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65053A1 -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 Google Patents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65053A1
WO2013165053A1 PCT/KR2012/006116 KR2012006116W WO2013165053A1 WO 2013165053 A1 WO2013165053 A1 WO 2013165053A1 KR 2012006116 W KR2012006116 W KR 2012006116W WO 2013165053 A1 WO2013165053 A1 WO 20131650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portable terminal
groove
charg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1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석철
고호성
김준형
박설완
Original Assignee
(주)삼광
(주)엠에이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광, (주)엠에이피테크 filed Critical (주)삼광
Publication of WO20131650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650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that can be mounted obliquely while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 a general portable terminal charger may need a separate gender to connect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every time the portable terminal is charged. It is inconvenient to charge, and as the charging terminal is repeatedly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rging is poor due to a poor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damage of the charging terminal.
  • Korean Patent No. 10-0751635 discloses a wireless charger that can conveniently charge the mobile terminal wirelessly.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er for a mobile terminal.
  •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er has a recess 40 having a concave structur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seated and charged in the body 20.
  • the primary coil 101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20.
  • the primary coil 101 forms a magnetic field capable of generat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secondary coil 202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mobile terminal 200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is seated in the recess 40, the mobile terminal 200 is charged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 the portable terminal 200 since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seated in the recess 40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body 20, the user may use his / her head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200. It is inconvenient because it needs to look 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0 while bow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ient mounting function while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by mounting it inclined while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open to an upper portion; A charging unit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main bod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mobile terminal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upport for placing the charging uni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 wireless charging module mounted on the main body or the charging unit; It is made,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omprises a power transmission coil mounted inside the charging unit, the charging unit is rotated about one end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the support is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harging unit The charging unit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receives external power to generat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portable terminal disposed in the charging unit.
  • the support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the support is rotated about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charging uni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 the support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that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portion and rotates; A horizontal portion bent vertically from the vertical portion; Is made of, 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protruding, the horizontal portion is rotated with the vertical portion when placing the charging portion inclined, i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is inserted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and the seating groove includes: a first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vertical portion is inserted; A second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horizontal portion is inserted;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epar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eating groove, the width of the separation groove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 the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bent to protrude in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charging portion, 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groove.
  •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fixing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charg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 An upper end of one end of the main body in which one end of the charging unit is hinged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into which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is inserted.
  • the mounting groove further comprises a control block for adjusting the mounting h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 the control block is made of a plurality, the mounting groove and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control block assembly groove is forme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block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a plurality of the control block is mutually It is coupled, the control block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 the wireless charger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wirelessly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for convenient portability, and the charging unit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y the support,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inclined while wirelessly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It is easy to charge and use.
  • the support hing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is rotated about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charging unit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disposed and do not place the mobile terminal inclined If not, it can be folded to a live part to minimize the size.
  • the bent portion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eat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portion, it is easy for the user to pull out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 the bottom of the charging unit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char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he charging uni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does not arbitrarily leave the receiving groove to carry or move the mobile terminal holder It is easy to make.
  • a mounting groove into which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is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where one end of the charging unit is hinged, thereby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disposed incli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upwardly.
  • the terminal can be stably arranged without slipping.
  • the insertion block is disposed in the mounting groove to include a control block for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it is easy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rranging and mounting at an appropriate heigh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while utilizing a variety of portable terminals.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er for a mobile terminal.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one-way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terminal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clined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8; FIG.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one-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2
  • Figure 6 is a mounting fun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clined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and Fig.
  • FIG. 8 (a) shows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 8 (b) is a view showing the adjusting block of FIG. 8 (a), and
  •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 the wireless charger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o 9, the main body 100, the charging unit 200, a wireless charging module (not shown), the support 300 And control blocks 400a, 400b, and 400c.
  • the charging unit 200 is hing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receiving groove 110 is opened upward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harg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t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main body 100.
  • the fixing part 111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 the fixing part 111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upport 300 to support the charging unit 200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to which one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is hinged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120 into which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is inserted.
