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948B1 -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948B1
KR102584948B1 KR1020230018437A KR20230018437A KR102584948B1 KR 102584948 B1 KR102584948 B1 KR 102584948B1 KR 1020230018437 A KR1020230018437 A KR 1020230018437A KR 20230018437 A KR20230018437 A KR 20230018437A KR 102584948 B1 KR102584948 B1 KR 102584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escue
grip
slid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송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송중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Priority to KR102023001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는, 휴대폰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결착부; 상기 제1결착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제2결착부; 상기 제2결착부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두께는 가지는 원판형 구조이며, 일측면에 그립링이 힌지결속구에 의해 장착된 그립본체부; 상기 그립본체부의 일측면에 정중앙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입력신호를 수용하는 구조요청버튼이 형성된 발신부; 및 상기 발신부 내부에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와 함께 장착되고, 사용자의 휴대폰과 보호자의 휴대폰과 무선 통신 연결되며, 구조요청버튼에 의해 전달된 입력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또는 시간 만큼 푸쉬되는 경우, 보호자에게 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휴대폰에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별도로 휴대할 수 있으며, 구조 요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Rescue Mobile Phone Accessories Having A Convenient Detachable Structure }
본 발명은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휴대폰에 손쉽게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고 구조 요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한 탈착구조를 구비하는 구조요청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치안이 불안해지면서 납치, 유괴 등의 범죄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긴급 구조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긴급구조 시스템과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여가나 취미를 위해 등산을 하는 등산객이 늘어나고 있으며, 등산 중 안전사고의 발생 시 구조요청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기존의 긴급구조 요청 방법들은 위기상황에 처한 개인이 본인 스스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여 긴급 구조요청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위급한 상황에 처한 개인이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확보하고, 침착하게 이를 동작시킨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따라 긴급 상황에 처한 개인들이 보다 더 쉽게 긴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사용자가 직접 휴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신호 발생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신호 발생기는 배낭이나 가방, 호주머니 등에 넣어 휴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 구조신호 발생기가 일체로 형성된 노약자 지팡이 관련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배낭이나 가방에 구조신호 발생기를 넣고 다니는 경우에는 사고 발생시 즉각 구조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고, 배낭이나 가방이 없을 경우에는 호주머니에 넣고 다녀야 하나 구조신호 발생기가 어느 정도의 부피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휴대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구조신호 발생기 일체형 지팡이의 경우에는 지팡이에 구조신호 발생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인정 등의 여러사람이 모이는 장소에 갈 경우에 지팡이를 보관하는 장소가 마땅치 않아 외부의 특정장소에 놓아두어야 함에 따라 자칫 도난 당하거나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가방이나 배낭, 허리띠, 지팡이나 등산스틱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요시 또는 미사용시에는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조로 된 구조신호 발생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탈부착형 구조신호 발생기가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 구조(20)를 이용하여 장착하여 구조신호 발생기(40)를 활용하고 있다. 이때, 구조신호 발생기(40)의 전면에 장착된 전원버튼(41)과 구조신호 입력버튼(42)을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탈부착형 구조신호 발생기의 경우,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는 있으나 원통형 구조의 다소 부피가 큰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체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원통형 구조의 탈부착 구조에 의해 장착될 수 있는 휴대 물품이 한정적이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구조신호 발생기(40)의 경우, 일측면에 전원버튼(41)과 구조신호 입력버튼(4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오인하여 잘 못 눌러 구조 신호가 제대로 입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주머니와 같은 밀폐되고 협소한 공간에서 휴대할 경우, 다른 소지품에 의해 눌리거나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눌려 오작동 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73980호 (공개일자: 2022년06월0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휴대폰에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별도로 휴대할 수 있으며, 구조 요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는, 휴대폰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결착부; 상기 제1결착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제2결착부; 상기 제2결착부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두께는 가지는 원판형 구조이며, 일측면에 그립링이 힌지결속구에 의해 장착된 그립본체부; 상기 그립본체부의 일측면에 정중앙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입력신호를 수용하는 구조요청버튼이 형성된 발신부; 및 상기 발신부 내부에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와 함께 장착되고, 사용자의 휴대폰과 보호자의 휴대폰과 무선 통신 연결되며, 구조요청버튼에 의해 전달된 입력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또는 시간 만큼 푸쉬되는 경우, 보호자에게 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부는, 휴대폰의 후면에 소정 크기의 반경과 폭을 가지는 도넛 구조의 판상형 구조로 부착되는 판상형 부착판; 및 상기 부착판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다수 장착되고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금속소재로 