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21776A1 -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1776A1
WO2016021776A1 PCT/KR2014/011289 KR2014011289W WO2016021776A1 WO 2016021776 A1 WO2016021776 A1 WO 2016021776A1 KR 2014011289 W KR2014011289 W KR 2014011289W WO 2016021776 A1 WO2016021776 A1 WO 20160217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charging
mounting
charging system
magnetic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2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규 filed Critical 김인규
Priority to US15/314,94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214260A1/en
Publication of WO20160217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17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60R2011/0089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round three axes, i.e. universally mount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wireless terminal, more specifically, a combined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a magnetic induction device and an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a magnetic induction sticker to attach the wireless terminal with magne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induction device. It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station combined charging system comprising a.
  • the wired charging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using the charging cable has a hassle of plugging and unplugging each time using the charging cable termina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able terminal is frequently broken by this repetitive action.
  • wireless terminal chargers have been commercialized as more IT technologies using a wireless network than an analog method are used for user mobility and convenience.
  • a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that uses a magnetic induction current to flow through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distance is short, the charging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even with a few mm difference. It is important to stick to the location.
  • a wireless terminal charger generally includes (a)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charging receiving pad on the upper side of a plate-shaped charger, or (b) a wireless bracket with a binding bracket when used as a vehicle or a stationary device. A method of fixing a terminal is used.
  • the user puts on the charging pad to check the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notification message in order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charging unit, but on the surface, it is im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contact is in the correct position,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harging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
  •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4-0051569 (Wireless Charging Pad for Mobile Terminal) includes a touch scree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housing, a power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applications.
  • a touch scree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housing, a power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application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mount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detachable contact with a charging unit at an accurate position in a one-touch manner using magnetic force.
  • the combined wireless terminal charging system includes a dual terminal charging device and the attachment devi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 the combined charging device for mounting a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charging unit into which a charger is inserted and a charging unit into which a charging unit is inserted, a mounting case into which a wireless terminal is mounted, and a front side of the mounting case, and a magnetic induction device for magnetically mounting the wireless terminal in an accurate posit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ounting case.
  • the attachment devi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may include a magnet induction sticker corresponding to the magnet induction device and a charging receive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rear case of the wireless terminal.
  • th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a 'b' shaped body inclined to the rear side and the lower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the lower fixing portion is a circular or square cylinder for fixing to the dashboard or glass Or plate ty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fixing to a tape or CD device.
  • the charg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harging coil for flowing an induction current to a wireless terminal, a PCB board for preventing leakage current and transient current,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charging coil and the PCB board, and the charging coil and the PCB board. It is dispos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ulator to be insulated other than the connecting line.
  • the combined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a magnetic induction device and the magnetic induction sticker is provided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attached to the magne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induction device
  • the one-touch detachable so there is an easy effect on mounting and charging.
  •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equipped with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ower fixing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has the effect of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termin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n exploded side view showing a wireless terminal combined charging device of the dual termin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wireless terminal combined charging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station du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wireless terminal combined charging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station combined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upport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tape or CD insertion port of the dual-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magnetic induction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mounting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devi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wireless terminal mounting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terminal station combined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charging receive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female charging terminal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wireless terminal, more specifically, a combined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a magnetic induction device and an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a magnetic induction sticker to attach the wireless terminal with magne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induction device. It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station combined charging system comprising a.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termin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n exploded side view showing a wireless terminal combined charging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mounted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wirel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ide of a dual termin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ide view of a dual termin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magnetic induction device of the dual-termin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wireless terminal of the combined charging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ttachment device provided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rging system equipped wit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of a charging receiver and a wireless terminal attached to an inside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female charging terminal part.
  • the charging unit 10 is inserted into the charger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charging unit is inserted, the mounting case 20 and the mounting of the wireless terminal is mounted 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e, and includes a magnetic induction device 200 for mounting the wireless terminal by magnetic force and a support 30 for supporting the mounting case.
  • the charging unit 10 transmits the external power input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4 described later in FIG. 3 to the first charging coil 100.
  •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4 is included in the PCB substrate 102, the PCB substrate is composed of a transistor, a resistor, etc. to prevent leakage current and transient current.
  • connection line 103 is formed between the PCB substrate 102 and the first charging coil 100, and the insulator 101 is preferably disposed so as to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except the connection line.