  • the mounting groove 120 is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P disposed incli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so as not to slide downward.
  • the mounting groove 120 is provided with an assembly groove 121 opened upward.
  • the assembly groove 121 is a protrusion 402a formed in the control block 400a is inserted,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20.
  •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When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20,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is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
  • control blocks 400a, 400b, and 400c are identical to the control blocks 400a, 400b, and 400c.
  •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to supply power to the charging unit 200.
  • a wireless charging module (not shown) other tha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0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and supplies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01 mounted on the charging unit 200.
  • the main body 100 may be supplied with a battery without a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charging unit 200.
  •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ing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01 is mounted inside the charging unit 200.
  • One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is hinged to the main body 100, the mobile terminal (P)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01 is mounted inside the charging unit 200 to charge the mobile terminal P.
  • the charg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main body 100.
  • the bottom of the charging unit 200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21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300.
  • the seating groove 210 is formed to be concav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ging unit 200 in the same manner as the shape of the support 300, and the first seat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 212).
  • the vertical seat 310 forming the support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211.
  • the horizontal portion 320 forming the support 300 together with the vertical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ing groove 212.
  • the horizontal part 320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ing groove 212 is not separated from the second seating groove 212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212 into which the horizontal part 320 is inserted.
  • the locking part 213 is formed so that it may be carried out.
  • a separation groove 22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eating groove 212.
  • the separation groove 220 has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212 into which the horizontal part 320 is insert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receive the second seating groove 212.
  • the horizontal portion 320 inserted into the can be easily pulled out.
  • the support 300 may be pulled out from the seating groove 210 by pulling the horizontal portion 320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ing groove 212.
  • the support 300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is rotated around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as shown in Figure 6 and 7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100
  • the support 300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is rotated around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as shown in Figure 6 and 7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100
  • a coupling groove 230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ging part 200 in a state where the charging part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do.
  •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230.
  • the fixing part 11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3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111.
  • the fixing part 111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30.
  • the coupling protrusion 231 Since the width of on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11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art 111,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s randomly pulled out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111. Do not.
  • the fixing portion 111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111.
  • the government 11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s fixed so as not to fall out.
  • the charging part 200 is arbitrarily selec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10. It stays that way without leaving.
  • the user may separate the fixing part 111 and the coupling groove 230 by pulling the charging part 200.
  • the fixing part 111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s removed from the fixing part 111.
  • the charging unit 200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is maintained in the inserted state without leaving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arbitrarily, it is easy to carry or move the wireless charger for the portable terminal.
  •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is formed with a recess recess 240 recessed in one direction.
  • the withdrawal groove 240 is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the user puts a finger into the withdrawal groove 240, the charging unit 200 to the receiving groove 110. Rotate to break out.
  • withdrawal groove 240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harging unit 200.
  • the charging unit 200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about one end hinged to the main body 100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10, the support ( It is supported by the 300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 the mobile terminal P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01 is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to carry the mobile terminal disposed in the charging unit 200.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P.
  •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01 and a circuit board, an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01 around the portable terminal 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 the magnetic field is formed, and the induced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power receiving coil (not shown) of the portable terminal P by the magnetic field thus formed.
  •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except for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01 may be mounted to the main body 100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mounted to the charging unit 200 together wit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01.
  • the faucet coil may b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P itself, or the portable terminal P may be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to cover the portable terminal P to wirelessly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P.
  • the mobile terminal P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6, the mobile terminal P is inclined while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P. (P) can be used conveniently.
  • the user can inclined the portable terminal P at an angle at which the user can easily observe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P, so that the user can watch DMB broadcasting or video using the portable terminal P, and the other various portable terminals P.
  • the functions can be used conveniently.
  • the charging unit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to be disposed parallel to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2 without being inclined to be carr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 the terminal P may be arranged to be charged or used.
