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73338A2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73338A2
WO2012173338A2 PCT/KR2012/003552 KR2012003552W WO2012173338A2 WO 2012173338 A2 WO2012173338 A2 WO 2012173338A2 KR 2012003552 W KR2012003552 W KR 2012003552W WO 2012173338 A2 WO2012173338 A2 WO 201217333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se
pedestal
mobile phone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35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73338A3 (ko
Inventor
박홍규
박대규
양창건
이현길
박재만
이상민
채승수
Original Assignee
Park Hong Gyu
Park Dae Gyu
Yang Chang Gun
Lee Hyeon Gil
Park Jae Man
Lee Sang Min
Chae Seung Su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Park Hong Gyu, Park Dae Gyu, Yang Chang Gun, Lee Hyeon Gil, Park Jae Man, Lee Sang Min, Chae Seung Su filed Critical Park Hong Gyu
Publication of WO201217333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73338A2/ko
Publication of WO201217333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7333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Definitions

  • such a configuration is simple in structure, which is good in productivity, and can protect the mobile phone from external shocks without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조케이스의 기능을 하면서 휴대폰을 기울어지게 받쳐놓을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케이스부의 일부분을 형성하면서 케이스부로부터 분리되며 케이스부와 별도의 부분으로 되어있는 받침대 및 케이스부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받침대를 삽입시켜 결합하는 받침대결합부를 포함하되, 받침대가 케이스부의 일 측면과 같은 모양으로 바르게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부터 빼내어지고 뒤집혀 삽입되어 받침대결합부에 결합되면 받침대는 케이스부를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받쳐 줄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조케이스의 기능을 하면서 휴대폰을 기울어지게 받쳐놓을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장비를 이동통신 단말기, 핸디폰 또는 휴대폰이라 하고, 휴대폰은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휴대폰은 컴퓨터 기능이 포함되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내장시키면서 스마트폰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러한 부가기능은 다양화되었고 성능이 더욱 발전하였으며 기능이 점차 고급화되면서 일상생활의 중요한 필수품화 품목 중에서 하나가 되어 가는 추세이다.
휴대폰의 부가기능에는 TV 시청이 가능한 DMB, 전자지도에 의하여 현재 위치와 운행 방향을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대량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 상대방과 얼굴을 보면서 통신하는 화상통신, 동영상 감상 및 동영상 촬영 등이 포함된다.
휴대폰은 휴대하고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크기가 작은 것이 일반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며 고급화될수록 충격에 약하므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가 필요하다.
한편, 휴대폰으로 DMB, 내비게이션, 화상통신, 동영상 촬영, 동영상 감상 등의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휴대폰을 받쳐 놓은 상태에서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을 받쳐 놓고 사용하는 종래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24928호(2011.03.18.등록)에 의한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가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휴대폰을 받쳐 놓는 기능만 있으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휴대폰을 기울어지게 받쳐놓기 위하여 힌지모듈, 스텐드바디, 결합돌기, 제1탄성부재 등을 포함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의 힌지모듈은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며 가격이 비싸지고 고장 발생률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받쳐 놓을 수 있고 그 생산성이 좋으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 휴대폰을 기울어지게 받쳐 놓는 휴대폰용 받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좋고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은 휴대폰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받침대를 케이스부로부터 빼내고 뒤집어 다시 삽입시키므로 케이스부를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받쳐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사용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정면 조립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사용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 조립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케이스부와 받침대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케이스부와 받침대결합부를 A-A 부분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받침대의 B-B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도 2에서의 케이스부, 받침대결합부, 받침대가 제 2 사용예로 조립된 상태에서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제 2 사용예로 조립된 도 7 에서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제 2 사용예로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 휴대폰 케이스 10 : 케이스부
