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429B1 -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 Google Patents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429B1
KR102037429B1 KR1020190003481A KR20190003481A KR102037429B1 KR 102037429 B1 KR102037429 B1 KR 102037429B1 KR 1020190003481 A KR1020190003481 A KR 1020190003481A KR 20190003481 A KR20190003481 A KR 20190003481A KR 102037429 B1 KR102037429 B1 KR 102037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edestal
button
crad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박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성 filed Critical 박재성
Priority to KR102019000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429B1/ko
Priority to PCT/KR2020/000431 priority patent/WO20201457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02Free-standing music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스토퍼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복수개의 받침대다리로 이루어지는 받침대부재; 상기 받침대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대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 또는 누름버튼;을 마련하여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를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를 케이스 내부에 수용시켜 거치대의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필요 시 버튼을 돌리거나 눌러서 스프링을 작동시켜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를 꺼내어 펼쳐 줌으로써 거치대를 쉽고 짧은 시간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카메라,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악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거치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가 케이스에 수납됨으로써 휴대성이 극대화되며, 심플한 디자인이 가능하고, 보관시 좁은공간에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Pedestal Deployed and stored holder}
본 발명은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삼각 또는 사각 받침대를 케이스 내부에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삼각 받침대를 펼쳐 마이크 스탠드, 보면대, 자동차 안전표시판, 셀카봉 삼각대, 카메라 삼각대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치대는 제품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받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도조절, 위치고정, 높이조절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 목적에 따라 바닥용 거치대, 탁상용 거치대, 차량용 거치대가 있으며, 단순히 받침대의 기능만 있는 제품이 있으며 거치하는 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충전기능, 확장스피커, 각도조절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제품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정보기술(IT)의 발달이 함께 급성장하여 우리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고 스마트(smart)하게 해주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기술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인터넷· 멀티미디어· 경영혁신· 행정쇄신 등 정 보화 수단에 필요한 유형· 무형기술을 아우르는 간접적인 가치 창출에 무게를 두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이다.
업무용 데이터, 음성 대화, 사진, 동영상, 멀티미디어는 물론 아직 출현하지 않은 형태의 매체까지 포함하며, 정보를 개발· 저장· 교환하는 데 필요한 모든 형태의 기술까지도 망라한다.
정보기술은 정보통신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현재 '정보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최근 정보기술 산업의 화두는 스마트폰과 모바일 서비스 등이 있으며, 이는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미국 기업이 주도하고 유럽, 한국, 일본 등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앞으로의 정보기술은 컴퓨터의 성능이나 소프트웨어의 품질 자체만이 아니라 소비자의 욕구 파악, 적정가격 산정 등 종합적인 서비스로 발전할 것이다.
그 중 휴대성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단한 타블렛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현재 정보기술의 집약체로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특히 타블렛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은 영화, 음악뿐 아니라 문서작업이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하나 이상 소지할 정도로 그 판매량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정보기기들이 출현함에 따라 그 주변기기인 소위 악세서리도 대거 출시되고 있으며, 그중 거치대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용 타블렛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정보기기를 책상 위에 세워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출시된 거치대들은 가격이 너무 비싸거나, 부피가 너무 커 타블렛 컴퓨터와 같은 정보기기와 함께 들고 다니기에는 너무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부피가 큰 종래 거치대를 타블렛 컴퓨터와 함께 들고 다닐 수 없어 장소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 거치대는 단순히 정보기기를 세워 고정해 줄 뿐 기울기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세워 정보기기의 화면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카메라 거치대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즉, 사용자는 사진촬영시 카메라를 직접 들고 촬영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로 촬영할 수 있는데,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로 촬영할 때 이용되는 것이 카메라 거치대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거치대로서 삼각대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합된 세개의 지지봉과 카메라를 고정하는 장착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무게에 의하여 삼각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 개의 지지봉을 일정한 각도로 벌리고, 상기 장착부 위에 카메라를 장착시켜 고정시킨 후 상기 세개의 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카메라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용 삼각대는 세개의 지지봉의 길이가 매우 길며, 각각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설치가 쉽지 않으며, 또한 운반시에는 세 개의 긴 지지봉을 접어서 운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세개의 긴 지지봉이 서로 부딪히거나 흔들리게 되어 운반하기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카메라용 삼각대는 장착부에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장착시마다 나사를 체결하도록 구성되며, 카메라를 장착부에 고정시키기가 번거로워진다.