  • the charging unit 200 may be equipped with a magnet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magnetic material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ay be arranged to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 the support 300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charging unit 200 to arrange the charging unit 200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 the support 300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as shown in Figure 7 rotates about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the charging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It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to be inclined.
  • the support 300 is composed of a vertical portion 310 and a horizontal portion 320 as shown in FIG.
  • the vertical portion 310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is rotated.
  • the horizontal part 320 is bent vertically from the vertical part 310.
  • the vertical portion 310 is the upper end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the horizontal portion 32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310).
  • the horizontal part 320 rotates together with the vertical part 310 when the charging part 200 is inclined.
  • the horizontal part 32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111 to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to support the charging part 200 to be inclined.
  • the horizontal portion 320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321 bent to protrude in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charging unit 200.
  • the bent portion 321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groove 220.
  • the user can easily detach the supporter 300 from the seating groove 210 by pulling the bent part 321.
  • the user can easily pull the bent portion 321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groove 220 as described above.
  • the support 300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about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200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the mobile terminal (P) is disposed
  • the charging unit 20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P is not inclined, the charg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10 and folded to the charging unit 200 to minimize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an be.
  •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20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of the mobile terminal (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 the mounting groove 120 may be supported by inserting the portable terminal P without placing the control blocks 400a, 400b and 400c, but as shown in FIG. When placed in the can be adjusted using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mounting height of the mobile terminal (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assembly grooves (401a, 401b, 401c)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the lower assembly grooves (401a, 401b, 401c) Protrusions 402a, 402b, and 402c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are formed.
  • each of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is a protrusion of the control block (400b, 400c)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grooves (401a, 401b) of the control block (400a, 400b) disposed below ( 402b and 402c are inserted and joined together.
  •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As such a plurality of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lowermost control block 400a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121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120, the protrusion 402a.
  • the control blocks 400a, 400b, and 400c coupled to each other are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20.
  • the mobile terminal (P) by placing the mobile terminal (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to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20). You can adjust the mounting height of the).
  • the charging unit 200 is formed by including the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20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200, It is easy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of the mobile terminal (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d by placing the mobile terminal (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mounted at an appropriate height can be conveniently used while utilizing a variety of mobile terminal (P) have.
  • control block (400a, 400b, 400c)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can be us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ntrol blocks, it may be formed integrally.
  • the charging unit 200 capable of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P wirelessly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to be portable. Is convenient, and the charging unit 20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by the support 300, thereby charging and using the mobile terminal P by wirelessly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P while being inclined. This is conven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can be carried out in a variety of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to be mounted obliquely while charging the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a convenient mounting function even during charging of th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로써, 휴대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는,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배치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본체 또는 충전부에 장착되는 무선충전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충전부의 내부에 장착된 송전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부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와 충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키고,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부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본 발명은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로써, 휴대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발전되고 다양한 모바일용 인터넷 컨텐츠의 공급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휴대단말기를 활용하기 편리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활용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전력소모가 증가하여 휴대단말기를 더욱 자주 충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휴대단말기 충전기는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충전단자와 휴대단말기를 연결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젠더가 필요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킬 때마다 상기 충전단자를 휴대단말기에 결합시켜야 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키기 불편하고, 상기 충전단자를 휴대단말기에 반복적으로 삽입 및 분리함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의 손상으로 인해 휴대단말기와의 접촉불량으로 충전이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0751635호에는 휴대단말기를 무선으로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충전기는 몸체(20)에 휴대단말기(200)가 안착되어 충전될 수 있는 오목한 구조의 리세스(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0)의 내부에는 1차코일(101)이 설치된다.
