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507A -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507A
KR20160129507A KR1020150061751A KR20150061751A KR20160129507A KR 20160129507 A KR20160129507 A KR 20160129507A KR 1020150061751 A KR1020150061751 A KR 1020150061751A KR 20150061751 A KR20150061751 A KR 20150061751A KR 20160129507 A KR20160129507 A KR 2016012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photographing
leg housing
support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린
Original Assignee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507A/ko
Publication of KR2016012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손잡이부;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인출 또는 인입됨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연장봉; 및 상기 연장봉의 일단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복수 개의 레그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ASSISTANCE DEVICE FOR SELF-CAMERA}
본 발명은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셀프 촬영을 위한 모노포드 또는 트리포드의 형태로 변형 사용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용이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사용자 단말의 급격한 보급 및 페이스북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대한 이용자기 급증함에 따라, 스마트폰,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일상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온라인 상으로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일명, 셀프 카메라 촬영)하는 경우도 많아졌는데,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이나 카메라 등을 손에 들고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여야 했기 때문에 사진 촬영 자체가 어렵고, 담을 수 있는 화각이 극히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폰 등을 장착하여 혼자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도 1의 셀프 촬영용 모노포드(일명, 셀카봉)이 개발되어 소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셀프 촬영용 모노포드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1단 이상의 막대봉으로 더 멀리서 사진을 촬영하게 됨으로써, 더 넓은 화각을 만들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셀프 촬영용 모노포드 역시, 사용자가 반드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등보다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카메라 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막대봉의 길이를 무한정 늘릴 수는 없기 때문에, 여전히 화각이 제한되어 배경 및 전신의 모습을 다 담아내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무엇보다 종래의 셀프 촬영용 모노포드는 사진을 찍기 위해 한쪽 팔로 잡아서 뻗어 찍는 형식이기 때문에 부자연스럽고 어색하게 뻗은 팔이 보기 싫어 보이지 않게 하려 신체의 일부를 잘라서 찍거나 언제나 비슷한 각도의 사진으로, 포즈의 다양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셀프 촬영을 위한 모노포드(셀카봉) 또는 트리포드(삼각대)의 형태로 변형 사용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손잡이부;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인출 또는 인입됨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연장봉; 및 상기 연장봉의 일단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복수 개의 레그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그 하우징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을 소정의 개수로 균등 분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장봉 증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 하우징부는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그 하우징부는 상기 수용부의 표면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그 하우징부 각각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펼쳐짐으로써, 상기 보조 장치를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힌지 회동을 통해 기울임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절부; 상기 관절부와 홀더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관절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지지하는 상기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더부의 분리 시 노출되어 상기 카메라 장치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그 하우징부를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를 모노포드(셀카봉) 또는 트리포드(삼각대)의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장치에 대한 활용도 및 사용자의 편의가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셀프 촬영용 모노포드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는 손잡이부(110), 연장봉(120) 및 거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를 사용자가 파지하게 하거나 지면 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수용부(112) 및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 하우징부(114)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112)는 다단 구조의 연장봉(120) 중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연장봉(120)은 이러한 수용부(112)로부터 인출되거나, 수용부(112)에 인입됨으로써, 연장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수용부(112)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밀폐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그 하우징부(114)는 중심의 수용부(1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일단이 수용부(11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구동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 하우징부(114)에 의해 손잡이부(110)의 측면은 레그 하우징부(114)의 구비 개수만큼 균등하게 분할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는 레그 하우징부(114)가 접힌 상태 및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상이한 용도로 사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레그 하우징부(114)의 외측 표면에는 레그 하우징부(114)의 접힌 상태에서 손잡이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된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에는 사용자의 손잡이부(110)에 대한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1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레그 하우징부(114)가 3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레그 하우징부(11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레그 하우징부(114) 및 수용부(112)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자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그 하우징부(114)가 수용부(112)의 표면에 자력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수용부(112)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레그 하우징부(114) 각각의 적어도 일 영역에 자성 물질이 포함되어, 자력에 의해 레그 하우징부(114)가 수용부(112)의 금속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방식을 통해,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의 보관 및 셀프 촬영을 위한 모노포드로(일명, 셀카봉)의 활용 시, 레그 하우징부(114)가 쉽게 펼쳐지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가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수용부(112) 및 레그 하우징부(114)의 결합 구성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12)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자성 물질이 포함되어,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레그 하우징부(114)가 수용부(112)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거나, 접힌 상태에서 상호 간의 접촉하게 되는 레그 하우징부(114) 모서리 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자성 물질이 포함됨으로써, 레그 하우징부(114)가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접힌 상태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연장부(12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폴대가 다단의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연장부(120)는 적어도 일부가 손잡이부(110)(즉, 수용부(112))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됨으로써,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연장부(120)는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의 보관 시 등에 수용부(112)여 졉혀져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 시에 이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지는 등의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거치부(130)는 연장부(1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촬영 수단(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 등)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스마트폰, 핸드폰, 테블릿 PC, MP3, PMP 등 다양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장치는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 필름 카메라, DSLR 카메라 등 뿐만 아니라, 캠코더 등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30)는 관절부(132), 홀더부(134) 및 결합부(136)로 구성될 수 있다. 관절부(132)는 힌지 회동을 통해, 거치 또는 결합된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의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관절부(132)에는 상기 기울임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힌지 회동을 제한하는 소정의 고정 장치(132-1)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부(134)는 사용자 단말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부(136)를 통해 관절부(13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을 거치시키기 위한 홀더부(134)의 구성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결합부(136)는, 예를 들어, 관절부(132)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나사 형태로 구현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부(134)를 관절부(1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홀더부(134)의 하단에 구비된 나사홀에 결합부(136)가 결합됨으로써, 홀더부(134)는 관절부(1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결합부(136)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홀더부(134)의 분리 시, 외부로 노출되어 직접 카메라 장치에 결합됨으로써, 카메라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는 통신 모듈(미도시) 및 촬영 버튼(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미도시)은,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에 촬영 버튼(116)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또는 푸쉬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를 셀프 촬영을 위한 모노포드로 이용할 시, 촬영 개시를 위해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를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증대되게 된다.
다만, 이러한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노포드(일명, 셀카봉) 또는 촬영 수단을 사용자로부터 이격하여 지지하는 트리포드(일명, 삼각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는 통상의 알려진 셀프 촬영용 모노포드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레그 하우징부(114)가 접히면 손잡이부(110)는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의 파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연장봉(1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를 통상의 알려진 셀프 촬영용 모노포드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레그 하우징부(114)가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알려진 카메라용 트리포드와 동일하게, 사용자와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를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레그 하우징부(114)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펼쳐지는 경우, 펼쳐진 레그 하우징부(114)를 통해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를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100)를 카메라용 트리포드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서는 연장부(120)가 완전히 수용부(112)에 접혀진 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트리포드 용도로 사용할 시에도 연장부(1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110 손잡이부
112 수용부 114 레그 하우징부
116 촬영 버튼 120 연장봉
130 거치부 132 관절부
132-1 고정부 134 홀더부
136 결합부

