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43147A1 -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43147A1
WO2023043147A1 PCT/KR2022/013614 KR2022013614W WO2023043147A1 WO 2023043147 A1 WO2023043147 A1 WO 2023043147A1 KR 2022013614 W KR2022013614 W KR 2022013614W WO 2023043147 A1 WO2023043147 A1 WO 20230431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ccessory
mobile terminal
fitting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6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호민
Original Assignee
강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민 filed Critical 강호민
Publication of WO20230431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431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fix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DAs, PMPs, etc. are utilized as multi-convergence capable of performing music, movies, TV, and games as well as simple telephone function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ir technologi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fix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that is easy to attach and separate from a mobile terminal and does not sepa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is convenient to use. is in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accessory member coupled to an accessory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and a terminal member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upled to the accessory member by fitting, the accessory member extending inwardly from an end of the first substrate. It includes a fitting protrusion and a protruding jaw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o form a slidable space on the lower side, and the terminal member is an inward fitting groove and protruding protrusion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is inserted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It may include an accessory fix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protruding block drawn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s.
  • the accessory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from a protruding protrusion to a fitting protrusion as a wall surface upright on the rim of the first substrate.
  • the terminal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second substrate and is inserted into a fixing hole formed through the protruding jaw.
  • the terminal member further includes an embossed plat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a central sill protruding upward to form a band shape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ubstrate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at an inner end thereof, and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embossed plate.
  • the terminal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end portion forming an end portion between the fitting grooves
  • the accessory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end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ave end portion.
  • the first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ipe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protruding and extending around the through-hole on the opposite surface.
  • the first substrate may include an opening forming a space under at least one of the protruding jaw and the fitting protrus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assemble between parts fixed to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nd parts fixed to the accessory, and since the part fixed to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is a flat plate type having a thin thickness, it is separately separated during wireless charging. There is no need to use it, and it has a convenient effec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cessory fix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Figure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cessory member.
  •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Figure 3;
  • Figure 5 is a front view of Figure 3;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member.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6 .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B' in FIG. 1 .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erminal member is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accessory member is fastened to a terminal member.
  • a 'mobile terminal'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laptop computer, PMP, PDA, tablet PC, smart phone, or a communicable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 a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is performed.
  • the mobile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user-portable electronic device
  • the accessory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devices defined abov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cessory fix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ottom view of FIG. 1 .
  • an accessory fix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member 20 fixed to a case (30, see FIG. 10)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terminal member 20 fixed to a target accessory. ) It may include an accessory member 10 that is fastened with a fitting type.
  • the terminal member 20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n adhesive means (not shown) such as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 an adhesive means such as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 the terminal member 20 is a flat plate with a thin thickness (eg, 1 cm or less), even if it is fastened to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 step due to a difference in thickness can be minimized.
  • the accessory member 10 protrudes on one 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arget accessory, and is fastened to the end member 20 in a fitting manner on the opposite side.
  • terminal member 20 and the accessory member 10 are not assembled and separated by coupling or disengagement of an additional mechanism, but a fitting structure, the user can connect and separate the terminal member 20 and the accessory member 10. It is characterized by easy.
  • the accessory member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cessory member 10,
  • FIG. 4 is a bottom view of FIG. 3
  •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 the accessory member 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1 and a pair of protruding jaws 12 protru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ubstrate 11 to form a groove therebetween. And, the extension jaw 13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jaw 12, the fitting part 14 protruding inward from the extension jaw 13, the through hole 15, and the opposite side around the through hole 15 It includes a coupling pipe 16 protruding into.
  • the first substrate 11 is formed of a flat substrate having a thin thickness.
  • the first substrate 11 has a disk shape, taking the bar shown in the drawing as an example.
  • the shape of the first substrate 11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 the first substrate 11 further includes through-openings 111 and 112 so as to form an open space in an area directly below the protruding jaw 12 and directly below the fitting portion 14 .
  • openings 111 and 112 can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terminal member 20, friction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coupling process can be reduced.
  • the through hole 15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substrate 11 .
  • the coupling pipe 16 is formed in a rim shape extending and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5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1 .
  • Coupling pipe 16 is, for example, fitted or fastened to accessories.
  • the protruding jaws 12 consist of a pair installed at positions opposed to each other.
