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65U -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 Google Patents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65U
KR20210002165U KR2020200000977U KR20200000977U KR20210002165U KR 20210002165 U KR20210002165 U KR 20210002165U KR 2020200000977 U KR2020200000977 U KR 2020200000977U KR 20200000977 U KR20200000977 U KR 20200000977U KR 20210002165 U KR20210002165 U KR 20210002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lfie stick
fixing unit
rod
tri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865Y1 (ko
Inventor
이승범
Original Assignee
이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범 filed Critical 이승범
Priority to KR2020200000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6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은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는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으로,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Fixing unit for fixing selfie stick structure and selfie stick apparatus including combinable/detachable fixing unit}
본 고안은 셀카봉 장치 및 그 주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하는 셀카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타인의 도움 없이 거리나 각도 등을 조절하면서 찍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인, 이른바 셀카봉(자가 촬영용 거치/연장봉)이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셀카봉은 사용자가 셀카봉의 일단에 스마트폰 등을 고정한 상태에서 타단의 손잡이를 잡고 촬영을 해야 하므로, 카메라를 지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촬영하는 방식과는 떨림(흔들림)이나 포커싱, 화질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셀카봉은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적절히 활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셀카봉을 들고 있을 수 없는 상황이나, 셀카봉을 지면에 고정해야 하는데 지면이 경사지거나 굴곡진 경우 등 촬영이 쉽지 않은 환경이나 조건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들이 필요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고 편안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셀카봉 고정용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셀카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는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으로,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상기 막대부는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삼각대 구조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막대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접혀진 삼각대 구조에 의해 상기 막대부의 단부에 갈라진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의 상기 갈라진 틈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핀부의 적어도 하단을 감싸도록 구성된 안전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전 커버 부재는 상기 고정핀부에 대해서 접고 펼 수 있는 삼발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 및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는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대부는 중앙기둥 및 상기 중앙기둥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막대부의 상기 중앙기둥은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유닛의 보관시, 상기 고정핀부를 상기 중앙기둥의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의 상기 삼각대 구조에 의해 정의된 갈라진 틈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고 편안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셀카봉 고정용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셀카봉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골프장이나 공원 또는 굴곡진 지면이 있는 장소에서 셀카봉을 지면에 고정하여 원격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셀카봉 고정용 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셀카봉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셀카봉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 유닛에 체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안전 커버 부재의 삼발이 구조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는 중앙기둥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고정 유닛의 고정핀부를 셀카봉 구조체의 중앙기둥의 삽입홀 내에 삽입하여 보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명학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1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00)은 셀카봉 구조체(200)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일 수 있다. 셀카봉 구조체(200)는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등)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즉, 단말기 고정부)(미도시)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셀카봉 구조체(200)에서 막대부(220)의 하단부 일부만 도시된다. 셀카봉 구조체(200)의 전체적인 구조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셀카봉 구조체(200)는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210) 및 거치부(210)에 연결된 막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부(220)는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220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막대부(220)는 중앙기둥(220a) 및 중앙기둥(220a)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22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삼각대 구조(220b)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준다. 삼각대 구조(220b)가 접혀진 상태에서 막대부(220)는 로드(rod) 또는 폴(pol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삼각대 구조(220b)를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셀카봉 구조체(200)는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라 할 수 있다. 막대부(22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연장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셀카봉 구조체(2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고, 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와 같은 셀카봉 구조체(200)에서 삼각대 구조(220b)가 접혀진 상태의 막대부(220)가 도 1의 고정 유닛(100)에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100)은 지면(땅)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110) 및 고정핀부(110)의 상단에 결합된 것으로, 셀카봉 구조체(200)와 체결되는 체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부(110)는 하단부가 뾰족한 못이나 핀 등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핀부(110)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나 철, 아연 도금 등 녹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체결부(120)는 셀카봉 구조체(200)의 막대부(220)가 삽입되는 삽입홈(G10)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120a) 및 홈 하우징(120a)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G10) 내에 막대부(22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부(121)를 회전시켜 막대부(220)를 홈 하우징(120a)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나사부(121)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부(220)의 외주면에는 고정 나사부(121)의 상기 볼트부가 쉽게 걸리고 조임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홈(g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g1)은 고정 나사부(121)에 대응하는 위치(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g1)은 링(ring) 형상을 갖거나 부분적인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120)에서 홈 하우징(120a)의 아래에는 고정핀부(110)의 상단부를 직접적으로 감싸고 있는 연결부(120b)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20b)는 체결부(120)의 '하부 구조'라 할 수 있고, 홈 하우징(120a)는 체결부(120)의 '상부 구조'라 할 수 있다. 