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69326A1 -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69326A1
WO2017069326A1 PCT/KR2015/012657 KR2015012657W WO2017069326A1 WO 2017069326 A1 WO2017069326 A1 WO 2017069326A1 KR 2015012657 W KR2015012657 W KR 2015012657W WO 2017069326 A1 WO2017069326 A1 WO 20170693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lder
base
portable terminal
coi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26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의준
Original Assignee
권의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의준 filed Critical 권의준
Publication of WO20170693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693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wireless charging can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computer is mounted on the inside of a vehicle, a table or a desk, and in particular, a part to which power is connect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freely adjusting the angle or direction of the holder without having to rely on the power jack cable by providing the base to the base instead of the holder.
  • Such a cradle is, for example, when installed in a vehicle, the portable terminal is detachably mounted in a state fixed to the driver's driver's front dashboard or fixed to the windshield, and is connected to the cigar jack of the vehicle to serve as a charging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power jack cable connects to the portable terminal.
  • the power jack cab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hassle of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power jack cable whenever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or removed from the holder.
  • the non-contact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charging the mobile phone battery through the receiver module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when the mobile phone is mounted to generate an induction magnet by supplying power to the coil installed in the holder.
  • a coil is provided in a mounting part on which the mobile phone is mounted, and a power jack cable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to supply power to the coil, and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 the induction magnet generated from the coil is supplied to the receiver module of the mobile phone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 the power jack cable is connected to the cradle to cause the twist of the power jack cable to rotate or change direction of the cradle, and the rotation or direction of the cradle interferes with the power jack cable, which is very inconvenient. There is thi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wirelessly charged in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inside of a vehicle, a table or an audio device, and in particular, a power jack cable has a hold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dle for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freely rotating or adjusting a holder without interference by a power jack cable by being connected to a base.
  • a portable charging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ncludes a base detachably attached to a structure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A hold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to be stored in a standing or folding manner, the holder being mounted in a standing state so as to adjust the direction while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embedded in the holder to face the receiver coil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ing an inductive current to the receiver coil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A power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through the base; wherein the power connector includes: a power socket provided at the base to provide a connection portion of the power; And a connection cable connecting the power socket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 connection cable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and the base so that the sh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r direction change of the holder.
  • the holder the holder body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or rotatably coupled through a link member;
  • a gripping blad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to grip both sides of the portable terminal;
  • a non-slip pad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coil cov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 the base may include a base body to which the holder is foldably coupled;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base body to detachably fix to the structure and to provide a support force.
  • the support member the vacuum suction plate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base body to provide a support force while being adsorbed to the structure;
  • a fitting blad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body to support the CD slot of the audio device while providing support force. It may be composed of any one.
  • the base may be in the form of a normal computer mouse together with the holder by folding the holder.
  •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is installed in the holder buried state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with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same time, especially the power socket As it is provided in the base, even when the holder is rotated or adjusted, no twist or interference of the power jack cable occurs.
  • the connecting cable connecting the power socket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since a part of the connecting cable connecting the power socket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and the base, the shape of the connecting cable may be deformed when the holder is rotated or adjusted in direction. The angle of the holder can be adjusted more freely.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standing the holder on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s the holder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base,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used, the holder can be stored in the base in the folded state of the driver.
  • the field of view can be secured, and in particular, the holder and the base are folded to form a normal computer mous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ornaments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in us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rticular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adle 10 for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0, a holder 200,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00, and a power connector 400 as shown in FIGS. 1 and 2. Can be configured.
  • the base 100 is a component that is attached to a dashboard or glass, a table or a desk of a vehicle or inserted into a CD slot of an audio device and is fixed to provide support.
  • the bas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body 110 and a support member 12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 the base body 110 is a member constituting the body is fixed to the structure while being foldably connected to the holder 20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 the base body 110 may be foldably coupled to the holder 200 through the link member 150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link member 150 may be foldably coupled to the holder 200 while the link member 150 is omitted.
