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853B1 -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853B1
KR102132853B1 KR1020180145219A KR20180145219A KR102132853B1 KR 102132853 B1 KR102132853 B1 KR 102132853B1 KR 1020180145219 A KR1020180145219 A KR 1020180145219A KR 20180145219 A KR20180145219 A KR 20180145219A KR 102132853 B1 KR102132853 B1 KR 10213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ortable terminal
folding member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898A (ko
Inventor
고현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너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너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너스톤
Priority to KR102018014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8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4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with resilient means to eliminate extraneous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휴대 단말기를 그 맞춘 위치에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기 위한 고정부; 회전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폴딩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폴딩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폴딩부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Support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를 받쳐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테이블 등의 고정체에 올려 놓고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고정체 지지형 받침대와, 손 가락 등의 손에 끼워서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손 지지형 받침대와, 길다란 휨 허용 부재(일명, "자바라")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자바라 연결형 받침대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체 지지형 받침대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휴대 단말기가 올려지는 받침면과,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받쳐 상기 받침면에 올려진 휴대 단말기에 경사 각도를 제공하는 경사면과, 그리고 고정체에 면 접촉되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손 지지형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접착 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금속 재질의 핑거링(finger ring)을 포함한다. 자바라 연결형 받침대는, 테이블 등의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그리고 고정부와 파지부를 연결시키며 길다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휘어질 수 있는 구조물이 길게 내장되며 그 외부가 고무 등의 외피로 감싸진 휨 허용 부재를 포함한다.
하지만,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기존의 고정체 지지형 받침대의 경우 휴대 단말기를 눈 높이에 맞추는 등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 아래에 두꺼운 책 등을 쌓아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고, 기존의 손 지지형 받침대의 경우 눈 높이에 맞추기는 용이하나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는 손 또는 팔의 힘의 한계로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그리고 기존의 자바라 연결형 받침대의 경우 휴대성이 떨어지고 휴대 단말기의 무게로 인해 예상 위치보다 아래로 쳐지게 되며 외팔보(cantilever) 구조여서 쳐지는 동안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정확한 눈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예상 위치 보다 더 위로 올려야 하고 회전되는 것을 감안하여 예상 위치보다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더 비틀어야 하는 등 위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휴대 단말기를 그 맞춘 위치에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기 위한 고정부; 회전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폴딩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폴딩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폴딩부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를 일면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타면을 상기 피장착부에 접착시키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를 일면에 구비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타면과 상기 피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고정 부재의 타면과 상기 피장착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자석 반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장착부에 양면 테이프를 통해 접착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일면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면에 상기 회전부를 구비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너비보다 작은 두께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접이용 부재가 회전을 통해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폴딩 가능한 구조(foldable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회전부에 일단부가 구비되는 제1 접이용 부재; 상기 제1 접이용 부재 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제2 접이용 부재; 및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를 서로 접거나 펼치는 접이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 안내부는, 상기 제1 접이용 부재가 회전되어 접힐 경우 상기 제2 접이용 부재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 접이용 부재에 구비되는 접이용 수용부;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접이용 힌지축; 및 상기 접이용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접이용 힌지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1 접이용 부재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로부터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이용 부재에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접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힘 방지부는, 상기 접이용 힌지공에 연장되되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이용 힌지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공;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 돌기; 및 상기 제1 삽입 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삽입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제2 접이용 부재 보다 큰 너비를 가지며 상기 제2 접이용 부재에 회전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제3 접이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해 롤 모션(roll motion)을 구현하는 롤 회전부; 및 상기 롤 회전부에 구비되며 상기 롤 회전부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해 피치 모션(pitch motion)을 구현하는 피치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는 롤 힌지축; 및 상기 롤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치 회전부는, 상기 폴딩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피치 힌지축; 및 상기 롤 회전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피치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 안내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단 지지부는, 상기 폴딩부가 접힐 경우 상기 폴딩부의 말단에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딩부를 덮고, 상기 폴딩부가 펼쳐질 경우 상기 폴딩부의 말단에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딩부를 받칠 수 있다.