연결부(120b)는 홈 하우징(120a) 보다 작은 폭(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b)의 사이즈를 불필요하게 확대하지 않으므로, 무게 및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체결부(120)의 홈 하우징(120a)와 연결부(120b)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MC nylon(monomer casting nylon) 등 다양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막대부(220)가 삽입홈(G10)에 삽입될 때, 막대부(220)의 접혀진 삼각대 구조(도 2의 220b가 접혀진 구조)에 의해 막대부(220)의 단부에 갈라진 틈(t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0)는 삽입홈(G10)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P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돌기부(P1)는 삽입홈(G10)에 삽입되는 막대부(220)의 상기 갈라진 틈(t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돌기부(P1)에 의해 접혀진 삼각대 구조(도 2의 220b가 접혀진 구조)의 끝부분이 벌어지게 함으로써 조임에 의한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고정 나사부(121)에 의한 고정과 돌기부(P1)에 의한 조임 효과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셀카봉 구조체(200)를 보다 강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참조번호 130은 고정핀부(110)의 뾰족한 끝부분(하단부)을 감싸는 보호대를 나타낸다. 고정 유닛(100)의 보관시, 고정핀부(110)의 뾰족한 끝부분을 보호대(130)로 커버링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고정 유닛(100)의 사용시에는, 보호대(130)를 제거하고 고정핀부(110)를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보호대(130)는 가죽이나 그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100A)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00A)은 도 1에서 설명한 돌기부(P1)에서 변형된 형태의 돌기부(P2)를 가질 수 있다. 돌기부(P2)는 삽입홈(G10)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저면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 즉,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기부(P2)가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가질 경우, 막대부(220)가 삽입홈(G10)에 삽입될 때, 접혀진 삼각대 구조(도 2의 220b가 접혀진 구조)에 의해 막대부(220)의 단부에 정의된 갈라진 틈(t1) 사이로 돌기부(P2)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해서, 체결 과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돌기부(P2)의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기 때문에, 접혀진 삼각대 구조(도 2의 220b가 접혀진 구조)의 끝부분이 벌어지게 함으로써 조임에 의한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3에서 돌기부(P2)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셀카봉 구조체(200)를 고정 유닛(100)에 체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셀카봉 구조체(200)의 막대부(220)를 고정 유닛(100)의 삽입홈(G10)에 삽입한 후, 고정 나사부(121)를 돌려줌으로써, 셀카봉 구조체(200)를 고정 유닛(100)에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유닛(100) 및 셀카봉 구조체(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 이미지이다. 도 6은 고정 유닛의 입체적인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 이미지이고, 도 7은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 이미지(즉, side-veiw)이며, 도 8은 위에서 촬영한 사진 이미지(즉, top-view)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100B)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 유닛(100B)은 고정핀부(110)의 적어도 하단을 감싸도록 구성된 안전 커버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커버 부재(150)는 고정핀부(110)에 대해서 접고 펼 수 있는 삼발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준다.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는 각각의 지지 방향에 대해 고정력을 제공하는 힌지(hinge) 구조에 의해 체결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유닛(100B)의 보관시 안전 커버 부재(150)로 고정핀부(110)를 덮은 상태로 보관하고, 고정 유닛(100B)의 사용시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를 펼쳐서 고정핀부(110)를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를 펼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를 펼친 후, 노출된 고정핀부(110)를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안전 커버 부재(150)의 삼발이 구조도 보조적인 지지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고정(지면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안전 커버 부재(15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안전 커버 부재(1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는 중앙기둥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는 막대부에 중앙기둥(222a)을 포함할 수 있고, 중앙기둥(222a)은 삽입홀(H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기둥(222a)은 도 2의 셀카봉 구조체(200)의 중앙기둥(220a)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의 보관시, 고정 유닛의 고정핀부를 상기 중앙기둥(222a)의 삽입홀(H1) 내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유닛의 보관이 용이할 수 있고, 고정핀부로 인한 안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고정 유닛의 고정핀부를 중앙기둥(222a)의 삽입홀(H1) 내에 삽입하여 보관하는 과정은 도 12에 도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에서 셀카봉 구조체(200C)의 중앙기둥(도시안됨)(도 11의 222a 참조)의 삽입홀(도 11의 H1) 내에 고정 유닛(100C)의 고정핀부(110C)를 삽입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핀부(110C)의 일부 영역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도 11의 H1)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부를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하므로써, 셀카봉 구조체(200C)에 고정 유닛(100C)을 보다 확실하게 체결/고정할 수 있다. 