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329B1 -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329B1
KR102064329B1 KR1020180033060A KR20180033060A KR102064329B1 KR 102064329 B1 KR102064329 B1 KR 102064329B1 KR 1020180033060 A KR1020180033060 A KR 1020180033060A KR 20180033060 A KR20180033060 A KR 20180033060A KR 102064329 B1 KR102064329 B1 KR 10206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pedestal
frame
batter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222A (ko
Inventor
백현민
정연술
송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울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울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울림기술
Priority to KR102018003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32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하나만 휴대하면 모바일 기기의 충전은 물론 거치대의 기능도 수행할 수가 있다. 즉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가 보조 배터리를 내장하여 보호하는 것은 물론 필요시 모바일 기기를 거치시킬 수가 있어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충전함과 동시에 거치된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서, 청각장애인이 영상 통화를 통해 수화로 대화하는 것이 편리해진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Portable battery case}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기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내장하여 보호하되, 필요시 모바일 기기를 원하는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청각장애인은 음성 통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상 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수화로 의사 소통을 한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는 배터리 소모가 빠르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의 충전을 위해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함께 소지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청각장애인이 원활하게 수화를 하기 위해서는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모바일 기기를 어딘가에 거치시켜 놓아야 한다. 즉 영상 통화 빈도가 높은 청각장애인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의사 소통을 위해 휴대용 보조 배터리와 함께 별도의 거치대도 함께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의 거치대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43566호(2014.04.10. '스마트폰 거치대')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조 배터리를 내장하여 보호하되, 필요시 모바일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제1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타측에서 제2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프레임의 연결대는 내측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의 받침대 중앙에 하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먼저,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하나만 소지하고 있더라도 모바일 기기를 충전시키는 것은 물론 거치대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해야 할 소지품의 무게와 부피를 크게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케이스에 적용된 덮개형 거치대는 두 개 프레임을 이용하여 이중 힌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한 손으로 편리하게 펼칠 수 있고 최대 180도까지 자유롭게 거치각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 케이스에서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프레임을 덮개프레임과 밀착시킨 후 덮어주면 되며, 이에 따라 거치프레임은 본체 내에 완전히 내장됨으로써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거치프레임에서 모바일 기기의 뒷면을 받쳐주는 연결대는 내측이 개방된 구조인데, 이에 따라 거치대를 덮었을 시, 연결대의 개방된 안쪽으로 배터리가 진입할 수 있어서 케이스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거치프레임에서 연결대의 개방된 구조에 의해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더욱 수월하게 방출시킬 수가 있다.
또, 케이스에서 거치대가 덮개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이 본체 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힌지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거치프레임의 받침대 부분을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고, 더불어 거치프레임의 연결대 아래쪽에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받침대에는 중앙에 하단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바일 기기를 수직으로 세워 받침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하단홈을 통해 충전케이블을 연결하더라도 지면이나 받침대에 방해받지 아니한다.
또한, 충전케이블을 모바일 기기에 연결해 놓은 상태라면, 하단홈 내에서 충전케이블의 접속잭이 구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를 실수로 건드려 모바일 기기가 받침대에서 수평이동하게 되더라도 접속잭이 하단홈 둘레의 받침대에 걸리게 되므로, 모바일 기기가 미끄러져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불어 케이스에서 거치대를 세워 모바일 기기를 거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배터리는 거치대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실수로 거치대를 건드리더라도 무거운 배터리의 저 중심 구조에 의해 거치대가 쉽게 넘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케이스의 거치대를 펼쳐 모바일 기기를 거치 시킨 상태라면, 모바일 기기의 화면 바로 아래쪽으로 표시부가 위치하게 된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 모바일 기기의 화면과 케이스의 표시부가 위 아래로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배터리의 잔량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하면서 동시에 영상통화도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에서 덮개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이 세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6은 도4의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를 거치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에 모바일 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3은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4 및 도5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에서 덮개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이 세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10)(이하 '케이스'라고 함)는 본체(11), 표시부(15), 키입력부(16), 덮개프레임(20), 거치프레임(21), 제1힌지(25) 및 제2힌지(26)를 포함한다.
