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625A - 컵 배출기 - Google Patents

컵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625A
KR20110102625A KR1020100021725A KR20100021725A KR20110102625A KR 20110102625 A KR20110102625 A KR 20110102625A KR 1020100021725 A KR1020100021725 A KR 1020100021725A KR 20100021725 A KR20100021725 A KR 20100021725A KR 20110102625 A KR20110102625 A KR 2011010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s
storage member
ejecto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훈
노진환
이응삼
박권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2625A/ko
Publication of KR2011010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6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 A47F1/06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컵에 탄성력 등과 같은 지속적인 힘이 작용되지 않아도 컵이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는 컵 배출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배출기는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지는 받침부재(200); 상기 받침부재(200)가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컵(C)이 보관되는 보관부재(300); 및 상기 복수개의 컵(C)이 상기 보관부재(300)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컵(C) 중 일부가 상기 보관부재(300)의 일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보관부재(300)가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재(200)가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부재(410)를 포함하는 이동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컵 배출기로부터 컵이 일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컵에 탄성력 등과 같은 지속적인 힘이 작용되지 않아도 컵이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컵이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컵 배출기{CUP DISPENSER}
본 발명은 컵에 탄성력 등과 같은 지속적인 힘이 작용되지 않아도 컵이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는 컵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컵 배출기는 보관된 컵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컵 배출기는 정수기 등에 구비되며, 예컨대 사용자가 정수를 음용하기 위해서 컵을 필요로 할 때, 사용자는 컵 배출기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된 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컵 배출기는 일반적으로 컵의 하중을 이용하여 보관된 컵이 아래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관된 컵이 아래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컵 배출기의 경우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서 정수기 등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등의 상부에 여러 가지 장치가 많이 장착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인해서 정수기 등의 하부에 컵 배출기를 구비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보관된 컵이 아래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컵 배출기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컵에 위방향의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컵이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컵 배출기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컵 배출기의 경우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컵에 지속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컵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컵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 배출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컵 배출기로부터 컵이 일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컵에 탄성력 등과 같은 지속적인 힘이 작용되지 않아도 컵이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컵이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컵 배출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컵에 탄성력 등과 같은 지속적인 힘이 작용되지 않아도 컵이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컵 배출기는 복수개의 컵이 포개어져 놓여지는 받침부재; 받침부재가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개의 컵이 보관되는 보관부재; 및 복수개의 컵이 보관부재 내에 삽입되거나 복수개의 컵 중 일부가 보관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보관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서 받침부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 개수의 컵이 순차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보관부재의 컵 배출측에 구비된 일정개수 배출수단;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부재에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보관부재에는 안내돌기가 통과되어 이동되는 이동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회전부재에는 안내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나선형의 이동안내홈이 형성되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안내돌기가 이동안내홈을 따라 이동되어 안내돌기가 이동가이드구멍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회전부재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되어 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는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기어는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는 베벨기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은 보관부재의 컵 배출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일측은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고 타측은 포개어져 위치된 복수개의 컵의 테두리부 사이에 위치되는 멈춤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컵 배출기로부터 컵이 일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컵에 탄성력 등과 같은 지속적인 힘이 작용되지 않아도 컵이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컵이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컵 배출기에 보관될 컵을 넣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컵 배출기에 컵이 넣어져서 보관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컵 배출기에 보관된 컵에서 하나씩 순차로 컵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컵 배출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컵에 탄성력 등과 같은 지속적인 힘이 작용되지 않아도 컵이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는 받침부재(200)와, 보관부재(300) 및, 이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에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질 수 있다. 받침부재(200)에 포개어져 놓여지는 복수개의 컵(C)은 거꾸로, 즉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의 상단부에 형성된 테두리부(E)가 받침부재(200)를 향하도록 놓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컵(C)의 테두리부(E)가 받침부재(200)를 향하도록 컵(C)이 놓여지면 컵(C)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받침부재(200)는 보관부재(30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안내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돌기(210)는 보관부재(300)에 형성된 이동가이드구멍(310)에 통과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보관부재(300)의 이동가이드구멍(310)에 통과되어 이동됨에 따라,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지고 보관부재(30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의 내부에는 받침부재(20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300)에는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관통되어 이동될 수 있는 이동가이드구멍(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부재(300)에는 복수개의 컵(C)이 보관될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진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서 컵(C) 배출측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 내에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부재(3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이동수단(400)에 포함되는 회전부재(4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수단(400)은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수단(400)에 의해서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진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서 컵(C) 배출측의 방대방향으로 이동되면, 전술되고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수단(400)에 의해서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진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서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컵(C) 중 일부가 보관부재(300)의 일측 방향, 즉 컵(C) 배출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동수단(400)은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보관부재(300)의 이동가이드구멍(310)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보관부재(300)의 이동가이구멍(310)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동수단(40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410)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300)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부재(410)에는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나선형의 이동안내홈(4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안내홈(410a)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의 이동가이드구멍(310)을 통과한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부재(4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410)는 회전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410)가 