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872B1 - 카메라 거치대 - Google Patents

카메라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872B1
KR101022872B1 KR1020100098537A KR20100098537A KR101022872B1 KR 101022872 B1 KR101022872 B1 KR 101022872B1 KR 1020100098537 A KR1020100098537 A KR 1020100098537A KR 20100098537 A KR20100098537 A KR 20100098537A KR 101022872 B1 KR101022872 B1 KR 101022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xing
support
support ro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민
Original Assignee
권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민 filed Critical 권영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봉; 상기 다수개의 봉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지지봉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부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부재; 및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결합되며,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결합되는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2부재와 힌지결합되는 제3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 상부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부재와 제3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거치대{Camera stand}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시킬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를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 카메라의 각도를 여러 방향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며 운반이 용이한 카메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거치대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즉, 사용자는 사진촬영시 카메라를 직접 들고 촬영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로 촬영할 수 있는데,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로 촬영할 때 이용되는 것이 카메라 거치대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카메라 거치대로서 삼각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합된 세개의 지지봉과 카메라를 고정하는 장착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무게에 의하여 삼각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개의 지지봉을 일정한 각도로 벌리고, 상기 장착부 위에 카메라를 장착시켜 고정시킨 후 상기 세개의 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카메라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세개의 지지봉의 길이가 매우 길며, 각각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설치가 쉽지 않으며, 또한 운반시에는 세개의 긴 지지봉을 접어서 운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세개의 긴 지지봉이 서로 부딪히거나 흔들리게 되어 운반하기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장착부에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장착시마다 나사를 체결하도록 구성됨이 일반적이어서, 카메라를 장착부에 고정시키기가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장착부에 카메라를 고정시킨 후에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카메라용 삼각대에 카메라를 장착시킨 후에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삼각대를 재설치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수의 선행기술이 개시되는데, 그 예로서 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05144호,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36481호, 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18514호, 특허공개공보 제10-2007-18612호,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48061호, 특허공개공보 제10-2008-110415호 등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모두 비교적 크기가 작고 가벼운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거치대로서, 충전겸용을 위한 것이거나 또는 자석을 이용한 장착방식에 관한 것이어서, 휴대 단말기보다 크기가 크고 무거운 카메라용 거치대로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근래에는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대해서만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보다 크기가 크고 무거운 카메라 전용의 거치대에 대한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06043호(발명의 명칭: 다목적 촬영용 거치대)가 개시되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영화 또는 사진 촬영현장에서 카메라, 조명등, 마이크 등 모두를 장착할 수 있는 다목적 촬영용 거치대로서, 거치대 위에 카메라, 조명등, 마이크 등을 모두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카메라만을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 따른 다목적 촬영용 거치대는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착시키기가 용이하지도 않으며, 장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쉽게 장착시킬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시킨 상태에서도 카메라의 각도를 여러 방향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며 운반이 용이한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봉; 상기 다수개의 봉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지지봉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부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부재; 및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결합되며,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결합되는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2부재와 힌지결합되는 제3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 상부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부재와 제3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는 상기 지지봉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지지봉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상단이 걸림되도록 상기 지지봉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지지봉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봉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보조 슬라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는 상기 제1부재의 상단에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에 끼움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되어 카메라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결합부 사이에 나사결합을 위한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연결부재; 상기 안착홈에 끼움결합된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부에 나사결합된 카메라의 하부를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 의하면, 비교적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쉽게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 의하면, 카메라를 장착시킨 상태에서도 카메라의 각도를 여러 방향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어서, 카메라 거치대를 설치한 후에도 촬영 방향을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카메라 