  • the charging receiv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includes a second charging coil 50a, and is transformed by a turns ratio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between charging coils 100-50a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voltage. Voltage is applied to 50.
  • the male terminal portion 50b of the charging receiver 50 is connected to the female charging terminal portion 60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is charged by an induced current.
  • the charging unit 10 generates an induction current and charges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receiver 50 (shown in FIG. 9) that is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rear case of the wireless terminal.
  • the charging unit 10 has an output power amount of 1A, it is preferable to facilitate the product design by using as light and thin accessories as possible.
  • the mounting case 20 is provided with a magnetic induction device 200, the wireless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201 is mounted o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lower portion 202 connected to the ball head 303 shown in FIG.
  • a non-slip pad 207 made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i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 upper portion 201 and the lower portion 202 are coupled to the connection frame 203 in the form of a hollow strip open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characterized by.
  • connection frame 203 may have an appearance effect by changing colors or materials.
  • the support part 30 is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body and the lower fixing part 301 provided on the 'b' shaped body 300 and the lower side of the body inclined back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asy angle adjustment. And, the 'b' or open 'o' type of charging cable hanger for fixing the wire 302 is provided to maintain a clean appearance.
  • the support portion 3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case 20, has a support neck and includes a ball head 303 (shown in Figure 3).
  • the lower fixing part 301 may have a circular or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for attaching and fixing to a dashboard or glass or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fixing to a tape or CD devi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FIG.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wireless terminal mounting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er portion 202 is a charging terminal connected to a charging cab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receive power from the cigar jack or USB charger 204
  • a hollow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205 of a predetermined height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t a lower end of the lower portion 202 and a hollow cylindrical ball head fixing stopper 206 having a nut shape at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reof.
  • the coupling portion 205 and the ball head fixing stopper 206 are bolt-nut coupled, the ball head 303 is fitted to the ball head fixing stopper 206, wherein the 360 degrees Rotation is possible.
  • the lower fixed part 301 of the circular or square cylindrical shape has a central shaft 301a for supporting the lower fixed part in the center, and a coil spring 301b surrounding the central shaft.
  • the central shaft 301a is connected to the adsorption plate 301d made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and includes a projection 301e for easy detachment from the attachment surface to the adsorption plate.
  • the hinge lever 301c is folded into a hinge, the hinge lev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at the corner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hinge lever A hinge engagement step 301f is formed at an engaged position, and when the hinge lever is lowered, the hinge engagement step 301f is fitted and fixed.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wireless terminal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 shaped support portion 30 inclined back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support the mounting case 20. It is preferable to use a rigid plastic such as ABS so that the ball head 303 provided on the support part 30 does not easily break.
  • FIG. 5 is a view showing a support that can be installed in a tape insertion hole or a CD insertion hole of the dual-termin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y be installed at the tape insertion hole, and (b) is a CD insertion hole. Is installed on.
  •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or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can be removed, and a shape suitable f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user can be selected and fitted.
  • FIG.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agnetic induction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mounting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induction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 strong magnet 200a having an N pole at a predetermined number and interval.
  • the small magnet 200b having a smaller size and weaker magnetic force than the strong magnet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magne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form the periphery as the S pole.
  • the thin magnet (S pole) 401 of the magnet induction stick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FIG. 7 is pulled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NS pole with the strong magnet 200a (N pole) of the magnet induction device 200.
  • the small magnet 200b (S pole) provided next to the strong magnet is pushed out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S pole and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 the pole of the magnet can be form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osition can be better fixed if the number of magnets or the magnetic force is large.
  • FIG. 7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attachment device provided in a wireless terminal of the dual-termin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gnetic induction sticker 40 is an attachment sticker 400 for attaching the magnetic induction sticker to the wireless terminal. )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 the adhesive sticker 400 is attached to the rear case of the wireless terminal, it will be preferable to use an acrylic tap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 excellent adhesiveness of wat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bonding strength even after a long time.
  • the magnetic induction sticker 40 attached to the rear of the wireless terminal can be easily peeled off, thereby preventing the charging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 the attachment sticker 400 has a magnet accommodating groove 400a for providing the thin magnet 40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fix the thin magnet 401 at an accurate position, and the magnetic induction sticker is curved to have a thin magnet ( 401) prevents bending and can be flattened.