  • the protruding jaw 12 has a horizontal surface 123 bent at the end of the upright wall surface 122 and forms a space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opening 111 of the first substrate 11. Accordingly, the protruding jaw 12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terminal member 20 slides between the bent horizontal surface 123 and the first substrate 11 .
  • the protruding jaw 12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hole 121 penetrating the bent horizontal surface 123 .
  • the fixing hole 121 is coupl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23 of the terminal member 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extension jaw 13 is formed as an upright wall surface along the edge of the first substrate 11 .
  • the extension jaws 13 extend along the rim of the first substrate 11 from the protruding jaws 12 on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respectively, and extend to the fitting plate 141 .
  • the extension jaw 13 extends along the rim of the first substrate 11, but extends in a hemispherical shape rather than extending over the entire first substrate 11.
  • extension jaw 13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upright vertical surface of the protruding jaw 12 and is formed as an upright wall surface. Therefore, the extension jaw 13 may serve as a stopper that blocks the progress of the second substrate 21 to be described later and guides it to the fitting protrusion 142 .
  • the fitting part 14 may include a fitting plate 141 extending inwardly from the extension jaw 13 and a pair of fitting protrusions 142 protruding inward from the fitting plate 141 .
  • the fitting plate 141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op of the extension jaw 13.
  • second openings 111 and 112 formed by openings 111 and 112 in the first substrate 11 are formed directly below the fitting plate 141 .
  • Fitting protrusions 142 are form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tting protrusion 142 protrudes in an inward direction where the through hole 15 is formed based on FIG. 3, and the end forms a curved surface.
  • the coupling process of the fitting protrusion 142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terminal membe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member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the terminal member.
  • the terminal member 20 includes a second substrate 21, a protruding block 22 upwardly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bstrate 21, a fixing protrusion 23 protruding upwardly, 2 may include an embossed portion 24 that is embo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 and fastened to the accessory member 10 .
  • the second substrate 21 is divided into a central sill 211 protruding from the center and forming a belt, an edge region 213 classified based on the central sill 211, and an adhesive surface 212.
  • the adhesive surface 212 is an area adhered to the case 30 of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may be installed on the adhesive surface 212 .
  • the protruding blocks 22 are composed of a pair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area 213 of the second substrate 21 .
  • a pair of protruding blocks 22 are installed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 the protruding block 22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jaw 211 and slides into a space spaced below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protruding jaw 12.
  • the fixing protrusion 23 protrudes upward from the edge area 213 at a position after the protruding block 22 .
  • the fixing protrusion 2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1 of the protruding jaw 12 described above. This is as shown in FIG. 8 .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the protruding jaw 12 of the accessory member 10 is slid so that the protruding block 22 is positioned in a lower space.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2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1 of the protruding jaw 12.
  • the protruding block 22 is positioned below the protruding jaw 12, and the fixing protrusion 2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1 of the protruding jaw 12. As it becomes, it can be mutually coupled in both directions.
  • FIG. 9 is an enlarged view 'B' of FIG. 1 .
  • the embossed portion 24 extends from the central jaw 211 to the edge area 213, and the embossed plate 242 having a flat upper surface and the embossed plate 242 inwardly It may include a fitted groove 241.
  • the relief plate 242 extends outward from the aforementioned central jaw 211 .
  • the embossed plate 242 extends from the second substrate 21 to the edge area 213 in an elliptical shape. Therefore, the embossed plate 242 is sli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jaw 13 of the accessory member 10 and is drawn into the lower spaced space of the fitting plate 141 .
  • the embossed plate 242 extends from the center jaw 211 so that the fitting end 143 of the fitting plate 141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142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is shorter than the outermost end of the embossed plate 242.
  • a concave end 243 may be further included to have a distance.
  • Fitting groove 241 is formed as a groove of a concave type facing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lief plate (242). Therefore, when the terminal member 20 is fitted to the fixed accessory member 10, the fitting groove 241 is drawn into the lower side of the fitting plate 141 and the fitting protrusion 142 is fastened.
  • the fitting protrusion 142 is formed with a convex end, and the fitting groove 241 is formed in an elliptical or circular space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142 can be fitted.
  • the width of the inlet of the fitting groove 241 may be formed narrower than the inner side so that frictional force or jamming may occur.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hereinafter,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terminal member 20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cessory member 10 coupled to the accesso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erminal member is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accessory member is fastened to the terminal member 20 .
  • the terminal member 2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30 of the mobile terminal.