본체(11) 내부에는 휴대용 배터리(30)(전지셀)가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의 측면에는 접속잭(51,52)이 연결되는 제1접속구(12) 및 제2접속구(13)가 마련되어 있다. 제1접속구(12)는 본체(11) 내에 위치한 배터리(3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이 입력되는 부분이며, 예컨대 마이크로 5핀 형태의 잭이 접속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제2접속구(13)는 본체(11) 내에 위치한 배터리(30)에 충전된 전원을 모바일 기기(40) 측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부분이며, 예컨대 USB 잭이 접속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본체(11)의 전방에는 충전전원의 잔량이나 시간 등을 출력해주는 표시부(15)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11)의 전방 상부에는 각종 기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30), 표시부(15), 키입력부(16), 제1접속구(12) 및 제2접속구(13)는 본체(11) 내부에 탑재된 PCB(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체(11)의 개방된 상부는 덮개형 거치대(20,21)를 통해 덮이는 구조이다. 이러한 덮개형 거치대(20,21)는 덮개프레임(20) 및 거치프레임(21)을 포함한다.
덮개프레임(20)은 본체(11)의 개방된 상부를 완전하게 덮어서 가려줄 수 있는 평판 형태이며, 일측은 본체(11) 후방에서 제1힌지(2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2힌지(26)를 통해 거치프레임(2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거치프레임(21)은 연결대(22) 및 받침대(23)를 포함한다. 연결대(22)는 일측이 덮개프레임(20)의 타측에서 제2힌지(26)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받침대(23)는 연결대(22)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거치프레임(21)의 연결대(22)는 내측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연결대(22) 내측의 개방부 크기는 배터리(30)의 면적보다 크다. 연결대(22) 내측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는 이유는 이후 다시 설명토록 한다.
연결대(22) 타측에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의 받침대(23)는 모바일 기기(40)를 받쳐주기 위한 것인데, 이때 받침대(23)의 중앙에는 하단홈(24)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홈(24)의 형성에 의해 모바일 기기(40)를 받침대(23)에 거치시키더라도 충전케이블(50)의 연결이 자유로워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10)의 작동 방법과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모바일 기기(40)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본체(11) 내에 안착된 배터리(30)를 먼저 충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충전기 또는 케이블을 제1접속구(12)에 연결하여 배터리(30)를 충전시킨다. 이때 충전량 등의 정보가 표시부(15)를 통해 출력된다.
배터리(30)를 일정 시간 이상 충전시킨 후 휴대하였다가, 모바일 기기(40)의 충전이 필요하면, 본체(11) 측면의 제2접속구(13)에 충전케이블(50)의 제1접속잭(51)(예컨대 USB)을 연결하고, 반대편의 제2접속잭(52)(예컨대 마이크로 5핀)을 모바일 기기(40)의 충전접속구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30)의 전원이 제2접속구(13)를 통해 출력되어 충전케이블(50)을 거쳐 모바일 기기(40)에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30)의 전원을 출력시키기 위해 필요시 키입력부(16)를 통한 소정의 명령 입력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10)는 모바일 기기(40)의 거치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덮개프레임(20)을 올린 후 거치프레임(21)을 앞으로 밀어내면 도4,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프레임(20)과 거치프레임(21)이 대략 'ㅅ' 형태로 세워지게 된다. 이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40)를 거치프레임(21)에 올려 놓으면 모바일 기기(40)의 아래는 받침대(23)가 받쳐주게 되고, 모바일 기기(40)의 뒷면은 연결대(22)가 받쳐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30)가 내장된 케이스(10) 하나만 소지하고 있다면, 별도의 거치대는 소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케이스(10)에 적용된 덮개형 거치대(20,21)는 두 개 프레임을 이용하여 이중 힌지(25,26)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거치대(20,21)를 편리하게 펼칠 수 있다. 즉 덮개프레임(20)과 거치프레임(21)이 본체(11)의 상부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덮개프레임(20)을 먼저 들어 올린 후, 다시 거치프레임(21)을 앞으로 당기면 거치대(20,21) 설치가 완료된다. 즉 본체(11), 덮개프레임(20) 및 거치프레임(21)이 순차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 한 손으로 편리하게 거치대(20,21)를 펼칠 수 있다. 만약 본체(11) 전방에 하나의 판재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본체(11) 후방에 다른 하나의 판재가 힌지가 결합된 구조라면, 하나의 판재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그 후면으로 다른쪽 판재를 들어올려 받쳐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양쪽의 판재를 한손으로 세워올리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또한 덮개형 거치대(20,21)의 각도를 매우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전후방에 각각 판재가 결합된 구조라면, 어느 하나의 판재에 다른 판재를 받쳐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거치 각도의 조절 범위가 60도 이내로 매우 협소하다. 반면 본원발명에 따른 케이스(10)에서는 덮개프레임(20)이 본체(11)와 연결되어 회전 되는 것과 동시에 거치프레임(21)도 거치프레임(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최대 180도까지 자유롭게 거치각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케이스(10)에서 거치대(20,2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프레임(21)을 덮개프레임(20)과 밀착시킨 후 덮어주면 되며, 이에 따라 거치프레임(21)은 본체(11) 내에 완전히 내장됨으로써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거치프레임(21)에서 모바일 기기(40)의 뒷면을 받쳐주는 연결대(22)는 내측이 개방된 구조인데, 이에 따라 거치대(20,21)를 덮었을 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2)의 개방된 안쪽으로 배터리(30)가 진입할 수 있다. 