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12667A1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12667A1
WO2014112667A1 PCT/KR2013/000424 KR2013000424W WO2014112667A1 WO 2014112667 A1 WO2014112667 A1 WO 2014112667A1 KR 2013000424 W KR2013000424 W KR 2013000424W WO 2014112667 A1 WO2014112667 A1 WO 20141126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eaf spring
coupling
cradl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4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하이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하이맥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04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12667A1/ko
Priority to EP13871299.7A priority patent/EP2947782A1/en
Priority to US14/372,186 priority patent/US20150334213A1/en
Priority to CN201380006983.3A priority patent/CN104081675A/zh
Publication of WO20141126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126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easily converted into a cradle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inclinedly.
  •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tablet PCs Samsung Galaxy Tabs
  • smart phones which are easy to carry and provide a lot of data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have been released.
  • the mobile terminal has gained much popularity by add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V, movie watching, and camera in ad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 the image output unit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should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angle so that the user can see it well. You should lean on a place like this.
  •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stand in any place for a long time.
  • Such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is shown in detail in Publication No. 10-2009-0041540, Registration No. 10-1024928, and so 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older for the above the structure is relatively complicated, or when combin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inconvenient to carr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carry when combined with a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converted to a cradle used There is a purpose.
  • the mobile termina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mobile terminal holder for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inclined relative to the ground, it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eployed state or bent state by external force
  • a leaf spring for maintaining its shape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leaf spr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leaf spring is bent in a state where the height h1 in the bent state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in the deployed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inclined relative to.
  • the leaf spring is converted to the bent state by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leaf spring in the deployed state.
  • the leaf spring is formed in a rod shap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xis direction) in the deployed state and narrow in the width direction (Y axis direction), wherein the leaf spring is viewed in the X axis direction in the deployed state. It is convexly curved in an arc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leaf spr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 the leaf spring forms a rod-shaped deployment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deployed by an external force, or both ends are bent in an arc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n outer shell member surrounding the leaf spring and protruding wing portions at both sides; It is made of an adhesive member for coupling the wing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coupling member the outer shell member surrounding the leaf spring;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ase surrounding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by coupling the leaf spring, the coupling spring through the protective case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t may be.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ase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wrapped around the leaf spring and the w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protruding, inserting fixed hole is coupled to the wing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ase Is formed, may be coupled to the back spr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protective case.
  •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leaf spring is inserted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and both sides of the seating recess are formed with insertion holes.
  •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when combined with a portable terminal, does not have any inconvenience in carrying, and can be easily converted to a cradle.
  • the cradl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af spring is not used as a cradle, by pushing the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in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in a deployed stat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It can reduce the volume and reduce interference with other objects, and can be carried while being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are converted into a bent state in which the leaf spring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ortable device, thereby easily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to be inclin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line B-B' of the leaf spring shown in FIG.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eployed state and a bent state by coupling to a portable terminal.
  •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clinedly supported by using th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eployed state and a bent state by coupling to a portable terminal.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 of FIG. 9.
  • wing 220 shell memb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late shown in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ring taken along line A-A 'and B-B'
  •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eployed state and a bent state by coupling to a portable terminal.
  •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clinedly supported by using th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lder 10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300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 the holder 10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f spring 100 and a coupling member 200.
  • the leaf spring 100 is elastically deformed in any one of a deployed state or a bent state by an external force to maintain its shape.
  • the leaf spring 10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unfolded state, and formed in a rod shape narrowly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3 (a) It is formed in a convexly curved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leaf spring 10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when viewed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deployed state.
  • the leaf spring 1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converted into the bent state shown in FIG. 4 (b) by an external force pressing the center portion in the expanded state shown in FIG. 4 (a).
  • the leaf spring 100 has a rod-shaped deployment state by an external force that pushes both ends to be deployed, or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100 are opposite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by an external force that presses the center of the leaf spring 100. It is bent in an arc shape in the direction.
  •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100 may be bent in an arc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 the state is converted into a bent state and maintained as it is, and in a state where the leaf spring 100 is bent, a user moves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100 in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 the leaf spring 100 is converted into a rod-shaped unfolded state to maintain the state.
  • the coupling member 200 couples the leaf spring 100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300.
  • the coupling member 200 is composed of an outer shell member 210 and the adhesive member 250 as shown in FIG.
  • the outer shell member 210 is made of leather, cloth, silicon, synthetic resin, etc., and wrap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af spring 100 and wings 212 protrude from both sides.
  • the envelope member 210 is separated into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 the adhesive member 250 is formed of a double-sided tape, a bond and the like to couple the wing portion 212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300.