상기 1차코일(101)은 휴대단말기(200)에 마련된 2차코일(202)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200)가 상기 리세스(40)에 안착되면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200)를 충전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무선충전기는 상기 리세스(40)에 휴대단말기(200)가 안착되어 상기 몸체(20)에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200)를 충전하면서 사용하려면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고 휴대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를 주시해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경사지게 거치시켜 휴대단말기의 충전 중에도 사용이 편리한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는,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배치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본체 또는 충전부에 장착되는 무선충전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충전부의 내부에 장착된 송전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부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와 충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키고,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부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전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전부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충전부가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전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수평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충전부를 경사지게 배치시킬 때 상기 수직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충전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상기 수직부가 삽입 배치되는 제1안착홈과; 상기 수평부가 삽입 배치되는 제2안착홈;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안착홈과 연통된 분리홈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홈의 폭은 상기 제2안착홈의 폭보다 넓다.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충전부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는 상기 분리홈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충전부의 하면에는 상기 충전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충전부의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기 본체의 일단 상부에는 상기 충전부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일단이 삽입 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홈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거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블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블록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홈 및 각 조절블록의 상부에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블록의 하부에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조절블록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조절블록은 상기 거치홈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휴대단말기를 무선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가 삽입 배치되어 휴대가 편리하고, 지지대에 의해 충전부가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경사지게 배치시켜 휴대단말기의 충전 및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충전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지지대는 충전부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에 형성된 수용홈의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휴대단말기가 배치된 충전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배치시키지 않을 때는 충전부에 접철되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는 수평부가 삽입 배치되는 제2안착홈과 연통된 분리홈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착홈에 삽입 배치된 지지대를 잡아당겨 빼내기 용이하다.
또한, 충전부의 하면에는 충전부가 수용홈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됨으로써, 수용홈에 삽입 배치된 충전부가 임의로 수용홈을 이탈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휴대하거나 이동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충전부의 일단이 힌지결합된 본체의 일단 상부에 충전부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일단이 삽입 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됨으로써, 충전부의 상면에 경사지게 배치된 휴대단말기를 상방향으로 지지하여 휴대단말기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거치홈에 삽입 배치되어 충전부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조절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충전부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거치높이를 조절하기 용이하고, 휴대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배치하여 적정 높이에 거치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다양하게 활용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휴대단말기가 경사지게 배치된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휴대단말기가 가로방향으로 거치된 상태의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휴대단말기가 경사지게 배치된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8(a)는 휴대단말기가 가로방향으로 거치된 상태의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조절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충전부(200), 무선충전모듈(미도시), 지지대(300) 및 조절블록(400a,400b,400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충전부(200)가 힌지결합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0)에는 상기 충전부(200)가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10)의 바닥면에는 고정부(1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11)는 상기 충전부(200)가 상기 본체(1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3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20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 상부에는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P)의 일단이 삽입 배치되는 거치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홈(120)은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경사지게 배치된 휴대단말기(P)가 하부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상기 거치홈(1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개방된 조립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121)은 상기 조절블록(400a)에 형성된 돌출부(402a)가 삽입되어,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이 상기 거치홈(120)에 결합된다.
상기 거치홈(120)에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이 결합되면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이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P)를 지지하게 된다.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에는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본체(100)에 송전코일(201) 이외의 무선충전모듈(미도시)이 장착되고, 상기 충전부(200)에 장착된 상기 송전코일(201)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 별도의 외부전원을 연결하지 않고 배터리를 장착하여 상기 충전부(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때는 상기 송전코일(201)을 포함한 상기 무선충전모듈이 상기 충전부(200)의 내부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충전부(20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힌지결합되고, 상면에 휴대단말기(P)가 배치된다.
상기 충전부(200)의 내부에는 송전코일(201)이 장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P)를 충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200)는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20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대(300)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0)의 형상과 동일하게 상기 충전부(200)의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안착홈(211)과 제2안착홈(2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안착홈(211)에는 상기 지지대(300)를 이루는 수직부(310)가 삽입 배치된다.
상기 제2안착홈(212)에는 상기 수직부(310)와 함께 상기 지지대(300)를 이루는 수평부(320)가 삽입 배치된다.