상기 말단 지지부는, 상기 폴딩부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말단 지지 부재; 및 상기 말단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폴딩부를 받칠 경우 상기 말단 지지 부재의 일측에서 벌어지며 받침 영역을 확장시키는 받침 영역 확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단 지지 부재는, 상기 폴딩부를 덮을 경우 상기 폴딩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폴딩부에 대향하는 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폴딩부용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상기 말단 지지부가 상기 폴딩부의 말단에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말단 지지부가 경사진 형태로 상기 폴딩부에 걸리도록 상기 폴딩부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경사 유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와, 폴딩부와, 회전부와, 그리고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회전을 통해 폴딩부를 접거나 펼치는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폴딩부와 말단 지지부를 통한 지지로 휴대 단말기를 그 맞춘 위치에 최대한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폴딩부를 완전히 접은 한 후 말단 지지지를 회전시켜 폴딩부를 덮는 것으로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폴딩부는 너비보다 작은 두께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접이용 부재가 회전을 통해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폴딩 가능한 구조(foldable structure)를 가지므로, 너비보다 작은 두께를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펼쳐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서로 회전되면서 펼쳐지고 그 반대로 누르면 접힐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폴딩부의 회전 경계를 이루는 힌지 부분에 마찰 부재가 구비될 경우, 폴딩부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펼치더라도 충분히 그 펼쳐진 상태의 위치를 마찰 부재의 마찰력으로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이러한 조작으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폴딩부는, 제1 접이용 부재와, 제2 접이용 부재와, 그리고 접이 안내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접이 안내부를 통해 제1 및 제2 접이용 부재가 서로 좌우 요동이나 비틀림 없이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서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접이용 부재가 회전되어 접힐 경우 제2 접이용 부재에 구비된 접이용 수용부에 제1 접이용 부재가 수용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1 및 제2 접이용 부재가 서로 접히더라도 폴딩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두께를 더욱 얇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폴딩부는 접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 제1 접이용 부재를 제2 접이용 부재로부터 최대로 펼친 후 제1 접이용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가압을 할 경우, 삽입 돌기가 삽입홈부에 끼워지면서 접힘을 방지할 수 있어, 외력(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등의 하중)을 가하더라도 제1 접이용 부재가 제2 접이용 부재에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폴딩부는 제3 접이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3 접이용 부재를 통해 폴딩부를 충분한 길이로 펼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부는 롤 회전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고정부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에 대해 롤 모션(roll motion)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부는 피치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휴대 단말기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롤 회전부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에 대해 피치 모션(pitch motion)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 예로 고정부로 양면 테이프가 제공되므로 접착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휴대 단말기나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다른 예로 고정부로 자석 등이 제공되므로, 자력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 보다 큰 외력을 가해 탈거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필요할 때만 피장착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고정부로 서로 착탈되는 제1 및 제2 고정 부재 등이 제공되므로 서로 착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거시 피장착부에 남게 되는 제1 고정 부재를 무선 충전에 방해되지 않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선택할 경우, 무선 충전기를 통한 원활한 무선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말단 지지부는 폴딩부의 말단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폴딩부가 접힐 경우 폴딩부의 말단에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딩부를 덮을 수 있고, 폴딩부가 펼쳐질 경우 폴딩부의 말단에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딩부를 받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말단 지지부는 말단 지지 부재와 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 영역 확장 부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받침 영역 확장 부재를 말단 지지 부재의 일측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받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말단 지지 부재에 폴딩부용 수용홈이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폴딩부를 완전히 접은 후 말단 지지 부재가 폴딩부를 덮을 경우 폴딩부용 수용홈에 폴딩부를 수용할 수 있어, 휴대시에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폴딩부가 