  • the holder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ll head provided in the link member 150 while the link member 150 is hinged to the base body 110.
  • the holder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ll head provided in the base body 110.
  • the support member 120 is a member that is fixed to the structure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base body 110 to provide a support force.
  • the support member 120 is composed of a vacuum adsorption plate 121 as shown in FIG. 1 and may be attached to a dashboard or glass of a vehicle, and is provided on a flat surface of an indoor desk. It may also be vacuum adsorbed.
  • the support member 120 is composed of fitting wings 122 as shown in FIGS. 5 and 6 to fix the base body 110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a CD slot of an audio device. You can also
  • the holder 200 is a component for holding and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and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base 100.
  • the holder 200 holds the portable terminal in an upright state as shown in FIGS. 1 and 5.
  • the base 100 is stored in the folded state as shown in FIGS. 7A and 7B.
  • the holder 200 may include a holder body 210, a grip blade 220, a coil buried groove 230, a coil cover 240, and a non-slip pad 250. .
  • the holder body 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body 110 to switch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holder body 210 is coupled to the ball head provided in the link member 150 or the base body 110 as described above to adjust the mounting angl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o adjust the mounting direction.
  • the gripping blade 220 is a component tha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210 as shown in Figs. 1 and 2 so as to hold the portable terminal while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holder body 210.
  • the gripping wing 220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body 210 to form two bodies as shown in the figure, and gripping the mobile terminal as the restoring force is provided by a spring not shown while being taken out of the holder body 210. To fix it.
  • the coil buried groove 230 provides an installation por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0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3,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00 is buried while forming a groove in the front of the holder body 210. .
  • the coil cover 240 shields the coil buried groove 230 as shown in FIG. 3, and a non-slip pad 250 made of a rubber pad is attached to the surfa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00 is a wireless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induction current, induction current by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power connecto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coil buried groove 230 as described above It generates and provides to the receiver coil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00 is connected to a high frequency generating circuit (not shown) to receive an AC current output from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circuit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00 may be composed of a circular spiral coil or a rectangular spiral coil, which is an uncore core, or a winding core, which is a winding core, as shown in FIG. 3.
  • the power connector 400 is, for example, a component that connects power supplied through a power jack cable of the vehicle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00.
  • the power connector 400 may include a power socket 410 and a connection cable 420 as shown in FIGS. 2 and 5.
  • the power socket 410 provides a connection portion of the power jack cable, and is provided in the base body 110 as shown in FIGS. 2 and 5.
  • the power jack cable of the vehicle is not connected to the holder 200, but is connected to the power socket 410 provided in the base body 110, even when the holder 200 is rotated or the angle is adjusted. This does not interfere.
  • the hold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smoothly regardless of the power jack cable.
  • the connecting cable 420 is a member connecting the power socket 410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00.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connection cable 420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holder 200 and the base 100 exposed to the outside.
  • connection cable 420 is deformed by the angle adjustment or rotation of the holder 200 as shown in Figures 4 and 6, the holder 200 is smoothly provided that can be deformed It can rotate.
  • connection cable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art exposed, the shape of the connection cable 420 is freely de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holder 200, thereby enabling the smooth movement of the holder 200.
  •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for wireless charging sinc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00 is installed in the holder 300, can be charged in a contactless manner at the same time as the portable terminal.
  • the power socket 410 is provided in the base 100, even when the holder 200 is rotated or oriented, the twist or interference of the power jack cable does not occur.