또한 카메라용 삼각대는 장착부에 카메라를 고정시킨 후에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카메라용 삼각대에 카메라를 장착시킨 후에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삼각대를 재설치 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삼각대를 이용한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삼각대를 이용한 거치대는 삼각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측면 종단에서 중심 일측까지 슬라이드 홈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홈에 결합되어 상기 삼각대와 거치대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의 상기 슬라이드 홈과 평행한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확장 가능한 확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부의 확장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하기 위해 상기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와 접촉하는 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확장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조절홈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홈에는 조절나사가 구비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카메라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봉, 상기 다수개의 봉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지지봉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부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제1부재,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부재 및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 결합되며,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제1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2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제3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봉 상부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부재와 제3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3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11798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22872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63698호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대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 제한되어 사용됨에 따라 다수의 거치대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거치대에 구비된 3개의 받침다리를 수동으로 접거나 펼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3개의 받침다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거치대를 휴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관 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의 받침다리를 수납하여 거치대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받침다리를 버튼부재의 조작에 의해 펼쳐 거치대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스토퍼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복수개의 받침대다리로 이루어지는 받침대부재; 상기 받침대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대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재는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부재가 설치되도록 버튼구멍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이동부재가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일직선상으로 구비되는 안내돌기; 스토퍼가 체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는 나사부; 상기 받침대부재의 인출 시 상기 이동부재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스토퍼; 상기 삼각 받침대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출입되도록 상기 스토퍼에 구비되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멍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구비된 복수개의 받침대다리; 상기 받침대다리의 선단에 결합되는 다리커버; 상기 회전구멍에 결합되는 힌지; 상기 받침대다리가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전개되도록 상기 힌지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되는 이동본체; 상기 버튼부재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동본체의 상면으로 돌출 구비되는 후크; 상기 3개의 받침대다리가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본체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 구비되어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구비되는 스프링 삽입부; 상기 스프링 삽입부의 외면에 상기 복수개의 받침대다리가 등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부재는 상부케이스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후크가 관통되도록 하부관통구멍이 구비되며, 일측에 버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절개부가 구비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내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며, 상기 후크가 관통되도록 상부관통구멍이 구비된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고정힌지; 일단이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타단이 자유단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힌지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 상기 토션스프링의 자유단이 고정되며, 상기 후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절개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각 또는 사각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에 의하면, 케이스 내부에 3개 또는 4개의 복수개 받침대 다리를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를 케이스 내부에 수용시켜 거치대의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필요 시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를 꺼내어 펼쳐 줌으로써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카메라,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거치 시킴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하나의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삼각 또는 사각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에 의하면,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에 의해 고르지 못한 지면이나 바닥면에도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고, 휴대기기인 스마트폰, 태블릿 등은 휴대기기용 거치대에 장착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마이크, 보면대, 자동차 안전표시판, 셀카봉 등 각각의 물품에 적합한 거치대(미도시)를 상부덮개의 결합힌지에 간편하게 결합하거나 일체로 제작하여 심플하고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의 다리부재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의 다리부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각 받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각 받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각 받침대를 도시한 입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각 받침대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토퍼(15)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재(10),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스토퍼(15)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복수개의 받침대다리(31)로 이루어지는 받침대부재(30), 상기 받침대부재(30)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대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이동부재(50), 상기 이동부재(50)가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11)에 설치되는 버튼부재(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는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를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치대의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필요 시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를 꺼내어 펼쳐 줌으로써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카메라,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거치시킴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하나의 거치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재(10),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케이스부재(10)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인출되어 케이스부재(10)가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복수개의 받침대다리(31)가 구비되는 받침대부재(30), 상기 받침대부재(30)가 