  • the cra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300 and can perform its function as a cradle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300 inclinedly.
  • the leaf spring 100 is as shown in Figure 4, the height h1 in the bent state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in the unfolded state, as shown in FIG.
  • the support 30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 the mobile terminal 300 equipped with the cra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hown in FIG. 5 (a) or the vertical direction shown in FIG. 5 (b)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thereof.
  • the cra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rotective case (not shown) surrounding the portable terminal 300.
  • the coupling member 200 couples the leaf spring 100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thereby coupling the leaf spring 100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protective case.
  • the protective case is made of a conventionally known general case.
  •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100 is bent in an arc shape bar, fingers, etc. inside the bent leaf spring 100 By gripping the portable terminal 300, the user may move to easily hold the mobile terminal 300 while viewing.
  • the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100 are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to be converted into a deployed state to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 the volume can be reduced and interference with other materials can be reduced.
  •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100 ar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by pressing the center of the leaf spring 100 in a one-touch direction.
  • the mobile terminal 300 can be inclinedly supported.
  • the cra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the leaf spring 100 can be easily converted to the deployed state and bent state by the external force by the user and the state as it is Maintainable, excellent portability and usability.
  •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inside of the leaf spring 100 while the leaf spring 100 is ben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mobile terminal 300 while moving.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adle 10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leaf spring 100 is the same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upling member 200,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member 200.
  • the coupling member 200 includes an outer cover member 220, a cover member 230, and an adhesive member 250.
  • the leaf spring 100 is accommodated in the shell member 220, and thus is not illustrated.
  • the outer shell member 220 is made of silicon, synthetic resin, and the like to surrou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af spring 100.
  • the leaf spring 100 and the outer shell member 200 is integrally manufactured through insert injection.
  • the cover member 230 covers the sheath member 220 and includes a wing portion 232 and a connection portion 234.
  • the wing portion 232 is composed of two,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eaf spring 100, that is, the Y-axis direction,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by the adhesive member 250.
  • the connecting portion 234 is arranged to cross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member 220 by connecting the two wings 232 to each other.
  • the wing portion 232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4 is formed integrally, the coupling portion 234 i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hole 23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af spring 100 is disposed.
  • the shell member 220 has a coupling protrusion 221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5 to protrude.
  • the coupling member 200 may prevent the leaf spring 100 from being separated and separated.
  • the coupling protrusion 221 is made of silicon, synthetic resin, and the like of the shell member 220, and has a certain degree of strength, the coupling protrusion 221 is easily in the coupling hole 235 It will not be separated.
  • the coupling protrusion 221 may be made of a separate high strength material.
  • the adhesive member 250 may be formed of a double-sided tape, a bond, or the like, and the cover member 23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300 in detail.
  • the cradl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ase 260 as in the first embodiment.
  • a protective case 260 as in the first embodiment.
  • Other details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C-C of FIG.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on line.
  • the holder 10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leaf spring 100, a coupling member 200, and a protective case 260.
  • the leaf spring 1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oupling member 200 and the protective case 26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coupling member 200 and the protective case 260. do.
  • the leaf spring 100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member 200 and is not illustrated.
  • the coupling member 200 surrounds the leaf spring 100 and has wings 242 protruding from both sides thereof.
  • the coupling member 200 is made of silicon or synthetic resin that can have a certain degree of strength while the wing portion 242 can be elastically deformed.
  • the wing portion 242 has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f spring 100, that is, the X-axis direction.
  • the protection case 260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300 has an insertion fixing hole 262 to which the wing portion 242 is inserted and coupled.
  • the leaf spring 1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protective case 260.
  • a seating groove 261 in which the leaf spring 10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260, and the insertion fixing hole 262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ating groove 261.
  • the leaf spring 100 may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in a deployed state.