거치대를 재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 의하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비교적 길이가 긴 하나의 지지봉 하부에 종래의 삼각대 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다리부가 비교적 길이가 짧은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혀진 상태의 거치대가 거의 하나의 봉으로 이루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운반시 다수개의 봉이 서로 부딪히거나 흔들릴 염려가 적어서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 의하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장착된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도록 즉, 장착된 카메라가 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어서, 촬영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시 사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8은 도 5에 따른 제1고정부가 지지봉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따른 제1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따른 각도조절부가 소정의 압력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11은 도 5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5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5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지지봉(10), 상기 지지봉(10)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에 장착된 카메라(2)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20), 상기 지지봉(10)을 지지하는 지지부(30), 상기 각도조절부(20)를 상기 지지봉(10)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봉(1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봉(11,12,13)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상기 다수개의 봉(11,12,13) 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5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봉 즉, 제1봉(11), 제2봉(12), 제3봉(13)이 구비된 것이 개시되지만,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52)는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나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봉(12)과 제3봉(13)을 늘이거나 줄인 상태에서 제1고정부(52)를 이용하여 상기 제2봉(12)과 제3봉(13)을 고정시킴으로써, 카메라 거치대(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20)는 카메라(2)를 안정적으로 쉽게 지지봉(10) 상단에 장착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카메라(2)가 지지봉(10) 상단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지지봉(10) 상부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카메라(2)가 지지봉(10) 상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도가 조절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조절되는 각도가 좁아지도록 하는 슬라이드 부재(40)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40)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재(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재(51)는 슬라이드 부재(40)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또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재(51)와 제3고정부재(53)는 제1고정부(52)와 같이 나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30)는 지지봉(10)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10)을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31)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다리부(31)가 종래의 삼각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종래의 카메라 거치대와 같이 카메라(2)가 장착되는 부위로부터 길이가 긴 삼각대가 바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삼각대 역할을 하는 비교적 길이가 짧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31)로 이루어지는 지지부(20)가 길이가 길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하나의 지지봉(10)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에 의하면, 설치시에는 비교적 길이가 짧은 다리부(31)를 벌려 설치하면 되며, 운반시에는 다리부(31)를 오므려 하나의 지지봉(10)과 같은 형태로 만든 상태에서 운반하게 되므로, 설치 및 운반이 간편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30)는 지지봉(10)이 삽입되는 삽입홀(33)이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31)가 힌지(33) 결합되는 상부 몸체부(34)와, 지지봉(10)의 끝단부가 소정의 고정부재(35)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 몸체부(36)와, 일측은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31)에 타측은 상기 하부 몸체부(36)에 힌지(37) 결합되는 링크부(38)와, 상기 상부 몸체부(34)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몸체부(34)를 지지봉(10)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4고정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30)는 상부 몸체부(34)가 삽입홀(33)을 따라 지지봉(10)의 상하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다리부(31)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부 몸체부(34)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면서 다리부(31)의 벌어진 정도를 조절한 후 제4고정부(54)를 이용하여 상부 몸체부(34)를 고정시킴으로써 카메라 거치대(1)를 안정적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31)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봉(311,31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는 상기 다수개의 봉(311,312)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5고정부(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봉 즉, 제1봉(311)과 제2봉(312)이 구비된 것이 개시되지만,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형이 평평하지 않은 곳에 카메라 거치대(1)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31) 각각의 제2봉(312)의 길이를 다르게 조절한 후 제5고정부(55)를 이용하여 상기 제2봉(312)을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봉(10) 상단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고정부(54)와 제5고정부(55)는 제1고정부(52)와 같이 나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서 카메라와 각도조절부가 지지봉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20)는 나사결합에 의해 카메라(2)가 결합되는 제1부재(21)와, 지지봉(1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제2부재(22)와,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21)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21)와 힌지결합되며,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21)가 회전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2부재(22)와 힌지결합되는 제3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시에 제1부재(21)를 카메라(2) 하부에 나사 결합시킨 상태로 촬영을 하다가 카메라(2)를 지지봉(10) 상단에 장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2부재(22)를 지지봉(10) 상단에 끼움 결합시키고, 제2고정부재(51)를 이용하여 각도조절부(20)를 지지봉(10)에 고정시키면 되기 때문에, 카메라(2)를 지지봉(10) 상단에 안정적으로 쉽게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카메라(2)를 