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428B1 -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428B1
KR102120428B1 KR1020180122799A KR20180122799A KR102120428B1 KR 102120428 B1 KR102120428 B1 KR 102120428B1 KR 1020180122799 A KR1020180122799 A KR 1020180122799A KR 20180122799 A KR20180122799 A KR 20180122799A KR 102120428 B1 KR102120428 B1 KR 10212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all
mobile terminal
presen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335A (ko
Inventor
고현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너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너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너스톤
Priority to KR102018012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4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휴대 단말기를 그 맞춘 위치에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 신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상하 신축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 신축부에 대해 볼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볼 타입 힌지부; 및 상기 상하 신축부의 말단에 서로 모이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 개 이상의 발로 이루어진 바닥 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Support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를 받쳐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테이블 등의 고정체에 올려 놓고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고정체 지지형 받침대와, 손 가락 등의 손에 끼워서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손 지지형 받침대와, 길다란 휨 허용 부재(일명, "자바라")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자바라 연결형 받침대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체 지지형 받침대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휴대 단말기가 올려지는 받침면과,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받쳐 상기 받침면에 올려진 휴대 단말기에 경사 각도를 제공하는 경사면과, 그리고 고정체에 면 접촉되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손 지지형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접착 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금속 재질의 핑거링(finger ring)을 포함한다. 자바라 연결형 받침대는, 테이블 등의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그리고 고정부와 파지부를 연결시키며 길다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휘어질 수 있는 구조물이 길게 내장되며 그 외부가 고무 등의 외피로 감싸진 휨 허용 부재를 포함한다.
하지만,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기존의 고정체 지지형 받침대의 경우 휴대 단말기를 눈 높이에 맞추는 등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 아래에 두꺼운 책 등을 쌓아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고, 기존의 손 지지형 받침대의 경우 눈 높이에 맞추기는 용이하나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는 손 또는 팔의 힘의 한계로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그리고 기존의 자바라 연결형 받침대의 경우 휴대성이 떨어지고 휴대 단말기의 무게로 인해 예상 위치보다 아래로 쳐지게 되며 외팔보(cantilever) 구조여서 쳐지는 동안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정확한 눈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예상 위치 보다 더 위로 올려야 하고 회전되는 것을 감안하여 예상 위치보다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더 비틀어야 하는 등 위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휴대 단말기를 그 맞춘 위치에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 신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상하 신축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 신축부에 대해 볼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볼 타입 힌지부; 및 상기 상하 신축부의 말단에 서로 모이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 개 이상의 발로 이루어진 바닥 받침부;를 포함한다.
상기 볼 타입 힌지부는, 상기 상하 신축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회전 기준 몸체;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몸체; 상기 회전 기준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볼이 말단부를 이루는 힌지축; 및 상기 회전 기준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볼을 회전 가능하게 감싸는 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 기준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힌지축에서 그 반경 방향을 향해 멀어질수록 상기 회전 기준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중 다른 하나와 점점 이격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회전 기준 몸체와 상기 회전 몸체는, 상기 힌지축에서 그 반경 방향을 향해 멀어질수록 서로에 대해 점점 이격되는 경사진 형상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기준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중 상기 힌지홈을 구비한 몸체는, 상기 볼이 상기 힌지홈에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2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서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장착부에 그 일면이 접착될 수 있고 상기 볼 타입 회전부에 그 타면이 접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장착부 또는 상기 볼 타입 회전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피장착부 또는 상기 볼 타입 회전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자석 반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 신축부는,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의 튜브 부재가 서로 인입출되는 텔레스코픽 구조(telescopic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튜브 부재 중 제일 하단을 이루는 최하단 튜브 부재는, 그 둘레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받침부는, 상기 각각의 발이 회전되어 상기 각각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최하단 튜브 부재가 바로 위의 튜브 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는 동안 함께 인입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발은,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와, 상하 신축부와, 볼 타입 힌지부와, 그리고 바닥 받침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상하 신축부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높이 조절과 함께 볼 타입 힌지부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휴대 단말기의 측면이나 상면을 향해 볼 때 볼을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가 