20 : 받침대결합부 30 : 받침대
40 : 휴대폰 100 : 케이스몸체부
110 : 삽입홈 210 : 제 1 계단부
220 : 고정돌기 230 : 제 2 계단부
240 : 보강부 300 : 버팀몸체부
310 : 제 1 지지부 320 : 제 1 돌기홈
330 : 체결날개 340 : 버팀부
350 : 제 2 지지부 360 : 제 2 돌기홈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안쪽 부분에 안착시키고 상기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휴대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분의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부의 일부분을 형성하면서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케이스부와 별도의 부분으로 되어있는 받침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를 삽입시켜 결합하는 받침대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가 상기 케이스부의 일 측면과 같은 모양이 되도록 바르게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부터 빼내어지고 뒤집혀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결합부에 결합되면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스부를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받쳐 줄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휴대폰케이스를 기울어지게 받치기 위하여 상기 받침대결합부에 뒤집혀 삽입되면 상기 받침대결합부에 바르게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일부분을 형성할 때 보다 더 깊이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스부를 구성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버팀몸체부; 상기 버팀몸체부의 위쪽 부분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결합부의 제 1 계단부에 안착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결합부의 고정돌기를 삽입시켜 끼움결합하는 제 1 돌기홈; 상기 제 1 돌기홈의 위쪽 부분에 상기 제 1 돌기홈의 폭 보다 작은 값으로 떨어져서 배치되고 대응되는 양쪽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 1 돌기홈에 삽입되면 결합된 상태를 체결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체결날개 및 상기 버팀몸체부의 아래쪽 끝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가 비스듬히 받쳐진 상태를 지지하는 버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의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를 구성하는 케이스몸체부의 바깥 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측선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지지부의 바깥쪽 면을 삽입시켜 안착시키는 제 1 계단부; 상기 제 1 계단부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돌기; 상기 제 1 계단부의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바깥쪽 면이 형성하는 측선과 안쪽 면이 형성하는 측선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지지부의 안쪽 면을 삽입시켜 안착시키는 제 2 계단부 및 상기 제 1 계단부와 제 2 계단부의 뒤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바깥쪽 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계단부와 제 2 계단부를 보강시키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케이스부의 두께 값의 반값에 해당하는 두께를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결합부와 상기 받침대를 각각 2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버팀몸체부의 위쪽 부분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결합부에 뒤집어 결합시키면 제 1 계단부에 안착되는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고정돌기를 삽입시켜 결합하는 제 2 돌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팀부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사용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정면 조립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사용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 조립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폰 케이스(1)는 케이스부(10)와 받침대결합부(20)와 받침대(3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는 용기 또는 그릇 형상을 하는 안쪽 부분에 휴대폰을 삽입시키고 삽입된 휴대폰의 외곽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한다.
케이스부(10)는 휴대폰의 앞면, 뒷면 및 측면 중에서 정보를 표시할 표시부, 마이크, 스피커, 조작할 버튼 등이 배치되어 있거나 이어폰, 데이터 단자 등과 같이 외부와 연결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휴대폰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구조를 할 수 있다.
케이스부(10)는 유연성 있는 연질 또는 딱딱한 경질의 재료를 포함하거나 부분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외부의 충격은 물리적인 충격과 화학적인 충격 등이 포함된다.
받침대결합부(20)는 케이스부(10)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그 안쪽 면에는 복수의 계단 형상이 파여진 상태로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반대방향인 바깥쪽 면에는 복수의 계단이 파여져서 얇아진 두께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이 돌출 설치된다.
받침대결합부(20)는 케이스부(10)의 일 측면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구분되어 절단된 형상을 하는 부분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결합부(20)에는 이러한 띠 형상으로 잘린 부분이 바르게 삽입되거나 뒤집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띠 형상의 부분을 받침대(30)라 하기로 한다.
