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983A -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983A
KR20220154983A KR1020210062646A KR20210062646A KR20220154983A KR 20220154983 A KR20220154983 A KR 20220154983A KR 1020210062646 A KR1020210062646 A KR 1020210062646A KR 20210062646 A KR20210062646 A KR 20210062646A KR 20220154983 A KR20220154983 A KR 20220154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fixed
support
fix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851B1 (ko
Inventor
조자룡
Original Assignee
조자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자룡 filed Critical 조자룡
Priority to KR102021006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8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를 가지는 다양한 '봉'들에 각각 안정적으로 고정됨은 물론, 단말기가 거치되는 부위가 절첩되어 휴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는 봉이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고정되며 모바일 단말기가 결속고정되는 결속부재를 가지는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회동축을 통해 축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고정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일단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편이 구비된 고정결속대와; 상기 고정결속대에서 상기 고정지지편과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타단을 지지하는 가동지지편이 구비된 가동결속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이격시킨 후,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도록 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를 가지는 다양한 '봉'들에 각각 안정적으로 고정됨은 물론, 단말기가 거치되는 부위가 절첩되어 휴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필요에 따라 단말기가 거치되는 봉을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지지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는, 자기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는 자가촬영을 의미하는 셀프카메라(self camera)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촬영자 자신이 소지한 소형 카메라가 탑재된 휴대단말기 또는 카메라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자신을 피사체로 자가촬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셀카를 찍기 위해서는, 촬영수단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든 채 팔을 앞으로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해야만 하는데, 이 경우에는 촬영자가 촬영수단을 직접 들고 셀카를 찍는 것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한정된 팔의 길이로 인해 촬영자의 머리나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뒷 배경은 거의 나오지 않는 문제점도 있으며, 특히 여러 명이 함께 셀카를 찍는 경우 서로 초근접거리로 모여 있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길이를 가지며 모바일 단말기기가 거치되는 별도의 셀카봉(거치봉)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2440호(명칭: 상하한 검출기능이 구비된 자동 길이조절식 셀카봉/2015.05.0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전방에 연결되고 길이조절을 위해 다수의 파이프가 다단에 걸쳐 서로 출납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단봉부재와, 상기 다단봉부재의 전방에 연결되고 촬영수단이 거치되는 거치부재와,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재에 권취방향으로 탄성편향되게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다단봉부재에 결합되어 항상 상기 다단봉부재의 길이가 축소되도록 탄성편향시키는 자동권취스트립과, 상기 손잡이부재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자동권취스트립을 강제인출시켜 상기 다단봉부재의 길이를 자동으로 신장시켜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자동권취스트립을 권취시켜 상기 다단봉부재의 길이가 자동으로 축소되도록 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자동권취스트립에 대한 강제력을 해제시켜 상기 다단봉부재의 길이가 상기 자동권취스트립에 의해 자동으로 축소되도록 하는 자동길이조절수단과, 상기 손잡이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다단봉부재의 최대신장길이에 따른 상기 자동권취스트립의 상한위치와 상기 다단봉부재의 최대축소길이에 따른 상기 자동권취스트립의 하한위치를 자동을 검출하여 자동길이조절수단의 작동이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하한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하는 셀카봉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72236호(명칭: 삼각대 수납가능 셀카봉/2015.05.2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셀카봉에 있어서, 양 옆의 외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을 삽지하는 스마트폰 삽지판으로 형성하여 결합 되는 스마트폰 거치대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하부 측에 다양한 측면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된 볼 조인트 및 높이 조절할 수 있게 다단의 봉체로 형성된 3단 봉, 뒷 배경을 촬영하기 위해 셀카봉을 지지하는 삼각대, 3단 봉과 삼각대가 수납되는 삼각대 수납부를 형성한 손잡이 및 삼각대와 손잡이를 연결시켜 주는 체결볼트, 삼각대를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3단 봉 손잡이 하부를 밀패하는 고무마개 및 고무마개 분실을 방지하는 끈으로 구성된 셀카봉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77382호(명칭: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2017.06.1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수단에 의하여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스틱바디의 하단에 첨단부를 일체로 가지고, 스틱바디의 상단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등산스틱의 손잡이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혀지고, 펼쳐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셀카거치수단을 더 가지도록 하고; 상기 셀카거치수단은, 손잡이에 결합되어 손잡이로 접혀지고 펼쳐지면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와; 상기 손잡이에 형성하여 거치대를 접었을 때 손잡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하여 손잡이로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거치대수납구로 구성하여서 되는 등산스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40350호(명칭: 등긁개 기능을 갖는 무선 셀카봉/2018.11.1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 거치대, 볼 조인트, 4단 봉, 손잡이, 스트랩 홀더, LED 표시등, 블루투스 셔터, 등 접촉 돌기, 고정 걸쇠를 포함하여 구성된 셀카봉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2440호(2015.05.0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72236호(2015.05.2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77382호(2017.06.19.)