  • the thin magnet 401 uses a thin magnet within 1mm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sticker, and is magnetically attach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gnet induction device 200 of the mounting and charging device shown in FIG.
  • a contact pad 402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magnetic induction sticker 40, and is attached corresponding to the non-slip pad 207.
  • the contact pad 402 and the non-slip pad 207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that is not easily contaminated to have a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contact pad 402 and the non-slip pad 207 can have additional adhesion in addition to the magnetic force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attached to the charging device. .
  • contact pads 402 and the non-slip pads 207 may be formed in various colors to broaden the user's selection and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product design.
  • the magnet induction sticker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ttachment sticker 400, the thin magnet 401, and the contact pad 402 are stacked in a sandwich structure.
  • the magnetic induction sticker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ireless terminal, not the outside, and a thin guide stick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induction sticker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terminal.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terminal mounting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induction sticker 40 attached to the rear of the wireless terminal is coupled to the magne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mounting charging device.
  •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charging receive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ale terminal portion 50b provided in the charging receiver 50 is connected to the female charging terminal portion 60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is charged with a second charge. Induction current generated by the coil 50a flows and is char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된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대응하여 자력으로 무선 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자석유도스티커가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스티커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를 원터치로 탈착이 가능하고, 충전부와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어, 전력 전달거리가 짧아 약간의 차이로도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자기 유도 충전 방식에 효과적이다.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된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대응하여 자력으로 무선 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자석유도스티커가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 단말기의 유선 충전 방식은 충전 케이블 단자를 사용 시 마다 끼웠다 뺐다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반복 행위로 케이블 단자가 자주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사용자의 이동성과 편리함을 위하여 아놀로그 방식이 아닌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IT기술들이 많아지면서 무선 단말기 충전기가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무선 충전 방식으로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이 상용화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전력 전달거리가 짧아 몇 mm의 차이로도 충전 효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를 무선 충전기에 정확한 위치에 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같이,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 충전기는 (a)판형으로 된 충전기의 상측에 충전 수신 패드가 장착된 무선 단말기를 올리거나 (b)차량용 또는 거치용도로 사용할 시에는 결속 브라켓으로 무선 단말기를 고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와 충전부의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a)충전 패드에 올려 무선 충전 여부를 알림말을 통하여 확인하나, 표면상으로는 정확한 위치에 접촉되었는지 확인 할 수 없어 충전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b)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결속 브라켓을 벌려 무선 단말기를 고정하여 탈착의 불편함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1569호(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패드)는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전력 송신 모듈,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나 여전히 거치의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력을 이용한 원터치 방식으로 정확한 위치에 충전부와 접촉이 되고,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정확한 위치에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유도장치에 대응하는 자석유도스티커와 무선 단말기의 뒷면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뒤측으로 기울어진 ‘ㄴ’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하단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하단 고정부는 대시보드 또는 유리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원형 또는 사각형의 원통 이거나 Tape 또는 CD장치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형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무선 단말기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제 1충전 코일과 누설 전류 및 과도 전류를 막기 위한 PCB기판과 상기 충전 코일과 상기 PCB기판을 연결하는 연결선과 상기 충전 코일과 상기 PCB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선 외에는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된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대응하여 자력으로 무선 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자석유도스티커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터치로 탈착이 가능하여 거치 및 충전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하단 고정부를 달리할 수 있어 설치 위치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단말기 충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Tape 또는 CD 삽입구에 설치가 가능한 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자석 유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 리시버와 무선 단말기의 암 충전 단자부를 도시한 정면도.