상기 수평부(320)가 삽입 배치되는 상기 제2안착홈(212)의 내부에는 상기 제2안착홈(212)에 삽입된 상기 수평부(320)가 상기 제2안착홈(21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200)의 하면에는 상기 제2안착홈(212)과 연통되는 분리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홈(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이 상기 수평부(320)가 삽입 배치되는 상기 제2안착홈(21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2안착홈(212)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수평부(320)를 잡아당겨 쉽게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안착홈(212)에 삽입된 상기 수평부(320)를 잡아당겨 상기 지지대(300)를 상기 안착홈(210)에서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2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지지대(3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20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110)의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휴대단말기(P)가 배치된 충전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P)를 경사지게 배치시키지 않을 때는 충전부(200)에 접철되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200)의 하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200)가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11)와 결합되는 결합홈(23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30)의 내부에는 결합돌기(231)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가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111)가 상기 결합홈(230)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231)가 상기 고정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230)에 상기 고정부(111)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111)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231)의 한단의 폭은 상기 고정부(111) 상단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결합돌기(231)가 상기 고정부(111)에 삽입되면 임의로 빠지지 않는다.
즉, 상기 결합돌기(231)가 상기 고정부(111)에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부(111)가 탄성변형되어 벌어지고, 상기 결합돌기(231)가 상기 고정부(111)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111)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결합돌기(231)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충전부(200)가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11)와 결합홈(230)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충전부(200)는 상기 수용홈(110)에서 임의로 이탈하지 않고 그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충전부(200)를 잡아당겨 상기 고정부(111)와 결합홈(230)을 분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부(111)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돌기(231)가 상기 고정부(111)에서 빠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충전부(200)가 임의로 상기 수용홈(110)을 이탈하지 않고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를 휴대하거나 이동시키기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200)의 타단에는 일단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인출홈(240)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홈(240)은 상기 충전부(200)가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인출홈(240)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충전부(200)가 상기 수용홈(110)을 이탈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홈(240)은 상기 충전부(200)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충전부(200)는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에 힌지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홈(110)에서 이탈되고, 상기 지지대(3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본체(1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휴대단말기(P)가 배치되고, 상기 송전코일(201)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부(200)에 배치된 휴대단말기(P)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송전코일(201) 및 회로기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코일(201)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P)의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P)의 수전코일(미도시)에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송전코일(201)을 제외한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송전코일(201)과 함께 상기 충전부(2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수전코일은 휴대단말기(P) 자체에 장착되어 있거나 휴대단말기(P)에 수전코일이 장착된 커버를 결합시켜 휴대단말기(P)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무선충전방법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4486호, 등록특허공보 제10-069821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2519호 등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P)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P)를 충전시키면서 경사지게 배치된 휴대단말기(P)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단말기(P)의 디스플레이부를 주시하기 편한 각도로 휴대단말기(P)를 경사지게 배치시켜 휴대단말기(P)를 이용한 DMB방송이나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휴대단말기(P)의 기능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충전부(200)를 경사지게 배치시키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하여 상기 본체(100)와 평행하게 배치시킨 상태로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휴대단말기(P)를 배치시켜 충전하거나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200)에는 내부에 자석을 장착하고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자성체가 장착된 휴대단말기가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배치되어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본체(100)와 충전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200)를 상기 본체(1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킨다.