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382A - 용기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용기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382A
KR20170077382A KR1020150187215A KR20150187215A KR20170077382A KR 20170077382 A KR20170077382 A KR 20170077382A KR 1020150187215 A KR1020150187215 A KR 1020150187215A KR 20150187215 A KR20150187215 A KR 20150187215A KR 20170077382 A KR20170077382 A KR 20170077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ntainer
separating member
guid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호
Original Assignee
서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호 filed Critical 서민호
Priority to KR1020150187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382A/ko
Publication of KR2017007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용기분리장치에 따르면, 상하로 배출공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관통되도록 용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며, 상기 기어부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용기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리부재; 상기 기어부가 기 설정된 회전거리만큼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재되어 배치되고, 상기 기어부가 회전됨에 따라 하나 이상 분리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분리부재가 기어부와 일체로 회전되며 적재된 용기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일정한 회전거리만 회전됨으로써, 적재된 용기들 중 최 하단에 위치한 용기만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용기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분리장치{Container separating device}
본 발명은 용기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락 등의 식품을 담을 때 용기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용기의 재질은 종이, 은박,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용기를 보관할 때는, 용기를 적재하여 보관한다. 그리고 적재된 용기들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적재된 용기에서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서 하나씩 분리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용기를 분리할 때, 한 손으로 적재용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 최상부 또는 최하부 용기를 잡은 후에야 분리할 수 있어 분리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식품판매기기, 용기자동판매기기 등과 같이 기기의 내부에 적재된 용기를 분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분리장치가 요구되어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679163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부재가 기어부와 일체로 회전되며 적재된 용기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일정한 회전거리만 회전됨으로써, 적재된 용기들 중 최 하단에 위치한 용기만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용기분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기분리장치에 따르면, 상하로 배출공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관통되도록 용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며, 상기 기어부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용기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리부재; 상기 기어부가 기 설정된 회전거리만큼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재되어 배치되고, 상기 기어부가 회전됨에 따라 하나 이상 분리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1기어 및 하부가 상기 제1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분리부재에 결합된 제2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용기를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외주면에 나선형방향으로 나사산과 골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는, 테두리가 상기 골에 삽입되어 나선방향의 골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이 상기 제1기어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재에 지지되며 이동되는 용기가 일방향으로 적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분리부재와 용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재가 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제1가이드벽 및 상기 용기의 외측에 상기 제1가이드벽과 이격되어 가이드공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제2가이드벽을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분리부재가 기어부와 일체로 회전되며 적재된 용기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일정한 회전거리만 회전됨으로써, 적재된 용기들 중 최 하단에 위치한 용기만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용기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의 분리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용기분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분리장치의 분리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분리장치는, 일회용 용기(60)가 적재되어 보관된 기기에서 하나의 용기(60)만 분리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분리장치는, 지지부(10), 기어부(20), 구동부(30), 분리부재(4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먼저, 지지부(10)는, 상하로 배출공(11)이 형성된다.
기어부(20)는, 지지부(10)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기어부(20)는, 제1기어(21) 및 제2기어(22)를 포함한다.
제1기어(21)는, 지지부(10)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제1기어(21)는 후술할 가이드롤러(70)에 의해 제1기어(2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1기어(2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이가 형성된다.
제2기어(22)는, 하부가 제1기어(21)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부가 후술할 분리부재(40)에 결합된다.
즉, 제2기어(22)는, 외주면에 이가 형성되고 제1기어(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이와 치합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제2기어(22)는 후술할 분리부재(40)의 하측면과 결합되어 분리부재(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봉(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기어(2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동부(30)는, 기어부(20)에 결합되어 기어부(20)를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부(30)는 제1기어(21)의 이에 치합되는 연결기어(31)와, 연결기어(31)에 연결된 모터축(32) 및 모터축(32)이 회전되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3)로 이루어진다.
분리부재(40)는, 기어부(20)에 결합되어 배출공(11)으로 관통되도록 용기(6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한다.
또한, 분리부재(40)는, 기어부(20)와 일체로 회전되며 용기(60)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리부재(40)는, 용기(60)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선형방향으로 나사산(41)과 골(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60)는, 테두리가 분리부재(40)의 골(42)에 삽입되어 나선방향의 골(42)을 따라 이동된다.
즉, 분리부재(40)가 회전되면, 용기(60)는 나선방향의 골(42)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제어부는, 기어부(20)가 기 설정된 회전거리만큼 회전되도록 구동부(30)를 제어한다.
이때, 회전거리는, 기어부(20) 즉, 제1기어(21)의 특정 지점이 제1기어(21)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한 호의 길이를 말한다.
여기서, 용기(60)는, 분리부재(40)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재되어 배치되고, 기어부(20)의 제1기어(21)가 회전됨에 따라 하나 이상 분리된다. 즉, 제1기어(21)의 회전거리를 길게하면 분리부재(40)의 기어비에 의해 회전되는 만큼 적재된 용기(60)에서 분리부재(40)에 지지되는 최하부의 용기(60)가 차례대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분리되는 용기(60)는, 배출공(11)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분리장치는, 가이드롤러(70) 및 가이드부재(8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롤러(70)는, 지지부(10)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롤러(70)는, 외주면이 제1기어(21)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롤러(70)는, 제1기어(21)가 제1기어(2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롤러(70)는, 제1기어(21)의 외주면에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어 제1기어(2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롤러(70)는, 외주면과 제1기어(21)의 외주면이 서로 맞닿을 때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름운동가능한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기어(21)와 지지부(10)의 사이에는, 제1기어(21)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70)는, 제1기어(21)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재(80)는, 지지부(10)의 상측면에 구비되고, 분리부재(40)에 지지되며 이동되는 용기(60)가 일방향으로 적재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때, 가이드부재(80)는, 용기(6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10)의 상측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용기(60)는, 가이드부재(80)에 의해서 장치가 흔들려도 쓰러지지 않고 장치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적재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80)는, 제1가이드벽(81) 및 제2가이드벽(83)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벽(81)은, 분리부재(40)와 용기(60) 사이에 구비되고, 분리부재(40)가 용기(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관통공(82)이 형성된다.
즉, 관통공(82)을 통해서 분리부재(40)가 관통되어 용기(60)를 지지한다.
제2가이드벽(83)은, 용기(60)의 외측에 제1가이드벽(81)과 이격되어 가이드공(84)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공(84)은 가이드부재(8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가이드벽(83)은, 인근에 구비된 제1가이드벽(81)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가이드공(84)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60)를 추가할 때, 사용자가 용기(60)의 테두리를 잡고 기 적재된 용기(60)의 최 상단까지 안전하게 내려놓을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공(84)이다. 이에 따라, 가이드공(84)은, 가이드부재(8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용기(60)를 가이드부재(80)의 내부공간으로 추가하고자 할 때, 가이드공(84)이 없으면 가이드부재(80)의 상단에서 용기(60)를 떨어트려야 한다. 이때, 떨어트리는 용기(60)의 하중에 의해서 강제로 용기(60)가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될 수도 있고, 기어부(20)가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60)를 추가로 적재하고자 할 때는, 용기(60)의 테두리를 잡고 기 적재된 용기(60)의 최 상단까지 천천히 내려놓을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8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공(8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지지부 11: 배출공
20: 기어부 21: 제1기어
22: 제2기어 23: 연결봉
30: 구동부 31: 연결기어
32: 모터축 33: 모터
40: 분리부재 41: 나사산
42: 골 60: 용기
70: 가이드롤러 80: 가이드부재
81: 제1가이드벽 82: 관통공
83: 제2가이드벽 84: 가이드공