10 : 충전부
- 100 : 제 1충전 코일
- 101 : 절연체
- 102 : PCB기판
- 103 : 연결선
20 : 거치 케이스
- 200 : 자석 유도 장치
- 200a : 강력 자석
- 200b : 소형 자석
- 201 : 상측부
- 202 : 하측부
- 203 : 연결 프레임
- 204 : 충전 단자부
- 205 : 결합부
- 206 : 볼 헤드 고정마개
- 207 : 미끄럼방지 패드
30 : 지지부
- 300 : 몸체
- 301 : 하단 고정부
- 301a : 중앙축
- 301b : 코일 스프링
- 301c : 힌지 레버
- 301d : 흡착판
- 301e : 돌출부
- 301f : 힌지 결합 단차
- 302 : 충전 케이블 걸이
- 303 : 볼헤드
40 : 자석유도스티커
- 400 : 부착 스티커
- 400a : 자석 구비 홈
- 401 : 박형 자석
- 402 : 접촉 패드
50 : 충전리시버
- 50a : 제 2충전 코일
- 50b : 수 단자부
60 : 무선 단말기 암 충전 단자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된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대응하여 자력으로 무선 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자석유도스티커가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단말기 충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Tape 또는 CD 삽입구에 설치가 가능한 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자석 유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 리시버와 무선 단말기의 암 충전 단자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분해한 측면도로서,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10)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20)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 유도 장치(200)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부(10)는 도 3에서 후술하는 충전 단자부(204)를 통해 입력된 외부 전원을 제 1충전 코일(100)에 전송한다.
상기 충전 단자부(204)는 PCB기판(102)에 포함되며, 상기 PCB기판은 누설 전류 및 과도 전류를 막기 위한 트랜지스터, 저항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PCB기판(102)과 제 1충전 코일(100)의 사이에 연결선(103)이 형성되며, 연결선 외에는 서로 절연되도록 절연체(101)를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 후술하는 상기 충전 리시버(50)는 제 2충전 코일(50a)을 구비하고 있으며, 권선비에 의해 변압되어 원하는 소정의 전압으로 충전 코일 간(100-50a)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충전 리시버(50)에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충전 리시버(50)의 수 단자부(50b)는 무선 단말기의 암 충전 단자부(60)와 연결되며 유도 전류에 의하여 충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전부(10)는 무선 단말기 후면 케이스 내측에 단자 끼움 또는 부착 결합되는 충전 리시버(50)(도 9에 도시)에 대응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충전이 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10)는 1A의 출력전력량을 가지며, 가능한 가볍고, 얇은 부속품을 사용하여 제품 디자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 케이스(20)는 자석 유도 장치(200)가 구비되어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상측부(201)와 도 3에서 도시되는 볼 헤드(303)와 연결되는 하측부(202)와 무선 단말기가 접촉되는 표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미끄럼방지 패드(207)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부(201)와 상기 하측부(202)는 소정의 높이로 개구된 중공 띠 형태의 연결 프레임(203)으로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203)은 색상 또는 재질을 달리 하여 외관상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30)는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소정의 각도로 뒤측으로 기울어진‘ㄴ’형태의 몸체(300)와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하단 고정부(301)와 상기 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전선을 고정하는‘ㄴ’또는 개방된‘ㅇ’형태의 충전 케이블 걸이(302)가 구비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 케이스(20)와 연결되고, 지지하는 목을 가지며 볼 헤드(303)(도 3에 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고정부(30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시보드 또는 유리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통형 이거나 Tape 또는 CD장치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형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의 후면을 도시한 분해도로서, 상기 하측부(202)는 소정의 위치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시가잭 또는 USB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 단자부(204)와 상기 하측부(202)의 하단에 외주부가 볼트형상인 소정의 높이의 중공 원통형의 결합부(205)와 내주부에 너트형상이 구비되는 중공 원통형의 볼 헤드 고정마개(20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부(205)와 상기 볼 헤드 고정마개(206)는 볼트-너트 결합되고, 볼헤드(303)가 상기 볼 헤드 고정마개(206)에 끼움 결합되며, 이 때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원형 또는 사각 통형의 하단 고정부(301)는 상기 하단 고정부를 가운데서 지지하는 중앙축(301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축을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301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중앙축(301a)은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된 흡착판(301d)과 연결되며, 상기 흡착판에 부착 표면에서 용이하게 떼어내기 위한 돌출부(301e)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301b)의 상부 말단과 연결되며, 힌지로 접힘이 되는 힌지 레버(301c)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레버는 소정의 위치의 모서리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 레버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위치에 힌지 결합 단차(301f)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힌지 레버를 내리면 힌지 결합 단차(301f)에 끼워져 고정이 된다.
동시에, 상기 코일 스프링이 위로 당겨지면서 상기 중앙축(301a)과 연결된 흡착판(301d)이 위로 당겨지면서 부착 표면에 부착된다.
