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196A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196A
KR20130125196A KR1020120048749A KR20120048749A KR20130125196A KR 20130125196 A KR20130125196 A KR 20130125196A KR 1020120048749 A KR1020120048749 A KR 1020120048749A KR 20120048749 A KR20120048749 A KR 20120048749A KR 20130125196 A KR20130125196 A KR 2013012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joint
frame
flan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봉
김영일
손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형지테크
한규봉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형지테크, 한규봉, 김영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형지테크
Priority to KR1020120048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196A/ko
Publication of KR2013012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8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의 유리에 부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틀에 밀착판을 결합하고, 상기 밀착판은 압박수단에 의해 틀에 지지되어 상기 압박수단의 승하강에 의해 유리에 밀착시킨 탄성 재질의 밀착판이 연동하여 유리의 경계 틈새 공간을 진공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제1부착부와, 상기 틀에 힌지 결합된 제1관절에 제2관절을 각도 변환이 가능하게 연결한 관절부와, 상기 제2관절에 연결수단을 통해 힌지 연결시킨 패드 전면에 반 호 형상의 흡착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흡착수단 전면에 휴대폰을 압착시켜 상기 흡착수단에 진공 상태를 유도하여 휴대폰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제2부착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Hands Free Kit}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압착 방식으로 차량의 유리에 부착시키면서 다 관절로 절곡 각도를 손쉽게 가변시켜 휴대폰의 위치 선정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모바일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이동 중인 차량안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매우 크며, 또한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행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량 내부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거치대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제작되어 이미 많은 종류의 거치대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크게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면서 고정되는 측면 고정방식과,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전자의 경우에는 차량의 대쉬보드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전방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전면에는 내부 양측 벽면에 소정의 고정부를 구비한 포켓 형태의 안착부가 구비된 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착부에 구비된 고정부가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구조로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자석을 이용하는 방식은 본체의 전면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휴대폰의 후면 배터리에는 소정의 형태로 금속판에 부착함으로써,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휴대폰이 부착 고정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부가 대부분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 만을 제공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차량 주행중 급감속시, 급가속시, 또는 차량의 요동시 휴대폰이 임의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최근 출시되는 휴대폰들에는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소정의 형태로 사이드 키들이 배열 설치되어 있지만, 고정부가 휴대폰의 양측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사이드 키가 임의적으로 눌려져 휴대폰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휴대폰의 후면 배터리에 별도로 구성되는 금속판을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미관을 크게 손상시키게 되고, 공기 중의 습기에 의해 금속판에 녹이 발생하게 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금속판의 제거 또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과 거치대를 공기 압착 방식으로 차량의 유리에 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거치대가 다 굴절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폰의 위치 선정에 대한 가변을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을 거치대에 고정시킬 때 발생하는 압력에 따른 패드의 이동간격을 흡수하여 휴대폰 고정시 거치대와 유리의 결합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 실내에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유리에 부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틀에 밀착판을 결합하고, 상기 밀착판은 압박수단에 의해 틀에 지지되어 상기 압박수단의 승하강에 의해 유리에 밀착시킨 탄성 재질의 밀착판이 연동하여 유리의 경계 틈새 공간을 진공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제1부착부와, 상기 틀에 힌지 결합된 제1관절에 제2관절을 각도 변환이 가능하게 연결한 관절부와, 상기 제2관절에 연결수단을 통해 힌지 연결시킨 패드 전면에 반 호 형상의 흡착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흡착수단 전면에 휴대폰을 압착시켜 상기 흡착수단에 진공 상태를 유도하여 휴대폰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제2부착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틀의 중앙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일단은 밀착판 중앙에 고정되고, 타측은 틀의 상부로 노출된 연결바와, 상기 틀의 상부에 노출된 연결바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틀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부에 지렛대를 형성시켜 회전에 의해 지렛대를 통해 연결바를 승강시키는 누름바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절부는 상기 틀의 외주연에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 일측이 결합되어 힌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제1관절과, 상기 제1관절과 제2부착부의 연결수단에 각각 설치된 볼 연결구를 결합하도록 양끝단에 수용공간이 마련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되어 볼연결구의 외주연에 압박하는 압박구를 한 쌍으로 마련한 후 수용공간과 볼연결구, 압박구에 가압볼트를 관통시킨 다음 너트를 체결하여 제1관절과 제2부착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각도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제2관절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2관절의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볼 연결구가 마련되고, 상기 볼 연결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의 배면에 형성된 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랜지는 이중 구조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은 제2플랜지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플랜지에는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커버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연결수단에서 패드를 탄력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틀 내부의 상부면과 밀착판 사이 공간에 스프링을 장착하되, 상기 스프링에 압박수단이 관통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홈을 형성시켜 상기 제2플랜지에 형성시킨 걸림턱이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유리에 맞대어 고정되는 제1부착부에서 압박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틀의 중앙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일단은 밀착판 중앙에 고정되고, 타측은 틀의 상부로 노출된 연결바와, 상기 틀의 상부에 노출된 연결바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틀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부에 지렛대를 형성시켜 회전에 의해 지렛대를 통해 연결바를 승강시키는 누름바로 구성시킨다.