갸우뚱거리며 기우는 틸팅 모션(tilting motion)과, 휴대 단말기의 정면을 향해 볼 때 볼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터닝 모션(turning motion)]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상하 신축부를 통한 수직한 상태의 지지로 휴대 단말기를 그 맞춘 높이에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하 신축부의 길이를 최소로 하는 것으로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기준 몸체 또는 회전 몸체 중 어느 하나는, 힌지축에서 그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회전 기준 몸체 또는 회전 몸체 중 다른 하나와 점점 이격되는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휴대 단말기가 임의의 어느 한 방향으로 틸팅되는 동안 회전 기준 몸체와 회전 몸체의 접촉이 일어나기 전에 휴대 단말기의 틸팅 각도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 예로 고정부로 양면 테이프가 제공되므로, 접착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휴대 단말기나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다른 예로 고정부로 자석 등이 제공되므로, 자력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 보다 큰 외력을 가해 탈거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필요할 때만 피장착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하 신축부는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의 튜브 부재가 서로 인입출되는 텔레스코픽 구조(telescopic structure)를 가지므로, 각각의 튜브 부재의 속이 빈 구조를 통해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튜브 부재 중 제일 하단을 이루는 최하단 튜브 부재는 그 둘레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안착홈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바닥 받침부의 각각의 발을 회전시켜 각각의 안착홈에 안착시킬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길이를 충분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 받침부는 각각의 발이 회전되어 각각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최하단 튜브 부재가 바로 위의 튜브 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는 동안 함께 인입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로 위의 튜브 부재로의 인입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길이를 보다 더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발은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각각의 발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가 좌우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II-II 선으로 잘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바닥 받침부의 각 발이 위로 회전되어 각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바닥 받침부의 각 발이 아래로 회전되어 서로 모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요부를 VI-VI 선으로 잘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바닥 받침부의 각 발이 모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바닥 받침부와 상하 신축부가 모두 인입된 상태에서 이에 휴대 단말기가 받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바닥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II-II 선으로 잘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바닥 받침부의 각 발이 위로 회전되어 각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바닥 받침부의 각 발이 아래로 회전되어 서로 모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4의 요부를 VI-VI 선으로 잘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바닥 받침부의 각 발이 모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바닥 받침부와 상하 신축부가 모두 인입된 상태에서 이에 휴대 단말기가 받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는,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1)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이하, 피장착부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함)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와, 상하 신축부(120)와, 볼 타입 힌지부(130)와, 그리고 바닥 받침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부(110)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장착부(1)와 볼 타입 힌지부(1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110)는, 피장착부(1)에 일면이 접착되고 볼 타입 힌지부(130)에 타면이 접착되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10)인 양면 테이프의 접착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볼 타입 힌지부(130)가 피장착부(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는, 자석과 자석 반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은 피장착부 또는 볼 타입 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자석 반응 부재는 피장착부 또는 볼 타입 힌지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석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자석에 반응하는 재질은 상술한 자석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자석일 수도 있고, 철, 니켈, 코발트와 같은 강자성체일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부인 자석 등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볼 타입 힌지부(130)가 피장착부(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 보다 큰 외력을 가해 탈거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필요할 때만 피장착부(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하 신축부(120)는, 휴대 단말기(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상하 신축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볼 타입 회전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신축부(120)의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상하 신축부(120)를 통한 수직한 상태의 지지로 휴대 단말기(1)를 그 맞춘 높이에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하 신축부(120)의 길이를 최소로 하는 것으로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1)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신축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의 튜브 부재(T10)가 서로 인입출되는 텔레스코픽 구조(telescopic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튜브 부재(T10)의 속이 빈 구조를 통해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튜브 부재(T10) 중 제일 하단을 이루는 최하단 튜브 부재(T13)는, 세 개의 이상의 안착홈(G1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착홈(G10)은 최하단 튜브 부재(T13)에 형성되되 그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받침부(140)의 각각의 발(141)을 회전시켜 각각의 안착홈(G10)에 안착시킬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길이를 충분히 줄일 수 있다.