지지봉(10) 상단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면서 카메라(2) 각도를 여러 방향으로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부재(21)에는 카메라(2)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3)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결합부(211)와, 제1힌지부(24)에 의해 제3부재(23)에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결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결합부(212)에는 제1부재(23)가 소정의 압력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부재(22)에는 제2힌지부(25)에 의해 제3부재(23)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결합부(221)와, 지지봉(10)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힌지결합부(221)에는 제3부재(23)가 소정의 압력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2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3부재(23)는 소정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이 다르도록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 각각에 힌지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3부재(23)가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에 힌지결합되는 방향을 달리함으로서 가능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부재(23)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에 힌지결합되는 방향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힌지부(24)와 제2힌지부(25)가 이루는 각이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3부재(23)의 단면은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부재(21)는 제3부재(23)와의 힌지결합에 의해 앞뒤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제3부재(23)는 제2부재(22)와의 힌지결합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2)의 각도의 폭을 더욱 넓혀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부(20)는 카메라(2)와 제1부재(21)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재(24)에는 제1부재(21)의 나사결합부(211)가 관통하는 관통홀(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24)는 카메라(2)의 하부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부재(22)의 끼움결합부(222)와 지지봉(10) 상단(본 실시예에서는 제3봉(13)의 상단을 말한다. 이하, '제3봉(13)의 상단'이라 한다)의 끼움결합은 끼움결합부(222)에 형성된 돌출부와, 제3봉(13)의 상단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재(51)는 제3봉(13)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부재(22)의 끼움결합부(222)와 제3봉(13) 상단의 끼움결합은 끼움결합부(222)에 형성된 홈(223)과 제3봉(13)의 상단에 상기 홈(22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돌출부(1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재(51)는 제2부재(22)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슬라이드 부재(4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지지봉(10) 상부(본 실시예에서는 제3봉(13) 상부를 말한다. 이하, '제3봉(13)의 상부'라 한다) 외측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 부재(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재(51)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40)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40)는 제3봉(13) 상부 외측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4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가이드홀(42)을 통해 제3봉(13)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부재(40)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재(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슬라이드 부재(40)가 상하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제1부재(21)와 제3부재(23)가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거나 제한이 해제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슬라이드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슬라이드 부재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3고정부재(53)는 가이드홀(42)의 상단부에 존재하게 되며, 이 경우 슬라이드 부재(40)의 상부에 구비된 제2고정부재(51)는 제2부재(22)를 고정시키게 되며, 슬라이드 부재(40)의 상단은 제2힌지부(25)보다 아래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는 모두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카메라(2)의 각도는 모든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3고정부재(53)는 가이드홀(42)의 하단부에 존재하게 되며, 이 경우 슬라이드 부재(40)의 상부에 구비된 제2고정부재(51)는 제1부재(22)를 고정시키게 되며, 슬라이드 부재(40)의 상단은 제1힌지부(24)보다 위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는 모두 회전될 수 없게 되어 카메라(2)의 각도는 조절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에 의하면, 사용자가 카메라 거치대(1)에 카메라(2)를 장착하여 촬영하는 경우에 선택에 따라 카메라(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각도가 조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거치대(1)에 카메라(2)를 장착하여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카메라(2)를 고정시키고 카메라(2)가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도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부재(40)를 상방으로 끝까지 이동시켜 제2고정부재(51)를 이용하여 각도조절부(20)를 고정시키고, 제3고정부재(53)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부재(40)를 고정시키면 된다.
반대로, 카메라(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부재(40)를 하방으로 끝까지 이동시켜 제2고정부재(51)를 이용하여 각도조절부(20)를 고정시키고, 제3고정부재(53)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부재(40)를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카메라(2)의 각도를 어느 한 방향으로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부재(40)의 상단이 제1힌지부(24)와 제2힌지부(25) 사이에 오도록 슬라이드 부재(40)를 위치시킨 후 제2고정부재(51)를 이용하여 각도조절부(20)를 고정시키고, 제3고정부재(53)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부재(40)를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사용자가 야외에서 촬영도중 각도조절부(20)의 제1힌지부(24)와 제2힌지부(25)가 헐거워져 제3부재(23)가 작은 압력에도 굴절되어 카메라(2)가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임시적으로 슬라이드 부재(40)를 상방으로 끝까지 슬라이드 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원용함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시 사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서 지지봉의 길이를 줄이고, 지지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서 지지봉의 길이를 늘이고, 지지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봉(10), 각도조절부(20),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부(10)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봉(11,12,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봉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60)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52)와 비교하여 상이하다.