접혀지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폴딩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접힘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폴딩부가 완전히 접힌 후 말단 지지 부재에 의해 덮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말단 지지부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폴딩부가 접혀지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폴딩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접힘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폴딩부가 완전히 접힌 후 말단 지지 부재에 의해 덮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7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말단 지지부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1)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이하, 피장착부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함)(1)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고정부(110)와, 폴딩부(120)와, 회전부(130)와, 그리고 말단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부(110)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장착부(1)와 회전부(1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1)와 양면 테이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11)는 그 일면에 회전부(130)가 고정될 수 있고, 양면 테이프(미도시)는 고정 부재(111)의 타면을 피장착부(1)에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111)와 양면 테이프(미도시)를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회전부(130)가 피장착부(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는, 고정 부재, 자석, 그리고 자석 반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그 일면에 회전부가 고정될 수 있고, 자석은 고정 부재의 타면 또는 피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자석 반응 부재는 고정 부재의 타면 또는 피장착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석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자석에 반응하는 재질은 상술한 자석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자석일 수도 있고, 철, 니켈, 코발트와 같은 강자성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자석 등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회전부(130)가 피장착부(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 보다 큰 외력을 가해 탈거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필요할 때만 피장착부(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는,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통해 피장착부에 접착될 수 있고, 제2 고정 부재의 일면은 제1 고정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고정 부재의 타면에 회전부가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착탈 가능한 구조를 위해, 제2 고정 부재의 일면에 레일(rail)이 구비되고, 레일에 상응하도록 제1 고정 부재에 레일 가이더(rail guider)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 부재가 서로 착탈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거시 피장착부에 남게 되는 제1 고정 부재를 무선 충전에 방해되지 않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선택할 경우, 무선 충전기를 통한 원활한 무선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폴딩부(120)는,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폴딩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3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자체 회전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부(130)가 없는 타입의 경우, 폴딩부(120)는 고정부(110)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회전을 통해 폴딩부(120)를 접거나 펼치는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말단 지지부(140)와 함께 폴딩부(120)를 통한 지지로 휴대 단말기(1)를 그 맞춘 위치에 최대한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폴딩부(120)를 완전히 접는 것으로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1)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보다 작은 두께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접이용 부재(F10)가 회전을 통해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폴딩 가능한 구조(foldable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너비보다 작은 두께를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두께를 얇게 구현(도 5 참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펼쳐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서로 회전되면서 펼쳐지고 그 반대로 누르면 접힐 수 있어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폴딩부(120)의 회전 경계를 이루는 힌지 부분에 마찰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경우, 폴딩부(120)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펼치더라도 충분히 그 펼쳐진 상태의 위치를 마찰 부재(미도시)의 마찰력으로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이러한 조작으로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딩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이용 부재(F11), 제2 접이용 부재(F12), 그리고 접이 안내부(G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이용 부재(F11)는 회전부(130)에 그 일단부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접이용 부재(F12)는 제1 접이용 부재(F11) 보다 큰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접이 안내부(G10)는 제1 접이용 부재(F11)와 제2 접이용 부재(F12)를 회전을 통해 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따라서, 접이 안내부(G10)를 통해 제1 및 제2 접이용 부재(F11)(F12)가 서로 좌우 요동이나 비틀림 없이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서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나아가, 접이 안내부(G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용 수용부(G11), 접이용 힌지축(G12), 그리고 접이용 힌지공(G1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이용 수용부(G11)는 제1 접이용 부재(F11)가 회전되어 접힐 경우 제2 접이용 부재(F12)에 수용되도록 제2 접이용 부재(F12)에 구비될 수 있다. 