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196B1 -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196B1
KR101963196B1 KR1020170113371A KR20170113371A KR101963196B1 KR 101963196 B1 KR101963196 B1 KR 101963196B1 KR 1020170113371 A KR1020170113371 A KR 1020170113371A KR 20170113371 A KR20170113371 A KR 20170113371A KR 101963196 B1 KR101963196 B1 KR 10196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ain frame
portable terminal
guide
slid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445A (ko
Inventor
김인곤
Original Assignee
김인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곤 filed Critical 김인곤
Priority to KR1020170113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1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다단 구조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두개 이상 구비되며, 펼침 동작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고 접힘 동작시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밀착되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상승 및 하강 이동하는 승강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작동부에 연결되는 제1 로드,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인출 및 인입하는 제2 로드, 및 상기 펼침 및 접힘 동작을 보조하도록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ASSEMBLY HOLDING FOR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하기 위하여 설치 시 휴대용 단말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설치 해제 시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타인의 도움 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셀카봉(또는 셀피 스틱(Selfie stick))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셀카봉은 상단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와 하부에 연장 가능한 다단봉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셀카봉은 다단봉을 손으로 잡고 원하는 길이로 늘려 시야를 확보한 후 카메라의 타이머 기능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셀카봉의 최대 연장 길이에 한계가 있으므로 셀카봉으로 전신 또는 배경 촬영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이때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삼각대가 결합된 셀카봉이 있으며, 셀카봉을 지면에 설치하여 전신 또는 배경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신 또는 배경 촬영 시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휴대하기 편리한 지지 조립체가 필요하다.
종래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는 한국공개 특허 제10-2016-0137874호에 개시된 삼각대 수납가능 셀카봉,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481747호에 개시된 셀카봉용 삼각대 및 미국공개 특허 제2017-0068149호에 개시된 HOLDING ASSEMBLY FOR A CAMERA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한국공개 특허 제10-2016-0137874호는 셀카봉을 사용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삼각대를 사용하여 전신 촬영과 배경촬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하는 부분에 있어서 편리함을 위하여 셀카봉의 손잡이 부분에 삼각대가 수납되는 삼각대 수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481747호는 셀카봉에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으며, 삼각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3개의 지지대가 셀카봉에 밀착되는 원통 구조로 조립되어 부피가 증가하지 않아 보관이나 이동이 편리하고, 삼각대로 사용시 안정적으로 셀카봉을 고정할 수 있는 셀카봉용 삼각대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미국공개 특허 제2017-0068149호는 바닥 패널이 자기성 표면에 부착할 카메라 또는 도구 같은 금속 물체를 지지하는 동안 벽에 부착하는 상부 패널상에서 점착성 표면을 노출하는 카메라 홀더, 카메라 홀더의 형상에 대응되게 설계된 포켓을 구비하고 카메라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3각 어댑터, 및 탄성 그립을 통하여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하여 카메라 홀더에 부착될 수 있는 가요성 광각의 실리콘 또는 고무 카메라 어댑터 또는 그립을 포함하는 삼각대에 카메라 또는 도구를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공개 특허 제10-2016-0137874호 (2016.12.01)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481747호 (2016.10.31) 미국공개 특허 제2017-0068149호 (2017.03.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메라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신 또는 배경 촬영 시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다단 구조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두개 이상 구비되며, 펼침 동작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고 접힘 동작시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밀착되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상승 및 하강 이동하는 승강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작동부에 연결되는 제1 로드,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인출 및 인입하는 제2 로드, 및 상기 펼침 및 접힘 동작을 보조하도록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거치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에 따라 연장되었다가 상기 하단부 방향으로 압축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압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부는 릴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접힘 동작시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인입되어 압축되고, 상기 펼침 동작시 압축 해제되어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가이드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 작동부에 구비된 롤러를 지나 상기 제1 로드,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로드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방사형으로 3개 또는 4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2 로드의 지면 접촉 부위에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작동부에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제1 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는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전신 또는 배경 촬영 시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는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압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보조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보조 프레임과 승강 작동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구성에 있어서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구성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구성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압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는 휴대용 단말기가 설치되는 거치대(100),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메인 프레임(200),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300), 및 메인 프레임의 외주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승강 작동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모든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대(100)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단부(120), 및 베이스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단부(130)를 포함한다.