케이스부재(1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50), 상기 이동부재(50)가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록킹된 이동부재(50)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버튼부재(7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부재(70)가 설치되도록 버튼구멍(13)이 구비된 케이스(11), 상기 이동부재(50)가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11)의 내면에 일직선상으로 구비되는 안내돌기(12), 상기 스토퍼(15)가 체결되도록 상기 케이스(11)의 일단에 구비되는 나사부(14), 상기 받침대부재(30)의 인출 시 상기 이동부재(50)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나사부(14)에 체결되는 스토퍼(15), 상기 받침대부재(30)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출입되도록 상기 스토퍼(15)에 구비되는 관통구멍(16)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중공으로 구비된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토퍼(15), 상기 케이스(11)의 타단에 결합되는 상부덮개(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는 일정 직경을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1)의 내면에는 이동부재(50)가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돌기(12)가 일직선상으로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1)에는 받침대부재(30)가 케이스(11)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되게 함은 물론 받침대부재(30)가 케이스(11)의 외부로 인출되게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버튼부재(70)가 설치되도록 버튼구멍(13)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1)의 일단에는 받침대부재(30)의 인출 시 이동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5)가 체결되며, 상기 케이스(11)의 일단에는 스토퍼(15)가 체결되도록 케이스(11)의 외면에 나사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5)에는 받침대부재(30)의 받침대다리(31)가 통과되도록 관통구멍(16)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1)의 타단에는 상부덮개(17)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덮개(17)는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결합되도록 케이스(11)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덮개(17)에는 거치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 물품거치대(미도시)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힌지(18)가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의 다리부재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의 다리부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부재(30)는 상기 이동부재(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구멍(32)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멍(3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구비된 복수개의 받침대다리(31), 상기 받침대다리(31)의 선단에 결합되는 다리커버(33), 상기 회전구멍(32)에 결합되는 힌지(34), 상기 받침대다리(31)가 상기 이동부재(50)로부터 전개되도록 상기 힌지(34)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35)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부재(30)는 케이스(11), 즉 거치시고자 하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지면 등의 바닥면에 펼쳐지는 것으로, 상기 받침대부재(30)는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31)와 상기 받침대 다리(31)를 이동부재(50)에 결합시키는 힌지(34) 및 상기 받침대 다리(31)가 전개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 다리(31)는 120°등각으로 전개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 다리(31)의 일측에는 이동부재(50)에 설치되도록 회전구멍(32)이 구비된다.
또 받침대 다리(31)의 타측에는 받침대 다리(31)가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함은 물론 받침대 다리(31)에 이물질 등과의 접촉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다리커버(33)가 구비된다.
이러한 다리커버(33)는 받침대 다리(3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받침대부재(30)는 회전구멍(32)에 결합되는 힌지(34)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 다리(31)가 펼쳐지도록 토션스프링(35)이 설치된다. 이러한 토션스프링(35)의 일단은 이동부재(50)에 고정되고, 상기 토션스프링(35)의 타단은 받침대 다리(31)의 저면에 고정되어 토션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해 받침대 다리(31)가 전개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케이스(1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되는 이동본체(51), 상기 버튼부재(70;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동본체(51)의 상면으로 돌출 구비되는 후크(52), 상기 복수개의 받침대다리(31)가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본체(51)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 구비되어 스프링(54)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구비되는 스프링 삽입부(53), 상기 스프링 삽입부(53)의 외면에 상기 복수개의 받침대다리(31)가 등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브래킷(55)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31)를 케이스(11)의 내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받침대 다리(31)를 케이스(11) 내부에 수용시키며, 케이스(11) 내부에 수용된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31)를 스토퍼(15)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전개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본체(51)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본체(51)의 상면에는 버튼부재(70)에 걸리도록 후크(52)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52)는 2개로 구비되며, 상기 후크(52)의 돌기(52a)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는 버튼부재(70)에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부재(70)의 상부케이스(75) 회전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이동본체(51)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프링 삽입부(53)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삽입부(53)에 삽입되는 스프링(54)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54)은 버튼부재(70)의 해제에 의해 받침대부재(30)가 스토퍼(15)로 이동되는 탄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삽입부(53)의 외면에는 받침대부재(30)의 힌지(34)가 결합되도록 고정브래킷(55)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55)에는 힌지(34)가 결합되도록 회전구멍(5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본체(51)의 일측에는 케이스(11)의 안내돌기(12)에 대응되는 안내홈부(57)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부(57)는 이동본체(51)가 안내돌기(12)를 따라 일직선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버튼부재(70)는 상부케이스(75)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50)의 후크(52)가 관통되도록 하부관통구멍(72)이 구비되며, 일측에 버튼(8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절개부(73)가 구비된 하부케이스(71), 상기 하부케이스(71) 내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71)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며, 상기 후크(52)가 관통되도록 상부관통구멍(76)이 구비된 상부케이스(75), 상기 하부케이스(71)와 상기 상부케이스(75)에 결합되는 고정힌지(78), 일단이 상기 상부케이스(75)에 고정되고, 상기 타단이 자유단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힌지(78)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79), 상기 토션스프링(79)의 자유단이 고정되며, 상기 후크(52)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절개부(73)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80)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재(70)는 케이스(11) 내부에 수납된 받침대부재(30)를 안정되게 록킹시킴은 물론 록킹을 해제시키는 것으로, 상기 버튼부재(70)는 케이스(11) 내부에 수납되는 하부케이스(71), 상기 하부케이스(71)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75) 및 상기 상부케이스(75)를 회전시키는 버튼(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케이스(71)는 상부케이스(75)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71)에는 이동부재(50)의 후크(52)가 관통되는 하부관통구멍(7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케이스(71)에는 상부케이스(75)를 회전시키는 버튼(80)이 설치되도록 절개부(73)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71)의 일측에는 안내돌기(71)에 대응되는 가이드홈부(74)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케이스(75)에는 하부관통구멍(72)에 대응되는 상부관통구멍(76)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75)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79)의 자유단이 결합되도록 구멍(77)이 구비된다.