  • the portable terminal sinc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is installed in the holder in a buried stat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as the contactless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기립하거나 절첩식으로 수납되며, 기립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홀더; 상기 홀더에 내장되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리시버코일에 대면하고, 상기 리시버코일에 유도전류를 제공하여 휴대 단말기를 무선충전식으로 충전시키는 전자기유도 코일; 상기 베이스를 매개로 전원을 상기 전자기유도 코일에 공급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커넥터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전원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전원소켓; 및 상기 전원소켓과 상기 전자기유도 코일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테플릿컴퓨터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나 테이블 또는 책상에 거치시킨 상태로 무선충전할 수 있으며, 특히 전원이 연결되는 부위를 홀더가 아닌 베이스에 구비함으로써 전원잭 케이블에 구애받지 않고 홀더의 각도나 방향조절이 자유로운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DMB, 네비게이션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컴퓨터와 같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에서나 책상이나 테이블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거치대는 예컨대 차량에 설치될 경우, 차량의 운전석 전방 대시보드에 고정되거나 전면 유리에 흡착고정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거치되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을 겸할 수 있도록 차량의 시거잭에서 연결되는 전원잭 케이블이 연결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시킨다.
여기서, 기존에는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원잭 케이블을 휴대 단말기의 단자에 직접 연결하였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하거나 분리할 때마다 전원잭 케이블을 연결 또는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무접점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접점 방식은 거치대에 설치되는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도자기를 일으킴으로써 휴대폰의 거치시, 휴대폰에 설치된 리시버 모듈을 통해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1318호에 제안된 휴대폰 거치대를 살펴보면, 휴대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에 코일이 마련되어 전원잭 케이블이 거치부에 연결되어 코일로 전원이 공급되며, 휴대폰이 거치부에 거치될 경우 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가 휴대폰의 리시버모듈로 공급되어 무선방식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거치대는 전원잭 케이블이 거치부에 연결됨에 따라 거치부의 회전이나 방향전환 시 전원잭 케이블의 꼬임이 발생하며, 전원잭 케이블에 의해 거치부의 회전이나 방향전환이 간섭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13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나 테이블 또는 오디오장치 등에 거치시킨 상태로 무선충전할 수 있으며, 특히 전원잭 케이블이 홀더가 아닌 베이스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잭 케이블에 의한 간섭이 없이 홀더를 자유롭게 회전이나 방향조절할 수 있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멀티미디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로서, 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기립하거나 절첩식으로 수납되며, 기립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홀더; 상기 홀더에 내장되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리시버코일에 대면하고, 상기 리시버코일에 유도전류를 제공하여 휴대 단말기를 무선충전식으로 충전시키는 전자기유도 코일; 상기 베이스를 매개로 전원을 상기 전자기유도 코일에 공급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커넥터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전원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전원소켓; 및 상기 전원소켓과 상기 전자기유도 코일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홀더의 회전이나 방향전환에 따라 형태가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및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홀더는, 상기 베이스에 직접연결되거나 링크부재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의 양측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하는 파지날개; 상기 홀더본체의 전면에 홈을 이루면서 상기 제1 코일이 설치되는 코일매립홈; 상기 코일매립홈을 차폐하는 코일커버; 및 상기 코일커버의 표면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에 밀착되는 논슬립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홀더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본체; 및 상기 베이스본체에 구비되어 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구조물에 흡착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착판; 및 상기 베이스본체의 후단부에 오디오장치의 CD슬롯에 끼워지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끼움날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홀더의 절첩에 의해 상기 홀더와 함께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전자기유도 코일이 홀더에 매립상태로 설치되므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와 동시에 무접점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특히 전원소켓이 베이스에 구비됨에 따라 홀더를 회전이나 방향조절할 경우에도 전원잭 케이블의 꼬임이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소켓과 전자기유도 코일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의 일부분이 홀더 및 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홀더의 회전이나 방향조절시 연결케이블의 형태가 지유롭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홀더의 각도를 좀 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가 베이스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에만 홀더를 기립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홀더를 절첩상태로 베이스에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특히 홀더와 베이스가 절첩상태를 이루면서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 형태를 이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미사용시에 장식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홀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다른 거치대의 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 홀더(200) 전자기유도 코일(300) 및 전원커넥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차량의 대시보드나 유리, 테이블 또는 책상에 부착되거나 오디오장치의 CD슬롯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110) 및 지지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홀더(200)와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구조물에 고정되어 몸체를 이루는 부재이다.