구성된 결착금속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결착부는, 상기 그립본체부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판상형 구조이고, 제1결착부의 부착판과 대응되는 도넛 구조이며, 소정 크기의 자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결착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부는, 휴대폰의 후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부착되는 판상형 부착판; 상기 부착판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휴대폰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두께를 가지는 링 구조를 형성하는 결착링; 및 상기 결착링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의 결속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결착부는, 상기 그립본체부의 하부면에 양측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슬라이딩부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구조이고, 슬라이딩부재를 양측방으로 슬라이딩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탑재하는 슬라이딩 레일부;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슬라이딩부재를 양측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에 슬라이딩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일단부에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립본체부는, 상기 제2결착부를 하부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 구조이고, 중앙부에 발신부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된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부면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장착공간의 상단을 감싸는 링 형태로 배치되며, 그립링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만입홈 구조의 안착공간;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안착공간에 그립링을 밀착하거나 외부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립링의 일부분을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속하는 힌지결속구; 및 상기 힌지결속구에 의해 장착되고, 안착공간과 대응되는 구조이고, 발신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구조의 그립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신부는 본체하우징의 장착공간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원기둥 구조이고, 상기 그립링은 힌지결속구에 의해 회전하여 안착공간의 테두리 상단에 걸쳐 일정 각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립본체부는, 상기 안착공간에 장착되고, 힌지결속구를 안착공간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슬라이딩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슬라이딩 돌출 결속구; 상기 슬라이딩 돌출 결속구의 내부에 장착되고, 힌지결속구의 슬라이딩 위치 변경에 대항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돌출 결속구의 내부에 장착되고, 힌지결속구의 상방 위치 변경에 의해 입력신호를 수용하여 구조요청버튼을 누른 것과 동일한 상황으로 판단하는 구조요청감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결착부, 제2결착부, 그립본체부, 발신부 및 무선송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휴대폰에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별도로 휴대할 수 있으며, 구조 요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조요청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배터리 뚜껑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그립링을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그립링을 최대 각도로 회전시켜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그립본체부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제2결착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제1결착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그립링을 최대 각도를 벗어나 회전시킬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색상이 적용된 본 발명의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100)는, 특정 구조의 제1결착부(110), 제2결착부(120), 그립본체부(130), 발신부(140) 및 무선송신모듈(15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휴대폰에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별도로 휴대할 수 있으며, 구조 요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결착부(110)는 휴대폰의 후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특정 구조의 부착판(111) 및 결착금속부재(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착부(110)의 부착판(111)은 휴대폰의 후면에 소정 크기의 반경과 폭을 가지는 도넛 구조의 판상형 구조로 부착되는 판상형 구조이다. 제1결착부(110)의 결착금속부재(112)는 부착판(111)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다수 장착되고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금속소재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결착부(120)는 제1결착부(11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특정 구조의 결착자석부재(12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착자석부재(121)는 그립본체부(13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판상형 구조로서, 제1결착부(110)의 부착판(111)과 대응되는 도넛 구조이며, 소정 크기의 자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배터리 뚜껑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그립링을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7에 도시된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그립링을 최대 각도로 회전시켜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립본체부(130)는, 제2결착부(120)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두께는 가지는 원판형 구조이며, 일측면에 그립링(131)이 힌지결속구(132)에 의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그립본체부(130)는 특정 구조의 본체하우징(133), 안착공간(135), 힌지결속구(132) 및 그립링(131)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립본체부(130)의 본체하우징(133)은, 제2결착부(120)를 하부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 구조이고, 중앙부에 발신부(14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공간(134)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립본체부(130)의 안착공간(135)은, 본체하우징(133)의 상부면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장착공간(134)의 상단을 감싸는 링 형태로 배치되며, 그립링(13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만입홈 구조이다. 그립본체부(130)의 힌지결속구(132)는, 본체하우징(133)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안착공간(135)에 그립링(131)을 밀착하거나 외부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립링(131)의 일부분을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속하는 구조이다. 