즉,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제1고정부(52)는 지지봉(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형태로 이루어지지만, 도 5 내지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제1고정부(60)는 지지봉(10)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관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와 비교하여 제1고정부(60)가 지지봉(1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며, 지지봉(1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손실될 염려가 없다.
도 8은 도 5에 따른 제1고정부가 지지봉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따른 제1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60)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고정부(60)는 지지봉(10)을 이루는 다수개의 봉(11,1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봉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관(61)과, 상기 다수개의 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봉에 삽입되는 상단봉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관(61)에 결합되는 제2고정관(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봉(10)이 제1봉(11), 제2봉(12), 제3봉(3)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제1고정관(61)은 제1봉(11)과 제2봉(12) 각각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관(62)은 상기 제1봉(11)과 제2봉(12) 각각에 삽입되는 상단봉인 제2봉(12)과 제3봉(13)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관(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관(61)의 하부 외측면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6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관(62)의 하부 내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611)에 나사 결합되는 제2결합부(6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관(61)의 상부에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봉(예를들어, 제1봉(11))의 상단부 위로 돌출되는 돌출부(6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관(62)의 상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621)가 상기 제1결합부(611)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봉(11)에 삽입되는 상단봉(예를들어, 제2봉(12))이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돌출부(612)를 상기 제2봉(12)에 압착시키는 압착부(62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고정관(62)을 회전시켜 제1고정관(61)과 제2고정관(62)을 나사결합시키면 제2봉(12)은 돌출부(612)에 의해 압착되어 소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제2고정관(62)을 반대로 회전시켜 제1고정관(61)과 제2고정관(62)의 나사결합을 해제시키면 제2봉(12)은 돌출부(612)와의 압착이 해제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서 길이조절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60)에 의하면 지지봉(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2고정관(62)을 회전시켜 제1고정관(61)과 제2고정관(62)의 나사결합을 해제시킨 후 다수개의 봉(11,1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늘이거나 줄이면 되고, 다시 조절된 길이로 지지봉(1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제2고정관(62)을 반대로 회전시켜 제1고정관(61)과 제2고정관(62)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다수개의 봉(11,12,13)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면 되기 때문에, 지지봉(10)의 길이조절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관(61)은 제1봉(11) 상단부에 접착제 등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611)와 돌출부(612) 사이의 내측면에는 제1봉(11) 상단에 걸림되는 걸림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622)는 제2고정관(62)이 제1고정관(61)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612)를 효과적으로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2고정관(62)이 제1고정관(61)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압착부(622)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돌출부(612)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612)는 압착부(622)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제2봉(12)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612)의 상단부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홈(61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따른 각도조절부가 소정의 압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11은 도 5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5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5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각도조절부(20)와 슬라이드 부재(40)가 상이하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20)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봉(10)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에 장착된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1부재(21), 제2부재(22), 제3부재(23)로 이루어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20)는 지지봉(10) 상부에 고정되며, 각도조절부(20) 상단 즉, 제1부재(21) 상단에 카메라를 장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70)가 별도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각도조절부(20)가 카메라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봉(10) 상단에 탈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20)는 상부에 장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봉(10) 상단에 고정되거나 또는 카메라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봉(10) 상단에 탈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20)는 지지봉(10) 상단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지지봉(10) 상단부의 내측면에는 단턱부(15)가 구비되고, 제2부재(22)에는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25)와, 상기 단턱부(15)에 걸림되는 걸림부(227)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부재(21)의 상단에는 연결부재(70)가 끼움결합되는 안착홈(215)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70)에는 상기 안착홈(215)에 끼움결합되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 상부에 구비되어 카메라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상기 안착홈(215)에 끼움결합된 연결부재(70)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제2고정부재(51)는 지지봉(10) 상단에 끼움결합된 각도조절부(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제2고정부재(51)는 각도조절부(20) 상단에 끼움결합된 연결부재(70)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51)는 나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도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20)의 제1부재(21)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51)가 결합되는 관통홀(217)이 안착홈(215)까지 관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51)의 몸체부(71)에는 상기 관통홀(217)을 통해 관통된 제2고정부재(51)의 일측이 걸림되는 걸림홈(7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70)에는 몸체부(71)와 제1결합부(72) 사이에 나사결합을 위한 제2결합부(73)가 더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상기 제2결합부(73)에 나사결합되어 제1결합부(72)에 나사결합된 카메라의 하부를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부재(7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지지부재(75)의 상단에는 카메라의 하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7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77)는 표면이 거친 부재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카메라 지지부재(75)의 상단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80)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봉(10) 상부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제1부재(21)와 제3부재(23)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나 그 구성은 상이하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80)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80)는 하부 외측에 나사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8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 위로 돌출되는 돌출부(8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각도조절부(20)에 외측으로 삽입되며, 하부 내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81)에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부(91)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91)가 상기 제1결합부(81)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80)가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돌출부(82)를 제1부재(21) 또는 제2부재(22)에 압착시키는 압착부(92)가 구비되는 제3고정부재(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3고정부재(90)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제3고정부재(53)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부재(80)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킨다는 점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그 구성이 상이한 것이다.