회전되면,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나선형의 이동안내홈(410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동안내홈(410a)이 회전부재(410)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410)가 회전되면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는 회전부재(410)의 회전방향에 직각으로, 즉 보관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보관부재(300)의 이동가이드구멍(310)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410)의 회전운동이 회전부재(410)의 나선형의 이동안내홈(410a)에 의해서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보관부재(300)의 내부에서 받침부재(200)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전부재(41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의 내부에서 컵(C) 배출측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41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의 내부에서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되면, 보관부재(300)에 삽입되어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일부가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력 등과 같은 지속적인 힘이 작용되지 않아도 컵(C)이 컵 배출기(100)의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동수단(40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손잡이(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420)에는 기어(G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420)의 기어(G2)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부재(410)에 구비된 기어(G1)에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42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부재(410)가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서 컵(C) 배출측의 반대방향 또는 컵(C) 배출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기어(G1)는 회전부재(41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기어(G2)는 손잡이(4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기어(G1,G2)는 베벨기어일 수 있다. 그러나, 기어(G1,G2)는 베벨기어에 한정되지 않고, 손잡이(42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부재(410)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에 의해서 보관부재(300)로부터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로부터 순차로 배출되도록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에 의해서 순차로 배출되는 컵(C)의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한 개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한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지지부재(510)와, 탄성부재(520) 및, 멈춤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5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520)는 이러한 지지부재(5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멈춤부재(530)는 그 일측이 지지부재(510)에 구비된 탄성부재(520)에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멈춤부재(530)는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멈춤부재(530)의 타측은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어져 위치된 복수개의 컵(C)의 테두리부(E)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멈춤부재(530)에 의해서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로부터 배출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즉, 테두리부(E)가 멈춤부재(530)를 기준으로 보관부재(300)측에 있는 컵(C)은 멈춤부재(530)에 의해서 보관부재(300)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테두리부(E)가 멈춤부재(530)를 기준으로 보관부재(300)의 반대측에 있는 컵(C)은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개수의 컵(C)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컵(C)이 순차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H)에 전술된 이동수단(400)의 회전부재(410)와 손잡이(4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개수 배출수단(500) 또한 하우징(H)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H)에는 하우징의 상부, 즉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상부를 덮는 덮개(V1)와 하우징(H)의 하부를 덮는 덮개(V2)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H)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착구(T)가 구비될 수 있어서, 이러한 장착구(T)에 의해서 하우징(H)이 정수기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이 컵 배출기(100)의 위로 배출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을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멈춤부재(530) 상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컵(C)의 상부에서 아래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 중 최하단에 위치된 컵(C)의 테두리부(E)가 하강되면서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멈춤부재(530)를 컵(C)에 대하여 뒤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멈춤부재(530)가 도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2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컵(C)에 대하여 뒤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서,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 중 최하단의 컵(C)은 도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00) 위에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이후, 멈춤부재(530)는 탄성부재(5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컵(C)에 대하여 앞으로 이동되어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 중 최하단에 위치된 컵(C)의 테두리부(E)와 그 위에 위치된 컵(C)의 테두리부(E)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의 상부에서 아래방향으로 계속해서 힘을 가하면,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 내부에서 하강되면서 전술된 바와 같이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재(300) 내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손잡이(420)를 회전시켜서 이동수단(400)의 회전부재(410)가 회전되게 하면, 회전부재(410)의 회전에 의해서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회전부재(410)의 나선형의 이동안내홈(410a)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보관부재(300)의 이동안내구멍(310)의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의 내부에서 하강된다. 따라서,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이 보관부재(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컵(C)을 사용하기 위해서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컵(C)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20)를 포개어진 복수개의 컵(C)을 보관부재(300)의 내부에 삽입시킬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41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부재(410)의 나선형의 이동안내홈(410a)을 따라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이동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받침부재(200)의 안내돌기(210)가 보관부재(300)의 이동안내구멍(310)의 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의 내부에서 상승되면, 보관부재(300)에 보관된 복수개의 컵(C) 중 최상단의 컵(C)의 테두리부(E)가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멈춤부재(530)를 컵(C)에 대하여 뒤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멈춤부재(530)는 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2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도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에 대하여 뒤로 밀리게 된다. 또한, 보관부재(300)의 내부에 복수개의 컵(C)이 받침부재(200)의 상승과 함께 상승된다.
복수개의 컵(C)이 받침부재(200)의 상승과 함께 계속 상승되다가, 복수개의 컵(C)의 최상단의 컵(C)의 테두리부(E)가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멈춤부재(530)를 지나게 되면, 복수개의 컵(C)의 최상단의 컵(C)의 테두리부(E)가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멈춤부재(530)에 힘을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멈춤부재(530)는 탄성부재(5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컵(C)에 대하여 앞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컵(C) 중 최상단의 컵(C)의 테두리부(E)와 그 아래에 위치된 컵(C)의 테두리부(E)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컵(C) 중 최상단의 컵(C)은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멈춤부재(530)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멈춤부재(530)에 의해서 구속되지 않아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아래에 위치된 컵(C)들은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멈춤부재(530)에 의해서 구속되기 때문에, 배출될 수 없게 된다.
한편, 2개 이상의 컵(C)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의 멈춤부재(530)의 위에 2개 이상의 컵(C)이 위치되도록 손잡이(420)를 회전시켜서 받침부재(200)가 보관부재(300) 내에서 상승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 이상의 컵(C)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배출기(100)를 사용하면, 컵 배출기(100)로부터 컵(C)이 일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고, 컵(C)에 탄성력 등과 같은 지속적인 힘이 작용되지 않아도 컵(C)이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컵(C)이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개수씩 순차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컵 배출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컵 배출기 200 : 받침부재
210 : 안내돌기 300 : 보관부재
310 : 이동가이드구멍 400 : 이동수단
410 : 회전부재 410a : 이동안내홈
420 : 손잡이 500 : 일정개수 배출수단
510 : 지지부재 520 : 탄성부재
530 : 멈춤부재 C : 컵
E : 테두리부 G1, G2 : 기어
H : 하우징 V1, V2 : 덮개
T : 장착구

