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015B1 -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 Google Patents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015B1
KR102196015B1 KR1020200022300A KR20200022300A KR102196015B1 KR 102196015 B1 KR102196015 B1 KR 102196015B1 KR 1020200022300 A KR1020200022300 A KR 1020200022300A KR 20200022300 A KR20200022300 A KR 20200022300A KR 102196015 B1 KR102196015 B1 KR 10219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ccessory
unit
moun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호
임한대
함승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지모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지모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지모루
Priority to KR1020200022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015B1/ko
Priority to EP21760304.2A priority patent/EP4113960A4/en
Priority to JP2022576783A priority patent/JP7453495B2/ja
Priority to PCT/KR2021/002098 priority patent/WO2021172814A1/ko
Priority to US17/801,877 priority patent/US1177047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배면에 다양한 악세서리유닛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탈부착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이 휴대단말기 또는 액세서리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판형돌출부와, 고정플레이트의 부착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고정유닛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에 고정유닛이 안착되는 마운트플레이트와, 마운트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판형돌출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슬롯을 포함하여, 고정플레이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트유닛과, 마운트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액세서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용도에 대응하는 모듈화된 액세서리유닛을 구성하고, 이러한 모듈화된 액세서리유닛을 고정유닛과 마운트유닛을 통하여 휴대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용도변경이 용이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도변경을 위한 별도의 액세서리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Accessory module for mobile terminal with detachable means}
본 발명은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배면 또는 휴대단말기 보호용 케이스의 배면에 안정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다양한 휴대단말기요 액세서리를 가변적으로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음성통신기능 외에도 무선 인터넷, 사진촬영, 영화감상, 네비게이션, 게임 등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단말기와 함께 휴대단말기와 관련하여 다양한 액세서리들도 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7505호는,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스프링 및 볼이 수납되도록 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끼워지고, 일체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과,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고리와, 판형으로 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밀착되며, 다수의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의 외측에서 끼워진 후 조립 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부착판에 대하여 연결부재와 고리 및 커버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한정된 특정 용도(파지 또는 거치)만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휴대단말기에 고정되기 때문에, 파지용에서 거치용으로 용도를 변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용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액세서리를 부가하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7505호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용도에 대응하는 모듈화된 액세서리를 구성하고, 이러한 모듈화된 액세서리를 휴대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용도변경이 용이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액세서리구성을 추가할 필요 없이 용도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배면에 다양한 악세서리유닛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탈부착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상기 액세서리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판형돌출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부착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고정유닛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에 상기 고정유닛이 안착되는 마운트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판형돌출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슬롯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트유닛과;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액세서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돌출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마운트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판형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롯은, 체결 시 상기 판형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형돌출부는, 복수개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설정된 이격각도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롯은, 상기 판형돌출부에 대응하는 개수 및 위치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슬롯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환형의 슬롯부에서 상기 판형돌출부가 안착되도록 호형의 절개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와 상기 판형돌출부는, 상호 동일한 평단면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형돌출부는, 상기 마운트유닛의 체결방향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유닛의 회전 시 상기 결합슬롯의 측면이 걸려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의 오버회전 방지 또는 상기 마운트유닛의 체결방향을 한정하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슬롯은, 체결홈 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판형돌출부는, 상기 결합슬롯이 체결될 시 상기 체결홈 또는 상기 체결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무선충전이 가능한 범위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은,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점착제가 도포되어, 일면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부착되고 타면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유닛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에 상기 액세서리유닛이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액세서리유닛은, 일면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수납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수단의 수납공간 일면을 형성하거나 지지하고, 상기 수납수단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 또는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공간 사이에 수납물건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파우치, 케이스 또는 지갑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운트플레이트는, 상기 결합슬롯의 이탈방향측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체결 회전 시 상기 판형돌출부와 접하는 상기 결합슬롯의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호길이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이격 호길이는 상기 판형돌출부의 호길이 보다 짧은 호길이로 형성되어, 