이로써, 상기 제1부착부를 유리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밀착판이 유리에 긴밀히 밀착시킬 수 있도록 가압시킨 다음 상기 압박수단 중 누름바를 회전시킨 후 상기 누름바는 지렛대를 기준으로 스프링을 압박하면서 상기 연결바를 상부로 상승시켜 밀착판 중앙을 끌어올려 상기 유리와 밀착판의 밀착 해제 공간 사이가 진공상태로 변환시켜 유리에 제1부착부가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진공상태를 해제할 경우 누름바를 역회전시키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바가 원래의 상태로 하강하여 밀착판과 유리 사이의 틈새 공간이 없어지면서 진공을 통한 고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음으로 휴대폰과 거치대를 공기 압착 방식으로 차량의 유리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제1부착부와 제2부착부를 연결하는 제1관절과 제2관절로 이루어진 관절부를 통해 다 굴절로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1부착부를 기준으로 제2부착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하는 동시에 배치가 완료된 제2부착부의 위치 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거치대에 고정시킬 때 발생하는 압력에 따른 패드의 이동간격을 흡수하여 휴대폰 고정시 거치대와 유리의 결합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고정이 오류 없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 중 제2부착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 중 제1부착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에서 휴대폰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 중 제2부착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 중 제1부착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에서 휴대폰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 10는
유리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부착부 100와, 상기 제1부착부 100에 다 굴절 각도 변환이 가능한 관절부 200와, 상기 관절부 200에 연결되어 휴대폰을 탈부착 시키는 제2부착부 300로 구성한다.
상기 제1부착부 100는 차량의 유리에 공기 압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휴대폰은 제2부착부 300에 공기 압착 방식으로 고정된다.
먼저, 제1부착부 100는 차량의 유리에 부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틀 110에 밀착판 120을 결합하고, 상기 밀착판 120은 압박수단 130에 의해 틀 110에 지지되어 상기 압박수단 130의 승하강에 의해 유리에 밀착시킨 탄성 재질의 밀착판 120이 연동하여 유리의 경계 틈새 공간을 진공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압박수단 130은 상기 틀 110의 중앙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일단은 밀착판 120 중앙에 고정되고, 타측은 틀 110의 상부로 노출된 연결바 131와, 상기 틀 110의 상부에 노출된 연결바 13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틀 110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부에 지렛대 133를 형성시켜 회전에 의해 지렛대 133를 통해 연결바 131를 승강시키는 누름바 132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틀 110 내부의 상부면과 밀착판 120 사이 공간에 스프링 112을 장착하되, 상기 스프링 112에 압박수단 130이 관통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부착부 100를 유리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밀착판 120이 유리에 긴밀히 밀착시킬 수 있도록 가압시킨 다음 상기 압박수단 130 중 누름바 132를 회전시킨다.
상기 누름바 132는 지렛대 133를 기준으로 스프링 112을 압박하면서 상기 연결바 131를 상부로 상승시켜 밀착판 120 중앙을 끌어올려 상기 유리와 밀착판 120의 밀착 해제 공간 사이가 진공상태로 변환시켜 유리에 제1부착부 100가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진공상태를 해제할 경우에는 누름바 132를 역회전시키면 스프링 112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바 131가 원래의 상태로 하강하여 밀착판 120과 유리 사이의 틈새 공간이 없어지면서 진공을 통한 고정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관절부 200는 상기 틀 110에 힌지 결합된 제1관절 210에 제2관절 230을 각도 변환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관절부 200는 제1관절 210이 제1부착부 100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관절 210에는 제2관절 230이 힌지 연결되어 다관절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관절부 200는 상기 틀 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 111 사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볼 연결구 211가 일체로 형성된 제1관절 210과, 상기 제1관절 210과 제2부착부 300의 연결수단 240에 각각 설치된 볼 연결구 211, 244를 결합하도록 양끝단에 수용공간 231이 마련하고, 상기 수용공간 231에 결합되어 볼연결구의 외주연에 압박하는 압박구 232를 한 쌍으로 마련한 후 수용공간 231과 볼연결구, 압박구 232에 가압볼트 233를 관통시킨 다음 너트 234를 체결하여 제1관절 210과 제2부착부 300를 연결하는 동시에 각도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제2관절 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관절 210은 구 형상을 갖는 볼 연결구 21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틀 110의 브라켓 111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제2관절 230은 두 개의 파이프가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결합되고, 이렇게 형성된 제2관절 23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1관절 210의 볼 연결구 211 및 후술 될 제2부착부 300의 볼 연결구 244가 수용되는 반 호 형상의 수용공간 2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볼 연결구 211, 244의 외주연에는 두 개의 압박구 232가 상호 한 쌍으로 조합되어 결합되고, 상기 압박구 232는 수용공간 231 내부에 공회전이 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후, 길이를 갖는 가압볼트 233를 수용공간 231, 볼 연결구 211,244 압박구 232에 관통시킨 다음 너트 234를 가압볼트 233에 체결하여 제1관절 210과 제2관절 230의 연결 이음을 마감한다.
