림 홀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 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스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부착 패드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1 스트랩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며, 일단 부위가 상기 제1 돌기 헤드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상기 제1 돌기 몸체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트랩 부재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스트랩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 스트랩 부재의 타단 부위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돌기 몸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돌기 몸체, 및 상기 제2 돌기 몸체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상기 제2 돌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돌기 헤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돌기 헤드를 구비하는 제2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스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부재와 제2 스트랩 부재의 연결 부위에 결합되는 고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스트랩.
  4. 삭제
KR1020150184914A 2015-12-23 2015-12-23 매직 스트랩 KR10162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914A KR101629434B1 (ko) 2015-12-23 2015-12-23 매직 스트랩
PCT/KR2016/014921 WO2017111422A1 (ko) 2015-12-23 2016-12-20 매직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914A KR101629434B1 (ko) 2015-12-23 2015-12-23 매직 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434B1 true KR101629434B1 (ko) 2016-06-10

Family

ID=5619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914A KR101629434B1 (ko) 2015-12-23 2015-12-23 매직 스트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9434B1 (ko)
WO (1) WO201711142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20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홀더
KR101705819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KR102022337B1 (ko) 2018-05-04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102022340B1 (ko) 2018-07-02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US11452365B2 (en) 2019-11-22 2022-09-27 Shawshank Ledz Inc. Grip device to enable a number of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attachment theret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4489B2 (ja) * 2018-08-05 2023-05-31 あけび動作の学校株式会社 端末保持具及び端末収納ケース
EP3809682A4 (en) * 2018-06-18 2021-08-11 Akebi Dousa No Gakkou Corporation CLAMP CARRIERS AND STORAGE CONTAIN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441U (ko) * 2007-11-30 2009-06-03 김성대 노트북케이스, 다용도 가방끈
KR20130017869A (ko) * 2011-08-12 2013-02-20 (주)바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14130A1 (en) * 2010-08-31 2012-02-29 Ervis Hyseni Electronic device case gripper
KR20130001879U (ko) * 2011-09-09 2013-03-19 최임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101344639B1 (ko) * 2012-09-12 2013-12-26 임대섭 스마트폰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441U (ko) * 2007-11-30 2009-06-03 김성대 노트북케이스, 다용도 가방끈
KR20130017869A (ko) * 2011-08-12 2013-02-20 (주)바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20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홀더
KR101705819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WO2018004192A1 (ko) * 2016-06-30 2018-01-04 여창기 매직 푸시
JP2018520747A (ja) * 2016-06-30 2018-08-02 ヨ、チャン ギYEO, Changki マジックプッシュ
US10063272B1 (en) 2016-06-30 2018-08-28 Changki YEO Portable device attachment
EP3481036A4 (en) * 2016-06-30 2019-12-25 Chang-Ki Yeo MAGIC BOOST
KR102022337B1 (ko) 2018-05-04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102022340B1 (ko) 2018-07-02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US11452365B2 (en) 2019-11-22 2022-09-27 Shawshank Ledz Inc. Grip device to enable a number of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attachment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422A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434B1 (ko) 매직 스트랩
KR101891667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US9366383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KR200472994Y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US7661620B2 (en) Personal accessory carrying device
KR102196015B1 (ko)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1705820B1 (ko) 매직 홀더
US20080196210A1 (en) Bluetooth earphone and lanyard structure thereof
KR20150081213A (ko) 보호 커버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0470456Y1 (ko)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KR101281064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US7722264B2 (en) Camera integrated with deformable supporting structure
KR20180060460A (ko) 자전거 거치기능을 갖는 셀카봉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KR20210087794A (ko)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단말기의 고리형 손잡이 구조체
US201200140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endant attachment system
KR200478291Y1 (ko) 휴대폰 거치대
EP2947782A1 (en) Holder for mobile terminal
KR20160003392A (ko)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565592B1 (ko) 다용도 거치대
KR20170002976U (ko) 자석 거치대
KR200495737Y1 (ko)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