이탈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판형돌출부의 측면이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탈착회전 시 판형돌출부와 접하는 측면이 하향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회전중심부에 스냅버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플레이트는, 회전중심부에 상기 스냅버튼돌기와 압입에 의해 탈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냅버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형돌출부는, 상기 결합슬롯과 접촉하는 일측면에 제1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롯 내측면에는, 상기 판형돌출부가 체결될 시 압입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제1테이퍼부와 대면하는 측면에 제2테이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테이퍼부는, 상기 일측면의 전체 호길이 중 체결입구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제1호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테이퍼부는, 상기 판형돌출부가 체결되는 상기 마운트플레이트 또는 상기 결합슬롯의 측면의 전체 호 길이 중 체결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제1호길이와 동일한 소정의 제2호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테이퍼부는, 상기 판형돌출부의 수평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제1테이퍼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테이퍼부는, 상기 판형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의 수평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제2테이퍼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테이퍼각은 상기 제1테이퍼각 보다 크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액세서리유닛은,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링 또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gripping)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은,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용도에 대응하는 모듈화된 액세서리유닛을 구성하고, 이러한 모듈화된 액세서리유닛을 고정유닛과 마운트유닛을 통하여 휴대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용도변경이 용이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도변경을 위한 별도의 액세서리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은, 사용자의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도 탈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은, 악세서리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범위가 광범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은, 고정유닛이 무선충전이 가능한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충전을 위하여 악세서리부 전체를 분리할 필요없이 간단한 마운트유닛의 탈거만으로 무선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에서 고정유닛과 마운트유닛의 착탈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판형돌출부와 절개부를 나타내기 위한 고정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에서 고정유닛과 마운트유닛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고정유닛과 마운트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테이퍼부에 의한 고정유닛과 마운트유닛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냅버튼돌기와 스냅버튼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에서 수납수단으로 구성되는 액세서리유닛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우육탕면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이하 ‘액세서리 모듈’이라 한다)은, 휴대단말기 배면에 다양한 악세서리유닛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탈부착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고정유닛(100)과, 마운트유닛(200)과, 액세서리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100)은, 휴대단말기(10) 또는 액세서리유닛(3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결합돌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고정유닛(100)은,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결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설계 등에 의하여 액세서리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유닛(100)은, 고정플레이트(110)와, 부착수단(120)과, 판형돌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12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부착력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를 상기 휴대단말기(10)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부착수단(120)은,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점착제가 도포되어, 일면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부착되고 타면은 상기 휴대단말기(10)에 부착되는 부착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부재는, 양면테이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판형돌출부(1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유닛(200)의 체결 시 후술되는 결합슬롯(220)과 체결된다. 상기 판형돌출부(130)는, 원판형의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형돌출부(130)는, 상기 마운트유닛(200)의 체결방향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32)은, 상기 마운트유닛(200)의 회전 시 상기 결합슬롯(220)의 측면이 걸려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의 오버회전 방지 또는 상기 마운트유닛(200)의 체결방향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판형돌출부(130)는, 상기 결합슬롯(220)과 접촉하는 측면에 체결돌기(131)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131)는, 후술되는 결합슬롯(220)의 체결홈 또는 체결홀(22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상기 결합슬롯(220)과의 체결력을 확보하고 상기 마운트유닛(200)의 슬립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131)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는 이탈이 되지만 슬립에 의해서는 이탈되지 않도록 그 돌출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돌출부(130) 중앙부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마운트유닛(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마운트유닛(200)은, 마운트플레이트(210)와, 결합슬롯(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에 상기 고정유닛(100)이 안착된다.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 및 상기 판형돌출부(130)가 안착되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10) 및 상기 판형돌출부(1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면에 홈형태의 안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슬롯(220)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판형돌출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도면에서, 상기 결합슬롯(220)은, 체결 시 상기 판형돌출부(130)가 끼워지도록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슬롯(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체결돌기(13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슬롯(220)은, 체결홀(221) 외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형돌출부(130)와 결합슬롯(220)은, 그 위치와 개수가 서로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판형돌출부(130)는, 복수개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중심으로부터 설정된 이격각도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이에 상기 결합슬롯(220)은, 상기 판형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개수 및 위치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판형돌출부(130)와 상기 결합슬롯(220)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어 180°의 이격각도를 가지며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유닛(100)은, 상기 판형돌출부(130)가 회전 중심에 대하여 다양한 개수로 대칭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판형돌출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10)의 양측에 대향하여 2개가 형성된 경우 결합을 위한 회동각이 대략 90°가 된다. 