이러한 베이스본체(1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50)를 통해 홀더(200)와 절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명발의 제2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50)가 생략된 상태로 홀더(200)와 절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110)에 링크부재(150)가 힌지결합되면서 링크부재(150)에 마련된 볼헤드에 홀더(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110)에 마련된 볼헤드에 홀더(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재(120)는 베이스본체(110)에 설치된 상태로 구조물에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지지부재(1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착판(121)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대시보드나 유리에 부착될 수 있으며, 실내의 책상 등의 편평면에 진공흡착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12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날개(122)로 구성되어 오디오장치의 CD슬롯에 끼워진 상태로 베이스본체(11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홀더(200)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여 거치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100)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절첩상태로 수납된다.
이러한 홀더(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0), 파지날개(220), 코일매립홈(230), 코일커버(240) 및 논슬립패드(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본체(210)는 베이스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거치방향을 전환시킨다.
이러한 홀더본체(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부재(150) 또는 베이스본체(110)에 마련되는 볼헤드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거치각도를 조절하거나 거치방향을 조절한다.
파지날개(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0)의 양측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휴대 단말기를 홀더본체(210)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파지날개(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몸체를 이루면서 홀더본체(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홀더본체(210)에서 인출되면서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이 제공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여 고정한다.
코일매립홈(230)은 후술되는 전자기유도 코일(300)의 설치부위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0)의 전면에 홈을 이루면서 전자기 유도 코일(300)이 매립된다.
코일커버(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매립홈(230)을 차폐하며, 고무패드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250)가 표면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밀착된다.
전자기유도 코일(300)은 유도전류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키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매립홈(230)에 설치된 상태로 후술되는 전원커넥터(400)를 통한 전원공급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서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리시버코일에 제공한다.
이러한 전자기유도 코일(300)은 미도시된 고주파 발생회로에 연결되어 고주파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교류전류를 입력받아 자계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전자기유도 코일(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심코어인 원형 스파이럴 코일 또는 직사각형 스파이럴 코일로 구성되거나 와인딩 코어인 권심코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전원커넥터(400)는 예컨대, 차량의 전원잭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전자기유도 코일(300)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전원커넥터(4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소켓(410) 및 연결케이블(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소켓(410)은 전원잭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110)에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의 전원잭 케이블이 홀더(200)에 연결되지 않고, 베이스본체(110)에 마련된 전원소켓(410)에 연결됨에 따라 홀더(200)를 회전시키거나 각도조절할 경우에도 전원잭 케이블이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홀더(200)는 전원잭 케이블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연결케이블(420)은 전원소켓(410)과 전자기유도 코일(30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연결케이블(42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홀더(200)와 베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케이블(420)은 도 4 및 도 6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의 각도조절이나 회전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기 때문에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어야만 홀더(2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연결케이블(420)은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홀더(200)의 움직임에 의해 자유롭게 형태가 변형되면서 홀더(200)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베이스(100)와 홀더(200)는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지 않을 경우 절첩되면서 수납되어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또한 절첩시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 형태를 이룸으로써 장식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전자기유도 코일(300)이 홀더(300)에 매립상태로 설치되므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와 동시에 무접점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특히 전원소켓(410)이 베이스(100)에 구비됨에 따라 홀더(200)를 회전이나 방향조절할 경우에도 전원잭 케이블의 꼬임이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유도 코일이 홀더에 매립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거치와 동시에 무접점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차량용 거치대 분야나 충전기 분야에 적용되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멀티미디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로서,
    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기립하거나 절첩식으로 수납되며, 기립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홀더;
    상기 홀더에 내장되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리시버코일에 대면하고, 상기 리시버코일에 유도전류를 제공하여 휴대 단말기를 무선충전식으로 충전시키는 전자기유도 코일;
    상기 베이스를 매개로 전원을 상기 전자기유도 코일에 공급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커넥터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전원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전원소켓; 및