  • the cradl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m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결합되고 손쉽게 거치대로 변환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결합되고 손쉽게 거치대로 변환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영상출력부(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어느 장소에서도 장시간 세울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1540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24928호 등에 나타나 상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거나,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였을 경우 휴대하는데 불편한 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였을 경우 휴대하는 데에도 불편한 점이 없으며, 쉽게 거치대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절곡상태로 변환된다.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Y축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X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의 두께방향(Z축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진다.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양단이 전개된 막대형상의 전개상태를 이루거나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룬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된 외피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는 외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부재가 결합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외피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재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결합시켜,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호케이스에는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고정공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였을 경우 휴대하는데에도 불편한 점이 없으며, 쉽게 거치대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판스프링이 거치대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을 상기 휴대단말기 방향으로 밀어 전개상태로 변환시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그 부피를 줄이고 타물건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 결합한 상태로 휴대하기도 좋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을 거치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중심부를 원터치 방향으로 눌러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로 변환시킴으로써, 손쉽게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안쪽에 손가락을 넣어 사용자가 이동중에도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판스프링을 A-A'선과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전개상태와 절곡상태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전개상태와 절곡상태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거치대 100 : 판스프링,
200 : 결합부재 210 : 외피부재
212 : 날개부 220 : 외피부재
221 : 결합돌기 230 : 커버부재
232 : 날개부 234 : 연결부
235 : 결합공 242 : 날개부
250 : 접착부재 260 : 보호케이스
261 : 안착홈 262 : 삽입고정공
300 : 휴대단말기
< 제1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판스프링을 A-A'선과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전개상태와 절곡상태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휴대단말기(3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00)과, 결합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판스프링(100)은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판스프링(100)은, 전개상태에서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Y축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상태에서 X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100)의 두께방향(Z축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조의 상기 판스프링(100)은 도 4(a)에 도시된 전개상태에서 중심부를 누르는 외력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절곡상태로 변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판스프링(100)은 양단이 전개되도록 누르는 외력에 의해 막대형상의 전개상태를 이루거나, 상기 판스프링(100)의 중심부를 누르는 외력에 의해 양단이 휴대단말기(300)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룬다.
즉, 상기 판스프링(100)이 전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판스프링(100)의 중심부를 누르면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은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을 그리며 휘어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상태로 변환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판스프링(100)이 절곡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을 상기 휴대단말기(300) 방향으로 누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은 다시 막대 형상의 전개상태로 변환되어 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판스프링(100)을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210)와 접착부재(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부재(210)는 가죽, 천, 실리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100)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외피부재(210)가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접착부재(250)는 양면테이프, 본드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날개부(212)를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3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거치대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판스프링(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300)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거치대(10)가 장착된 휴대단말기(300)를 도 5(a)에 도시된 가로방향 또는 도 5(b)에 도시된 세로방향으로 배치하여, 그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상기 휴대단말기(300)를 감싸는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판스프링(100)을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결합시켜,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100)을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보호케이스는 종래의 공지된 일반적인 케이스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이 원호형상으로 절곡되는바, 절곡된 상기 판스프링(100)의 안쪽에 손가락 등을 넣어 휴대단말기(300)를 파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하면서도 휴대단말기(3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판스프링(100)이 거치대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을 상기 휴대단말기(300) 방향으로 밀어 전개상태로 변환시켜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그 부피를 줄이고 타물건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00)을 거치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중심부를 원터치 방향으로 눌러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이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로 변환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300)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휴대단말기(300)에 항상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100)이 손쉽게 전개상태 및 절곡상태로 변환될 수 있고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바, 휴대성 및 사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100)의 안쪽에 손가락을 넣어 사용자가 이동중에도 휴대단말기(3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제2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전개상태와 절곡상태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판스프링(100)은 동일하고 결합부재(200)에 차이가 있는바, 이하 상기 결합부재(2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결합부재(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220)와, 커버부재(230)와, 접착부재(250)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상기 외피부재(2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외피부재(220)는 실리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스프링(100)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싼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100)과 외피부재(200)는 인서트사출 등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커버부재(230)는 상기 외피부재(220)를 덮는 것으로써, 날개부(232)와 연결부(2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부(232)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측, 즉 Y축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부재(250)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234)는 2개의 상기 날개부(232)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써, 상기 외피부재(220)의 상면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상기 날개부(232)와 연결부(234)는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234)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배치된 방향으로 결합공(23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피부재(220)에는 상기 결합공(23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221)가 상기 결합공(23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221)는 