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40350호(2018.11.15.)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 거치장치들은, 길이를 가지는 거치봉과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수단 및 거치봉을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일체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 쵤영시에도 별도로 휴대하여야만 하는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이격시킨후,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도록 된 것으로, 길이를 가지는 다양한 '봉'들에 각각 안정적으로 고정됨은 물론, 단말기가 거치되는 부위가 절첩되어 휴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단말기가 거치되는 봉을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지지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일반적인 등산스틱과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사용성이 향상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는, 길이를 가지는 봉이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고정되며 모바일 단말기가 결속고정되는 결속부재를 가지는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회동축을 통해 축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고정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일단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편이 구비된 고정결속대와; 상기 고정결속대에서 상기 고정지지편과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타단을 지지하는 가동지지편이 구비된 가동결속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의 하부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하부에서 절첩축을 통해 절첩가능하게 축고정되어 바닥에 대하여 상기 봉을 직립되게 지지하도록 된 다수의 지지부재들;을 가지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는, 등산스틱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봉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결속부재의 고정결속대와 가동결속대에 모바일 단말기의 양단을 끼움하여 결속한 상태에서 봉을 손으로 잡고 사용자와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셀카를 촬영하도록 됨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봉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휴대 및 보관하거나 혹은, 결속부재를 고정부재에 대하여 절곡회전시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최소화한 상태로 적용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봉이 등산스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등산시 등산스틱의 고유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셀카촬영시 안정된 셀카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봉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다수의 지지부재를 펼쳐 바닥에 대하여 상기 봉을 직립되게 지지하도록 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셀카를 촬영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구성하는 거치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구성하는 잠금탄성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1)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휴대폰)(10)을 등산스틱 등과 같이 길이를 가지는 선택된 봉(100)에 거치하여 사용자로 부터 단말기(10)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이격시킨 후, 단말기(1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셀카 촬영을 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1)는, 길이를 가지는 상기 봉(100)이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재(2)와, 상기 고정부재(2)에 회동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고정되며 모바일 단말기(10)가 결속고정되는 결속부재(31)를 가지는 거치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거치수단(3)이 상기 고정부재(2)를 통해 상기 봉(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재(31)에 모바일 단말기(10)를 결속한 후, 셀카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2)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면서 각각의 타단을 '고정볼트' 등과 같은 고정요소(23)를 통해 결속 및 해제하도록 되며, 결속시 상기 봉(100)이 관통되면서 결속되는 고정공(221)이 내측에 형성되도록 되는 한 쌍의 고정체(2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체(22)들이 상기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각각의 종단들이 서로 밀착 및 이격되도록 되며, 각각의 종단들이 서로 밀착될 때 상기 고정공(221)을 형성하면서 내측에 상기 봉(100)이 관통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봉(100)에 대한 탈부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요소(23)와 상기 고정체(22)들의 결합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술의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고정체(22)들의 내측면에는, 상기 봉(1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밀착지지하도록 된 탄성지지체(24)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지지체(24)들이 상기 봉(100)의 외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상기 봉(100)과의 결속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결속부재(31)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체(22)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상기 고정체(22)의 일 