    상기 전원소켓과 상기 전자기유도 코일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홀더의 회전이나 방향전환에 따라 형태가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및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베이스에 직접연결되거나 링크부재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의 양측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하는 파지날개;
    상기 홀더본체의 전면에 홈을 이루면서 상기 제1 코일이 설치되는 코일매립홈;
    상기 코일매립홈을 차폐하는 코일커버; 및
    상기 코일커버의 표면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에 밀착되는 논슬립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홀더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본체; 및
    상기 베이스본체에 구비되어 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구조물에 흡착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착판; 및
    상기 베이스본체의 후단부에 오디오장치의 CD슬롯에 끼워지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끼움날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홀더의 절첩에 의해 상기 홀더와 함께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CT/KR2015/012657 2015-10-21 2015-11-24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706932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46 2015-10-21
KR20150006846 2015-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326A1 true WO2017069326A1 (ko) 2017-04-27

Family

ID=5855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2657 WO2017069326A1 (ko) 2015-10-21 2015-11-24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6932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5317A1 (en) * 2018-12-31 2020-07-01 Scosche Industries, Inc.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CN113180671A (zh) * 2021-04-19 2021-07-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疲劳检测装置及疲劳检测方法
US11509149B2 (en) 2018-12-27 2022-11-22 Scosche Industries, Inc. Modular device charging station
US11764608B2 (en) 2016-12-01 2023-09-19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device mount
USD1006010S1 (en) 2021-12-30 2023-11-28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device mounting hea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358U (ko) * 2011-07-06 2013-01-16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JP2014072612A (ja) * 2012-09-28 2014-04-21 Tamura Seisakusho Co Ltd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マイクロホンスタンドおよびマイクロホンシステム
JP2014099984A (ja) * 2012-11-14 2014-05-29 Itoki Corp 電子機器収納用ジャケット
KR101461101B1 (ko) * 2014-02-07 2014-11-1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150069952A (ko) * 2013-12-16 2015-06-2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358U (ko) * 2011-07-06 2013-01-16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JP2014072612A (ja) * 2012-09-28 2014-04-21 Tamura Seisakusho Co Ltd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マイクロホンスタンドおよびマイクロホンシステム
JP2014099984A (ja) * 2012-11-14 2014-05-29 Itoki Corp 電子機器収納用ジャケット
KR20150069952A (ko) * 2013-12-16 2015-06-2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1461101B1 (ko) * 2014-02-07 2014-11-1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4608B2 (en) 2016-12-01 2023-09-19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device mount
US11509149B2 (en) 2018-12-27 2022-11-22 Scosche Industries, Inc. Modular device charging station
EP3675317A1 (en) * 2018-12-31 2020-07-01 Scosche Industries, Inc.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US11011921B2 (en) 2018-12-31 2021-05-18 Scosche Industries, Inc.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US11750031B2 (en) 2018-12-31 2023-09-05 Scosche Industries, Inc.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CN113180671A (zh) * 2021-04-19 2021-07-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疲劳检测装置及疲劳检测方法
USD1006010S1 (en) 2021-12-30 2023-11-28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device mounting he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9326A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US11818285B2 (en)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inductive charger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20046024A1 (ko)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395353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855529B2 (en) Inductively powered sleev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60064987A1 (en) Wireless-charging base for charging in flat or inclined position
WO2020141680A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WO2014034998A1 (en) Back cover for mobile terminals
US20170201842A1 (en) Headphone Socket
WO2016086676A1 (zh) 一种连接器和一种连接器的实现方法
US200902733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harg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Headset
WO2017007069A1 (ko) 차량 핸들에 설치되는 휴대폰 거치대
WO2016123880A1 (zh) 一种可扩展功能的智能终端配件系统
WO2015139368A1 (zh) 智能手环的测试方法及其测试系统
WO2019135609A1 (ko) 모바일기기용 펜홀더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케이스
EP2472697A1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7061789A1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CN107027078B (zh) 可穿戴式的耳机配件、无线耳机以及耳机产品
WO2014054850A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04698037U (zh) 一种可充电移动设备保护套
WO2019103448A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7179765A1 (en) Battery charger and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67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67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