특히, 가압볼트 233와 너트 234의 체결상태에 따라 제1관절 210과 제2관절 230의 절곡 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한 힘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가압볼트 233와 너트 234의 체결상태를 느슨하게 할 경우 제1관절 210과 제2관절 230의 절곡 가변 상태를 손쉽게 이룰 수 있으나, 절곡 상태를 유지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압볼트 233와 너트 234의 체결상태를 조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착부 300는 상기 제2관절 230에 연결수단 240을 통해 힌지 연결시킨 패드 320 전면에 반 호 형상의 흡착수단 310을 결합하여 상기 흡착수단 310 전면에 휴대폰을 압착시켜 상기 흡착수단 310에 진공 상태를 유도하여 휴대폰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 240은 상기 제2관절 230의 수용공간 231에 결합되는 볼 연결구 244가 마련되고, 상기 볼 연결구 244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 320의 배면에 형성된 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우징 242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는 이중 구조의 제1플랜지 322a와 제2플랜지 322b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242은 제2플랜지 322b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플랜지 322a에는 탄성부재 241를 장착하여 상기 하우징 242에 형성된 커버 243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연결수단 240에서 패드 320를 탄력적으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부착부 300는 크게 2가지 기능을 갖는다.
첫 번째로는 흡착수단 310에 휴대폰을 가압시켜 고정할 때 발생하는 가압력을 흡수하도록 하여 유리에 고정된 거치대 10의 분리를 방지한다.
즉, 상기 패드 320의 전면에 고정된 흡착수단 310에 휴대폰을 밀착시키면 고무 재질의 흡착수단 310이 압착되면서 휴대폰 표면과 흡착수단 310의 표면 사이의 틈새가 진공 상태가 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휴대폰과 흡착수단 310의 밀착력을 크게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휴대폰을 과도하게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1플랜지 322a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 241는 압착되면서 패드 320가 후방으로 일정 간격으로 후퇴하면서 가압력을 부분 흡수하여 상기 관절부 200와 제1부착부 100로 가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관절부 200의 절곡 상태 및 유리에 고정된 제1부착부 100의 고정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두 번째로는 휴대폰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242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홈 242a을 형성시켜 상기 제2플랜지 322b에 형성시킨 걸림턱 322c이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수단 240을 기준으로 패드 320가 회전이 가능하면서 상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의 배치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휴대폰 거치대 100 : 제1부착부
110 : 틀 111 : 브라켓
112 : 스프링 120 : 밀착판
130 : 압박수단 131 : 연결바
132 : 누름바 133 : 지렛대
200 : 관절부 210 : 제1관절
211 : 볼 연결구 230 : 제2관절
231 : 수용공간 232 : 압박구
233 : 가압볼트 234 : 너트
240 : 연결수단 241 : 탄성부재
242 : 하우징 242a : 걸림홈
243 : 커버 244 : 볼 연결구
300 : 제2부착부 310 : 흡착수단
320 : 패드 322 : 플랜지
322a : 제1플랜지 322b : 제2플랜지
322c : 걸림턱

Claims (6)

  1. 차량 실내에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유리에 부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틀에 밀착판을 결합하고, 상기 밀착판은 압박수단에 의해 틀에 지지되어 상기 압박수단의 승하강에 의해 유리에 밀착시킨 탄성 재질의 밀착판이 연동하여 유리의 경계 틈새 공간을 진공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제1부착부와,
    상기 틀에 힌지 결합된 제1관절에 제2관절을 각도 변환이 가능하게 연결한 관절부와,
    상기 제2관절에 연결수단을 통해 힌지 연결시킨 패드 전면에 반 호 형상의 흡착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흡착수단 전면에 휴대폰을 압착시켜 상기 흡착수단에 진공 상태를 유도하여 휴대폰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제2부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틀의 중앙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일단은 밀착판 중앙에 고정되고, 타측은 틀의 상부로 노출된 연결바와,
    상기 틀의 상부에 노출된 연결바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틀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부에 지렛대를 형성시켜 회전에 의해 지렛대를 통해 연결바를 승강시키는 누름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틀의 외주연에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 일측이 결합되어 힌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제1관절과,