상기 외피부재(220)의 재질인 실리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어, 상기 결합돌기(221)가 상기 결합공(235)에서 쉽게 분리이탈되지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221)는 별도의 고강도 재질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부재(250)는 양면테이프, 본드 등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230) 자세하게는 상기 날개부(232)를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의 거치대(1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보호케이스(260)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제3실시예 >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는, 판스프링(100), 결합부재(200) 및 보호케이스(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판스프링(10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결합부재(200) 및 보호케이스(260)에 차이가 있는바, 이하 상기 결합부재(200) 및 보호케이스(2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에서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상기 결합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결합부재(2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24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날개부(242)가 탄성변형될 수 있으면서도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날개부(242)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길이방향 즉 X축방향으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300)를 감싸는 상기 보호케이스(260)에는 상기 날개부(24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고정공(26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케이스(260)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100)을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케이스(260)의 배면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26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61)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고정공(262)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이 삽입 배치되는 상기 안착홈(26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100)이 전개된 상태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42)를 상기 삽입고정공(262)에 삽입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날개부(242)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삽입고정공(262)에 삽입하면, 삽입된 후 상기 걸림턱이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삽입고정공(262)에 걸리게 되어 상기 판스프링(100)을 상기 보호케이스(26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9)

  1.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절곡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Y축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X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의 두께방향(Z축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양단이 전개된 막대형상의 전개상태를 이루거나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된 외피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는 외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부재가 결합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외피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재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7. 청구항1 내지 청구항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결합시켜,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8.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호케이스에는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CT/KR2013/000424 2013-01-18 2013-01-18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41126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424 WO2014112667A1 (ko) 2013-01-18 2013-01-18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EP13871299.7A EP2947782A1 (en) 2013-01-18 2013-01-18 Holder for mobile terminal
US14/372,186 US20150334213A1 (en) 2013-01-18 2013-01-18 Portable-terminal holder
CN201380006983.3A CN104081675A (zh) 2013-01-18 2013-01-18 便携式终端设备支承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424 WO2014112667A1 (ko) 2013-01-18 2013-01-18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2667A1 true WO2014112667A1 (ko) 2014-07-24

Family

ID=5120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424 WO2014112667A1 (ko) 2013-01-18 2013-01-18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34213A1 (ko)
EP (1) EP2947782A1 (ko)
CN (1) CN104081675A (ko)
WO (1) WO20141126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1307A (ja) * 2015-01-14 2016-07-21 和行 久保田 スマートフォンスタン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2367B2 (en) * 2013-12-31 2017-11-28 Optelec Holding B.V. Viewing device
KR101705770B1 (ko) * 2015-07-06 2017-02-13 홍태원 차량 핸들에 설치되는 휴대폰 거치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55Y1 (ko) * 1999-10-25 2000-04-15 강용식 휴대폰의 휴대구조
KR200424288Y1 (ko) * 2006-06-02 2006-08-17 (주)중앙티앤씨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KR20090041540A (ko) 2007-10-24 2009-04-29 (주)엘티엠에이피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KR20100009162U (ko) * 2009-03-10 2010-09-20 주식회사 뉴빛 휴대용 단말기의 스탠드
KR101024928B1 (ko) 2009-10-12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20110062891A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KR20120113487A (ko) * 2011-04-05 2012-10-15 (주)굿센스 휴대폰 거치대
KR101281064B1 (ko) * 2012-12-10 2013-07-09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5854A1 (en) * 2007-09-06 2009-04-16 Paul Wilbur Forbes Formable Stand System
US8374657B2 (en) * 2009-02-27 2013-02-12 Rich Interdonato Finger holder for handheld communication unit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55Y1 (ko) * 1999-10-25 2000-04-15 강용식 휴대폰의 휴대구조
KR200424288Y1 (ko) * 2006-06-02 2006-08-17 (주)중앙티앤씨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KR20090041540A (ko) 2007-10-24 2009-04-29 (주)엘티엠에이피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KR20100009162U (ko) * 2009-03-10 2010-09-20 주식회사 뉴빛 휴대용 단말기의 스탠드
KR101024928B1 (ko) 2009-10-12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20110062891A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KR20120113487A (ko) * 2011-04-05 2012-10-15 (주)굿센스 휴대폰 거치대
KR101281064B1 (ko) * 2012-12-10 2013-07-09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1307A (ja) * 2015-01-14 2016-07-21 和行 久保田 スマートフォン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7782A1 (en) 2015-11-25
CN104081675A (zh) 2014-10-01
US20150334213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3765A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17164578A1 (ko) 기포발생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
WO2020231025A1 (ko)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WO2012030010A1 (ko) 모바일 기기의 송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부스터 케이스
WO2018049597A1 (zh) 遥控终端
WO2012086908A1 (ko)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WO2021172814A1 (ko)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WO2018126568A1 (zh) 夹持装置及移动电源
WO2013048041A2 (ko)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WO2015088279A1 (en) Protective cover
WO2018092996A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WO2018128299A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WO2017171216A2 (ko) 스마트 워치
WO2013129763A1 (ko) 거치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WO2019022449A1 (ko)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9135609A1 (ko) 모바일기기용 펜홀더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케이스
KR101281064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24101690A1 (ko) 휴대 단말용 액세서리 디바이스
WO2017069326A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4208853A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WO2014054850A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22149631A1 (ko) 컴퓨팅 기기용 거치장치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5363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712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712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712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