상기 압착부(92)는 제3고정부재(90)가 슬라이드부재(8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82)를 효과적으로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3고정부재(90)가 슬라이드부재(8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압착부(92)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돌출부(82)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82)는 압착부(92)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80)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82)의 상단부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홈(8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지지봉(1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홀(17)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홀(17)을 통해 상기 지지봉(10)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부재(80)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홀(17)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8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95)와, 상기 슬라이드부재(80)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95)에 상단이 걸림되도록 지지봉(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재(9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97)와, 상기 지지봉(10)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97)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9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10)의 상부라 함은 지지봉(10)을 이루는 다수개의 봉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봉의 상부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3봉(13)의 상부를 말한다.
따라서,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재(80)는 평상시에는 탄성부재(97)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어 각도조절부(20)를 모두 덮은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필요시에 각도조절부(20)에 의한 카메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슬라이드부재(8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제3고정부재(90)를 슬라이드부재(8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드부재(80)를 고정시키면 된다.
사용자는 카메라 거치대(1)를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도록 설치기 때문에 카메라 촬영은 주로 전방을 촬영하게 되며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드문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도록 슬라이드부재(80)가 각도조절부(20)를 모두 덮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에만 슬라이드부재(8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각도조절부(20)에 의한 카메라 각도가 조절될 수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에 의하면 탄성부재(97)에 의해 그러한 것이 가능해질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는 지지봉(10) 내부(본 실시예에서는 제3봉(13) 내부가 된다)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부재(95)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80)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97)가 삽입되는 보조 슬라이드부재(1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슬라이드(1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슬라이드부재(80)는 상기 보조 슬라이드부재(100)에 의해 원활하게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97)도 상기 보조 슬라이드부재(10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슬라이드부재(100)에 의해 가이드 홀(17)을 통해 탄성부재(97)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전체적인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재(8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재(80)가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각도조절부(20)의 제1부재(21)가 회전가능한 상태인 것이 나타나며, 도 7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80)가 상단 위치에서 고정되어 각도조절부(20)의 제1부재(21)와 제3부재(23)가 회전 불가능한 상태인 것이 나타나며, 도 10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80)가 하단 위치에서 고정되어 각도조절부(20)의 제1부재(21)와 제3부재(23)가 회전가능한 상태인 것이 나타나며, 도 12는 상기 슬라이드부재(80)가 상단까지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슬라이드부재(80)가 하단까지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평상시 슬라이드부재(80)는 탄성부재(97)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어 각도조절부(30)의 제1,2힌지부(24,25)를 모두 덮게 되므로, 각도조절부(30)에 의한 카메라의 각도 조절은 제한된다.