    상기 제1관절과 제2부착부의 연결수단에 각각 설치된 볼 연결구를 결합하도록 양끝단에 수용공간이 마련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되어 볼연결구의 외주연에 압박하는 압박구를 한 쌍으로 마련한 후 수용공간과 볼연결구, 압박구에 가압볼트를 관통시킨 다음 너트를 체결하여 제1관절과 제2부착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각도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제2관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2관절의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볼 연결구가 마련되고,
    상기 볼 연결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의 배면에 형성된 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랜지는 이중 구조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은 제2플랜지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플랜지에는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커버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연결수단에서 패드를 탄력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틀 내부의 상부면과 밀착판 사이 공간에 스프링을 장착하되, 상기 스프링에 압박수단이 관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홈을 형성시켜 상기 제2플랜지에 형성시킨 걸림턱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KR1020120048749A 2012-05-08 2012-05-08 휴대폰 거치대 KR20130125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749A KR20130125196A (ko) 2012-05-08 2012-05-08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749A KR20130125196A (ko) 2012-05-08 2012-05-08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196A true KR20130125196A (ko) 2013-11-18

Family

ID=4985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749A KR20130125196A (ko) 2012-05-08 2012-05-08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19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1776A1 (ko) * 2014-08-08 2016-02-11 김인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6-06-09 (주)제이에스엠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20160132640A (ko) 2015-05-11 2016-11-21 박승자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110944081A (zh) * 2019-12-10 2020-03-31 安徽冠东科技有限公司 一种吸附式车载手机放置架
KR102379712B1 (ko) 2021-11-29 2022-03-29 김석인 다기능을 가진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5448Y1 (ko) * 2021-12-17 2022-05-26 소남우 충전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20230046104A (ko) 2021-09-29 2023-04-05 김동현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1776A1 (ko) * 2014-08-08 2016-02-11 김인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6-06-09 (주)제이에스엠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20160132640A (ko) 2015-05-11 2016-11-21 박승자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110944081A (zh) * 2019-12-10 2020-03-31 安徽冠东科技有限公司 一种吸附式车载手机放置架
KR20230046104A (ko) 2021-09-29 2023-04-05 김동현 휴대폰 거치대
KR102379712B1 (ko) 2021-11-29 2022-03-29 김석인 다기능을 가진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5448Y1 (ko) * 2021-12-17 2022-05-26 소남우 충전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5196A (ko) 휴대폰 거치대
US10882463B2 (en) Articulated full-automatic rotary clamping holder
WO2015085861A1 (zh) 自动翻转摄像头
CN204829184U (zh) 夹持底座及具有该夹持底座的电子产品支架
WO2021203222A1 (zh) 一种车载手机支架
KR101219760B1 (ko)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CN208832009U (zh) 电子设备支架
CN107124018B (zh) 一种设有重力连杆夹持装置的车载无线充电器
KR100659389B1 (ko) 다용도 거치대
CN211175945U (zh) 电子设备支架
CN111917909A (zh) 一种具有可拆卸式无线充电器的手机支架
US7677741B2 (en) Auxiliary accessory for a vehicle rearview mirror
CN210652931U (zh) 一种夹装牢靠手机支架安装固定座机构
CN210867816U (zh) 一种角度易调节的车载手机支架
CN109040390A (zh) 电子设备支架
US8444102B2 (en) Apparatus for holding handheld devices
CN212343834U (zh) 一种带锁止功能的手机重力支架
KR200413146Y1 (ko) 다용도 거치대
KR200428218Y1 (ko) 흡착식 거치대
CN210991205U (zh) 一种便携式急救护理箱安装机构
CN208691322U (zh) 一种高可靠性的车载手机支架
CN107738082B (zh) 治具
CN208886331U (zh) 吸附式平板设备固定支架
CN216531393U (zh) 一种按压松脱式自锁机构
CN220410443U (zh) 一种可快速调节夹持宽度的车载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