  • the second substrate 21 of the terminal member 20 may be attached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a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installed on the adhesive surface 212 .
  • accessories may be installed in the coupling pipe 16 protru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ccessory member 10 .
  • Descriptions of the accessories fastened to the coupling pipe 16 are omitted as they ar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r generally known technologies.
  • the user slides the accessory member 10 or the terminal member 20 to engage each other.
  • the user slides the first substrate 11 of the accessory member 10 in one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terminal member 20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bossed portion 24 is located) in an upside-down state.
  • the entrance of the protruding jaw 12 is moved to the front end of the protruding block 22, and the protruding block 22 is accommod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jaw 12.
  • the fixing protrusion 2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1 of the protruding jaw 12.
  • the fitting plate 141 of the accessory member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embossed portion 24 of the terminal member 20 . Therefore, the fitting protrusion 142 of the accessory member 10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41 of the embossed portion 24, and the end of the fitting plate 141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142 is recessed between the fitting grooves 241. Adheres to the end 243.
  • the extension jaw 13 of the first substrate 11 prevents the second substrate 21 from being separated during movement as it forms an upright wall at the edg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1, and the fitting groove 241 It serves to guide the formed embossed portion 24 to be positioned at the set position (fitting protrusion 142 and fitting end 143).
  • the openings 111 and 112 of the first substrate 11 can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rotruding block 22 and the relief plate 242, thereby reducing frictional force.
  •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23 and the fixing hole 121, the fitting protrusion 142 and the fitting groove 241 is made, so that the accessory The member 10 and the terminal member 20 may be mutually coupled.
  • Such a fitted structure can obtain an effect of easy assembly as the user simply moves one of the two members in a linear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fix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nd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악세사리에 결합되는 악세사리 부재(10); 및 모바일 단말의 설치되어 악세사리 부재(10)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단말 부재(20); 를 포함하고, 악세사리 부재(10)는 제1기판(11)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돌기(142); 및 제1기판(11)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각각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턱(12); 을 포함하고, 단말 부재(20)는 제2기판(21)의 일면에서 끼움돌기(142)가 삽입되도록 내향된 끼움홈(241); 및 돌출턱(12)과 제1기판(11)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는 돌출블럭(22); 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PDA, PMP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을 행할 수 있는 멀티 컨버전스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통신기기들의 활용도 및 사용 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대상 기기의 안전이나 장식, 또 다른 기능의 부가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용 악세사리 등이 제작 및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용 악세사리등은 국가, 인종, 연령, 성별 및/또는 기호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었다. 또한, 다양한 악세사리의 등장과 함께 이를 모바일 통신기기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악세사리(예를 들면, 거치대, 핑거 홀더등)용 고정장치 등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용 고정장치는 조립과 탈착이 힘들고, 내구도가 약하여 파손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모바일 통신기기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제품이 출시되었으나, 종래의 악세사리들은 무선 충전 시에 분리가 요구되었다. 즉, 종래의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부착시에 무선 충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에서 악세사리의 부착과 분리가 용이하고, 무선 충전을 위하여 분리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악세사리에 결합되는 악세사리 부재 및 모바일 단말의 설치되어 악세사리 부재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단말 부재를 포함하고, 악세사리 부재는 제1기판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돌기 및 제1기판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각각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턱을 포함하고, 단말 부재는 제2기판의 일면에서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내향된 끼움홈 및 돌출턱과 제1기판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는 돌출블럭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악세사리 부재는 제1기판의 테두리에서 직립된 벽면으로서 돌출턱에서 끼움돌기로 연장되는 연장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단말 부재는 제2기판에서 상향 돌출되어 돌출턱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부재는 제2기판에서 중심부에서 띠 형상을 이루도록 상향 돌출되는 중심턱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단부에서 끼움홈이 형성되는 양각판을 더 포함하고, 끼움홈은 양각판의 단부에서 내향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이고, 끼움돌기는 연장턱으로부터 제1기판의 상면과 이격 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 부재는 끼움홈들 사이에서 단부를 형성하는 오목단부를 더 포함하고, 악세사리 부재는 끼움돌기 사이에서 연장되어 오목단부에 밀착되는 끼움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제1기판은 