받침대(30)는 받침대결합부(20)에 삽입되어 휴대폰을 보호하거나 휴대폰을 기울어지게 비스듬한 상태로 받쳐 놓는 것으로 딱딱한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30)는 케이스부(10)의 일 측면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절단되어 분리되므로 전체적으로 알파벳의 제이(J)자 모양과 유사하게 아래쪽 끝 부분의 일부가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휴대폰 케이스(1)의 제 1 사용예는 받침대(30)가 받침대결합부(20)에 삽입된 모양이 용기 형상을 하는 케이스부(10)의 외부 모양과 같도록 바르게 삽입되는 경우이므로 휴대폰을 안쪽에 삽입시키는 경우 휴대폰을 감싸면서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 케이스(1)의 제 2 사용예는 받침대(30)가 받침대결합부(20)에 삽입된 모양이 용기 형상을 하는 케이스부(10)의 외부 모양과 반대 모양이 되도록 뒤집혀 삽입되는 경우이므로 케이스부(10) 또는 휴대폰이 삽입된 케이스부(10)를 비스듬한 상태로 기울어지게 받쳐 놓을 수 있다.
또한, 휴대폰 케이스(1)는 케이스부(10)에 2 개 이상의 받침대결합부(20)와 받침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고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받침대결합부(20)와 하나의 받침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부(10)와 받침대결합부(20)와 받침대(30)는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케이스부와 받침대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케이스부와 받침대결합부를 A-A 부분으로 절단한 단면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받침대의 B-B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부(10)는 케이스몸체부(100) 및 삽입홈(110)을 포함하고, 받침대결합부(20)는 제 1 계단부(210), 고정돌기(220), 제 2 계단부(230) 및 보강부(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받침대(30)는 버팀몸체부(300), 제 1 지지부(310), 제 1 돌기홈(320), 체결날개(330), 버팀부(340), 제 2 지지부(350) 및 제 2 돌기홈(360)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 구성을 이하에서 순서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몸체부(100)는 용기 또는 그릇 형상을 하고 안쪽에 삽입된 휴대폰의 일부분을 감싸면서 외부의 충격을 차단하거나 완충시키는 것으로써 탄성이 있는 재질, 딱딱한 재질, 탄성 재질과 딱딱한 재질을 혼합한 것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몸체부(100)는 휴대폰에 구비된 다양한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의 렌즈가 위치한 부분, 마이크와 스피커가 위치한 부분, 이어폰이 삽입되는 부분, 데이터 입출력 포트가 위치한 부분,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 기능 스위치 및 버튼 등이 위치한 부분 등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탄성, 투명성이 있는 재질을 부분적으로 대체시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0)은 케이스몸체부(100)의 중앙 위치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받침대(30)가 삽입되도록 유도 또는 안내(guide)한다. 삽입홈(110)은 케이스몸체부(100)의 아래쪽 중에서 선택된 모든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제 1 계단부(210)는 삽입홈(110)이 연장된 선상 또는 삽입홈(110)의 위쪽에 설치되며 용기 형상을 하는 케이스몸체부(100)의 안쪽 방향을 향하고 케이스몸체부(100)의 바깥쪽 면이 형성하는 측선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며 케이스몸체부(100)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제 1 계단부(210)는 받침대(30)가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제 1 지지부(310)를 삽입시켜 안착시키는 상태로 접촉하거나 또는 제 2 지지부(260)를 삽입시켜 안착시키는 상태로 접촉할 수 있다.
즉, 제 1 계단부(210)는 제 1 사용예에 의하여 받침대(30)가 케이스부(10)와 같은 모양을 하도록 삽입홈(110)에 바르게 삽입되는 경우 제 1 지지부(310)의 뒷면을 삽입시켜 안착시키는 상태로 접촉한다. 또한, 받침대(30)가 제 2 사용예에 의하여 뒤집혀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케이스부(10)와 다른 모양을 하는 경우 제 1 계단부(210)는 제 2 지지부(350)를 삽입시켜 안착시키는 상태로 접촉한다.