측부위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연장형성된 고정브라켓트(25)에 상기 회동축(26)을 통해 축결합되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트(25)는, 상기 결속부재(31)가 상하방향으로 180˚로 회전가능하게 외측부위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트(25)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술의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1)에서, 상기 결속부재(31)는, 상기 고정부재(2)에 상기 회동축(26)을 통해 축결합되는 지지대(311)와; 상기 지지대(311)에 대하여 고정축(312)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일단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편(313)이 구비된 고정결속대(314)와; 상기 고정결속대(314)에서 상기 고정지지편(313)과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타단을 지지하는 가동지지편(315)이 구비된 가동결속대(3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부재(2)에 상기 지지대(311)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결속대(314)의 상기 고정지지편(313)과 상기 가동결속대(316)의 상기 가동지지편(315)의 사이에 모바일 단말기(10)를 결속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고정지지편(313)과 상기 가동지지편(315)을 통해 양단이 끼움되면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봉(100)을 손으로 잡고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셀카 촬영을 하면 사용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원하는 촬영을 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311)에 대하여 상기 고정결속대(314)가 상기 고정축(31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속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고정결속대(314)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운동시켜 모바일 단말기(10)를 원하는 각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셀카 촬영을 하게 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대(311)과 상기 고정결속대(314)에 대하여 상기 고정축(312)은, 무단으로 회전운동되지 않을 정도의 마찰력을 가지면서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결속대(314)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운동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고정축(312)과 상기 지지대(311) 및 상기 고정결속대(314)의 연결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술의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1)에서, 상기 가동결속대(316)는, 상기 고정결속대(314)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출납가능하게 끼움결속되어 상기 고정지지편(313)과 상기 가동지지편(315)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된 가이드봉(3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에 대한 상기 가이드봉(317)의 출납길이의 조절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편(313)과 상기 가동지지편(315)의 간격이 조절되어, 모바일 단말기(10)의 크기에 관계없이 안정되게 결속고정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봉(317)을 상기 고정지지편(313)측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된 신축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신축스프링을 통해 상기 가동결속대(316)가 상기 고정결속대(314)측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고정지지편(313)과 상기 가동지지편(315)의 사이에 끼움결속되는 모바일 단말기(10)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결속되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지지편(313)과 상기 가동지지편(315)은, 상기 고정결속대(314)의 단부와 상기 가동결속대(316)의 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연장형성되며 내측에 모바일 단말기(10)가 수용됨은 물론, 상기 지지대(311)의 회동시 상기 봉(100)이 관통되면서 끼움결속되도록 일부위가 개방된 '링' 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비 사용시에 상기 지지대(311)가 상기 회동축(26)을 통해 회전하면서 상기 요홈이 상기 봉(100)에 각각 끼움결속되면서 접힌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봉(100)과의 결속을 더욱 안정되게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대(311)에는, 별도의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기에 형성된 결합너트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볼트(34)가 나사체결된 체결대(32)를 내부에 배치하는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대(32)는 상기 지지대(311)에 결합축(33)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공에 축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상기 체결대(32)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운동하여 상기 결합볼트(3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촬영기의 상기 결합너트를 나사결합하여 고정하도록 됨으로써, 셀카 촬영을 수행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대(311)에는, 나사조임시 상기 지지대(311)에 대하여 상기 체결대(32)를 고정하여 무단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잠금나사(3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311)에 대하여 상기 체결대(32)의 회전된 상태를 상기 잠금나사(35)를 통해 확고히 고정하여 무단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셀카 촬영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나사(35)의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술의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1)는, 상기 봉(100)의 하부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체결부재(41)와, 상기 체결부재(41)의 하부에서 절첩축을 통해 절첩가능하게 축고정되어 바닥에 대하여 상기 봉(100)을 직립되게 지지하도록 된 다수의 지지부재(42)들;을 가지는 지지수단(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부재(41)는 통해 상기 봉(100)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42)들이 상기 절첩축을 중심으로 절첩되면서 펼침운동 및 접힘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미 사용시에는, 상기 지지부재(42)들이 접힘운동하여 상기 봉(100)에 상기 지지부재(42)들이 밀착되도록 됨에 따라, 점유면적이 최소화하게 된다.