반면, 도 7과 같이 판형돌출부(130)가 4개가 형성된 경우에는 회동각이 대략 45°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유닛은, 그 높이(두께)가 무선충전이 가능한 범위로 형성되어 마운트유닛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그대로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충전이 가능한 높이를 5mm 정도로 가정할 때 상기 고정유닛의 두께는 2mm ~ 3m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는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높이로 구성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슬롯(220)은, 체결 시 상기 판형돌출부(130)가 끼워지도록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결합슬롯(220)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환형의 슬롯부(A)에서 호형의 절개부(B)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는, 상기 판형돌출부(130)가 안착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며, 마운트유닛(200)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상기 판형돌출부(130)와 상호 동일한 평단면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고정유닛(100)과 상기 마운트유닛(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유닛(100)과 마운트유닛(200)은, 체결 시 압입력이 발생되게 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기 판형돌출부(130)는, 상기 마운트유닛(200)과 접촉하는 일측면에 제1테이퍼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1테이퍼부(133)는,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에 접촉하는 상면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결합슬롯(220)에 접촉하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유닛(200)은, 상기 판형돌출부(130)가 체결될 시 압입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제1테이퍼부(133)와 대면하는 내측면에 제2테이퍼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2테이퍼부(230)는, 상기 판형돌출부(130)의 상면에 접촉하는 마운트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판형돌출부(130)의 하면에 접촉하는 결합슬롯(22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테이퍼부(133)와 제2테이퍼부(230)는, 상기 판형돌출부(130)와 결합슬롯(220)의 접촉면적에 대하여 전구간 또는 일부구간에 형성되어, 압입력이 작용되는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테이퍼부(133)와 제2테이퍼부(230)는, 상기 판형돌출부(130)와 결합슬롯(220)의 접촉면적에 대하여 일부구간에 형성되어, 마운트유닛(200)의 체결 후 일정 구간에 대해서만 압입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로, 상기 액세서리 모듈은, 상기 결합슬롯(220)의 전 길이 중 삽입구측 소정의 길이에 대해서는 압입력이 발생되지 않고, 설정된 내측 삽입영역(C)에서의 이동시에만 압입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테이퍼부(133)는, 상기 판형돌출부(130)의 접촉되는 일측면의 전체 호길이 중 체결입구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제1호길이(R2)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테이퍼부(230)는, 상기 판형돌출부(130)가 체결되는 상기 결합슬롯(220)의 측면의 전체 호 길이 중 체결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제1호길이와 동일한 소정의 제2호길이(L2)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테이퍼부(133)와 제2테이퍼부(230)는, 체결 시 초반에는 압입력이 발생되지 않다가 체결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이때 압입력이 발생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초반 마운트유닛(200)을 회전시켜 체결할 때에는 압입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체결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압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체결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제1테이퍼부(133)는, 상기 판형돌출부(130)의 전체 호길이 중 체결되는 입구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호길이(R1)가 끝나는 지점부터 출구측 단부까지 제1호길이(R2)로 형성되고, 상기 제2테이퍼부(230)는, 결합슬롯(220)의 전체 호길이 중 체결되는 입구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호길이(L1)가 끝나는 지점부터 출구측 단부까지 제2호길이(L2)로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테이퍼부(133)는, 상기 판형돌출부(130)의 수평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제1테이퍼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테이퍼부(230)는, 상기 판형돌출부(1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의 수평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제2테이퍼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테이퍼각은 상기 제1테이퍼각 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세서리 모듈은, 마운트유닛(200) 체결 시 R1 및 L1구간에서는 테이퍼로 인하여 결합슬롯(220)과 판형돌출부(130)가 서로 접촉되지 않아 압입력이 발생되지 않다가 R2 및 L2구간에서 결합슬롯(220)과 판형돌출부(130)가 서로 접촉하면서 압입력이 발생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는, 이탈방지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슬롯(220)의 이탈방향측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체결 회전 시 상기 판형돌출부(130)와 접하는 상기 결합슬롯(22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호길이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돌기(212)는, 이격 호길이가 상기 판형돌출부(130)의 호길이 보다 짧은 호길이로 형성되어, 이탈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판형돌출부(130)의 측면이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이탈방지돌기(212)는, 탈착회전 시 판형돌출부(130)와 접하는 측면이 하향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체결 시 판형돌출부(130)가 하향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체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는, 타면 회전중심부에 스냅버튼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는, 회전중심부에 상기 스냅버튼돌기(111)와 압입에 의해 탈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냅버튼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냅버튼돌기(111)와 상기 스냅버튼홈(211)은, 외력에 의해서만 서로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마운트유닛(200)의 체결 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마운트플레이트(210)를 서로 결속시켜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기 스냅버튼돌기(111)와 스냅버튼홈(211)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마운트플레이트(210)의 회전 중심부에 위치하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냅버튼돌기(111)와 스냅버튼홈(211)은, 고정유닛(100)과 마운트유닛(200)의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체결된 상태에서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탈방향으로 회전 시에도 고정유닛(100)과 마운트유닛(200)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유닛(300)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와 결합되며, 수납, 파지 또는 거치 등 다양한 용도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앞서, 상기 마운트유닛(200)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에 상기 액세서리유닛(300)이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결합되는 액세서리유닛(300)의 구성에 대응하여 상기 액세서리유닛(300)과의 결합이 용이한 형태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에 따른 다양한 액세서리유닛(3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액세서리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gripping)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마운트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세서리유닛(300)은,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링 또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액세서리유닛(300a)은, 카드, 명함, 현금 등을 포함하는 수납물건(20)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수단(3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수단(311)은,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 수용공간(313)으로 수납물건(20)을 수납할 수 있는 파우치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수단(311)의 수납공간 일면을 형성하거나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수단(311)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 또는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공간 사이에 수납물건(20)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파우치, 케이스 또는 지갑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고정유닛 110 : 고정플레이트