반면에 상기 힌지 레버(301c)를 다시 올리면 흡착판과 부착 표면 사이에 공기가 빠지면서 부착력이 약해지고, 상기 돌출부(301e)를 잡고 떼어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소정의 각도로 뒤측으로 기울어진‘ㄴ’형태의 지지부(30)는 거치 케이스(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30)에 구비되는 볼헤드(303)가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ABS와 같은 견고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Tape 삽입구 또는 CD 삽입구에 설치가 가능한 지지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Tape삽입구에 설치할 수 있고, (b)는 CD삽입구에 설치된다.
거치 겸용 충전기가 (b)CD삽입구에 설치될 때, CD장치 내의 CD지지대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뚫린 형상이다.
원통 또는 사각형의 통형의 하단 고정부를 떼어내고, 사용자의 설치 환경에 맞는 형태를 선택하여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자석 유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자석 유도장치(200)는 소정의 수와 간격으로 N극인 강력자석(200a)이 구비되고, 상기 강력 자석의 주위에 상기 강력 자석보다 크기가 작고 약한 자력을 가진 소형자석(200b)을 반대로 붙여주어 주변을 S극으로 형성한다.
이로 인해, 도 7에서 상세히 후술되는 자석 유도 스티커(40)의 박형 자석(S극)(401)이 자석 유도 장치(200)의 강력 자석(200a)(N극)과는 N-S극의 인력으로 당겨지고, 강력 자석의 옆에 구비되는 소형 자석(200b)(S극)과는 S-S극의 척력으로 밀어내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자석의 극은 반대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자석의 개수가 많거나 자기력이 크면 위치가 더 잘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분해한 도시도로서, 자석 유도 스티커(40)는 상기 자석 유도 스티커가 무선 단말기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 스티커(400)가 하측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부착스티커(400)는 무선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에 부착되며, 오랜 시간 붙여도 접착제가 묻어나지 않고, 내수성, 내열성, 접합강도가 뛰어나면서 탈부착이 가능한 아크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하여, 무선 단말기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무선 단말기 후면에 부착되는 자석 유도 스티커(40)를 쉽게 떼어낼 수 있어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스티커(400)는 소정의 위치에 박형 자석(401)을 구비하기 위한 자석 구비홈(400a)이 형성되어 박형 자석(401)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고, 자석 유도 스티커를 굴곡이 박형 자석(401)으로 인하여 굴곡이 생기지 않게 하고, 평편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박형 자석(401)은 스티커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mm 이내의 얇은 자석을 이용하며, 도 6에 도시된 거치 및 충전 장치의 자석 유도 장치(200)와 대응되어 자력으로 부착된다.
또한, 자석 유도 스티커(40)의 가장 상부에 접촉 패드(402)가 구비되어, 미끄럼방지 패드(207)와 대응하여 부착된다.
접촉 패드(402)와 미끄럼방지 패드(207)은 오염이 쉽게 되지 않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재질로 구비하여 마찰력을 가져 무선 단말기를 거치 및 충전 장치에 부착시 자력 이외에 부가적인 부착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패드(402)와 미끄럼방지 패드(207)의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제품 디자인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석 유도 스티커(40)는 부착 스티커(400)-박형 자석(401)-접촉 패드(402)가 샌드위치 구조로 겹쳐진 형태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로는 자석 유도 스티커를 무선 단말기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부착하고, 무선 단말기의 외부에 자석 유도 스티커의 위치를 알려주는 박형의 가이드 스티커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무선 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된 자석 유도 스티커(40)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에 대응되어 자력으로 결합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 리시버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충전 리시버(50)에 구비된 수 단자부(50b)가 무선 단말기의 암 충전 단자부(60)에 접속되고 제 2충전 코일(50a)에 의해 발생된 유도 전류가 흘러 충전이 된다.