또한, 그립본체부(130)의 그립링(131)은, 힌지결속구(132)에 의해 장착되고, 안착공간(135)과 대응되는 구조이고, 발신부(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신부(140)는, 그립본체부(130)의 일측면에 정중앙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입력신호를 수용하는 구조요청버튼(141)이 형성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신모듈(150)은, 발신부(140) 내부에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151)와 함께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휴대폰과 보호자의 휴대폰과 무선 통신 연결되며, 구조요청버튼(141)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푸시되거나 구조요청버튼(141) 푸쉬 홀딩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보호자에게 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은 저전력 블루투스 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조요청버튼(141)에 의해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구조 요청 당시의 위치 정보, 일정 시간 동안의 촬영 영상, 일정 시간 동안의 녹음 파일을 함께 보호자의 휴대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112 또는 119에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여 구조요청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는 구성을 하나의 일 예 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그립본체부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제2결착부를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제1결착부를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결착부(1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부착판(113), 결착링(114) 및 결속홈(115)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착부(110)의 부착판(113)은, 휴대폰의 후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부착되는 판상형 구조이다. 제1결착부(110)의 결착링(114)은, 부착판(113)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휴대폰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두께를 가지는 링 구조를 형성한다. 제1결착부(110)의 결속홈(115)은, 결착링(114)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제2결착부(12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슬라이딩 레일부(122), 탄성부재(123), 슬라이딩부재(124) 및 누름버튼(125)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결착부(120)의 슬라이딩 레일부(122)는 그립본체부(130)의 하부면에 양측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양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슬라이딩부재(124)의 양측면을 감싸는 구조이며, 슬라이딩부재(124)를 양측방으로 슬라이딩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탑재할 수 있다. 제2결착부(120)의 탄성부재(123)는 슬라이딩 레일부(122)의 내부에 장착되고, 슬라이딩부재(124)를 양측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제2결착부(120)의 슬라이딩부재(124)는 슬라이딩 레일부(122)에 슬라이딩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일단부에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결속돌기(124a)가 형성된 구조이다. 제2결착부(120)의 누름버튼(125)은 슬라이딩 레일부(122)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의 그립링을 최대 각도를 벗어나 회전시킬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100)는 구조요청버튼(141) 외에 또 다른 구조 요청 입력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링(131)을 바깥쪽 방향으로 펼쳐 허용 각도범위를 넘길 경우, 힌지결속구(132)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힌지결속구(132)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구조요청버튼을 누른 것과 동일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발신부(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33)의 장착공간(134)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원기둥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립링(131)은 힌지결속구(132)에 의해 회전하여 안착공간(135)의 테두리 상단에 걸쳐 일정 각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속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착공간(135)에는 슬라이딩 돌출 결속구(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힌지결속구(132)를 안착공간(135)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슬라이딩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돌출 결속구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힌지결속구(132)의 슬라이딩 위치 변경에 대항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돌출 결속구의 내부에는 구조요청감지부가 장착되어, 힌지결속구(132)의 상방 위치 변경에 의해 입력신호를 수용하여 구조요청버튼(141)을 누른 것과 동일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결착부(110), 제2결착부(120), 그립본체부(130), 발신부(140) 및 무선송신모듈(15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휴대폰에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별도로 휴대할 수 있으며, 구조 요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휴대폰
100: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110: 제1결착부
111: 부착판
112: 결착금속부재
113: 부착판
114: 결착링
115: 결속홈
120: 제2결착부
121: 결착자석부재
122: 슬라이딩 레일부
123: 탄성부재
124: 슬라이딩부재
124a: 결속돌기
125: 누름버튼
130: 그립본체부
131: 그립링
132: 힌지결속구
133: 본체하우징
134: 장착공간
135: 안착공간
140: 발신부
141: 구조요청버튼
142: 발광부재
150: 무선송신모듈
151: 배터리
152: 배터리 뚜껑

Claims (6)

  1. 휴대폰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결착부(110);
    상기 제1결착부(11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제2결착부(120);
    상기 제2결착부(120)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두께는 가지는 원판형 구조이며, 일측면에 그립링(131)이 힌지결속구(132)에 의해 장착된 그립본체부(130);
    상기 그립본체부(130)의 일측면에 정중앙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입력신호를 수용하는 구조요청버튼(141)이 형성된 발신부(140); 및
    상기 발신부(140) 내부에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151)와 함께 장착되고, 사용자의 휴대폰과 보호자의 휴대폰과 무선 통신 연결되며, 구조요청버튼(141)에 의해 전달된 입력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또는 시간 만큼 푸쉬되는 경우, 보호자에게 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송신모듈(15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착부(110)는,