거치대(100)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고, 상단부(120)와 하단부(130)는 휴대용 단말기의 설치시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을 파지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을 확실하게 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손상을 입히지않도록 베이스부(110), 상단부(120) 또는 하단부(130)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00)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베이스부(110)의 내측에 휴대용 단말기의 설치 길이에 따라 베이스부(1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압축부(140)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휴대용 단말기의 설치 방향을 결정하고, 상단부(120)를 들어올려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및 하단을 각각 베이스부(110) 및 하단부(130)에 접촉시킨다. 이때 상단부(120)는 압축부(140)의 신장에 의해 들어올려지며 베이스부(110)의 내측에 위치한 압축부(140)가 신장된 길이만큼 노출된다. 휴대용 단말기가 베이스부(110) 및 하단부(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단부(120)를 놓으면 압축부(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단부(120)가 하단부(130)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설치 길이에 따라 베이스부(11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대(100)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140)는 릴 스프링일 수 있다. 릴 스프링의 감긴 부분은 베이스부(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단부는 상단부(1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단부(120)가 들어올려질 때, 릴 스프링의 감긴 부분이 풀리면서 베이스부(1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며, 휴대용 단말기가 배치되고 상단부(120)가 놓여지면 릴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상단부(120)가 하단부(13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 파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압축부(14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 복원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압축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은 길이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다단 구조로 형성된다. 즉,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며, 3단 내지 10단 등 다양한 길이로 변경 가능하다. 메인 프레임(200)은 휴대용 단말기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고 자연스러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200)측에 설치되는 제1 로드(310), 제1 로드(31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로드(320), 펼침 및 접힘 동작을 보조하는 링크(330), 제1 로드 및 제2 로드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340), 및 제2 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와이어(350)를 포함한다.
보조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200)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두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즉, 180° 등간격으로 2개, 120°등간격으로 3개, 90°등간격으로 4개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300)이 방사형으로 4개 설치된 경우 좀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로드(310)는 일단이 승강 작동부(400)에 연결되어 펼침 및 접힘 동작 시 승강 작동부(400)를 따라 하강 및 상승한다. 제1 로드(310)의 내부에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가이드를 따라 제2 로드(320)가 슬라이딩 인출 또는 인입한다. 구체적으로, 보조 프레임이 접힌 상태에서 제2 로드(320)는 제1 로드(310)의 가이드내에 배치되고 보조 프레임의 펼침 동작시 제1 로드(310)의 가이드내에서 슬라이딩 인출되어 단부가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보조 프레임의 접힘 동작시에는 제1 로드(310)의 가이드내로 슬라이딩 인입되므로 보조 프레임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로드(320)를 제1 로드(310)의 내부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조 프레임(300)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펼침시 메인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길이가 제2 로드(320)의 길이만큼 길어지므로 지면에 휴대용 단말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로드(320)는 지면 접촉 부위에 미끄럼 방지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321)는 보조 프레임(300)이 지면 상태에 따라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외에 고르지 못한 지면에서 쿠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링크(33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20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로드(310)에 연결되어 보조 프레임(300)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을 보조한다.
탄성 부재(340)는 제1 로드(310) 및 제2 로드(320)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일단이 제1 로드(310)의 내측 상단부에 타단이 제2 로드(320)의 내측 하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로드(320)가 제1 로드(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인입되면 압축되었다가 보조 프레임(300)의 펼침 동작시 압축이 해제되면서 제2 로드(320)가 제1 로드(310)의 가이드내에서 슬라이딩 인출된다.
본 발명에서 탄성 부재(340)의 타단은 제2 로드(320)의 내측 상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탄성 부재(340)의 타단이 제2 로드(320)의 내측 하단부에 연결된 경우가 탄성 부재(340)의 복원력이 크므로 펼침 동작시 제2 로드(320)의 슬라이딩 인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 부재(340)는 압축 및 신장이 가능한 탄성력을 갖는 부재이며,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와이어(35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20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로드(320)의 내측 하단부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350)는 메인 프레임(200)의 하단부에서 승강 작동부(400)에 구비된 롤러(351)를 지나 제1 로드(310), 탄성 부재(340) 및 제2 로드(3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350)의 타단은 제2 로드(320)의 내측 상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와이어(350)의 타단이 제2 로드(320)의 내측 하단부에 연결된 경우가 보조 프레임의 접힘 동작시 제2 로드(320)를 좀더 확실하게 슬라이딩 인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340)와 와이어(350)에 의해 제2 로드(320)의 슬라이딩 인출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로드(320)가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다른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보조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로드, 제2 로드, 탄성 부재 및 와이어의 결합 상태를 살펴보면, 제1 로드(310)의 내부 가이드에 제2 로드(320)가 슬라이드 결합되고, 제2 로드(320)의 내부에 탄성 부재(340)가 배치되며, 탄성 부재(340)의 내부에 와이어(350)가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로드, 제2 로드, 탄성 부재 및 와이어가 모두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에서 탄성 부재(340) 및 와이어(350)는 제1 로드(310)의 내부에만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승강 작동부(400)는 메인 프레임(200)의 외주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200)의 외주를 따라 상승 및 하강 이동을 한다. 즉, 보조 프레임(300)의 펼침 동작시 하강하고, 접힘 동작시 상승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의 접힘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보조 프레임과 승강 작동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힘 상태에서 제2 로드(320)는 제1 로드(310)의 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보조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200)에 밀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 작동부(400)의 일단에 보조 프레임(300)의 접힘 상태를 고정하도록 단턱부(41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제1 로드(310)의 일단에 걸림 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410)는 승강 작동부(400)의 외주를 따라 단턱 구조로 형성되거나 외주의 일부분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 돌기(311)는 하나의 제1 로드(310)에 형성되거나 두개 이상의 제1 로드(3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로드(310)는 일단에 스토퍼부(312)를 구비하여 보조 프레임(30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단턱부(410)와 걸림 돌기(311)의 결합 및 해제를 보조할 수 있다.