이 경우 제3고정부재(90)를 슬라이드부재(8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드부재(80)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시 카메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부재(80)가 각도조절부(30)의 제1,2힌지부(24,25)를 덮지 않도록 슬라이드부재(8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제3고정부재(90)를 슬라이드부재(8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드부재(80)를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탄성부재(97)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후, 다시 슬라이드부재(8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3고정부재(90)를 회전시켜 제3고정부재(90)와 슬라이드부재(80)의 나사결합을 해제시키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슬라이드부재(80)는 탄성부재(97)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방으로 이동되어 각도조절부(30)의 제1,2힌지부(24,25)를 덮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에 의하면, 사용자의 슬라이드부재(80) 조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편리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1)에 있어서, 제4고정부(54)와 제5고정부(55)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60)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5고정부(55)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60)에 대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제4고정부(55)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4고정부(55)는 상부몸체부(34) 상단부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관(551)과, 삽입홀(33)에 삽입된 지지봉(10)(본 실시예에서는 제1봉(11)을 말한다)에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관(551)과 결합되는 제2고정관(5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관(551)과 제2고정관(552)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6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고정부(60)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4고정부(55)에 의하면, 제1고정관(551)과 제2고정관(552)의 나사결합에 따라 지지부(40)가 쉽게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어서 편리하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 의하면, 비교적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쉽게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 의하면, 카메라를 장착시킨 상태에서도 카메라의 각도를 여러 방향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어서, 카메라 거치대를 설치한 후에도 촬영 방향을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카메라 거치대를 재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 의하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비교적 길이가 긴 하나의 지지봉 하부에 종래의 삼각대 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다리부가 비교적 길이가 짧은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혀진 상태의 거치대가 거의 하나의 봉으로 이루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운반시 다수개의 봉이 서로 부딪히거나 흔들릴 염려가 적어서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에 의하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장착된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도록 즉, 장착된 카메라가 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어서, 촬영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카메라 거치대 2 : 카메라
10 : 지지봉 20 : 연결부
30 : 지지부 40 : 슬라이드 부재
51 : 제2고정부재 52 : 제2고정부
53 : 제3고정부재 54 : 제4고정부재
55 : 제5고정부재

Claims (3)

  1.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봉;
    상기 다수개의 봉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지지봉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부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부재; 및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결합되며,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결합되는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2부재와 힌지결합되는 제3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 상부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부재와 제3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지지봉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상단이 걸림되도록 상기 지지봉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지지봉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봉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보조 슬라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상단에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에 끼움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되어 카메라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결합부 사이에 나사결합을 위한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연결부재;
    상기 안착홈에 끼움결합된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부에 나사결합된 카메라의 하부를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
KR1020100098537A 2010-05-31 2010-10-09 카메라 거치대 KR101022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1169 2010-05-31
KR1020100051169 2010-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872B1 true KR101022872B1 (ko) 2011-03-16

Family

ID=4393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537A KR101022872B1 (ko) 2010-05-31 2010-10-09 카메라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872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884B1 (ko) * 2017-05-11 2018-01-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클리노미터용 원격 제어 장치