중심부에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반대 면에서 관통구를 중심으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은 돌출턱 및 끼움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에 고정된 부품과, 악세사리에 고정되는 부품간의 착탈 및 조립이 용이하고,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에 고정된 부품이 얇은 두께를 갖는 평판형임에 따라 무선 충전시에 별도로 분리할 필요가 없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악세사리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단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B'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단말 부재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악세사리 부재가 단말 부재에 체결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은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노트북, PMP, PDA, 태블릿 PC, 스마트폰, 셀룰러폰과 같은 통신 가능한 기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위에서 상술한 기기들은 일예를 위하여 기재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은 통신 유무를 떠나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는 위에서 정의된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30, 도 10 참조)에 고정되는 단말 부재(20)와, 대상 악세사리에 고정되어 단말 부재(20)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악세사리 부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부재(20)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 외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단말 부재(20)는 얇은 두께(예를 들면, 1cm 이하)를 갖는 평판형임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일면에 체결된다 하더라도 두께 차이로 인한 단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악세사리 부재(10)는 대상 악세사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일면으로 돌출되고, 반대면에서 단말 부재(20)에 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단말 부재(20)와 악세사리 부재(10)는 추가적인 기구의 결합이나 해제로 인한 조립과 분리가 아닌 끼움식 구조에 의한 것이기에 사용자가 단말 부재(20)와 악세사리 부재(10) 간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악세사리 부재(1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악세사리 부재(10)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악세사리 부재(10)는 제1기판(11)과, 제1기판(11)의 양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그 사이에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턱(12)과, 돌출턱(12)으로부터 연장되어 연장턱(13)과, 연장턱(13)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14)와, 관통구(15)와, 관통구(15)를 중심으로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결합관(16)을 포함한다.
제1기판(11)은 얇은 두께를 갖는 평판형의 기판으로 형성된다. 제1기판(11)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로 들면, 원판형을 갖는다. 물론 위와 같은 제1기판(11)의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로서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기판(11)은 돌출턱(12)의 직하방과, 끼움부(14)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영역에서 개방된 공간을 이루도록 관통된 개구(111, 112)를 더 포함한다.
개구(111, 112)는 제1기판(11)과 단말 부재(20)와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기에 결합과정에서 발생 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관통구(15)는 제1기판(11)의 중심부에서 관통 형성된다.
결합관(16)은 제1기판(11)의 반대면에서 관통구(15)를 연장 및 돌출되는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관(16)은 예를 들면, 악세사리에 끼움 또는 체결된다.
돌출턱(12)은 상호 대치된 위치에서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돌출턱(12)은 직립된 벽면(122)의 끝단에서 절곡 된 수평면(123)을 구비한 것으로 제1기판(11)의 제1개구(1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된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돌출턱(12)은 절곡 된 수평면(123)과 제1기판(11) 사이에서 단말 부재(20)가 슬라이딩 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턱(12)은 절곡 된 수평면(123)에서 관통된 고정공(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공(121)은 후술되는 단말 부재(20)의 고정돌기(23)가 결합된다.
연장턱(13)은 제1기판(1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연장턱(13)은 일측과 반대측의 돌출턱(12)에서 각각 제1기판(1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끼움판(141)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연장턱(13)은 제1기판(1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되, 제1기판(11)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아닌 반구형으로 연장된다.
또한, 연장턱(13)은 돌출턱(12)의 직립된 수직면과 동일한 두께를 갖고 연장되는 것으로서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장턱(13)은 후술하는 제2기판(21)의 진행을 저지하고, 끼움돌기(142)로 안내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끼움부(14)는 연장턱(13)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판(141)과, 끼움판(14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판(141)은 연장턱(13)의 상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판(141)의 직하방은 제1기판(11)에서 개구(111, 112)된 제2개구(111, 112)가 형성된다.
끼움돌기(142)는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돌기(142)는 도 3을 기준으로 관통구(15)가 형성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끝단이 곡면을 이룬다. 이와 같은 끼움돌기(142)의 결합과정은 후술한다.
단말 부재(20)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단말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단말 부재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부재(20)는 제2기판(21)과, 제2기판(21)에서 상향된 돌출블럭(22)과, 상향 돌출된 고정돌기(23)와, 제2기판(21)의 상면에서 양각되어 악세사리 부재(10)와 체결되는 양각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판(21)은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띠를 이루는 중심턱(211)과, 중심턱(211)을 기준으로 분류되는 테두리 영역(213)과, 접착면(212)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접착면(212)은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30)에 접착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접착면(212)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돌출블럭(22)은 제2기판(21)의 테두리 영역(213)에서 상향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돌출블럭(22)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서 각각 설치된다. 또한, 돌출블럭(22)은 중심턱(211)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돌출턱(12)의 수평면의 하측에 이격된 공간으로 슬라이딩 된다.