접이용 힌지축(G12)은 제1 접이용 부재(F11)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접이용 힌지공(G13)은 접이용 힌지축(G12)이 삽입되도록 제2 접이용 부재(F12)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예로, 접이용 수용부의 내측면에 접이용 힌지축이 형성되고, 제1 접이용 부재에 접이용 힌지공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접이용 부재(F11)가 회전되어 접힐 경우 제2 접이용 부재(F12)에 구비된 접이용 수용부(G11)에 제1 접이용 부재(F11)가 수용될 수 있어, 제1 및 제2 접이용 부재(F11)(F12)가 서로 접히더라도 폴딩부(12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두께를 더욱 얇게 구현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폴딩부(1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방지부(L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힘 방지부(L10)는, 제1 접이용 부재(F11)가 제2 접이용 부재(F12)로부터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 접이용 부재(F12)에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힘 방지부(L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안내공(L11), 삽입 돌기(L12), 그리고 삽입홈부(L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안내공(L11)은 접이용 힌지공(G13)에 연장되되 제1 접이용 부재(F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이용 힌지축(G1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삽입 돌기(L12)는 제1 접이용 부재(F11)에 구비되되 제1 접이용 부재(F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고, 삽입홈부(L13)는 제1 삽입 돌기(L12)가 끼워지도록 제2 접이용 부재(F12)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예로, 제2 접이용 부재에 삽입 돌기가 구비되고, 제1 접이용 부재에 삽입홈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 제1 접이용 부재(F11)를 제2 접이용 부재(F12)로부터 최대로 펼친 후 제1 접이용 부재(F11)의 길이 방향으로 가압을 할 경우, 삽입 돌기(L12)가 삽입홈부(L13)에 끼워지면서 접힘을 방지할 수 있어, 외력(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등의 하중)을 가하더라도 제1 접이용 부재(F11)가 제2 접이용 부재(F12)에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딩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이용 부재(F12) 보다 큰 너비를 가지며 제2 접이용 부재(F12)에 회전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제3 접이용 부재(F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접이용 부재(F13)를 통해 폴딩부(120)를 충분한 길이로 펼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길이를 더 신장시키기 위해, 폴딩부는 4개 이상의 접이용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회전부(130)는, 폴딩부(120)에 대해 고정부(11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며 휴대 단말기(1)에 대해 회전 모션(rotation motion)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회전부(130)는,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와 폴딩부(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회전부(R10)를 포함할 수 있다. 롤 회전부(R10)는, 고정부(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고정부(11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휴대 단말기(1)에 대해 롤 모션(roll motion)을 구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 회전부(R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에 구비되는 롤 힌지축(R11)과, 롤 힌지축(R11)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 회전 부재(R1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회전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치 회전부(P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치 회전부(P10)는, 롤 회전부(R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롤 회전부(R10)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시키며 휴대 단말기(1)에 대해 피치 모션(pitch motion)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치 회전부(P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120)의 선단에 구비되는 피치 힌지축(P11)과, 롤 회전 부재(R12)에 구비되며 피치 힌지축(P11)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 안내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말단 지지부(140)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바닥에 받치는 등의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말단 지지부(140)는, 도 1,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120)의 말단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말단 지지부(140)는 폴딩부(120)가 접힐 경우 폴딩부(120)의 말단에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딩부(120)를 덮을 수 있고(도 5 참조), 폴딩부(120)가 펼쳐질 경우 폴딩부(120)의 말단에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딩부(120)를 받칠 수 있다(도 1 참조).