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충전부(2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20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충전부(200)가 상기 본체(1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홈(110)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30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10)와 수평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부(310)는 상기 충전부(2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수평부(320)는 상기 수직부(310)에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부(310)는 상단이 상기 충전부(2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직부(310)의 하단에 상기 수평부(320)가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부(320)는 상기 충전부(200)를 경사지게 배치시킬 때 상기 수직부(31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20)는 상기 고정부(111)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수용홈(11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충전부(200)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수평부(320)에는 상기 충전부(200)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절곡부(3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321)는 상기 분리홈(220)에 삽입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300)가 상기 안착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절곡부(321)를 잡아당겨 상기 지지대(300)를 상기 안착홈(210)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절곡부(321)는 상기 분리홈(220)에 삽입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분리홈(22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절곡부(321)를 잡아당기기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충전부(20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110)의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휴대단말기(P)가 배치된 상기 충전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P)를 경사지게 배치시키지 않을 때는 상기 안착홈(21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200)에 접철됨으로써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은 상기 거치홈(12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P)의 거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거치홈(120)에는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을 배치시키지 않고 휴대단말기(P)를 삽입 배치하여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P)를 가로로 배치할 때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휴대단말기(P)의 거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조절블록(400a,400b,400c)의 상부에는 조립홈(401a,401b,401c)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조립홈(401a,401b,401c)에 삽입되는 돌출부(402a,402b,402c)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은 하부에 배치된 조절블록(400a,400b)의 조립홈(401a,401b)에 그 상부에 배치되는 조절블록(400b,400c)의 돌출부(402b,402c)가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이 상호 결합되고, 최하단에 배치된 조절블록(400a)은 상기 돌출부(402a)가 상기 거치홈(120)에 형성된 조립홈(121)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이 상기 거치홈(1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홈(120)에 결합된 다수의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휴대단말기(P)를 가로방향으로 배치시켜 상기 휴대단말기(P)의 거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홈(12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P)를 지지하는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충전부(200)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P)의 거치높이를 조절하기 용이하고, 휴대단말기(P)를 가로방향으로 배치하여 적정높이에 거치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P)를 다양하게 활용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조절블록(400a,400b,400c)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개의 조절블록을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110)에 휴대단말기(P)를 무선을 충전할 수 있는 상기 충전부(200)가 삽입 배치되어 휴대가 편리하고, 상기 지지대(300)에 의해 상기 충전부(200)가 상기 본체(1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휴대단말기(P)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경사지게 배치시켜 휴대단말기(P)의 충전 및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경사지게 거치시켜 전자기기의 충전 중에도 사용이 편리한 거치기능을 제공한다.

Claims (9)

  1.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배치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본체 또는 충전부에 장착되는 무선충전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충전부의 내부에 장착된 송전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부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와 충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키고,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부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전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전부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충전부가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전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수평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충전부를 경사지게 배치시킬 때 상기 수직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상기 수직부가 삽입 배치되는 제1안착홈과;
    상기 수평부가 삽입 배치되는 제2안착홈;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안착홈과 연통된 분리홈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홈의 폭은 상기 제2안착홈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충전부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는 상기 분리홈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하면에는 상기 충전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기 본체의 일단 상부에는 상기 충전부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일단이 삽입 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의 상면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거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블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절블록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홈 및 각 조절블록의 상부에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블록의 하부에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조절블록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조절블록은 상기 거치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PCT/KR2012/006116 2012-05-02 2012-08-01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1316505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055 2012-05-02
KR1020120046055A KR101285084B1 (ko) 2012-05-02 2012-05-02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5053A1 true WO2013165053A1 (ko) 2013-11-07

Family