고정돌기(23)는 테두리 영역(213)에서 돌출블럭(22) 이후의 위치에 상향 돌출된다. 고정돌기(23)는 상술한 돌출턱(12)의 고정공(121)에 삽입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악세사리 부재(10)의 돌출턱(12)은 하측의 공간에 돌출블럭(22)이 위치되도록 슬라이딩 된다. 이때, 고정돌기(23)는 돌출턱(12)의 고정공(121)으로 삽입된다.
즉, 단말 부재(20)와 악세사리 부재(10)는 돌출턱(12)의 하측에 돌출블럭(22)이 위치되고, 고정돌기(23)가 돌출턱(12)의 고정공(121)에 삽입되면서 양측 방향에서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양각부(24)는 악세사리 부재(10)의 끼움돌기(142)부와 끼움된다. 이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9는 도 1의 'B' 확대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양각부(24)는 중심턱(211)에서 테두리 영역(213)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편평한 면을 이루는 양각판(242)과, 양각판(242)에서 내향된 끼움홈(241)을 포함할 수 있다.
양각판(242)은 상술한 중심턱(21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양각판(242)은 제2기판(21)에서 테두리 영역(213)으로 타원형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양각판(242)은 악세사리 부재(10)의 연장턱(13)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끼움판(141)의 하측 이격된 공간으로 인입된다.
여기서 양각판(242)은 끼움돌기(142) 사이의 끼움판(141)의 끼움단부(143)가 밀착될 수 있도록 중심턱(211)에서 연장되되, 양각판(242)의 최외측 단부 보다 짧은 거리를 갖도록 오목단부(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홈(241)은 양각판(242)의 외면에서 내향되는 오목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홈(241)은 고정된 악세사리 부재(10)에 단말 부재(20)가 끼움 될 때, 끼움판(141)의 하측으로 인입되면서 끼움돌기(142)가 체결된다.
여기서 끼움돌기(142)는 끝단이 볼록 형으로 형성되며, 끼움홈(241)은 끼움돌기(142)가 끼움될 수 있도록 타원형 또는 원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끼움홈(241)에 끼움돌기(142)가 끼움 될 때, 마찰력 또는 걸림이 발생될 수 있도록 끼움홈(241)의 입구의 폭을 내측에 비해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에 설치된 단말 부재(20)와, 악세사리에 결합되는 악세사리 부재(10)의 결합 과정을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단말 부재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악세사리 부재가 단말 부재(20)에 체결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단말 부재(20)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30) 외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단말 부재(20)의 제2기판(21)은 접착면(212)에 설치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악세사리 부재(10)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결합관(16)에 악세사리가 설치될 수 있다. 결합관(16)에 체결되는 악세사리는 시중에 판매 중인 제품 또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사용자는 악세사리 부재(10)와 단말 부재(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악세사리 부재(10) 또는 단말 부재(20)를 슬라이딩시켜 상호 체결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악세사리 부재(10)의 제1기판(11)을 뒤집은 상태에서 단말 부재(20)의 정면(양각부(24)가 위치한 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제1기판(11)은 돌출턱(12)의 입구가 돌출블럭(22)의 선단으로 이동되어 돌출턱(12) 하측에 돌출블럭(22)이 수용된다. 아울러 고정돌기(23)는 돌출턱(12)의 고정공(121)으로 삽입된다.