    휴대폰의 후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부착되는 판상형 부착판(113);
    상기 부착판(113)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휴대폰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두께를 가지는 링 구조를 형성하는 결착링(114); 및
    상기 결착링(114)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의 결속홈(115);
    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착부(120)는,
    상기 그립본체부(130)의 하부면에 양측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슬라이딩부재(124)의 양측면을 감싸는 구조이고, 슬라이딩부재(124)를 양측방으로 슬라이딩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탑재하는 슬라이딩 레일부(122);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122)의 내부에 장착되고, 슬라이딩부재(124)를 양측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3);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122)에 슬라이딩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일단부에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결속돌기(124a)가 형성된 슬라이딩부재(124);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122)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누름버튼(1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본체부(130)는,
    상기 제2결착부(120)를 하부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 구조이고, 중앙부에 발신부(14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공간(134)이 형성된 본체하우징(133);
    상기 본체하우징(133)의 상부면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장착공간(134)의 상단을 감싸는 링 형태로 배치되며, 그립링(13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만입홈 구조의 안착공간(135);
    상기 본체하우징(133)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안착공간(135)에 그립링(131)을 밀착하거나 외부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립링(131)의 일부분을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속하는 힌지결속구(132); 및
    상기 힌지결속구(132)에 의해 장착되고, 안착공간(135)과 대응되는 구조이고, 발신부(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구조의 그립링(13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부(140)는 본체하우징(133)의 장착공간(134)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원기둥 구조이고,
    상기 그립링(131)은 힌지결속구(132)에 의해 회전하여 안착공간(135)의 테두리 상단에 걸쳐 일정 각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속되는 구조이고,
    상기 그립본체부(130)는,
    상기 안착공간(135)에 장착되고, 힌지결속구(132)를 안착공간(135)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슬라이딩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슬라이딩 돌출 결속구;
    상기 슬라이딩 돌출 결속구의 내부에 장착되고, 힌지결속구(132)의 슬라이딩 위치 변경에 대항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돌출 결속구의 내부에 장착되고, 힌지결속구(132)의 상방 위치 변경에 의해 입력신호를 수용하여 구조요청버튼(141)을 누른 것과 동일한 상황으로 판단하는 구조요청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KR1020230018437A 2023-02-13 2023-02-13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KR10258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437A KR102584948B1 (ko) 2023-02-13 2023-02-13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437A KR102584948B1 (ko) 2023-02-13 2023-02-13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948B1 true KR102584948B1 (ko) 2023-10-05

Family

ID=8829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437A KR102584948B1 (ko) 2023-02-13 2023-02-13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9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200495362Y1 (ko) * 2020-12-10 2022-05-10 이영보 핸드폰 거치대용 자기 흡착식 베이스 플레이트
KR20220073980A (ko) 2020-11-27 2022-06-03 박승재 탈부착형 구조신호 발생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20220073980A (ko) 2020-11-27 2022-06-03 박승재 탈부착형 구조신호 발생기
KR200495362Y1 (ko) * 2020-12-10 2022-05-10 이영보 핸드폰 거치대용 자기 흡착식 베이스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1717B1 (en) Two-way emergency alert system
US20040198382A1 (en) GPS children locator
US20050287981A1 (en) Mobile phone personal alert device (PAD)
CN102349281B (zh) 包括滑动部分和折叠部分的移动电话
WO2008120917A1 (en) Emergency call device
US20180089977A1 (en) Programmable child positioning and tracking device
US20070001803A1 (en) Personal proximity network
JP2002247171A (ja) 携帯電話機
EP2407948B1 (en) Sensor system for a personal alarm security device
US10249166B1 (en) Child tracking system
KR102584948B1 (ko) 편리한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EP1447960A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70103293A1 (en) A-Z locator
US20100097207A1 (en) Activation device for personal alarm system
RU162348U1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US20240038033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a portable alert device
US8576088B2 (en) Sensor system for an alarm security device
US20140176319A1 (en) Provide a system in car that will check if the registered mobile phone is within the range when car is started. If not, it will indicate to user that phone is missing. This will help the user in case user forgets the phone elsewhere. Car circuit can communicate with phone using Bluetooth channel.
EP2698972A1 (en) An emergency alert device with mobile phone
KR20220073980A (ko) 탈부착형 구조신호 발생기
US20120258728A1 (en) Cell Phone Interactive Device
KR102594438B1 (ko) 구조요청버튼을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US20210335119A1 (en) Personal property proximity monitor
US10192409B2 (en) Portable panic alarm
FR2912858A1 (fr) Appareil de communitation mini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