또 상기 하부케이스(71)와 상부케이스(75)에는 고정힌지(78)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힌지(78)에는 토션스프링(79)이 설치된다. 상기 토션스프링(79)의 일단은 상부케이스(75)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토션스프링(79)의 자유단은 상부케이스(75)의 구멍(77)을 관통하여 버튼(80)에 고정된다.
상기 토션스프링(79)의 자유단에는 버튼(80)이 설치되며, 상기 버튼(80)의 내측에는 토션스프링(79)의 자유단이 고정되는 고정돌기(81)가 구비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는 이동부재(50)의 이동본체(51)에 받침대 다리(3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이동본체(51)의 고정브래킷(55)에는 받침대 다리(31)의 회전구멍(3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힌지(34)를 결합하며, 상기 힌지(34)에는 토션스프링(35)을 결합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35)의 일단은 스프링 삽입부(53)의 외측에 고정하고, 토션스프링(35)의 타단은 받침대 다리(31)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받침대 다리(31)는 토션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어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55)과 회전구멍(56)의 위치와 케이스(11) 하단에 결합된 스토퍼(15)의 높이 차이에 의해 받침대 다리(31)가 케이스(11)의 하부로 인출되어 외측으로 벌어지는 각도가 제한된다.
상기 받침대 다리(31)의 선단에는 다리커버(33)를 설치하며, 상기 다리커버(33)는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동부재(50)의 스프링 삽입부(53)에는 스프링(54)을 끼워 결합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에 받침대부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부재(30) 및 이동부재(50)는 케이스(11)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부재(50)는 버튼부재(70)에 결합한다.
즉, 상기 이동부재(50)의 후크(52)는 버튼부재(70)의 하부관통구멍(72) 및 상부관통구멍(76)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재(70)의 버튼(80)은 토션스프링(79)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거치대에 스마트폰(미도시) 등을 거치하기 위한 휴대기기용 거치대(1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상부덮개(17)에는 휴대기기용 거치대(100)를 결합힌지(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휴대기기인 스마트폰, 태블릿 등은 휴대기기용 거치대(100)에 장착되고, 카메라, 마이크, 보면대, 자동차 안전표시판, 셀카봉 등 각각의 물품에 적합한 거치대(미도시)를 상부덮개(17)의 결합힌지(18)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거치대를 수직으로 세우기 위하여 버튼부재(70)의 버튼(80)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케이스(75)가 회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75)에 록킹된 후크(52)의 록킹이 해제된다.
상기 후크(52)의 록킹이 해제됨에 따라 이동부재(50)와 버튼부재(7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50)는 스토퍼(15) 쪽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받침대부재(30)의 받침대 다리(31)는 스토퍼(15)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받침대 다리(31)는 스프링 삽입부(53)와 받침대 다리(31)에 설치된 토션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15)의 외측으로 전개된다.
이렇게 복수개의 받침대 다리(31)가 전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지면 등의 바닥면에 케이스부재(10)를 안정되게 수직으로 세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상부덮개(17)에 설치된 휴대기기용 거치대(100)에 스마트폰 등을 거치하여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삼각 받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삼각 받침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삼각 받침대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삼각 받침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는 4개의 받침대 다리로 이루어진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상부에는 받침대부재(30)를 전개 및 수납시키는 버튼부재(70)가 설치된다.
한편 받침대부재(30)는 4개의 받침대 다리(31)로 이루어지며, 상기 4개의 받침대 다리(31) 선단에는 각각 다리커버(33)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 다리(31)의 일측에는 고정플레이트(36)가 설치된다.