즉 거치대(20,21)를 접었을 때, 거치프레임(21)의 두께는 케이스(10)의 전체 두께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1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만약 거치프레임(21)의 연결대(22)가 막힌 구조라면, 거치대(20,21)를 덮었을 시 배터리(30) 위쪽으로 거치프레임(21)과 덮개프레임(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야 해서, 거치프레임(21)의 두께만큼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 거치프레임(21)에서 연결대(22)의 개방된 구조에 의해 배터리(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더욱 수월하게 방출시킬 수가 있다. 만약 연결대(22)가 막힌 구조라면, 배터리(30) 위쪽을 거치프레임(21)과 덮개프레임(20)이 막고 있어서 배터리(30)의 방열이 방해 받게 된다.
더불어 거치대(20,21)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배터리(30) 위쪽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방열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특히 모바일 기기(40)를 통해 영상 통화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30)에서 더욱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모바일 기기(40)의 거치를 위해서는 반드시 거치대(20,21)를 들어 올려 본체(11) 상부를 개방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방열이 꼭 필요한 상황에서 우수한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물론 거치대(20,21)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거치프레임(21)을 본체(11) 내부로 진입시킨 후 덮개프레임(20)을 닫아주기 때문에, 배터리(30) 등의 내부 부품을 덮개프레임(20)이 보호하는 역할은 여전히 수행할 수가 있다.
한편, 본원발명의 케이스(10)에서 거치대(20,21)는 덮개프레임(20)과 거치프레임(21)이 본체(11) 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힌지(25,26)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거치프레임(21)의 받침대(23) 부분을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더불어 거치프레임(21)의 연결대(22) 아래쪽에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받침대(23)에는 중앙에 하단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40)를 수직으로 세워 받침대(23)에 거치한 상태에서 하단홈(24)을 통해 충전케이블(50)을 연결하더라도 지면이나 받침대(23)에 방해받지 아니한다. 즉 충전과 거치를 동시에 수행하는 데에 제약이 없는 것이다.
만약 모바일 기기(40)를 거치시켰을 시, 충전접속구가 형성된 아래 부분이 본체(11)에 닿아야 하거나 받침대(23)에 하단홈(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조라면, 충전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충전케이블(50)을 연결시킬 수가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3) 부분이 본체(11)로부터 이격되어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고, 더불어 받침대(23) 중앙에 하단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1)의 제2접속구(13)에 충전케이블(50)의 제1접속잭(51)(USB)을 연결하고, 충전케이블(50)의 반대쪽에 마련된 제2접속잭(52)(마이크로 5핀)을 하단홈(24)을 관통하여 모바일 기기(40)의 충전접속구에 연결할 수가 있다. 즉 충전케이블(50)의 연결에 케이스(10)의 어느 구성도 방해를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도7과 같이 충전케이블(50)을 모바일 기기(40)에 연결해 놓은 상태라면, 모바일 기기(40)의 미끄럼 방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즉 충전케이블(50)의 제2접속잭(52)을 모바일 기기(40)에 결합시켜 충전을 시키면서 영상통화를 하는 경우, 하단홈(24) 내에서 제2접속잭(52)이 구속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40)를 실수로 건드려 모바일 기기(40)가 받침대(23)에서 수평이동하게 되더라도 제2접속잭(52)이 하단홈(24) 둘레의 받침대(23)에 걸리게 되므로, 모바일 기기(40)가 미끄러져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0)에서 거치대(20,21)의 이중 힌지(25,26) 구조에 따라 거치 각도를 매우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실질적으로 모바일 기기(40)를 거치시켜 놓지 않은 상태라면 사용자가 최적의 각도를 알기는 어렵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40)를 거치 시킨 상태에서 각도 조절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상황에서 모바일 기기(40)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기기(40)를 받침대(23)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충전케이블(50)의 제2접속잭(52)이 하단홈(24)에 구속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거치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하더라도 모바일 기기(40)가 미끄러질 염려가 없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거치대(20,21)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받침대(23)에 형성된 하단홈(24)에 의해 거치대(20,21)의 중앙에 모바일 기기(40)를 배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즉 충전케이블(50)의 제2접속잭(52)을 모바일 기기(40)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거치를 하게 되면, 받침대(23) 중앙에 형성된 하단홈(24)에 의해 제2접속잭(52)이 안내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40)를 거치프레임(21)의 중앙으로 쉽게 위치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초기에 모바일 기기(40)를 가운데로 위치시키는 작업을 지원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10)에서 거치대(20,21)를 세워 모바일 기기(40)를 거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배터리(30)는 거치대(20,21)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실수로 거치대를 건드리더라도 무거운 배터리(30)의 저 중심 구조에 의해 거치대가 쉽게 넘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40)를 거치 시킨 상태라면, 모바일 기기(40)의 화면 바로 아래쪽으로 표시부(15)가 위치하게 된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 모바일 기기(40)의 화면과 케이스(10)의 표시부(15)가 위 아래로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배터리(30)의 잔량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하면서 동시에 영상통화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본체