고정 유닛(100C)의 보관시, 고정 유닛(100C)의 고정핀부(110C)를 중앙기둥(도 11의 222a)의 삽입홀(도 11의 H1) 내에 삽입하여 보관함으로서, 안전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100D)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나사 체결 방식'을 이용한 고정 유닛(100D)을 보여준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100D)은 고정핀부(115) 및 이와 결합된 체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25)는 상부 구조(125a) 및 하부 구조(125b)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구조(125b)는 도 1의 연결부(120b)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125)의 상부 구조(125a)는 삽입홈을 갖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125)의 상부 구조(125a) 위쪽으로 돌출된 체결 나사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나사부(155)는 고정핀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예컨대, 고정핀부(115)와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셀카봉 구조체(200D)는 막대부(225)를 포함할 수 있고, 막대부(225)의 하면에 체결을 위한 체결홈(255)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홈(255)은 암나사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 나사부(즉, 수나사부)(155)가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셀카봉 구조체(200D)는 삼각대 타입이 아닐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 및 조건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고 편안하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셀카봉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골프장이나 공원 또는 굴곡진 지면이 있는 장소에서 셀카봉을 지면에 고정하여 원격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셀카봉 관련 장치(고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셀카봉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장에서 삼각대 타입의 셀카봉이나 비삼각대 타입의 셀카봉을 고정 유닛을 이용해서 지면에 고정한 상태로 스윙 모습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지면의 굴곡에 상관 없이 촬영이 가능하고, 바람에 의한 흔들림 등의 문제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다양한 환경이나 조건에서 용이한 촬영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100D : 고정 유닛 110, 115 : 고정핀부
120, 125 : 체결부 120a : 홈 하우징
120b : 연결부 121 : 고정 나사부
130 : 보호대 150 : 안전 커버 부재
200 : 셀카봉 구조체 210 : 거치부
220, 225 : 막대부 220a, 222a : 중앙기둥
220b : 삼각대 구조 G10 : 삽입홈
g1 : 가이드홈 t1 : 틈
P1, P2 : 돌기부 H1 : 삽입홀

Claims (5)

  1.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는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으로,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카봉 구조체의 상기 막대부는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삼각대 구조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막대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접혀진 삼각대 구조에 의해 상기 막대부의 단부에 갈라진 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의 상기 갈라진 틈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갖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부의 적어도 하단을 감싸도록 구성된 안전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커버 부재는 상기 고정핀부에 대해서 접고 펼 수 있는 삼발이 구조를 갖고, 상기 삼발이 구조는 각각의 지지 방향에 대해 고정력을 제공하는 힌지(hinge) 구조를 포함하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5.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 및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는 사진 촬영을 위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대부는 중앙기둥 및 상기 중앙기둥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삼각대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지면에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부 및 상기 고정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삼각대 타입 셀카봉 구조체의 막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홈 하우징 및 상기 홈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된 고정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 내에 상기 막대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부를 상기 홈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막대부의 상기 중앙기둥은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의 보관시, 상기 고정핀부를 상기 중앙기둥의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의 상기 삼각대 구조에 의해 정의된 갈라진 틈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KR2020200000977U 2020-03-20 2020-03-20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KR200494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77U KR200494865Y1 (ko) 2020-03-20 2020-03-20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77U KR200494865Y1 (ko) 2020-03-20 2020-03-20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65U true KR20210002165U (ko) 2021-09-29
KR200494865Y1 KR200494865Y1 (ko) 2022-01-11

Family

ID=7791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77U KR200494865Y1 (ko) 2020-03-20 2020-03-20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6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539A (ko) * 2005-05-24 2006-11-29 한완식 다용도 스틱
KR200471070Y1 (ko) * 2011-07-15 2014-02-11 안재원 스마트폰 지지장치
KR101513932B1 (ko) * 2013-08-28 2015-04-21 황선호 받침틀
KR101608393B1 (ko) 2015-02-02 2016-04-01 고한영 다용도 등산 스틱
KR20160129507A (ko)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539A (ko) * 2005-05-24 2006-11-29 한완식 다용도 스틱
KR200471070Y1 (ko) * 2011-07-15 2014-02-11 안재원 스마트폰 지지장치
KR101513932B1 (ko) * 2013-08-28 2015-04-21 황선호 받침틀
KR101608393B1 (ko) 2015-02-02 2016-04-01 고한영 다용도 등산 스틱
KR20160129507A (ko)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65Y1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6897B2 (en) Plate for camera equipment
US10768510B2 (en) Panoramic camera mount
US9435979B2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US8007188B2 (en) Stabilized mount for, and method of,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US20150309395A1 (en) Photographic device mounts
US11629809B2 (en) Quick detach connector
US8620152B1 (en) Auxiliary lens positioning system for portable cameras
US20100150543A1 (en) Camera stand and cover
US11550208B2 (en) Adjustable plate for camera equipment
JP6650952B2 (ja) 携帯電話ケース
KR200494865Y1 (ko)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US20080310834A1 (en) Camera Holding Device
US20200240577A1 (en) Supporting rod and bracket comprising the same
US20170119135A1 (en) Frame for Portable Electronic Media Device
US9429824B2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WO2017039744A1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KR20040052918A (ko) 휴대폰과 지지대(삼각대)의 연결 장치
KR200359895Y1 (ko) 휴대폰과 지지대(삼각대)의 연결 장치
TW201623859A (zh) 夾持座以及包含有該夾持座之自拍器
WO2016131317A1 (zh) 移动终端
JPH04269981A (ja) スキ−ストック
JP2005062367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用アダプタ、及び三脚セット
TWM283945U (en) Quick release board structure for camera platform
KR20120008009U (ko) 휴대용 단말기 고정장치
JP2009093129A (ja) 高所撮影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