볼 타입 힌지부(130)는, 고정부(110)를 회전시켜 궁극적으로 이에 구비된 휴대 단말기(1)에 여러 모션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하 볼 타입 힌지부(130)은,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와 상하 신축부(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 신축부(120)에 대해 볼(B10)을 이용하여 고정부(110)를 회전시키는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측면(도 1 참조)이나 상면(도 2와 보는 방향이 다르기는 하나 동일한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도 2 참조)을 향해 볼 때 볼(B10)을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1)가 갸우뚱거리며 기우는 틸팅 모션(tilting motion)(도 1 및 도 2 "TM1" 참조)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 단말기(1)의 정면을 향해 볼 때 볼(B10)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터닝 모션(turning motion)(도 1의 "TM2" 참조)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 타입 힌지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기준 몸체(131), 회전 몸체(132), 힌지축(133), 그리고 힌지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기준 몸체(131)는 상하 신축부(12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회전 몸체(132)는 고정부(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부(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힌지축(133)은 회전 몸체(132)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볼(B10)이 그 말단부를 이룰 수 있고, 힌지홈(134)은 회전 기준 몸체(1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볼(B10)을 회전 가능하게 감쌀 수 있다.
따라서, 볼(B10)은 힌지홈(134)에 삽입되며 힌지홈(134)의 내면과의 마찰로 정지해 있다가 사용자가 이 마찰력보다 큰 외력으로 휴대 단말기(1)를 회전시키면 힌지홈(134)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휴대 단말기(1)에 대해 틸팅 모션과 터닝 모션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힌지축(133)이 회전 몸체(132)에 구비되고, 힌지홈(134)이 회전 기준 몸체(131)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힌지축이 회전 기준 몸체에 구비되고, 힌지홈이 회전 몸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회전 기준 몸체(13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33)에서 힌지축(133)의 반경 방향을 향해 멀어질수록 회전 몸체(132)와 점점 이격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 기준 몸체 대신 회전 몸체가 이러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가 임의의 어느 한 방향으로 틸팅되는 동안 회전 기준 몸체와 회전 몸체의 접촉이 일어나기 전에 휴대 단말기의 틸팅 각도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힌지홈(134)을 구비한 회전 기준 몸체(13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B10)이 힌지홈(134)에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2개의 부재(131a)(131b)로 분리되어 서로 나사 등의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힌지홈이 회전 기준 몸체 대신 회전 몸체에 구비될 경우에는, 회전 몸체가 분리 가능한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바닥 받침부(140)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바닥에 받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바닥 받침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신축부(120)의 말단에 서로 모이거나(도 5 참조) 벌어지는(도 3 참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 개 이상의 발(141)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바닥 받침부(140)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발(141)이 회전되어 각각의 안착홈(G10)에 안착된 상태로 최하단 튜브 부재(T13)가 바로 위의 튜브 부재(T12)의 내부로 인입되는 동안 함께 인입(도 4의 화살표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로 위의 튜브 부재(T12)로의 인입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길이를 보다 더 줄일 수 있다. 특이,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와 휴대 단말기(1)를 함께 이용하여 바닥에 휴대 단말기(1)를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바닥의 뒤에 놓고 휴대 단말기(1)를 바닥의 앞에 놓아 휴대 단말기(1)를 경사지게 받칠 수 있다.