12 : 제1접속구
13 : 제2접속구
14 : PCB
15 : 표시부
16 : 키입력부
20 : 덮개프레임
21 : 거치프레임
22 : 연결대
23 : 받침대
24 : 하단홈
25 : 제1힌지
26 : 제2힌지
30 : 배터리
40 : 모바일 기기
50 : 충전케이블
51 : 제1접속잭
52 : 제2접속잭

Claims (3)

  1. 배터리가 안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제1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타측에서 제2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서 가려줄 수 있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기 연결대는 내측이 상기 배터리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을 접으면 상기 연결대의 개방된 내측으로 상기 배터리가 진입하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기 받침대 중앙에 하단홈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기 받침대를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받침대에 거치하고 상기 하단홈을 통해 충전케이블을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접속구에 연결함으로써 충전과 거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기기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받침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단홈을 통해 상기 충전케이블을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접속구에 연결하면 상기 충전케이블이 상기 하단홈 내에서 구속된 상태가 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받침대에서 수평이동하게 되더라도 상기 충전케이블이 상기 하단홈 둘레의 상기 받침대에 걸려 상기 모바일 기기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2. 삭제
  3. 삭제
KR1020180033060A 2018-03-22 2018-03-22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KR10206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60A KR102064329B1 (ko) 2018-03-22 2018-03-22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60A KR102064329B1 (ko) 2018-03-22 2018-03-22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22A KR20190111222A (ko) 2019-10-02
KR102064329B1 true KR102064329B1 (ko) 2020-01-09

Family

ID=6842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060A KR102064329B1 (ko) 2018-03-22 2018-03-22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6280367U (zh) * 2020-09-14 2022-04-12 前海骏达(深圳)股权投资有限公司 一种支架以及电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84B1 (ko)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KR101788469B1 (ko)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84B1 (ko)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KR101788469B1 (ko) 2016-09-12 2017-10-20 장세식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22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8684B (zh) 便携式电子装置
US9152187B2 (en) Docking station and portable apparatus
KR101154541B1 (ko) 스탠드가 내장된 태블릿 컴퓨터용 무선 키보드
US9918395B1 (en) Three part foldable housing supporting multiple use posi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EP1976091A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battery charger and adaptor to set portable terminal device thereon
CN103312846A (zh) 用于便携式电话的通用扩展坞
KR102064329B1 (ko)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KR102005296B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JP2012060717A (ja) 携帯充電器
KR20170127899A (ko) 태양전지패널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
AU201231755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radle and desktop telephone
US11581914B1 (en) Mobile phone holder with storage compartment
CN205377390U (zh) 带支架可悬挂的手机充电装置
CN104917226A (zh) 隐藏式手机支架移动电源
US8521082B1 (en) Signal boosting and charg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JP3762126B2 (ja) 携帯通信装置
CN105744030A (zh) 隐形手机支架
KR102015548B1 (ko)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CN210927184U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器
JP3751797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
KR10236741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CN210123557U (zh) 一种基于云平台的保密输入设备
RU2640448C1 (ru) Полка для розетки (варианты)
NL1043573B1 (en) D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