아울러, 셀카 촬영을 하기 위하여 상기 봉(100)을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지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42)들이 펼침운동하면서 각각의 지지부재(42)들의 종단이 바닥에 대하여 다점지지하면서 상기 봉(100)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봉(100)이 무단으로 넘어지지 않으면서 안정되게 직립된 자세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체결부재(41)는, 체결축(411)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면서 각각의 타단을 '고정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요소(412)를 통해 결속 및 해제하도록 되며, 결속시 상기 봉(100)이 관통되면서 결속되는 수용공을 내측에 형성하도록 되는 한 쌍의 체결체(41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체결체(413)들이 상기 체결축(41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각각의 종단들이 서로 밀착 및 이격되도록 되며, 각각의 종단들이 서로 밀착될 때 상기 수용공을 형성하면서 내측에 상기 봉(100)이 관통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봉(100)에 대한 탈부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체결요소(412)와 상기 체결체(413)들의 결합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술의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체결체(413)들 중 하나의 상기 체결체(413)의 내측에는, 승하강시 상기 봉(1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밀착지지하거나 이격시키어 고정상태를 해제하도록 된 잠금탄성체(4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시에는, 상기 잠금탄성체(414)가 상기 봉(100)의 외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상기 봉(100)과의 결속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봉(100)에 대한 상기 체결부재(41)의 체결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잠금탄성체(414)를 승강이동운동시켜 상기 봉(100)에 대하여 이격시키어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봉(100)에 대한 상기 체결부재(41)의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잠금탄성체(414)를 역방향으로 승강이동운동시켜 상기 봉(1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밀착지지시킴으로써, 결속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잠금탄성체(414)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1)에서 상승이동시 상기 봉(100)과 대면하는 부위가 상기 봉(100)에서 이격되도록 되며; 상기 체결부재(41)에서 하강이동시 상기 봉(100)과 대면하는 부위가 상기 봉(100)에 근접되도록 상기 체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탄성체(414)와 상기 체결부재(41)의 결합구조 및 상기 잠금탄성체(414)의 형상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술의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1)에서, 상기 지지부재(42)들은, 상기 체결체(413)들에 대하여 각각 2개 1조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4개의 지지부재(42)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지부재(42)들은, 상기 체결부재(41)에 상기 절첩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메인지지대(421)와; 상기 메인지지대(421)에서 하부측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고정결속되는 신축지지대(4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지지대(421)에 대한 상기 신축지지대(422)의 신축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바닥면에 형상에 따라 적합하게 맞춤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봉(100)의 직립상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메인지지대(421)에 대한 상기 신축지지대(422)의 결합구조는, 상기 신축지지대(422)의 신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술의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10 : 단말기 100 : 봉
2 : 고정부재 21 : 힌지축
22 : 고정체 221 : 고정공
23 : 고정요소 24 : 탄성지지체
25 : 고정브라켓트 26 : 회동축
3 : 거치수단 31 : 결속부재
311 : 지지대 312 : 고정축
313 : 고정지지편 314 : 고정결속대
315 : 가동지지편 316 : 가동결속대
317 : 가이드봉 32 : 체결데
33 : 결합축 34 : 결합볼트
35 : 잠금나사 4 : 지지수단
41 : 체결부재 411 : 체결축
412 : 체결요소 413 : 체결체
414 : 잠금탄성체 42 : 지지부재
421 : 메인지지대 422 : 신축지지대

Claims (2)

  1. 길이를 가지는 봉이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고정되며 모바일 단말기가 결속고정되는 결속부재를 가지는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회동축을 통해 축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고정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일단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편이 구비된 고정결속대와;