Claims (8)

  1.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거치 겸용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의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유도 장치에 대응되도록 맞추어주며, 무선 단말기 하단에 부착되는 자석유도스티커와;
    상기 충전부와 대응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무선 단말기 하단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리시버를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의 후면에는 상기 충전 리시버와 접속되는 무선 단말기 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소정의 각도로 뒤측으로 기울어진‘ㄴ’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하단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전선을 고정하는‘ㄴ’또는 개방된‘ㅇ’형태의 충전 케이블 걸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 케이스와 연결되고, 지지하는 목을 가지는 볼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부는
    대시보드 또는 유리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통형 이거나 Tape 또는 CD장치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또는 사각 통형의 하단 고정부는
    상기 하단 고정부를 가운데서 지지하는 중앙축과;
    상기 중앙축을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중앙축과 연결되며,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에 구비되며, 부착 표면에서 떼어내기 위한 돌출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부 말단과 연결되며, 힌지로 접힘이 되고, 소정의 위치의 모서리에 돌출부가 구비된 힌지 레버와;
    상기 힌지 레버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위치에 구비된 힌지 결합 단차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레버를 내리면 상기 흡착판이 위로 당겨지면서 부착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케이스는
    상기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되어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상측부와;
    볼 헤드와 연결되는 하측부와;
    무선 단말기가 접촉되는 표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미끄럼방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부와 상기 하측부는 소정의 높이로 개구된 중공 띠 형태의 연결 프레임으로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유도 장치는
    소정의 수와 간격으로 구비된 강력 자석과;
    상기 강력 자석 주위에 부착되고, 상기 강력 자석과 반대극으로 구비되며, 상기 강력 자석보다 약한 자력을 가지는 소형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무선 단말기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제 1충전 코일과;
    누설 전류 및 과도 전류를 막기 위한 PCB기판과;
    상기 충전 코일과 상기 PCB기판을 연결하는 연결선과;
    상기 충전 코일과 상기 PCB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선 외에는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리시버는
    제 1충전 코일과 대응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되는 제 2충전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유도 스티커는
    상기 자석 유도 스티커가 무선 단말기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 스티커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며, 강력자석과 반대극으로 구비되는 박형 자석과;
    상기 부착 스티커에 구비되며, 상기 박형 자석을 구비하기 위한 자석 구비홈과;
    상기 거치 케이스의 미끄럼방지 패드에 대응되며 상기 자석 유도 스티커의 상부에 부착되는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PCT/KR2014/011289 2014-08-08 2014-11-21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WO20160217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14,943 US20170214260A1 (en) 2014-08-08 2014-11-21 Set for holding and charg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92A KR101529469B1 (ko) 2014-08-08 2014-08-08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KR10-2014-0102292 2014-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1776A1 true WO2016021776A1 (ko) 2016-02-11

Family

ID=5351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289 WO2016021776A1 (ko) 2014-08-08 2014-11-21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214260A1 (ko)
KR (1) KR101529469B1 (ko)
WO (1) WO2016021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6304A1 (en) * 2015-05-29 2016-12-08 Nike Innovate C.V. Apparel with wireless-powered sensors
KR101628165B1 (ko) * 2015-09-08 2016-06-08 주식회사 이피텍 차량용 듀얼 휴대단말기 거치대
US10563683B2 (en) * 2016-05-02 2020-02-18 Yona Lebovitz Magnetic mobile-device mount
CN205882739U (zh) * 2016-05-18 2017-01-11 严兵 一种无线式万能充电手机支架
DE102016111448A1 (de) * 2016-06-22 2017-12-28 Bury Sp.Z.O.O Haltersystem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in einem Fahrzeug
US20180118132A1 (en) * 2016-11-02 2018-05-03 Nick Derokov Supporting means for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supply retention means
US10505392B2 (en) * 2016-12-01 2019-12-10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device mount
KR102381434B1 (ko) * 2017-03-02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81711B1 (ko) * 2017-03-22 2022-03-3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KR20190021546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무선충전식 이동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DE102017216637B4 (de) * 2017-09-20 2021-04-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r Fahrzeugkomponente an einer Scheibenfläche eines Kraftfahrzeugs und eine derartige Vorrichtung umfassendes Kraftfahrzeug
US11021111B2 (en) * 2018-09-12 2021-06-01 Scosche Industries, Inc. Dash cam mount