Claims (7)

  1. 손잡이부;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인출 또는 인입됨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연장봉; 및
    상기 연장봉의 일단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복수 개의 레그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하우징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을 소정의 개수로 균등 분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장봉 증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 하우징부는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하우징부는 상기 수용부의 표면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하우징부 각각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펼쳐짐으로써, 상기 보조 장치를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힌지 회동을 통해 기울임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절부; 상기 관절부와 홀더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관절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지지하는 상기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더부의 분리 시 노출되어 상기 카메라 장치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장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장치.
KR1020150061751A 2015-04-30 2015-04-30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KR20160129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51A KR20160129507A (ko) 2015-04-30 2015-04-30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51A KR20160129507A (ko) 2015-04-30 2015-04-30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07A true KR20160129507A (ko) 2016-11-09

Family

ID=5752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751A KR20160129507A (ko) 2015-04-30 2015-04-30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950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007A (ko) * 2017-01-11 2018-07-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KR20190026445A (ko) * 2017-09-05 2019-03-13 김인곤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KR101948607B1 (ko) 2018-08-29 2019-04-02 고운택 자유회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기구
EP3591467A1 (en) * 2018-06-27 2020-01-08 Shenzhen Haohualianhe Technology Co., Ltd.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KR20200064418A (ko) 2018-11-29 2020-06-08 고영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KR20200124119A (ko) * 2019-04-23 2020-11-02 김제훈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KR20210079686A (ko) 2019-12-20 2021-06-30 이경환 핸드폰 거치대
KR20210101769A (ko) * 2020-02-11 2021-08-19 박서우 셀카봉
KR20210002165U (ko) * 2020-03-20 2021-09-29 이승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007A (ko) * 2017-01-11 2018-07-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KR20190026445A (ko) * 2017-09-05 2019-03-13 김인곤 휴대용 단말기 지지 조립체
EP3591467A1 (en) * 2018-06-27 2020-01-08 Shenzhen Haohualianhe Technology Co., Ltd.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KR20200000515U (ko) * 2018-06-27 2020-03-09 션쩐 하오화리앤흐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거치대 및 거치대를 지닌 셀카봉
KR101948607B1 (ko) 2018-08-29 2019-04-02 고운택 자유회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기구
KR20200064418A (ko) 2018-11-29 2020-06-08 고영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KR20200124119A (ko) * 2019-04-23 2020-11-02 김제훈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KR20210079686A (ko) 2019-12-20 2021-06-30 이경환 핸드폰 거치대
KR20210101769A (ko) * 2020-02-11 2021-08-19 박서우 셀카봉
KR20210002165U (ko) * 2020-03-20 2021-09-29 이승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9507A (ko)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US9332170B1 (en) Telescoping extension
US20210165306A1 (en) Handheld apparatus and photographing device
US9473190B1 (en) Phone case with built-in holder
CN106534701B (zh) 手持云台
EP2278209A2 (en) Stabilized mount for, and method of,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US9195120B2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US20150029352A1 (en) Collapsible cell phone boom arm
JP3185803U (ja) スマートフォン用撮影補助具
US20170085284A1 (en) Mobile phone case with selfie-stick
US20160342072A1 (en) Integral range extender and mechanical protector system for a handheld digital device
WO2018101538A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KR20170110253A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WO2017014227A1 (ja) 携帯通信端末用ケース
KR20180083007A (ko)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KR20180039789A (ko)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33865B1 (ko) 스마트폰용 셀프 카메라 촬영장치
KR101992297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WO2016017054A1 (ja) 撮像装置
KR20160137325A (ko)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160129502A (ko) 스트랩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616542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272058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20120040824A (ko) 바타입 휴대폰의 악세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