    상기 고정결속대에서 상기 고정지지편과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타단을 지지하는 가동지지편이 구비된 가동결속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하부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하부에서 절첩축을 통해 절첩가능하게 축고정되어 바닥에 대하여 상기 봉을 직립되게 지지하도록 된 다수의 지지부재들;을 가지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KR1020210062646A 2021-05-14 2021-05-14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KR10265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46A KR102658851B1 (ko) 2021-05-14 2021-05-14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46A KR102658851B1 (ko) 2021-05-14 2021-05-14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983A true KR20220154983A (ko) 2022-11-22
KR102658851B1 KR102658851B1 (ko) 2024-04-19

Family

ID=8423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646A KR102658851B1 (ko) 2021-05-14 2021-05-14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9292A (zh) * 2023-06-05 2023-07-04 山东省地质测绘院 一种具有多功能的地理信息测绘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440A (ko) 2013-11-29 2015-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휠 속도 센서 조립체
KR20150072236A (ko) 2013-12-19 2015-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테라스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의 패키징 구조 및 그 방법
US20150267863A1 (en) * 2012-10-23 2015-09-24 Michael Chau-Lun CHANG Extension rod device working with fixer for handheld, portable, mobile devices
KR200479777Y1 (ko) * 2014-11-17 2016-03-07 김주홍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거치대
US9298066B1 (en) * 2014-10-28 2016-03-29 Eagle Fan Multi-functional support assembly
US20160230921A1 (en) * 2015-02-09 2016-08-11 Eagle Fan Structure for cradle head
KR20170077382A (ko) 2015-12-28 2017-07-06 서민호 용기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67863A1 (en) * 2012-10-23 2015-09-24 Michael Chau-Lun CHANG Extension rod device working with fixer for handheld, portable, mobile devices
KR20150062440A (ko) 2013-11-29 2015-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휠 속도 센서 조립체
KR20150072236A (ko) 2013-12-19 2015-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테라스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의 패키징 구조 및 그 방법
US9298066B1 (en) * 2014-10-28 2016-03-29 Eagle Fan Multi-functional support assembly
KR200479777Y1 (ko) * 2014-11-17 2016-03-07 김주홍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거치대
US20160230921A1 (en) * 2015-02-09 2016-08-11 Eagle Fan Structure for cradle head
KR20170077382A (ko) 2015-12-28 2017-07-06 서민호 용기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9292A (zh) * 2023-06-05 2023-07-04 山东省地质测绘院 一种具有多功能的地理信息测绘装置
CN116379292B (zh) * 2023-06-05 2023-08-08 山东省地质测绘院 一种具有多功能的地理信息测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851B1 (ko)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8153B2 (en) Adjustable mounting clip and system using same
US9332170B1 (en) Telescoping extension
JPH05119392A (ja) カメラ等の支持脚
US20100200710A1 (en) Compact camera stand
JP7411816B2 (ja) サブハンドル付きの撮影機器ブラケット
JP6656542B1 (ja) ブレ防止自撮り棒
JP2006317945A (ja) カメラ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と当該装置を使用する方法
KR101022872B1 (ko) 카메라 거치대
US20180088445A1 (en) Cell Phone Case with Extendable Remote Camera Control
JP2018515798A (ja) 携帯デジタル装置用の一体型拡張および機械的保護システム
KR20170110253A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KR20220154983A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JP2006090389A (ja) 一脚用筒体の補助三脚構造
WO2018126500A1 (zh) 自拍杆
CN112600966B (zh) 一种手机固定台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JP3138812U (ja) カメラ用三脚及び雲台を内蔵した洋傘
CN211779978U (zh) 自拍杆的可伸缩三脚架结构
KR200362415Y1 (ko) 카메라폰 거치대
KR101939390B1 (ko)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CN218032460U (zh) 可收折摄影支架
KR102355674B1 (ko) 셀카봉
CN219510544U (zh) 可伸缩的支撑架和支撑装置
CN216976343U (zh) 支架及自拍装置
CA2609885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and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