Claims (6)

  1. 복수개의 컵(C)이 포개어져 놓여지는 받침부재(200);
    상기 받침부재(200)가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컵(C)이 보관되는 보관부재(300); 및
    상기 복수개의 컵(C)이 상기 보관부재(300)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컵(C) 중 일부가 상기 보관부재(300)의 일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보관부재(300)가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재(200)가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부재(410)를 포함하는 이동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컵 배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일정 개수의 컵(C)이 순차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된 일정개수 배출수단(5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0)에는 안내돌기(210)가 형성되며,
    상기 보관부재(300)에는 상기 안내돌기(210)가 통과되어 이동되는 이동가이드구멍(31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410)에는 상기 안내돌기(21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나선형의 이동안내홈(410a)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안내돌기(210)가 상기 이동안내홈(410a)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안내돌기(210)가 상기 이동가이드구멍(310)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회전부재(410)에 구비된 기어(G1)에 맞물리는 기어(G2)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410)가 회전되도록 하는 손잡이(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G1)는 상기 회전부재(41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기어(G2)는 상기 손잡이(4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개수 배출수단(500)은
    상기 보관부재(300)의 컵(C) 배출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510);
    상기 지지부재(51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520); 및
    일측은 상기 탄성부재(520)에 의해서 탄성지지되고 타측은 포개어져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컵(C)의 테두리부(E) 사이에 위치되는 멈춤부재(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배출기.
KR1020100021725A 2010-03-11 2010-03-11 컵 배출기 KR20110102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25A KR20110102625A (ko) 2010-03-11 2010-03-11 컵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25A KR20110102625A (ko) 2010-03-11 2010-03-11 컵 배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625A true KR20110102625A (ko) 2011-09-19

Family

ID=4495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725A KR20110102625A (ko) 2010-03-11 2010-03-11 컵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26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2002A1 (de) * 2017-12-20 2019-06-27 Rud. Starcke Gmbh & Co. Kg Ein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schleifblätt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2002A1 (de) * 2017-12-20 2019-06-27 Rud. Starcke Gmbh & Co. Kg Ein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schleifblätter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7549B2 (ja) 錠剤カセット
USD887097S1 (en) Vessel for washing and storage
USD582206S1 (en) Top for beverage container
USD747221S1 (en) Food container assembly
USD589764S1 (en) Spill guard
USD591563S1 (en) Beverage can insulated cover with lower and upper cover portions
KR101247124B1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USD600504S1 (en) Partitioned food tray with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
JP6044053B2 (ja) 蓋部自動開閉装置
USD838550S1 (en) Dish
USD935049S1 (en) Testing device
USD794467S1 (en) Container
JP2021534048A (ja) 飲料容器サポート装置
US20160324365A1 (en) Coffee machine
JP2018500951A (ja) ボタン型ペンシル化粧品容器
US8221623B2 (en) Demountable filtering device
USD972411S1 (en) Football shaped container
KR20110102625A (ko) 컵 배출기
US11084647B2 (en) Dispenser
US20170326905A1 (en) Pencil sharpener
USD656368S1 (en) Food container
USD976439S1 (en) Test device comprising a pipette holder
USD894689S1 (en) Bowl
USD600977S1 (en) Drinking vessel
USD548786S1 (en) Square-shaped writing instrument with abrasive surface on upper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