111 : 스냅버튼돌기 120 : 부착수단
130 : 판형돌출부 131 : 체결돌기
132 : 걸림턱 133 : 제1테이퍼부
200 : 마운트유닛 210 : 마운트플레이트
211 : 스냅버튼홈 212 : 이탈방지돌기
220 : 결합슬롯 221 : 체결홈, 체결홀
230 : 제2테이퍼부 300,300a : 액세서리유닛
311 : 수납수단 313 : 수용공간

Claims (11)

  1. 휴대단말기 배면에 다양한 액세서리유닛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탈부착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상기 액세서리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판형돌출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부착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고정유닛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에 상기 고정유닛이 안착되는 마운트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판형돌출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슬롯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트유닛과;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액세서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착수단은,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점착제가 도포되어, 일면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부착되고 타면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 또는 휴대단말기 보호용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돌출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마운트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판형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롯은, 체결 시 상기 판형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돌출부는, 복수개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설정된 이격각도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롯은, 상기 판형돌출부에 대응하는 개수 및 위치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롯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환형의 슬롯부에서 상기 판형돌출부가 안착되도록 호형의 절개부가 절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와 상기 판형돌출부는, 상호 동일한 평단면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돌출부는,
    상기 마운트유닛의 체결방향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유닛의 회전 시 상기 결합슬롯의 측면이 걸려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의 오버회전 방지 또는 상기 마운트유닛의 체결방향을 한정하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롯은, 체결홈 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판형돌출부는, 상기 결합슬롯이 체결될 시 상기 체결홈 또는 상기 체결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무선충전이 가능한 범위의 두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9. 삭제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유닛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에 상기 액세서리유닛이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액세서리유닛은,
    일면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수납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수단의 수납공간 일면을 형성하거나 지지하고,
    상기 수납수단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내부공간 또는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공간 사이에 수납물건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파우치, 케이스 또는 지갑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0200022300A 2020-02-24 2020-02-24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19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00A KR102196015B1 (ko) 2020-02-24 2020-02-24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EP21760304.2A EP4113960A4 (en) 2020-02-24 2021-02-19 PORTABLE TERMINAL ACCESSORY MODULE WITH DETACHABLE MEANS
JP2022576783A JP7453495B2 (ja) 2020-02-24 2021-02-19 脱着手段が備えられた携帯端末機用アクセサリーモジュール
PCT/KR2021/002098 WO2021172814A1 (ko) 2020-02-24 2021-02-19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US17/801,877 US11770470B2 (en) 2020-02-24 2021-02-19 Portable terminal accessory module having detachable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00A KR102196015B1 (ko) 2020-02-24 2020-02-24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015B1 true KR102196015B1 (ko) 2020-12-30

Family

ID=7408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300A KR102196015B1 (ko) 2020-02-24 2020-02-24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70470B2 (ko)
EP (1) EP4113960A4 (ko)
JP (1) JP7453495B2 (ko)
KR (1) KR102196015B1 (ko)
WO (1) WO2021172814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814A1 (ko) *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373525B1 (ko) * 2021-12-09 2022-03-11 이용준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마운팅 모듈
KR102378927B1 (ko) * 2021-09-14 2022-03-25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KR102388200B1 (ko) * 2021-10-22 2022-04-19 티엠 주식회사 스마트폰용 그립 액세서리
KR20220153450A (ko) * 2021-05-11 2022-11-18 이화순 탄성클립이 구비된 휴대폰용 카드지갑
WO2023003283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쏭스디자인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KR102495120B1 (ko) * 2022-08-08 2023-02-06 유알아이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KR102584948B1 (ko) * 2023-02-13 2023-10-05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KR102672744B1 (ko) * 2021-06-18 2024-06-07 주식회사 모란카노코리아 모바일기기용 악세사리 부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02Y1 (ko) * 2012-09-10 2013-01-22 박철주 휴대폰에 부착되는 카드 케이스
KR20160054904A (ko) * 2014-11-07 2016-05-17 장대규 다용도 디스플레이기기 거치대
KR101777505B1 (ko) 2016-03-24 2017-09-11 김길호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KR20170131188A (ko) * 2016-05-20 2017-11-29 신윤철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6763A1 (en) * 2010-06-23 2014-12-25 Dean Stevinson Combination wallet and storage case
US8830663B2 (en) * 2010-08-25 2014-09-09 Ligar Group,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peripheral items to devices
KR101481256B1 (ko) * 2013-04-12 2015-01-15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US10362855B2 (en) 2013-12-31 2019-07-30 Superior Communications, Inc. Armband for mobile device
CH711714B1 (de) * 2015-10-29 2022-01-14 Tecflower Ag Halte- und Ladevorrichtung für ein mobiles Endgerät.