나아가, 말단 지지부(14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지지 부재(141)와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말단 지지 부재(141)는 폴딩부(120)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는 말단 지지 부재(1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있으며 폴딩부(120)를 받칠 경우 말단 지지 부재(141)의 일측에서 벌어지며 받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를 말단 지지 부재(141)의 일측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받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또한, 말단 지지 부재(141)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신축부용 수용홈(14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부(120)를 완전히 접은 후 폴딩부(120)를 덮을 경우(도 5 참조), 신축부용 수용홈(141a)에 폴딩부(120)를 수용할 수 있어, 휴대시에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120)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경사 유지 돌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말단 지지부(140)가 폴딩부(120)의 말단에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경사 유지 돌기(150)를 통해 말단 지지부(140)가 경사진 형태로 폴딩부(120)에 걸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피장착부 (휴대폰 단말기 또는 케이스)
100: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110: 고정부
111: 고정 부재 120: 폴딩부
F10: 복수의 접이용 부재 F11: 제1 접이용 부재
F12: 제2 접이용 부재 F13: 제3 접이용 부재
G10: 접이 안내부 G11: 접이용 수용부
G12: 접이용 힌지축 G13: 접이용 힌지공
L10: 접힘 방지부 L11: 이동 안내공
L12: 삽입 돌기 L13: 삽입홈부
130: 회전부 R10: 롤 회전부
R11: 롤 힌지축 R12: 롤 회전 부재
P10: 피치 회전부 P11: 피치 힌지축
P12: 회전 안내공 140: 말단 지지부
141: 말단 지지 부재 141a: 신축부용 수용홈
142: 받침 영역 확장 부재 150: 경사 유지 돌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기 위한 고정부;
    회전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폴딩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폴딩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폴딩부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말단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회전부에 일단부가 구비되는 제1 접이용 부재;
    상기 제1 접이용 부재 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제2 접이용 부재; 및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를 서로 접거나 펼치는 접이 안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 안내부는,
    상기 제1 접이용 부재가 회전되어 접힐 경우 상기 제2 접이용 부재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 접이용 부재에 구비되는 접이용 수용부;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접이용 힌지축; 및
    상기 접이용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접이용 힌지공;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5.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말단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고정부에 일단부가 구비되는 제1 접이용 부재;
    상기 제1 접이용 부재 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제2 접이용 부재; 및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를 서로 접거나 펼치는 접이 안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 안내부는,
    상기 제1 접이용 부재가 회전되어 접힐 경우 상기 제2 접이용 부재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 접이용 부재에 구비되는 접이용 수용부;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접이용 힌지축; 및
    상기 접이용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접이용 부재와 상기 제2 접이용 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접이용 힌지공;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1020180145219A 2018-11-22 2018-11-22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10213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219A KR102132853B1 (ko) 2018-11-22 2018-11-22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219A KR102132853B1 (ko) 2018-11-22 2018-11-22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98A KR20200059898A (ko) 2020-05-29
KR102132853B1 true KR102132853B1 (ko) 2020-07-10

Family

ID=7091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219A KR102132853B1 (ko) 2018-11-22 2018-11-22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79B1 (ko) * 2021-08-04 2022-02-08 장승재 절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핸드그립
KR102544410B1 (ko) * 2021-09-29 2023-06-16 김동현 휴대폰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685B1 (ko) * 2007-05-16 2007-07-30 (주)이어존 접이식 카메라 거치대
WO2015054849A1 (en) 2013-10-16 2015-04-23 PC Treasures, Inc. Folding case assembly for secur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63Y1 (ko) * 2012-02-02 2013-10-14 (주) 엑토 휴대기기용 접이식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685B1 (ko) * 2007-05-16 2007-07-30 (주)이어존 접이식 카메라 거치대
WO2015054849A1 (en) 2013-10-16 2015-04-23 PC Treasures, Inc. Folding case assembly for secur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98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409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US9267638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KR102132853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JP2021510208A (ja) スタンドを兼ねた自撮り棒
US7554062B2 (en) Retractable display unit
US6678153B2 (en) Flat monitor
KR20120082247A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102120437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101395097B1 (ko) 태블릿 pc용 케이스
CN216565231U (zh) 一种指环支架
KR20200078249A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JP2000172183A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KR20200078202A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N209991187U (zh) 自拍杆
KR100822255B1 (ko) 화장품 용기
JP6184548B1 (ja) 携帯電子製品用のホルダー
KR200363813Y1 (ko) 독서대가 구비된 파일케이스
KR20210095244A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EP3653920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KR102120432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N209148968U (zh) 折叠式头戴显示器
KR20220154983A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KR20200042335A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20090007933A (ko) 독서대가 부설된 케이스
CN218992903U (zh) 一种夹持装置和云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