KR102120428B1 (ko) * 2018-10-15 2020-06-08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US11509149B2 (en) 2018-12-27 2022-11-22 Scosche Industries, Inc. Modular device charging station
US11011921B2 (en) * 2018-12-31 2021-05-18 Scosche Industries, Inc.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WO2020141680A1 (ko) 2019-01-04 2020-07-0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JP7077977B2 (ja) * 2019-01-23 2022-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器、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端子の離脱方法
DE202019104543U1 (de) * 2019-08-19 2019-08-29 Ayhan Alptekin Vorrichtung zur abnehmbaren Halterung eines Schlüssels an oder in einem Kraftfahrzeug
US11364855B2 (en) * 2019-11-04 2022-06-21 Handstands Promo, Llc Vehicle vent clip mount
KR200494737Y1 (ko) * 2020-05-18 2021-12-10 강동철 오토바이용 자석식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대
USD1027929S1 (en) 2020-06-11 2024-05-21 Theresa Soon Seatback phone mount
WO2022066134A1 (ru) * 2020-09-28 2022-03-31 Сергей Дмитриевич ПОЛИНКЕВИЧ Держатель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239517B1 (ko) * 2021-01-26 2021-04-12 김경철 모터사이클용 무선 충전장치
KR200495720Y1 (ko) * 2021-03-19 2022-08-03 이정화 배선형 다공 차폐판을 구비한 오토바이용 유무선 충전 장치
KR20230018751A (ko) 2021-07-30 2023-02-0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시트거치용 충전장치
USD1006010S1 (en) 2021-12-30 2023-11-28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device mounting head
KR102572874B1 (ko) * 2022-11-16 2023-08-30 주식회사 스토리너스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CN115742985B (zh) * 2022-12-15 2023-05-26 黑龙江天有为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支架及交通工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34B1 (ko) * 2010-10-11 2011-03-09 주식회사 이피텍 이동통신단말기용 거치유니트
KR101219760B1 (ko) * 2012-06-29 2013-01-21 이동엽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20130125196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형지테크 휴대폰 거치대
KR20140065294A (ko) * 2012-11-21 2014-05-29 현대다이모스(주)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KR20140003508U (ko) * 2012-12-03 2014-06-11 성운수 충전케이스 대용 무선 충전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9507A1 (en) * 2009-10-28 2011-04-28 Google Inc. Displaying a collection of interactive elements that trigger actions directed to an item
US9483075B2 (en) * 2013-05-14 2016-11-01 Paul Liniger Handheld mount and stand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844159B1 (en) * 2014-04-24 2017-12-12 Paul Stanley Liniger Handheld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773601B2 (en) * 2015-03-03 2017-09-26 Attachit LLC Magnetic moun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34B1 (ko) * 2010-10-11 2011-03-09 주식회사 이피텍 이동통신단말기용 거치유니트
KR20130125196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형지테크 휴대폰 거치대
KR101219760B1 (ko) * 2012-06-29 2013-01-21 이동엽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20140065294A (ko) * 2012-11-21 2014-05-29 현대다이모스(주)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KR20140003508U (ko) * 2012-12-03 2014-06-11 성운수 충전케이스 대용 무선 충전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469B1 (ko) 2015-06-17
US20170214260A1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1776A1 (ko)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WO2020046024A1 (ko)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WO2012086908A1 (ko)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20141680A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WO2012148178A2 (ko)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의 개량구조
WO2012030010A1 (ko) 모바일 기기의 송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부스터 케이스
WO2018124416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WO2019059473A1 (ko)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WO2016085006A1 (ko)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WO2013065959A1 (ko) 화장용 퍼프 장치
WO2011136498A2 (ko)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WO2011002202A2 (ko) 각변위 가능한 진공-그리퍼 장치
WO2014137066A1 (ko) 자동 위치조정 무선충전기 및 그를 이용한 충전 방법
WO2010082740A2 (ko) 자석팁이 구비된 줄자
WO2020184804A1 (ko)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및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WO2017007069A1 (ko) 차량 핸들에 설치되는 휴대폰 거치대
WO2019022449A1 (ko)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WO2017126925A1 (ko) 마그네틱 커넥팅 장치
WO2024101690A1 (ko) 휴대 단말용 액세서리 디바이스
WO2017155208A1 (ko) 전선 자동감김 장치
WO2018190464A1 (ko) 충전케이블 연장 길이를 제어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
WO2014175511A1 (en) Calibrator
WO2010117105A1 (ko) 전자석 회전 장치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용 필터 체인지 어셈블리및 그 동작방법
WO2015064852A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991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1494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91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