KR20180042913A (ko) 2016-10-19 2018-04-27 신선영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KR20180083007A (ko) * 2017-01-11 2018-07-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CN108692153A (zh) * 2018-07-23 2018-10-23 杭州国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轴型可调摄像头支架
CN108828530A (zh) * 2018-06-25 2018-11-16 安徽尼古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稳固支撑能力的雷达支架定位装置
KR20190026445A (ko) * 2017-09-05 2019-03-13 김인곤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CN109555945A (zh) * 2018-08-27 2019-04-02 幻想动力(上海)文化传播有限公司 电磁装置、支撑组件及摄影设备
KR102037429B1 (ko) 2019-01-10 2019-10-28 박재성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KR20200121156A (ko) * 2019-04-15 2020-10-23 조성민 휴대용 전등
KR20210008040A (ko) * 2019-06-04 2021-01-20 상 하이 이워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3d 모델링을 위한 삼각대 및 카메라 촬영 자세 식별 방법
KR102236991B1 (ko) * 2020-12-24 2021-04-06 주식회사 디에스패션컴퍼니 웹페이지 및 이를 출력하는 시스템
KR102330583B1 (ko) * 2021-05-03 2021-12-01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균열정보의 계측이 용이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균열측정장치
KR102348648B1 (ko) * 2020-11-30 2022-01-06 김철주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장치
JP7274797B1 (ja) 2021-12-07 2023-05-17 威▲爾▼派精密模具(深▲せん▼)有限公司 撮影機材用固定ブラケット
KR102620808B1 (ko) * 2022-12-30 2024-01-09 (주)재미진 엔터테인먼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3693A (ja) * 1990-11-30 1992-07-24 Hideyo Niida 新規な三脚
KR200362415Y1 (ko) 2004-07-01 2004-09-18 박은진 카메라폰 거치대
KR20060005615A (ko) * 2004-07-13 2006-01-18 김복흥 병형 용기상 탈부착식 휴대용 카메라 지지 고정구 및 시스템
KR20080070320A (ko) * 2007-01-26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3693A (ja) * 1990-11-30 1992-07-24 Hideyo Niida 新規な三脚
KR200362415Y1 (ko) 2004-07-01 2004-09-18 박은진 카메라폰 거치대
KR20060005615A (ko) * 2004-07-13 2006-01-18 김복흥 병형 용기상 탈부착식 휴대용 카메라 지지 고정구 및 시스템
KR20080070320A (ko) * 2007-01-26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913A (ko) 2016-10-19 2018-04-27 신선영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한 조명장치
KR20180083007A (ko) * 2017-01-11 2018-07-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KR101805884B1 (ko) * 2017-05-11 2018-01-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클리노미터용 원격 제어 장치
KR20190026445A (ko) * 2017-09-05 2019-03-13 김인곤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KR101963196B1 (ko) * 2017-09-05 2019-03-28 김인곤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CN108828530A (zh) * 2018-06-25 2018-11-16 安徽尼古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稳固支撑能力的雷达支架定位装置
CN108692153A (zh) * 2018-07-23 2018-10-23 杭州国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轴型可调摄像头支架
CN109555945A (zh) * 2018-08-27 2019-04-02 幻想动力(上海)文化传播有限公司 电磁装置、支撑组件及摄影设备
KR102037429B1 (ko) 2019-01-10 2019-10-28 박재성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KR20200121156A (ko) * 2019-04-15 2020-10-23 조성민 휴대용 전등
KR102276180B1 (ko) * 2019-04-15 2021-07-12 조성민 휴대용 전등
KR20210008040A (ko) * 2019-06-04 2021-01-20 상 하이 이워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3d 모델링을 위한 삼각대 및 카메라 촬영 자세 식별 방법
US20220091486A1 (en) * 2019-06-04 2022-03-24 Shanghai Yiwo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Tripod for 3d modeling and method for determining camera capture parameters
KR102575760B1 (ko) 2019-06-04 2023-09-06 상 하이 이워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3d 모델링을 위한 삼각대 및 카메라 촬영 자세 식별 방법
KR102348648B1 (ko) * 2020-11-30 2022-01-06 김철주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장치
KR102236991B1 (ko) * 2020-12-24 2021-04-06 주식회사 디에스패션컴퍼니 웹페이지 및 이를 출력하는 시스템
KR102330583B1 (ko) * 2021-05-03 2021-12-01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균열정보의 계측이 용이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균열측정장치
JP7274797B1 (ja) 2021-12-07 2023-05-17 威▲爾▼派精密模具(深▲せん▼)有限公司 撮影機材用固定ブラケット
KR102620808B1 (ko) * 2022-12-30 2024-01-09 (주)재미진 엔터테인먼트 애니메이션 컨텐츠 제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72B1 (ko) 카메라 거치대
US8322665B2 (en) All-in-one tripod/monopod
KR20170110253A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US20100150543A1 (en) Camera stand and cover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08393B1 (ko) 다용도 등산 스틱
KR20180023400A (ko) 촬영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셀카봉
US20100259144A1 (en) Device case and apparatus using same
KR20180083007A (ko)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KR100979671B1 (ko) 삼각대용 카메라 연결보조장치
KR101682941B1 (ko) 셀카봉
KR200362415Y1 (ko) 카메라폰 거치대
KR20120068296A (ko) 카메라 삼각대
CN106641611B (zh) 一种多功能组合可变的摄影摄像支架
KR101592164B1 (ko) 낚시용 받침대
KR200471070Y1 (ko) 스마트폰 지지장치
CN105744030A (zh) 隐形手机支架
KR101564541B1 (ko) 이동단말기용 커버장치
US20200150514A1 (en) Extended structure for use with a tripod
CN205610735U (zh) 隐形手机支架
KR102658851B1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KR20130005070U (ko) 야외 사진촬영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CN212617366U (zh) 一种摄像器材支架
KR200483766Y1 (ko) 파라솔 편심지주 형성장치
US11953806B2 (en) Adjustable backdrop support system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