제1 로드(310)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를 셀카봉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된 손잡이(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에서 보조 프레임(300)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보조 프레임(300)의 펼침 동작시, 사용자가 스토퍼부(312)를 외측 방향으로 밀거나 제1 로드(310)의 걸림 돌기(311) 근처 부위를 누르거나 또는 승강 작동부(400)를 아래로 밀면, 걸림 돌기(311)가 단턱부(410)에서 결합 해제된다. 이때 압축된 탄성 부재(3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로드(310)의 내부 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된 제2 로드(320)가 슬라이딩 인출되고, 승강 작동부(400)가 하강하면서 링크(330)의 회전에 의해 보조 프레임(300)이 펼쳐진다. 따라서 슬라이딩 인출된 제2 로드(320)가 지면에 접촉하여 펼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보조 프레임(300)의 접힘 동작시, 사용자가 승강 작동부(400)를 상승시키거나 제1 로드(310)를 누르면 와이어(350)가 상승하면서 제2 로드(320)를 당겨 제1 로드(310)의 내부 가이드에 슬라이딩 인입시키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340)가 압축된다. 이때 링크(350)가 접힘 위치로 회전하면서 제1 로드(310)를 접힘 위치로 가이드하고, 걸림 돌기(311)가 단턱부(410)에 결합하면서 접힘 상태가 고정된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거치대 110: 베이스부
120: 상단부 130: 하단부
140: 압축부 200: 메인 프레임
300: 보조 프레임 310: 제1 로드
311: 걸림 돌기 312: 스토퍼부
313: 손잡이 320: 제2 로드
321: 미끄럼 방지부 330: 링크
340: 탄성 부재 350: 와이어
400: 승강 작동부 410: 단턱부

Claims (9)

  1.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다단 구조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두개 이상 구비되며, 펼침 동작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고 접힘 동작시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밀착되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상승 및 하강 이동하는 승강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작동부에 연결되는 제1 로드;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인출 및 인입하는 제2 로드;
    상기 펼침 및 접힘 동작을 보조하도록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되는 링크;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 및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 작동부에 구비된 롤러를 지나 상기 제1 로드,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로드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2 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거치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에 따라 연장되었다가 상기 하단부 방향으로 압축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접힘 동작시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인입되어 압축되고, 상기 펼침 동작시 압축 해제되어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가이드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방사형으로 3개 또는 4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2 로드의 지면 접촉 부위에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작동부에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제1 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KR1020170113371A 2017-09-05 2017-09-05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KR10196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371A KR101963196B1 (ko) 2017-09-05 2017-09-05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371A KR101963196B1 (ko) 2017-09-05 2017-09-05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445A KR20190026445A (ko) 2019-03-13
KR101963196B1 true KR101963196B1 (ko) 2019-03-28

Family

ID=6576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371A KR101963196B1 (ko) 2017-09-05 2017-09-05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108B1 (ko) * 2020-03-10 2020-07-01 유연서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72B1 (ko) * 2010-05-31 2011-03-16 권영민 카메라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69A (ko) * 2009-07-13 2011-01-20 류한호 콤팩트 형 카메라 삼각 거치 대
KR200481747Y1 (ko) 2015-02-24 2016-11-04 박범진 셀카봉용 삼각대
KR20160129507A (ko)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KR20160137874A (ko) 2015-05-23 2016-12-01 조양현 삼각대 수납가능 셀카봉
US9891504B2 (en) 2015-09-09 2018-02-13 Wayne Fromm Holding assembly for a camera
KR20170046446A (ko) * 2015-10-21 2017-05-02 (주) 훼미리 수동 펼침 및 자동 접힘식 다단 접이 우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72B1 (ko) * 2010-05-31 2011-03-16 권영민 카메라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445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9151B1 (en) Adjustable mounting clip and system using same
CN107427708B (zh) 模块化便携式芭蕾把杆练习装置
KR101227644B1 (ko)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299428A1 (en) Retractable table and handle system and method of use
US3846855A (en) Convertible backpack and cot apparatus
US9295866B2 (en) Portable ballet bar exercise device
WO2015192207A1 (en) Telescoping extension
CN201853059U (zh) 一种平开式支架投影幕
KR101885820B1 (ko) 휴대기기용 홀더
WO2004067097A3 (en) Demountable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WO2014183357A1 (zh) 帐篷顶部展收控制结构
EP3292794A1 (en) Folding bed
KR101963196B1 (ko)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US9775416B2 (en) Umbrella device
US20190186679A1 (en) Support
KR20170110253A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CN211021405U (zh) 一种多功能可伸缩桌
CN218845642U (zh) 摄影支架
KR101558730B1 (ko)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KR101486068B1 (ko)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CN212056571U (zh) 便于携带的摄像机支撑架
CN219437052U (zh) 一种保护壳
JP4166267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装置
WO2018177248A1 (zh) 笔型折叠伞及折叠方法
CN204623496U (zh) 可伸缩手拉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