또한, 세 개 이상의 발(141)을 모을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인 발(141)을 잡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들어서,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바닥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받침부(24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바닥 받침부(240)를 이루는 각각의 발(241)은, 텔레스코픽 구조(telescopic structure)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발(241)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200)가 좌우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피치 회전부(120)와 더불어, 앞에 놓이는 발에 비해 뒤에 놓이는 발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거나 길게 하는 것으로 고정부(110)를 상하로 회전시키며 휴대 단말기(1)에 대해 피치 모션(pitch motion)을 더욱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3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타입 힌지부(33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볼 타입 힌지부(3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기준 몸체(331), 회전 몸체(332), 힌지축(133), 그리고 힌지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기준 몸체(331)와 회전 몸체(332)는, 힌지축(133)에서 그 반경 방향을 향해 멀어질수록 서로에 대해 점점 이격되는 경사진 형상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회전 몸체(332)에도 경사진 형상이 더 부가되므로, 휴대 단말기(1)의 틸팅 각도를 더욱 크게 부여할 수 있다. 참고로, 힌지축(133)과 힌지홈(134)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피장착부 (휴대 단말기 또는 케이스)
100, 200, 300: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110: 고정부 120: 상하 신축부
T10: 복수의 튜브 부재 T11: 최상단 튜브 부재
T12: 중간 튜브 부재 T13: 최하단 튜브 부재
G10: 복수의 안착홈 130, 330: 롤 타입 힌지부
131, 331: 회전 기준 몸체 132, 332: 회전 몸체
131a: 회전 기준 몸체의 제1 부재 131b: 회전 기준 몸체의 제2 부재
133: 힌지축 134: 힌지홈
140, 240: 바닥 받침부 141, 241: 복수의 발

Claims (3)

  1. 삭제
  2.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 신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상하 신축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 신축부에 대해 볼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볼 타입 힌지부; 및
    상기 상하 신축부의 말단에 서로 모이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 개 이상의 발로 이루어진 바닥 받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볼 타입 힌지부는,
    상기 상하 신축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회전 기준 몸체;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몸체;
    상기 회전 기준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볼이 말단부를 이루는 힌지축; 및
    상기 회전 기준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볼을 회전 가능하게 감싸는 힌지홈;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3. 제2항에서,
    상기 회전 기준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힌지축에서 그 반경 방향을 향해 멀어질수록 상기 회전 기준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중 다른 하나와 점점 이격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1020180122799A 2018-10-15 2018-10-15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102120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99A KR102120428B1 (ko) 2018-10-15 2018-10-15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99A KR102120428B1 (ko) 2018-10-15 2018-10-15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35A KR20200042335A (ko) 2020-04-23
KR102120428B1 true KR102120428B1 (ko) 2020-06-08

Family

ID=7047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99A KR102120428B1 (ko) 2018-10-15 2018-10-15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69B1 (ko) * 2014-08-08 2015-06-17 김인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408U (ko) * 2014-07-25 2016-02-03 허홍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69B1 (ko) * 2014-08-08 2015-06-17 김인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35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644B2 (en) Hands-free holding device
KR102120409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JP3235917U (ja) 自在に回動伸縮可能なスマートアーム
US20210140579A1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2120428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20190081045A (ko) 휴대폰 거치대
CN216565231U (zh) 一种指环支架
KR102132853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102120439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N207804380U (zh) 医疗设备及安装支架
KR102120437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102120432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N217928112U (zh) 一种转动轴连接结构及平板支架
US20130099075A1 (en) Support device
CN214381012U (zh) 手机磁吸支架
KR200389756Y1 (ko) 카메라폰의 삼각대 탑재장치
CN204948156U (zh) 手机支架
CN100356414C (zh) 薄型显示装置
CN207800121U (zh) 一种音乐支架
CN208723979U (zh) 一种多功能手机支架
CN209090137U (zh) 假发支撑架
CN218589654U (zh) 一种多功能游戏手柄支架
CN219933538U (zh) 一种可万向旋转的移动设备磁吸支架
CN218720400U (zh) 一种电子设备支架
EP3653920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