Claims (6)

  1. 상하로 배출공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관통되도록 용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며, 상기 기어부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용기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리부재;
    상기 기어부가 기 설정된 회전거리만큼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재되어 배치되고, 상기 기어부가 회전됨에 따라 하나 이상 분리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1기어 및
    하부가 상기 제1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분리부재에 결합된 제2기어를 포함하는 용기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용기를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외주면에 나선형방향으로 나사산과 골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는, 테두리가 상기 골에 삽입되어 나선방향의 골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분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이 상기 제1기어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용기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재에 지지되며 이동되는 용기가 일방향으로 적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기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분리부재와 용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재가 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제1가이드벽 및
    상기 용기의 외측에 상기 제1가이드벽과 이격되어 가이드공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제2가이드벽을 포함하는 용기분리장치.
KR1020150187215A 2015-12-28 2015-12-28 용기분리장치 KR20170077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15A KR20170077382A (ko) 2015-12-28 2015-12-28 용기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15A KR20170077382A (ko) 2015-12-28 2015-12-28 용기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382A true KR20170077382A (ko) 2017-07-06

Family

ID=5935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215A KR20170077382A (ko) 2015-12-28 2015-12-28 용기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3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023B1 (ko) * 2021-12-21 2022-09-14 성상일 용기 공급기
KR20220154983A (ko) 2021-05-14 2022-11-22 조자룡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983A (ko) 2021-05-14 2022-11-22 조자룡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KR102443023B1 (ko) * 2021-12-21 2022-09-14 성상일 용기 공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889B2 (en) Drug feeder
JP6000195B2 (ja) 錠剤カセット
JP6894384B2 (ja) 自動薬剤調合装置のための薬剤供給キャニスタ
KR20170077382A (ko) 용기분리장치
AU2014370113B2 (en) Multi-chambered earplug dispenser
US9501890B2 (en) Reduced friction earplug dispenser
US10529165B2 (en) Cup lid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JP2016140724A (ja) 錠剤カセット
CN109562885A (zh) 药片送料器
WO2018135236A1 (ja) 物品取出装置
US10354475B2 (en) Vending machines
US20170326905A1 (en) Pencil sharpener
JP5837181B2 (ja) 容器充填装置
KR101296896B1 (ko) 자동판매기용 용기 공급장치
JP6550248B2 (ja) 育苗箱自動供給装置
AU2022203194A1 (en) Storage container for a storage and delivery station for drugs
JP6354988B2 (ja) メダル積上げ装置
KR20110102625A (ko) 컵 배출기
US20230322507A1 (en) Apparatus for automatic separation of stacked, nested containers
KR102136872B1 (ko) 필터용 운반 링
JP7281145B2 (ja) 薬剤フィーダ
JP6770287B2 (ja) 繰り出し容器
TWI648207B (zh) 料倉結構
JPS61127420A (ja) 錠剤等の投入装置
JP7337383B2 (ja) 薬剤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