즉, 4개의 받침대 다리(31)는 고정플레이트(36)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고정플레이트(36)의 상면에는 중공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버튼서포트(37)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서포트(37)에는 누름버튼(87)이 걸리도록 버튼삽입구멍(38)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부재(70)에는 케이스(11) 내측에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85)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85)에는 버튼구멍(13)과 동일하게 버튼구멍(86)이 구비된다.
상기 누름버튼(87)은 버튼구멍(13) 및 커버플레이트(85)의 버튼구멍(8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누름버튼(87)의 후단부에는 누름버튼(87)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귀스프링(8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87)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걸림돌기(90)가 돌출된다.
또 상기 누름버튼(87)의 하부에는 받침대부재(30)가 누름버튼(87)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면, 탄성력을 부여하는 전개스프링(89)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는 도 16에서와 같이 받침대부재(30)가 케이스(11) 내에 수납되며, 누름버튼(87)이 버튼삽입구멍(38)에 끼워져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록킹 상태에서 사용자가 받침대 다리(31)를 전개시키기 위하여 누름버튼(87)을 누르게 되고, 누름버튼(87)이 눌러지게 됨에 따라 걸림버튼(90)는 버튼삽입구멍(38)으로부터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상기 받침대부재(30)는 전개스프링(89)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11)의 하단으로 이동되어 전개된다.
한편 사용자는 받침대 다리(31)를 접어 케이스(1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버튼서포트(37)에 구비된 버튼삽입구멍(38)에 걸림버튼(90)이 삽입되면서 록킹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케이스부재 11: 케이스
12: 안내돌기 13: 버튼구멍
14: 나사부 15: 스토퍼
16: 관통구멍 17: 상부덮개
18: 결합힌지
30: 받침대부재 31: 받침대 다리
32: 회전구멍 33: 다리커버
34: 힌지 35: 토션스프링
50: 이동부재 51: 이동본체
52: 후크 53: 스프링 삽입부
54: 스프링 55: 고정브래킷
56: 회전구멍 57: 안내홈부
70: 버튼부재 71: 하부케이스
72: 하부관통구멍 73: 절개부
74: 가이드홈부 75: 상부케이스
76: 상부관통구멍 77: 구멍
78: 고정힌지 79: 토션스프링
80: 회전버튼 81: 고정돌기

Claims (8)

  1. 상하로 연장되어 내부가 중공으로 구비된 케이스부재(10);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케이스부재(10)의 하단부에서 하향으로 인출되어 케이스부재(10)가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복수개의 받침대다리(31)가 구비되는 받침대부재(30);
    상기 받침대부재(30)가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대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동부재(50);
    상기 이동부재(50)가 상기 케이스부재(10) 내부에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10)에 구비되는 버튼부재(70)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재(70)는
    상부케이스(75)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며 이동부재(50)의 후크(52)가 관통되도록 하부관통구멍(72)이 구비되며, 일측에 버튼(8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절개부(73)가 구비된 하부케이스(71);
    상기 하부케이스(71) 내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71)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며, 후크(52)가 관통되도록 상부관통구멍(76)이 구비된 상부케이스(75);
    상기 하부케이스(71)와 상부케이스(75)에 결합되는 고정힌지(78);
    일단이 상기 상부케이스(75)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힌지(78)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79);
    상기 토션스프링(79)의 자유단이 고정되며, 후크(52)를 회전시키도록 하부케이스(71)의 절개부(73)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버튼(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부재(70)가 설치되도록 전면에 버튼구멍(13)이 구비되는 케이스(11);
    상기 이동부재(50)가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11)의 후방 내면에 상하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12);
    상기 케이스(11)의 하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나사부(14);
    상기 받침대부재(30)를 케이스(11)의 하부로 인출시 상기 이동부재(50)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는 스토퍼(15);
    상기 받침대부재(30)가 케이스(11)의 내부로 출입되도록 상기 스토퍼(15)에 구비되는 관통구멍(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부재(30)는
    상기 이동부재(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에 회전구멍(32)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멍(32)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받침대다리(31);
    상기 받침대다리(31)의 선단에 결합되는 다리커버(33);
    상기 회전구멍(32)에 결합되는 힌지(34);
    상기 받침대다리(31)가 케이스부재(10)의 하부로 인출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50)로부터 사방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힌지(34)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중공과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는 이동본체(51);
    상기 버튼부재(70)에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동본체(51)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후크(52);