GB2571501B (en) * 2017-09-15 2022-12-21 Nolii Ltd Locking mechanism
US20190138052A1 (en) * 2017-11-07 2019-05-09 Popsockets Llc Interchangeable socket accessor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527913B2 (en) * 2017-11-22 2022-12-13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02Y1 (ko) * 2012-09-10 2013-01-22 박철주 휴대폰에 부착되는 카드 케이스
KR20160054904A (ko) * 2014-11-07 2016-05-17 장대규 다용도 디스플레이기기 거치대
KR101777505B1 (ko) 2016-03-24 2017-09-11 김길호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KR20170131188A (ko) * 2016-05-20 2017-11-29 신윤철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814A1 (ko) *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US11770470B2 (en) 2020-02-24 2023-09-26 Sinjimoru Co., Ltd Portable terminal accessory module having detachable means
KR20220153450A (ko) * 2021-05-11 2022-11-18 이화순 탄성클립이 구비된 휴대폰용 카드지갑
KR102468124B1 (ko) 2021-05-11 2022-11-22 이화순 탄성클립이 구비된 휴대폰용 카드지갑
KR102672744B1 (ko) * 2021-06-18 2024-06-07 주식회사 모란카노코리아 모바일기기용 악세사리 부착장치
WO2023003283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쏭스디자인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KR102378927B1 (ko) * 2021-09-14 2022-03-25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WO2023043147A1 (ko) * 2021-09-14 2023-03-23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KR102388200B1 (ko) * 2021-10-22 2022-04-19 티엠 주식회사 스마트폰용 그립 액세서리
KR102373525B1 (ko) * 2021-12-09 2022-03-11 이용준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마운팅 모듈
KR102495120B1 (ko) * 2022-08-08 2023-02-06 유알아이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KR102584948B1 (ko) * 2023-02-13 2023-10-05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70470B2 (en) 2023-09-26
JP2023514759A (ja) 2023-04-07
US20230080883A1 (en) 2023-03-16
JP7453495B2 (ja) 2024-03-21
EP4113960A4 (en) 2024-03-20
WO2021172814A1 (ko) 2021-09-02
EP4113960A1 (en)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015B1 (ko)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200488626Y1 (ko) 로터리 휴대폰 케이스
CN210274197U (zh) 智能手机壳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CN108720192B (zh) 穿戴式电子装置
US9366383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US20060141344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29434B1 (ko) 매직 스트랩
KR20150081213A (ko) 보호 커버
US20180063306A1 (en) Cell Phone Case with Reconfigurable Plates
US20230128108A1 (en) Attachment for a mobile phone case
US20230223976A1 (en) Mobile phone protective housing
US20220116491A1 (en) Magnetic grip accessory
US20150139469A1 (en)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US7149559B2 (en) Replaceable panel device for a handset
US10790868B1 (en) Clip for mobile device
US20050277316A1 (en) Portable memory device having a carabiner
US11392171B2 (en)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382177B1 (ko)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172617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링
KR20210087794A (ko)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단말기의 고리형 손잡이 구조체
KR200486975Y1 (ko)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KR101816494B1 (ko) 슬림형 아이템 수납 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액세서리
US10187105B2 (en) Portable product lanyard
US20220061483A1 (en) Dual phon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