고정돌기(220)는 제 1 계단부(210)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몸체부(100)의 용기 형상을 하는 안쪽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220)는 받침대(30)가 제 1 사용예에 의하여 삽입홈(110)에 바르게 삽입되는 경우 제 1 돌기홈(320)에 삽입된다. 또한, 고정돌기(220)는 받침대(30)가 제 2 사용예에 의하여 뒤집힌 상태로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경우 제 2 돌기홈(360)에 삽입된다.
제 2 계단부(230)는 제 1 계단부(210)가 연장되는 선상 또는 제 1 계단부(210)의 위쪽에서 제 1 계단부(210)와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케이스몸체부(100)의 바깥쪽 면이 형성하는 측선과 안쪽 면이 형성하는 측선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계단부(230)는 받침대(30)가 뒤집혀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경우 제 1 지지부(310)의 안쪽 부분인 위쪽 일부를 삽입시킨다.
보강부(240)는 제 1 계단부(210)와 제 2 계단부(230)의 뒷면에 설치되고 케이스몸체부(100)의 바깥쪽 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케이스몸체부(100)의 안쪽으로부터 파여진 형상을 하여 두께가 얇게 된 제 1 계단부(210)와 제 2 계단부(230)를 물리적으로 튼튼하게 보강시킨다.
버팀몸체부(300)는 케이스부(10)의 삽입홈(110)에 제 1 사용예의 상태로 바르게 삽입되어 받침대결합부(20)와 결합하므로 휴대폰의 일부분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또는 제 2 조립상태로 뒤집힌 상태에서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받침대결합부(20)와 결합하므로 케이스부(10)를 기울어지게 받쳐 놓을 수 있다.
버팀몸체부(300)는 딱딱한 재질, 탄성 재질과 딱딱한 재질을 혼합한 것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딱딱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지지부(310)는 버팀몸체부(300)의 두께의 반에 해당하는 두께를 하고 버팀몸체부(300)의 위쪽이면서 그 바깥쪽 부분에 설치된다.
제 1 지지부(310)는 케이스부(10)와 제 1 사용예로 결합하기 위하여 삽입홈(110)에 바르게 삽입되는 경우 제 1 계단부(210)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상태로 접촉한다.
제 1 돌기홈(320)은 받침대(30)가 제 1 사용예로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경우 고정돌기(220)를 삽입시켜 끼움결합된다.
체결날개(330)는 제 1 돌기홈(320)의 위쪽 부분에 제 1 돌기홈(320)의 직경 값 보다 작은 값으로 떨어져서 배치되고 대응되는 양쪽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고정돌기(220)가 제 1 돌기홈(320)에 삽입되고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된 상태를 체결시키며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체결날개(330)는 받침대(30)가 제 1 사용예로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케이스부(10)와 결합하는 경우 외력에 의하여 체결되고, 한번 체결된 상태는 케이스부(10)와 분리시키는 외력이 받침대(30)에 인가되기 전까지 그 체결된 상태를 계속 유지시킨다.
버팀부(340)는 버팀몸체부(300)의 아래쪽 끝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받침대(30)가 뒤집혀진 상태로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케이스부(10)와 제 2 사용예로 결합하는 경우 케이스부(10)를 비스듬히 받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버팀부(340)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이 큰 고무,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또는 유사한 재질 등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질을 부착하지 않고서도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350)는 버팀몸체부(300)의 두께의 반에 해당하는 두께를 하고 버팀몸체부(300)의 위쪽 부분이면서 그 안쪽 부분에 설치된다.
제 2 지지부(350)는 케이스부(10)와 제 2 사용예로 삽입홈(110)에 뒤집혀 삽입되고 결합되는 경우 제 1 계단부(210)에 삽입되어 안착 또는 접촉된다. 이때, 제 1 지지부(210)의 안쪽 부분은 제 2 계단부(230)에 삽입되어 안착 또는 접촉된다.
제 2 돌기홈(360)은 받침대(30)가 제 2 사용예로 케이스부(10)와 결합하는 경우 고정돌기(220)를 삽입시켜 결합된다.