    상기 복수개의 받침대다리(31)가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본체(51)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54)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구비되는 스프링 삽입부(53);
    상기 스프링 삽입부(53)의 외면에 상기 복수개의 받침대다리(31)가 등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브래킷(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부재(70)가 설치되도록 전면에 버튼구멍(13)이 구비되는 케이스(11);
    상기 받침대부재(30)를 케이스(11)의 하부로 인출시 상기 이동부재(50)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11) 하부에 결합되는 스토퍼(15);
    상기 받침대부재(30)가 케이스(11)의 내부로 출입되도록 상기 스토퍼(15)에 구비되는 관통구멍(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중공과 동일한 크기로 받침대부재(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36);
    상기 고정플레이트(36)의 상면에 중공의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돌출되고, 일측 모서리에 버튼삽입구멍(38)이 구비된 버튼서포트(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8. 삭제
KR1020190003481A 2019-01-10 2019-01-10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KR102037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81A KR102037429B1 (ko) 2019-01-10 2019-01-10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PCT/KR2020/000431 WO2020145705A1 (ko) 2019-01-10 2020-01-09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81A KR102037429B1 (ko) 2019-01-10 2019-01-10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429B1 true KR102037429B1 (ko) 2019-10-28

Family

ID=6842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481A KR102037429B1 (ko) 2019-01-10 2019-01-10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7429B1 (ko)
WO (1) WO20201457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76B1 (ko) * 2021-07-06 2022-08-23 박세원 다용도 스토브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6558B (zh) * 2023-05-08 2023-10-24 宿迁学院 一种音乐教育教学用展示装置
CN116241780B (zh) * 2023-05-12 2023-07-14 北京中联勘工程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工程勘测的便携距离探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2239A1 (en) * 2003-12-02 2010-06-03 Grip Pod Systems, Llc Vertical Fore Grip with Bipod
KR20110011798A (ko) 2009-07-29 2011-02-09 홍성표 삼각대를 이용한 거치대
KR101022872B1 (ko) 2010-05-31 2011-03-16 권영민 카메라 거치대
KR20120063698A (ko) 2010-12-08 2012-06-18 구하경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2241B2 (en) * 2004-03-22 2010-05-11 Wilcox Industries Corp. Hand grip apparatus for firearm
KR20110123427A (ko) * 2010-05-07 2011-11-15 윤종석 디스플레이 상하 이동장치
KR20160000408U (ko) * 2014-07-25 2016-02-03 허홍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KR101680103B1 (ko) * 2016-04-15 2016-11-28 주식회사 구컴코퍼레이션 카메라 짐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2239A1 (en) * 2003-12-02 2010-06-03 Grip Pod Systems, Llc Vertical Fore Grip with Bipod
KR20110011798A (ko) 2009-07-29 2011-02-09 홍성표 삼각대를 이용한 거치대
KR101022872B1 (ko) 2010-05-31 2011-03-16 권영민 카메라 거치대
KR20120063698A (ko) 2010-12-08 2012-06-18 구하경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76B1 (ko) * 2021-07-06 2022-08-23 박세원 다용도 스토브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705A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429B1 (ko)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US8902575B2 (en) Suppor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upport apparatus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US20140187289A1 (en) Modular Component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849112B1 (ko)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US20100006735A1 (en) Portable Multipurpose Platform
US8919544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9325304U (zh) 支撑组件及使用支撑组件的电子装置
KR102268028B1 (ko) 휴대용 독서대
US20140262933A1 (en) Universal support for electronic tablet-style computing devices
JP6799545B2 (ja) 携帯用電子映像拡大装置
KR101906040B1 (ko) 노트북용 접이식 거치대
US6382802B1 (en) Portable floor mirror
JP2022550473A (ja) 折り畳み式カメラスタンド
KR20160124455A (ko) 접이식 다용도 거치대
US20130168275A1 (en) Electronic tablet transport and retaining apparatus
US20050150433A1 (en) Foldable table for notebook computer
JP2015046074A (ja) 保護カバー
US11583070B2 (en) Instrument and music stand
WO2022112569A1 (en) Compact stand
CN212900590U (zh) 电子设备
KR20140082546A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구비한 책상
KR102332659B1 (ko) 스크린으로 이용 가능한 휴대용 빔프로젝터 보관 가방
KR101349706B1 (ko)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130005070U (ko) 야외 사진촬영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