동시에 악세사리 부재(10)의 끼움판(141)은 단말 부재(20)의 양각부(24)의 단부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악세사리 부재(10)의 끼움돌기(142)는 양각부(24)의 끼움홈(241)으로 끼움되고, 끼움돌기(142) 사이의 끼움판(141) 단부는 끼움홈(241) 사이의 오목단부(243)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1기판(11)의 연장턱(13)은 제1기판(11)의 테두리 측에서 직립된 벽면을 형성함에 따라 제2기판(21)이 이동중에 이탈됨을 방지하고, 끼움홈(241)이 형성된 양각부(24)가 설정된 위치(끼움돌기(142) 및 끼움단부(143))에 위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기판(11)의 개구(111, 112)는 돌출블럭(22)과 양각판(242)과 접촉되는 영역을 줄일 수 있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단말부재 또는 악세사리 부재(10) 중 어느 하나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돌기(23)와 고정공(121), 끼움돌기(142)와 끼움홈(241)간의 결합이 이루어져 악세사리 부재(10)와 단말 부재(2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끼움식 구조는 사용자가 단순히 두 개의 부재들 중 어느 하나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7)

  1.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악세사리에 결합되는 악세사리 부재(10); 및
    모바일 단말의 설치되어 악세사리 부재(10)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단말 부재(20); 를 포함하고,
    악세사리 부재(10)는
    제1기판(11)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돌기(142); 및
    제1기판(11)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각각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턱(12); 을 포함하고,
    단말 부재(20)는
    제2기판(21)의 일면에서 끼움돌기(142)가 삽입되도록 내향된 끼움홈(241); 및
    돌출턱(12)과 제1기판(11)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는 돌출블럭(22); 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악세사리 부재(10)는
    제1기판(11)의 테두리에서 직립된 벽면으로서 돌출턱(12)에서 끼움돌기(142)로 연장되는 연장턱(13);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말 부재(20)는
    제2기판(21)에서 상향 돌출되어 돌출턱(12)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12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3);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단말 부재(20)는
    제2기판(21)에서 중심부에서 띠 형상을 이루도록 상향 돌출되는 중심턱(211)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단부에서 끼움홈(241)이 형성되는 양각판(242); 을 더 포함하고,
    끼움홈(241)은
    양각판(242)의 단부에서 내향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이고,
    끼움돌기(142)는
    연장턱(13)으로부터 제1기판(11)의 상면과 이격 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단말 부재(20)는
    끼움홈(241)들 사이에서 단부를 형성하는 오목단부(243);를 더 포함하고,
    악세사리 부재(10)는
    끼움돌기(142) 사이에서 연장되어 오목단부(243)에 밀착되는 끼움단부(143);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기판(11)은
    중심부에 관통된 관통구(15)가 형성되고, 반대 면에서 관통구(15)를 중심으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관(16);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기판(11)은
    돌출턱(12) 및 끼움돌기(142)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111, 112);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PCT/KR2022/013614 2021-09-14 2022-09-13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WO202304314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38A KR102378927B1 (ko) 2021-09-14 2021-09-14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KR10-2021-0122138 2021-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3147A1 true WO2023043147A1 (ko) 2023-03-23

Family

ID=8093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614 WO2023043147A1 (ko) 2021-09-14 2022-09-13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8927B1 (ko)
WO (1) WO2023043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927B1 (ko) * 2021-09-14 2022-03-25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377B2 (en) * 2012-01-12 2018-10-09 Rokform Ip Llc Case and mount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200070B1 (ko) * 2020-01-29 2021-01-08 주식회사 태영트윈클 핸드백용 잠금장치
KR102259521B1 (ko) * 2021-01-20 2021-06-0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102378927B1 (ko) * 2021-09-14 2022-03-25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8-08-02 장평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377B2 (en) * 2012-01-12 2018-10-09 Rokform Ip Llc Case and mount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2200070B1 (ko) * 2020-01-29 2021-01-08 주식회사 태영트윈클 핸드백용 잠금장치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259521B1 (ko) * 2021-01-20 2021-06-0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102378927B1 (ko) * 2021-09-14 2022-03-25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927B1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0432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WO201919898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16199974A1 (ko) 캠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힌지 장치
WO201602476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7007231A1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WO2014129775A1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and case with antenna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23043147A1 (ko)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WO2011037324A2 (ko)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WO2010011107A2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209011A1 (ko) 진공 또는 방수 케이스
WO2018236074A2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WO2020138988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15102465A1 (ko)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WO2012108662A2 (en) Slim-type portable device
WO2021002563A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WO2010064823A2 (ko)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WO2009151297A2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WO2017179771A1 (en) Portable keyboard
WO2020022604A1 (ko)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WO2010131795A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림형 슬라이드 휴대폰
WO2010128715A1 (ko) 폴더형 휴대폰용 힌지모듈
WO2013154302A1 (ko)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WO2011002154A2 (ko) 액츄에이터
WO2012173338A2 (ko) 휴대폰 케이스
WO2020060109A1 (ko)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702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