받침대(30)는 휴대폰케이스(10)와 제 2 사용예로 결합하는 경우 고정돌기(220)와 결합하는 제 2 돌기홈(360)의 위치에 의하여 더 깊숙이 삽입되므로 그 결합된 전체 길이가 더 짧아진다. 그러므로 받침대(30)가 케이스부(10)와 제 2 사용예로 결합하는 경우 케이스부(10)는 뒤로 약간 누운 상태이면서 넘어지지 않도록 비스듬히 받쳐질 수 있다.
여기서 휴대폰 케이스(1)는 받침대결합부(20)와 받침대(30)를 2 개 이상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도 2에서의 케이스부, 받침대결합부, 받침대가 제 2 사용예로 조립된 상태에서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제 2 사용예로 조립된 도 7 에서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받침대(30)를 받침대결합부(20)에 제 2 사용예에 의한 상태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경우 고정돌기(220)는 제 2 돌기홈(360)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이때, 받침대(30)의 버팀부(340)는 제 1 사용예로 결합되는 경우보다 제 2 사용예로 결합되는 경우 제 1 돌기홈(320)과 제 2 돌기홈(360) 사이의 거리(ℓ1) 만큼 케이스부(10)의 아래쪽 끝으로부터 위로 올라간 상태(ℓ2)로 조립 또는 결합된다.
즉, 제 2 사용예로 조립되어 결합된 케이스부(10)의 아래쪽 끝과 받침대(30)의 버팀부(340)와의 사이의 거리(ℓ2) 값은 제 1 돌기홈(320)과 제 2 돌기홈(360) 사이의 거리(ℓ1) 값과 동일하다.
고정돌기(220)의 두께(높이)는 제 1 돌기홈(320)의 두께(높이) 또는 제 2 돌기홈(360)의 두께(높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고정돌기(220), 제 1 돌기홈(320) 및 제 2 돌기홈(360)의 두께(높이)는 동일하고, 각각의 두께(높이)는 버팀몸체부(300)의 두께(높이)의 1/2 값에 해당한다. 여기서 버팀몸체부(300)의 두께(높이)와 케이스부(10)의 두께(높이) 값은 동일하므로 고정돌기(220)의 두께(높이)는 케이스부(10) 두께의 반값에 해당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제 2 사용예로 결합된 휴대폰용 케이스 받침장치의 사용상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폰 케이스(1)의 용기 또는 그릇 형상을 하는 케이스부(10) 안쪽에 삽입된 휴대폰(40)은 받침대결합부(20)와 제 2 사용예로 결합된 받침대(30)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받쳐질 수 있다.
그러므로 휴대폰 케이스(1)를 평편한 면에 위치시키는 경우 케이스부(10)는 비스듬히 경사지게 받쳐질 수 있으며, 용기 형상을 하는 케이스부(10)의 안쪽에 삽입된 휴대폰(40)은 함께 비스듬히 경사지게 받쳐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케이스의 기능을 하는 휴대폰 케이스(1)를 사용하여 케이스부(10)에 삽입된 휴대폰(4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DMB, 화상통신, 내비게이션, 동영상 감상 등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휴대폰을 안쪽 부분에 안착시키고 상기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휴대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분의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부의 일부분을 형성하면서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케이스부와 별도의 부분으로 되어있는 받침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를 삽입시켜 결합하는 받침대결합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가 상기 케이스부의 일 측면과 같은 모양이 되도록 바르게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부터 빼내어지고 뒤집혀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결합부에 결합되면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스부를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휴대폰케이스를 기울어지게 받치기 위하여 상기 받침대결합부에 뒤집혀 삽입되면 상기 받침대결합부에 바르게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일부분을 형성할 때 보다 더 깊이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휴대폰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스부를 구성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버팀몸체부;
    상기 버팀몸체부의 위쪽 부분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결합부의 제 1 계단부에 안착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결합부의 고정돌기를 삽입시켜 끼움결합하는 제 1 돌기홈;
    상기 제 1 돌기홈의 위쪽 부분에 상기 제 1 돌기홈의 폭 보다 작은 값으로 떨어져서 배치되고 대응되는 양쪽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 1 돌기홈에 삽입되면 결합된 상태를 체결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체결날개; 및
    상기 버팀몸체부의 아래쪽 끝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가 비스듬히 받쳐진 상태를 지지하는 버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의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를 구성하는 케이스몸체부의 바깥 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측선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지지부의 바깥쪽 면을 삽입시켜 안착시키는 제 1 계단부;
    상기 제 1 계단부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돌기;
    상기 제 1 계단부의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바깥쪽 면이 형성하는 측선과 안쪽 면이 형성하는 측선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지지부의 안쪽 면을 삽입시켜 안착시키는 제 2 계단부; 및