ID=4899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116 WO2013165053A1 (ko) 2012-05-02 2012-08-01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5084B1 (ko)
WO (1) WO201316505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22680A1 (en) * 2014-10-22 2017-08-03 Shenzhen Wipolm Wireless Technology Co., Ltd Bracket-type wireless charger
WO2019153621A1 (zh) * 2018-02-06 2019-08-15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无线充电器
JP2021013292A (ja) * 2019-07-08 2021-02-0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チルト機能を用いて複数の使用者端末を同時に充電する無線充電装置
WO2022160438A1 (zh) * 2021-01-29 2022-08-04 深圳亿色创意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5304B2 (en) 2013-09-05 2018-11-20 Lg Innotek Co., Ltd. Supporter
KR102261384B1 (ko) * 2013-12-16 2021-06-09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150115256A (ko) * 2014-04-03 2015-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장치
KR101620688B1 (ko) * 2014-05-28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 거치대
TWM493192U (zh) * 2014-08-29 2015-01-01 Ortek Technology Inc 能平躺或成角度充電之無線充電座
KR101693554B1 (ko) 2014-12-30 2017-01-09 갑을오토텍(주) 차량용 단말기 충전 장치
US9577467B1 (en) 2015-09-08 2017-02-21 Apple Inc. Hinge assembly for a wireless charger
KR101622782B1 (ko) 2015-12-10 2016-05-19 주식회사 엠아이티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KR101745950B1 (ko) 2015-12-29 2017-06-14 (주)재운아이엔씨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101722523B1 (ko) 2016-02-25 2017-04-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선택적 기능 실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690774B1 (ko) * 2016-06-30 2016-12-28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KR101788469B1 (ko) *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KR20190021546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무선충전식 이동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102064329B1 (ko) 2018-03-22 2020-01-09 주식회사 어울림기술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KR102015548B1 (ko) * 2019-03-12 2019-08-28 최우창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KR102201843B1 (ko) * 2019-09-06 2021-01-11 장현진 다용도 무선충전기
KR20210073730A (ko) 2019-12-11 2021-06-21 이한비 접이식 무선충전패드
KR200492978Y1 (ko) * 2020-09-24 2021-01-12 (주)파란마당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거치대 크레들
KR102602283B1 (ko) 2021-08-11 2023-11-14 주식회사 성신레이저 무선충전기
KR102379712B1 (ko) * 2021-11-29 2022-03-29 김석인 다기능을 가진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445928B1 (ko) * 2022-08-10 2022-09-21 손요성 맞춤적용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무선충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024U (ko) * 1994-12-29 1996-07-22 충전기 브라켓트 고정장치
KR20040040651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KR20040079134A (ko) * 2003-03-06 2004-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기
KR20110127814A (ko) * 2010-05-20 2011-11-28 최세중 무선충전기 겸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024U (ko) * 1994-12-29 1996-07-22 충전기 브라켓트 고정장치
KR20040040651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KR20040079134A (ko) * 2003-03-06 2004-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기
KR20110127814A (ko) * 2010-05-20 2011-11-28 최세중 무선충전기 겸용 거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22680A1 (en) * 2014-10-22 2017-08-03 Shenzhen Wipolm Wireless Technology Co., Ltd Bracket-type wireless charger
US9991923B2 (en) * 2014-10-22 2018-06-05 Shenzhen Wipolm Wireless Technology Co., Ltd Bracket-type wireless charger
WO2019153621A1 (zh) * 2018-02-06 2019-08-15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无线充电器
JP2021013292A (ja) * 2019-07-08 2021-02-0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チルト機能を用いて複数の使用者端末を同時に充電する無線充電装置
US11411425B2 (en) 2019-07-08 2022-08-09 Lg Electronics Inc.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charg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by performing tilt function
WO2022160438A1 (zh) * 2021-01-29 2022-08-04 深圳亿色创意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084B1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11155735A2 (ko) 무선 충전용 전력 수신기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WO2016004888A1 (zh) 接口转接头及带有该接口转接头的电连接设备
WO2016021776A1 (ko)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WO2020141680A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WO2012093823A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reof
WO2018126568A1 (zh) 夹持装置及移动电源
WO2015194714A1 (ko) Usb 단자 구비형 배터리
WO2019194344A1 (ko) 휴대용 음향기기
WO2013062292A1 (en) Voice coil motor
WO2015152461A1 (ko) 휴대용 충전장치
WO2013191417A1 (ko) 녹음기능을 갖는 휴대폰 스마트케이스
WO2014010821A1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공급용 압전 발전기
WO2023027213A1 (ko) 크래들 및 휴대용 음향기기
WO2014137066A1 (ko) 자동 위치조정 무선충전기 및 그를 이용한 충전 방법
WO2011052851A1 (ko)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WO2018128299A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WO2018092996A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WO2019022449A1 (ko)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WO2017061789A1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WO2018004285A1 (ko)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WO2020106130A1 (ko) 다기능 거치대
WO2020036352A1 (en) Adapter
WO2020184765A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WO2022149631A1 (ko) 컴퓨팅 기기용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760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760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