    상기 제 1 계단부와 제 2 계단부의 뒤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바깥쪽 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계단부와 제 2 계단부를 보강시키는 보강부; 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케이스부의 두께 값의 반값에 해당하는 두께를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결합부와 상기 받침대를 각각 2 개 이상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버팀몸체부의 위쪽 부분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결합부에 뒤집어 결합시키면 제 1 계단부에 안착되는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의 중앙부분 일부에 설치되고 고정돌기를 삽입시켜 결합하는 제 2 돌기홈; 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PCT/KR2012/003552 2011-06-15 2012-05-07 휴대폰 케이스 WO2012173338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119 2011-06-15
KR1020110058119A KR101224437B1 (ko) 2011-06-15 2011-06-15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3338A2 true WO2012173338A2 (ko) 2012-12-20
WO2012173338A3 WO2012173338A3 (ko) 2013-03-28

Family

ID=4735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3552 WO2012173338A2 (ko) 2011-06-15 2012-05-07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4437B1 (ko)
WO (1) WO201217333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1643A (zh) * 2020-01-07 2020-06-09 深圳市博耀新材料有限公司 一种手感漆手机壳及注塑成型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62Y1 (ko) 2020-09-28 2022-08-19 주식회사 우모 회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622A (ko) * 2008-02-27 2009-09-01 용숙 이 휴대용 단말기 외장 케이스
KR20100003929U (ko) * 2008-10-06 2010-04-15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용 거치대
KR20100082758A (ko) * 2010-06-28 2010-07-19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KR101024928B1 (ko) * 2009-10-12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622A (ko) * 2008-02-27 2009-09-01 용숙 이 휴대용 단말기 외장 케이스
KR20100003929U (ko) * 2008-10-06 2010-04-15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용 거치대
KR101024928B1 (ko) * 2009-10-12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20100082758A (ko) * 2010-06-28 2010-07-19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1643A (zh) * 2020-01-07 2020-06-09 深圳市博耀新材料有限公司 一种手感漆手机壳及注塑成型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3338A3 (ko) 2013-03-28
KR20120138555A (ko) 2012-12-26
KR101224437B1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3321A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US7822448B2 (en) Protective apparatus for a portable device
WO2018092996A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AU2012330182B2 (en) Battery-charging base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10059018A2 (ko) 휴대용 단말기의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64578A1 (ko) 기포발생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
WO2013129816A1 (ko) 휴대단말용 케이스
EP339117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WO2011052851A1 (ko)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WO2017171216A2 (ko) 스마트 워치
WO2023027213A1 (ko) 크래들 및 휴대용 음향기기
WO2019135609A1 (ko) 모바일기기용 펜홀더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케이스
WO2012173338A2 (ko) 휴대폰 케이스
WO2018236074A2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WO2017069387A1 (ko)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WO2015093881A1 (ko) 배터리 교체 도어가 부착된 배터리커버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WO2012108626A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portable terminal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7179771A1 (en) Portable keyboard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JP3220340U (ja) 携帯端末用ケース型充電モジュール
WO2023043147A1 (ko)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012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012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